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교수실제의 변화

        우민정(Woo, Min jung)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성교육과 관련된 활동들을 통해 유아교사의 성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수 실제가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한 A유치원 만 5세반 유아 20명과 유아교사 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09년 4월 7일부터 7월 17일까지이다. 이 기간 동안 교사의 개별면담내용과 교사가 쓴 저널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사는 성교육 활동을 통해 성교육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고 둘째, 교사는 성교육 활동을 통해 유아 성교육에 대한 목표, 내용, 교수방법이 변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성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수실제의 변화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제공할 것이며, 현장에서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사교육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indergarten teacher's variation of awareness and teaching practice while sex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is kindergarten teacher of five-year-old class. The activities were carried out for 15 weeks from April 7th to July 17th. The collective data are teacher's interviews and journal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wareness on sex education has been changed positively through the sex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econd, teacher's purpose, attitude and methods of sex education has been changed through the sex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udy, some suggestions toward a better sex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made in the context.

      • KCI등재

        유산소능력이 치매관련유전자(Apolipoprotein e4)와 대뇌피질 반응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우민정 ( Min Jung Woo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9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알츠하이머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 (아포지단백 e4 유전형질)를 보유함으로써 유발되는 뇌기능의 결함 (뇌 활성화 감소, 대뇌피질 두께 감소)을 유산소능력이 상쇄시켜줄 수 있는지를 심리생리학적 측정법을 통해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평균연령 20세의 건강한 성인 남성들로 29명의 아포지단백 e4 유전형질 보유자와 30명의 무보유자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YMCA 싸이클 프로토콜을 통해 예측된 최대산소섭취량에 의해 고 유산소능력 집단과 저 유산소능력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인지기능은 오드볼 과제 수행 중 Fz, Cz, Pz 영역에서 측정된 신경전기적 반응인 사건유발전위의 P300 진폭과 잠재기를 통해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 e4 유전형질을 보유한 집단에서 고 유산소능력 집단의 Fz와 Cz에서 측정된 P300 진폭이 저 유산소능력 집단의 진폭보다 유의하게 컸다. 그러나 유산소능력에 따른 P300 진폭의 차이는 유전형질을 보유하지 않은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P300 잠재기 분석에서는 유전형질 보유여부에 상관없이 고 유산소능력 집단의 Pz에서 측정된 P300 잠재기가 저 유산소능력 집단보다 짧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유산소능력이 높을수록 정보처리 속도가 빠르고, 과제 수행시 특정 뇌영역에 주의자원의 양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산소능력이 유산소 운동훈련과 정적으로 상관되어 있고 유산소능력의 효과가 유전형질을 보유한 집단에게 더 크다는 사실은 알츠하이머 질병의 유전적인 위험에 노출된 사람들에게 유산소운동에 꾸준한 참여가 더욱 중요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if cardiovascular fitnes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otype related to Alzheimer`s disease(Apolipoprotein e4 allele) and neuro-electrical responses in young male adults. Participants were college age young healthy male consisting of twenty nine e4 carriers(M=20.58 yrs) and thirty non-carriers(M=20.70 yrs) and subjects in each group were divided into high and low-fit groups based on aerobic capacity. Cognitive function was assessed by neuroelectrical response, an event-related potential(ERP) at Fz, Cz, and Pz during oddball task. As the result, high-fit e4 carriers exhibited greater P300 amplitude at Fz and Cz, which is indicative of the recruitment of attentional resources, relative to low-fit e4 carriers while the difference on P300 amplitude between high and low-fit individuals was not found in e4 non-carriers. Analysis of P300 latency representing cognitive processing speed revealed that high-fit individuals, regardless of genotype, exhibited shorter P300 latency at Pz, relative to those who are low-fit. The current finding indicates that the benefit of cardiovascular fitness is particularly stronger in individuals who are at high risk of Alzheimer`s disease.

      • KCI등재

        우리나라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조부모 이미지 분석 -2009년부터 2019년까지의 창작 그림책을 중심으로-

        우민정(Woo, Min-Jung),이선영(Lee, Sun-Young)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6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9년까지 출판된 우리나라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조부모의 이미지를 살펴보고자 손자녀와의 관계가 드러나는 그림책 42권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적 특성인 이름, 정서, 성격, 사회적 특성인 대인관계와 역할, 서사적 특성인 공간적 배경과 주요 사건에 대해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 후 빈도와 백분율로 결과를 처리하였다. 개인적 특성에서 조부모의 이름은 이름이 없는 조부모가 이름이 있는 조부모보다 많았으며, 주요 정서는 1차 정서인 기쁨이 가장 많았다. 조부모의 성격은 다정한 성격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반응적인 성격, 사려 깊은 성격, 활발한 성격, 적극적인 성격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특성에서 대인관계는 손자녀와의 관계만 나타난 경우가 손자녀와의 관계와 사회적 관계가 함께 나타난 경우보다 많았다. 조부모의 역할은 정서적 지지자의 역할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서사적 특성에서 공간적 배경은 집과 같은 개인적인 공간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주요 사건은 손자녀와 함께 하는 일상생활의 경험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조부모의 이미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변화되어 가고 있는 조부모의 모습과 역할을 반영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age of grandparents in Korean picture books and 42 Korean picture books that reveal relationships with grandchildren were analyzed. For this,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names, emotions, and social characteristics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roles,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such as background and major event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and percentag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erm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grandparents without a name were more than named grandparents, and joy was the most common primary emotion. As the personality of grandparents, an affectionate personality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reactive personality, thoughtful personality, bouncy personality and active personality respectively. In terms of social characteristic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und only with grandchildren were more than with grandchildren and social relationships. In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the background was the most personal space such as home, and the main event was the experience of daily life with grandchildren. These results have been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images and roles of grandparents in Korean picture books and the results were reflecting the changing images and roles of grandparents in wider society.

      • KCI등재

        사격 조준 시 뇌 활성화 프로파일 I: 엘리트 사격선수 분석

        우민정 ( Min Jung Woo ),이건영 ( Gun Young Lee ),박혜주 ( Hye Ju Park ),김진구 ( Jin Gu Kim ),김용승 ( Yong Seung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2 체육과학연구 Vol.23 No.1

        사격수행은 지각-운동변인, 인지적 변인, 정서적 변인에 의해 결정된다. 꾸준한 연습과 경험은 이런 요인들의 효율적 통제를 가능하게 하여 결국 사격 숙련성을 갖게 만든다. 신경과학과 뇌 영상기법의 발달로 기술 숙련성을 뇌를 통해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고, 기술숙련성이 뇌 활성화의 효율성과 정적인 관계가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해당 기술 전문가의 뇌 활성화를 인위적으로 유도하는 뉴로 피드백 훈련이 기술 향상을 위한 보조적인 훈련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저 이 연구의 목적은 엘리트 사격선수들의 뇌 활성화 패턴을 조사하여 사격 맞춤형 뉴로 피드백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사격 국가대표와 국가대표 후보 선수들이었으며, 실험과제는 10m 공기권총 사격이었고, 한 피험자 당 총 격발 수는 20발이었다. 사격 격발 전 5초간 뇌 활성화를 조사한 결과, 조준 시 사격수행과 관련이 적은 좌측두엽(T3) 영역의 스펙트럴 값이 가장 낮았고, 반면 수의적 운동을 계획하는 전두엽 중심(FZ)영역의 스펙트럴 값이 높아 효율적인 뇌 활성화 패턴을 보여주었다. 또한 우 측두엽(T4)스펙트럴 값들과 사격 점수 간 정적 상관은 엘리트 사격수행에 있어 T4 영역 활성화의 중요성을 의미한다. 흥미롭게도 전두엽, 중심, 측두엽의 반구차이지표가 사격수행변수와 매우 높은 상관을 보였는데 이는 과제수행 관련 반구의 전문화(specialization)가 높을수록 사격수행이 좋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사격 맞춤형 뉴로 피드백 훈련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Main types of variables underlying marksmanship are perceptual-motor, cognitive, and affective variables. Shooting expertise is accomplished by controlling efficiently these variables through deliberate and consistent practice and experience. Development of neuroscience and neuro-imaging techniques leaded increase of studies to clarify relationship between expertise and brain, an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ose has been observed. The result makes the prediction possible that neurofeedback training imitating brain activity of highly-skilled experts may be additional training program for skill enhance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pattern of the brain activation in elite shooting athletes and to provide theoretical background for development of neurofeedback training program fitted to marksman. Participants were twenty six national and every-ready air-pistol shooting national athletes whose mean age of 19.6 years and were asked to conduct a total of twenty shots. Task was l0m air-pistol shooting. The result was that spectral power during 5s-aiming period was lower in T3 unrelated to shooting performance whereas one at FZ in charge of motor planning was higher relative to other brain regions. In addition, positive correlation has been observed between spectral powers at T4 and shooting scores. Interestingly, asymmetry scores at frontal, central arid temporal regions exhibit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hooting-related variables. It implies that greater task-specific brain activation in right hemisphere leads to better shooting performance.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for development of the neurofeedback training program for air-pistol shooting athletes.

      • KCI등재

        사격 조준시 뇌 활성화 프로파일 2: 엘리트 장애인 사격선수 분석

        우민정 ( Min Jung Woo ),이건영 ( Gun Young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2 체육과학연구 Vol.23 No.3

        고도의 주의집중력이 요구되는 사격종목의 수행력을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는 조준시 신경효율성이며, 이상적인 뇌 활성화 상태를 유도하는 뉴로피드백 훈련의 적용은 사격수행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척수손상에 의한 완전 혹은 불완전 하지마비를 가진 장애인 사격선수들은 척수손상 이후부터 중추신경계에 재생산(regeneration)과 재조직(reorganization) 현상에 의한 대뇌피질과 피질하 영역의 변화를 겪게 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엘리트 장애인 사격선수들의 사격 조준시 뇌활성화를 조사하여 비장애인과 구별되는 장애인들의 뇌활성화 패턴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장애인 사격 국가대표와 상비군 선수들이었으며, 실험과제는 10m 공기권총 사격이었고, 한 피험자 당 총 격발수는 20발이었다. 사격 격발 전 5초간 뇌 활성화를 조사한 결과, 조준 시 전두엽, 중심열구, 측두엽, 후두엽 영역에서 시각-공간 과제수행과 관련된 우측 반구가 좌측 반구보다 스펙트럴 파워값이 높았고, 특히 다른 어떤 영역보다 우측두엽(T4)의 파워값이 높았다. 반구차이지표 분석에 의하면, 측두엽의 좌우뇌 차이지표 값이 다른 영역의 값보다 컸고, 두정엽의 값이 가장 낮았다. 흥미로운 것은 두정엽과 전두엽의 반구차이지표 값이 뇌 영역들 중에서 가장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사격점수와 강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장애인 사격선수들의 사격수행력의 결정요인은 고 주파수대역의 우 측두엽 뇌 활성화 강화와, 전두엽과 두정엽의 반구비대칭 증가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장애인 사격 선수 맞춤형 뉴로피드백 훈련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One of factors determining shooting performance is neural efficiency during aiming period. Thus, it is plausible that application of neurofeedback training to induce optimal state of brain improves performance. However, application of same program for non-disabled to disabled could be inappropriate since central nerve system (CNS) has been reported to be changed through reorganization and regeneration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brain activation during aiming period in disabled elite athlete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possession of disability. Participants were twelve disabled national and national representation standing air-pistol shooting athletes and were asked to conduct a total of twenty shots. Task was 10m air-pistol shooting. The analysis of spectral power during 5s-aiming period revealed that powers in right hemisphere related to visual-spatial processing were higher than those in left brain regions. The hemispheric asymmetry score was particularly strong at temporal region but was low at parietal area. Interestingly, asymmetry scores at parietal region showed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with shooting scores in spite of lower asymmetry scores relative to those in other brain regions. EEG pattern determining shooting performance in disabled athletes seems to be greater activation in a right temporal region and greater hemispheric asymmetry in frontal and parietal area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for development of the neurofeedback training program for disabled shooting athletes.

      • SCOPUSKCI등재

        원발성 전신형 Ki-1 ( CD30 ) 양성 대형세포 림프종 1 예

        우민정(Min Jung Woo),이성우(Sung Woo Lee),정현(Hyun Chung),김상원(Sang Won Kim),윤길숙(Ghil Suk Yoon) 대한피부과학회 2002 대한피부과학회지 Vol.40 No.5

        We report a case of Ki-J(CD30) positive large cell lymphoma which developed on the skin of the right inguinal area in an 8-year-old boy. The lesion was a 3.0×5.0㎝ sizde ulecrative tumor with elevated margin, rapidly growing during 2 week period and was associated with enlargement of the left ingutinal lymph nodes. Histopathologic feature showed anaplastie cells with abundant cytoplasm and multinueleated giant cells with wreath-like muelei in the dermis and subeutis. Immunohistoehimieally, tumor cells were CD30 positive. He was treated with ehemotheraty through RFM-NHI. protocol, with good response.

      • KCI등재

        스트레스 유발 처치에 따른 시공간과제 수행력과 뇌 활성화 변화

        우민정 ( Min Jung Woo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9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ess elicited by social evaluation, competition, and monetary reward on performance of visuo-motor task and neural efficiency. Participants were fifteen college age students whose mean age is 23. 5 years.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both non-stress condition(practice alone) and stress-eliciting treatment condition. During performing visuo-motor pointing task on both conditions, heart rate, electroencephalography(EEG), competitiveness and stress were measured. The performance score has been calculated by root mean square error(RMSE). To examine if stress-eliciting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s arousal compared to non-stress condition, paired-t test was employed on heart rate, competitiveness and stress. Separate 2 (conditions) * 2 (hemisphere) * 5 (brain regions) repeated measures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tress-eliciting treatment on brain activity. Dependent measures were delta, theta, alpha, beta, gamma powers. As the result, although heart rate in stress condi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ne in non-stress condition, performance was better in stress condition relative to non-stress condition. The result of EEG analysis revealed that activation in right hemisphere that is responsible for visual-spatial processing under stress condition was higher relative to non-stress con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non-stress and stress treatment condition was only observed in temporal region. The results imply that stress treatment eliciting moderate level of arousal appears to improve performance by increasing neural efficiency, which is characterized by greater activation in task-relevant brain areas. 본 연구의 목적은 1) 사회적 평가, 경쟁, 금전적 보상을 통한 스트레스 유발 처치가 시공간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2) 스트레스와 수행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신경효율성의 변화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평균나이 23.4세의 대학생 15명으로 구성되었다. 피험자들은 스트레스 유발 처치조건과 무처치조건에서 시각-모터 포인팅 과제를 수행하였고, 스트레스 유발 처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과제수행 시 각성측정의 지표인 심박수와 visual analogue scale(VAS)을 통해 경쟁심, 스트레스가 측정되었다. 또 스트레스 유발 처치가 수행력과 뇌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과제수행 정확성과 뇌파(EEG)가 분석되었다. 먼저 스트레스 유발처치가 유의한 각성의 증가를 유발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스트레스 유발조건과 무 조건간 심박수, 경쟁심, 스트레스 척도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 과제수행시 뇌파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조건(스트레스 유, 무), 뇌반구(좌, 우), 영역(전두, 중심, 두정, 측두, 후두엽)이 반복측정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종속변인은 델타, 세타, 알파, 베타, 감마파의 파워값이었다. 분석결과, 스트레스 무 처치조건과 비교해서 유발조건에서 심박수, 경쟁심,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과제수행정확성은 무 처치조건보다 스트레스 조건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EEG 분석결과 스트레스 유발조건에서 시공간 정보처리를 담당하는 우뇌의 활성화가 스트레스 무 처치조건보다 높게 나타났고, 특히 이러한 조건별 차이는 과제 관련 뇌 영역인 측두엽에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스트레스 유발 처치로 인한 과제 수행력 향상의 기전이 과제관련 뇌 영역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신경효율성의 증가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