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태생학적 연기설 재검토 : Mahānidāna경, Mahātaṇhāsaṅkhaya경을 중심으로

        우동필(Woo, DongPil) 불교학연구회 2020 불교학연구 Vol.63 No.-

        본 연구는 『니까야』(Nikāya)에서 [십이]연기(緣起, paṭiccasamuppāda)에 대한 태생학적 해석의 기원을 추적하여 그 대안적 이해를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비담마(Abhidhamma) 해석 이후 십이연기는 태생학적 발생을 설명하는 윤회 이론으로 간주되어 왔다. 비록 주요 논사들과 연구자들이 태생학적 연기설을 거부하고 있을지라도, Mahānidāna경의 ‘식(識, viññāṇa)이 모태(母胎, matukucchi)에 하강[下降, avakkanti]한다’는 표현이나 Mahātaṇhāsaṅkhaya경의 ‘부모(mātāpita), 간답바(gandhabba)의 3가지 조건으로부터 개체가 발생한다’는 설명은 분명하기 때문에, 태생학적 연기설은 수용하기도 거부하기도 어려운 문제로 전해졌다. 이 경전들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본 연구는 십이연기를 태생학적 발생에 관한 설명으로 일반화할 수 없는 맥락들을 발견한다. Mahānidāna경의 ‘식이 모태로 하강한다’는 설명은 색계・무색계에 들어선 수행자의 의식이 욕계로 돌아와 언어-인지 활동[名色]을 재개한 것에 관한 설명이다. 법(法, dhamma)에 대한 깊은 이해[意, manas]의 위치를 자궁(yoni)으로 표현한 것[如理作意, yoniso manasikāra]과 같이, 여기서 모태는 의식적 공간을 표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Mahātaṇhāsaṅkhaya경의 태생학적 설명은 식을 윤회의 주체로 잘못 이해한 사띠(sati) 비구를 대상으로 하여 그의 잘못된 생각에 대치한다. 십이연기에 부가된 태생학적 설명은 식의 생물학적 조건을 설명함으로써 식을 초월적 존재로 오해한 사띠의 생각을 치유하게 된다. 이 경전의 맥락들을 고려할 경우 십이연기는 태생학적 발생에 관한 것으로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내용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십이연기 이해는 태생학적 연기설의 시각을 벗어나 경전의 전체 교법과 각 경전들의 맥락을 고려하여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alternative understanding by tracing the origins of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of Twelve Nidānas (paṭiccasamuppāda) in Nikāyas. Since the interpretation from Abhidhamma, Twelve Nidānas has been regarded as a reincarnation theory that explains the embryologic process. Though major commentators and researchers have been rejecting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are regarded to be a difficult issue either to accept or reject because of the expressions such as consciousness [viññāṇa] descends into the mother’s womb in Mahānidāna-sutta and the infant was born from an union of three conditions that are the mother and father and the spirit-being (gandhabba) in Mahātaṇhāsaṅkhaya-sutta.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context beyond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The former expression is to be an explanation that consciousness resumes activities of the language-recognition and comes back from Form·Formless Realm (rūpa·ārūpadhātu) to Desire Realm (kāmadhātu) among ‘Three Realms’ (Tayodhātavo). Here the mother’s womb can be understood as a conscious space such as the womb (yoni) expresses the space of a deep understanding (manas) of the law (dhamma). The latter is to be an explanation in context that the consciousness should be understood under human conditions targeting the thought of Sati who misinterpreted it as the subject of reincarnation. In this sutta, embryologic description is added after the explanations of Twelve Nidānas, to correct Sati s idea of regarding it as transcendental being. Considering these contexts, it can be seen that the Twelve Nidānas are difficult to be generalized with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s. Therefore, this study claims that Twelve Nidānas should be approached by considering the whole teaching and the context of each scripture beyond the embryologic interpretation which is only a later work.

      • KCI우수등재

        역관(逆觀)의 십이연기 : 십이연기와 중도의 관계

        우동필(Woo, Dong-pil) 불교학연구회 2015 불교학연구 Vol.44 No.-

        십이연기 (十二緣起) 와 중도 (中道) 는 초기불교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교법이다 . 중도는 모순 대립된 사상들에 다가가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 십이연기는 중도에 의해 발견되는 것으로서 ‘ 있는 그대로 ’ 의 실상 (實相) 을 설명한다 . 십이연기에 대한 해석 은 크게 삼세양중인과설 (三世兩重因果說) 과 상관상의설 (相關相依說) 을 들 수 있다 . 삼세양중인과설은 순관 (順觀, anuloma) 의 흐름에서 십이연기가 윤회를 설명한다고 말 한다 . 상관상의설은 쌍방향에서 십이연기가 사물과 사물의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설명한다고 말한다 . 하지만 양자의 해석은 십이연기와 중도가 어떻게 함께 기능하 고 있는가를 설명하지 않았다 . 본문은 그 이유가 역관 (逆觀, paṭiloma) 의 방향에서 십이연기의 의미가 탐구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본다 . 본래의 역관은 ‘ 무엇이 있을 때 노사 (老死) 가 있을까 ’ 처럼 사유하며 , 노사에서 출발하여 노사의 조건성을 탐구하는 의식의 흐름이다 . 역관의 사유는 노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 무 (有 ․ 無), 일․ 이 (一 ․ 異),고 ․ 락 (苦 ․ 樂), 자작 ․ 타작 (自作 ․ 他作), 상 ․ 단 (常 ․ 斷) 의 사상들을 고찰한다 . 그 흐름 속에서 중도는 모순 ․ 대립된 사상을 넘어 실상에 도달한다 . 즉 역관의 방향에서 십 이연기와 중도의 관계는 ‘ 유 (有), 생 (生), 노사 ’ 의 한계를 유 ․ 무중도로 , ‘ 갈애 (渴愛),취 (取)’ 의 한계를 일 ․ 이중도로 , ‘ 수 (受)’ 의 한계를 고 ․ 락중도로 , ‘ 식 (識), 명색 (名色),육처 (六處), 촉 (觸)’ 의 한계를 자작 ․ 타작중도로 , ‘ 무명 (無明), 행 (行)’ 의 한계를 상 ․ 단 중도로 극복하는 것을 통해 연결된다 . 따라서 본문의 관점에서 십이연기는 존재 , 일 이 (一異), 가치 , 인식 , 진리의 문제에 관한 철학적 해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 . ‘Majjhena( 中 ) or majjhimā paṭipadā( 中道 )’ and paṭiccasamuppāda( 緣起 ) are the most critical teachings of Buddha in the early Buddhism. Majjhena heads into a genuine view, getting over the conflicting claims, so that paṭiccasamuppāda, the result drawn by majjhimā paṭipadā( 中道 ), makes us know the phenomena of yathābhūtaṃ( 如實 ). The previous studies, however, have not clarified how they work together. They only interpret paṭiccasamuppāda as accounting of saṃsāra( 輪 回 ) in context of anuloma( 順觀 ) or else explain it as an inter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two things in interactive position. I have analyzed that existing studies lay a misleading assumption which covers up the direction of paṭiloma( 逆觀 ). The flow of paṭiloma begins with jarāmaraṇa( 老死 ), and moves to seek for the condition of jarāmaraṇa, thinking like “With what being present, does ageing-and-death occur?” ‘Paṭiccasamuppāda of paṭiloma’ contacts with views to carry bhava ․ abhava( 有 ․無 ), ekatta ․ puthutta( 一 ․ 異 ), dukkha ․ sukha( 苦 ․ 樂 ), sayaṃkata ․ paraṃkata( 自作 ․他作 ), sassata ․ uccheda( 常 ․ 斷 ) over and majjhena leads us into a true observation beyond such conflicting views. That is, in the direction of paṭiloma, the limits of ‘bhava( 有 ), jāti( 生 ), and jarāmaraṇa’( 老死 ) are overcome by ‘majjhena of bhava ․ abhava;’ the limits of ‘taṇhā( 渴愛 ) and upādāna( 取 )’ are overcome by ‘majjhena of ekatta ․ puthutta,’ the limits of ‘vedanā’( 受 ) are overcome by ‘majjhena of sukha ․ dukkha,’ the limits of ‘viññāṇa( 識 ), nāmarūpa( 名色 ), saḷāyatana( 六處 ), and phassa ( 觸 )’ are overcome by ‘majjhena of sayaṃkata ․ paraṃkata,’ and the limits of ‘avijjā( 無明 ) and saṅkhāra( 行 )’ are overcome by ‘majjhena of sassata ․ uccheda’. This paper, therefore, will show ‘paṭiccasamuppāda of paṭiloma’ to be the philosophical explanation, which is involved in being, mind and body, value, and the recognition of truth in terms of majjhena.

      • KCI등재

        십이연기에서 오온

        우동필(Dong Pil Woo)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3

        십이연기(十二緣起)에 대한 기존의 해석들은 대체로 오온(五蘊)을 ‘생물학적 인간’으로 보는 관점에서 십이연기를 해석하고 있다. 삼세양중인과설(三世兩重因果說)은 십이연기를 ‘생물학적 인간’이 과거, 현재, 미래로 윤회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간주한다. 삼세양중인과설은 사유설(四有說)과 태내오위설(胎內五位說)과 함께 태생학적 연기설(胎生學的緣起說)의 관점을 형성한다. 한편 무시간적 연기설(無時間的緣起說)은 삼세양중인과설과 태생학적 연기설의 ‘시간의 관점’과 ‘태생의 관점’을 비판한다. 무시간적 연기설은 이들의 관점을 따라 십이연기를 해석하면, 무명의 멸이 오온의 멸이 되어 열반을 ‘생물학적 인간의 멸’로 간주해야 하기 때문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본 것이다. 따라서 무시간적 연기설은 ‘논리의 관점’에서 12지지를 상관적(相關的)·상의적(相依的) 관계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본 연구는 ‘시간의 관점’, ‘태생의 관점’에 대한 무시간적 연기설의 비판을 수용할 수 있지만, 무시간적 연기설이 주장한 12지지의 상관적·상의적 관계는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다. 왜냐하면 12지지의 관계는 원인과 결과라는 단일한 흐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관적·상의적 관계의 입장에 의해서는 12지지의 단일한 흐름과 배열을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기존의 해석을 넘어 제 3의 관점을 제안한다. 제 3의 관점은 십이연기를 오온과 오취온의 구조로 살펴보는 것이다. 여기서 오온은 분위연기설(分位緣起說)의 오온이 아니다. 분위연기설은 오온을 ‘생물학적 인간’으로 간주하여 12지지를 모두 오온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오온이 ‘생물학적 인간’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색계(色界)와 무색계(無色界)’에 해당하는 상태를 가리킨다고 본다. 오온을 ‘색계와 무색계’로 보는 주장은 본 논문에서 ‘무명에서 수’의 구조가 오취온의 맥락에서 오온의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중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분위연기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십이연기에 감춰진 오온의 구조를 도출하여, 십이연기를 오온과 오취온의 구조로 해석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안한다. The existing interpretations on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regarded ``The Five Aggregates`` as biological human beings. According to them, ‘The Theory of Double Causality on Three Periods`` explains how biological human beings transmigrate after the cycle of rebirth in terms of time. Today, it is not agreed on that point, because ``destroy of avijja`` becomes ``destroy of biological human beings`` in this standpoint. It seems acceptable though, ``correlation and codependence`` in the view to the exclusion of time in some degree. Still, a problem remains with ``correlation and co-dependence`` for they are inadequate to explain the only direction of ``cause and result`` of ``Twelve Links``. they can not account for the sequence of ``Twelve Links`` in sutta.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new paradigm for understanding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considering ``the five aggregates`` as beings in `` rupadhatu`` and `` arupadhatu``, not as ‘biological human beings``. Here, it would be suggested that ``from avijja to Jaramarana`` corresponds to ``the clinging to the five aggregates`` and ``from avijja to vedana`` corresponds to ``the five aggregates``. This study will arrive at a conclusion that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s made up with ``the five aggregates` and ``the clinging to the five aggregates``.

      • KCI우수등재

        『니까야』로 본 『중론』의 십이연기

        우동필(Woo Dong pil) 불교학연구회 2016 불교학연구 Vol.49 No.-

        본 연구의 목적은 『니까야』(Nikāya)를 통해 「관십이인연품」(觀十二因緣品)을 읽으며 『중론』의 연기(緣起, pratītysamutpāda)로서 「관십이인연품」을 재조명하는 것이다. 용수는 불교 내·외부의 실체론을 비판하고 연기의 본의를 회복하고자 한다. 귀경게(歸敬偈)의 팔불, 연기, 귀경의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중론』은 1장부터 25장까지가 팔불의 적용이고, 26장이 십이연기이며, 27장이 붓다에 대한 귀경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볼 때 『중론』의 연기가 「관십이인연품」의 십이연기라는 것은 당연해 보인다. 하지만 아비달마 이후 십이연기는 삼세양중인과설(三世兩重因果說)로 간주되어 왔고 『중론』은 아비달마 법이론을 비판하고 있기 때문에, 연기를 회복하고자 한 『중론』의 본의가 삼세양중인과설처럼 보이는 「관십이인연품」에 있다고 간주하기는 어려웠다. 그로 인해 주요 연구자들은 「관십이인연품」을 배제하고 다른 장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중론』의 연기를 상의성(相依性)연기 혹은 팔불(八不)연기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상의성연기에서 주장한 주요 근거는 약화되었고 팔불연기에서 팔불과 연기를 동일하게 간주한 해석은 반론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니까야』를 통해 「관십이인연품」을 검토하며 이 품의 십이연기가 삼세양중인과설과 전혀 다른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발견한다. 「관십이인연품」에는 일반적인 십이연기의 설명에 식(食, āhāra)의 내용을 중첩시키고 있다. 식(食)은 내입처(內入處), 외입처(外入處)을 연한 식(識)을 조직[āhāra]하여 명색(名色)이 식(識)의 조건이 되는 구조에 관여한다. 이 경우 「관십이인연품」의 십이연기는 스스로의 인식 구성물을 갈애·취착의 조건으로 존재화하며 그 취착된 존재화의 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중생 의식을 해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론』의 연기가 삼세양중인과설과 다른 층위에 있는 「관십이인연품」의 십이연기라고 주장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Examination of the Twelve Causal Factors (Dvādasāṅgaparīkṣā, 觀十二因緣品) through ‘conditioned co-arising’ (pratītysamutpāda, 緣起)’ of Nāgārjuna’s The Root Stanzas of the Middle Way’ (Mulamadhyamakakārikā: MMK, 中頌) in light of the context in Nikāyas. Nāgārjuna tried to restore what the Buddha really said about conditioned co-arising, criticizing all the substantialism inside and outside of Buddhism. MMK consists of; Chapters 1 through 25 as an application of eight negations (八不), Chapter 26 as twelve-links of conditioned co-arising, and Chapter 27 as reverence for Buddha (歸敬). Since Abhidharms, the theory of the 12 links of conditioned co-arising has been identified with the theory of double causality on three periods (三世兩重因果說),’ and because Nāgārjuna negates Abidamma, the 12 links of conditioned co-arising in Chapter 26 has been understood with either the theory of mutual dependent co-arising (相依性 緣起)’ or the theory of conditioned co-arising as eight negations (八不緣起).’ However, if Chapter 26 would be read in terms of the context of Mahāhatthipadopamasutta, Atthirāgasutta, etc, we could discover that the parts of consciousness (vijñāna)’ and name form (nāmarūpa)’ were overlaid with the part of self-organization (āhāra, 食). In this case, it explains not double causality on three periods, but the structure of selfconsciousness in which the self is grasping existence based on a self-recognition. Thus this study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ultimate of MMK is the examination of the twelve causal factors in Chapter 26.

      • KCI우수등재

        염(念, sati)과 견(見, diṭṭhi) : 지·관(止·觀, samatha·vipassanā) 구분의 기준에 대하여

        우동필(Woo, DongPil) 불교학연구회 2019 불교학연구 Vol.61 No.-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justify that it is not in mindfulness (念, sati) but in view (見, diṭṭhi) what distinguishes the difference between Calm (止, samatha) and Insight (觀, vipassanā). Korean scholars have studied on both samatha-vipassanā enthusiastically to try to understand their complex coherence since 2000. Cho Joon-Ho proposes the view of ‘the sequential cultivation’ (止觀次第) which ascend from samatha to vipassanā, regarding the concentration-meditation (禪, jhāna) and ‘the establishment of mindfulness’ (念處, satipaṭṭhāna) as samatha and vipassanā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Lim Seung-Taek suggests the view of ‘the simultaneous cultivation’ that samatha and vipassanā would be cultivated simultaneously or arbitrarily based on Yuganaddhasutta, Paṭisambhidāmagga. Kim Jae-sung introduces pure-insight (suddha-vipassanā) without samatha. In this process, sati was accepted as the criteria that could classify samatha-vipassanā. But despite their clear claims, there remains the difficult crux of sati that appears at 3rd and 4th material concentrations in samatha while at every level in vipassanā. This study looks for a clue in which the mundane world (世間, loka) and supermundane (出世間, lokuttara) diverge according to the right view (正見, sammadiṭṭhi). Whether the right view is present or not could become a criteria for distinguishing between samatha and vipassanā, because samatha belongs to loka while vipassanā to lokuttara. As a result of research, this study proposes to differentiate between samatha and vipassanā by virtue of whether the right view is present or not. 본 연구의 목표는 ‘지·관(止·觀, samatha·vipassanā) 논쟁’에 나타난 염(念, sati)의 지위를 검토하여 지·관을 구분하는 권한이 염보다 견(見, diṭṭhi)에 있음을 정당화하는 것이다. 2000년 이후 한국불교에서는 초기불교의 지·관에 관한 연구들이 심도 깊게 진행되었다. 조준호는 지·관쌍수(雙修) 이해에 문제를 제기하고 색계4선(禪, jhāna), 4념처(念處, satipaṭṭhāna)를 각각 지, 관으로 배치하여 지로부터 관으로 향하는 지·관차제(次第)설을 제안한다. 임승택은 Yuganaddha경, Paṭisambhidāmagga의 설명을 근거로 지·관은 선후로도 동시적으로 가능하다는 지·관균등설을 제시한다. 김재성은 지를 배제한 상태에서 관을 닦는 순관(乾觀, suddha-vipassanā) 수행을 소개한다. 이 과정에서 염은 지·관의 구분, 차제·균등(均等)의 발현 양태를 좌우하는 기준으로 수용되었다. 그러나 이 선명한 주장들에도 불구하고 염은 지의 3선, 4선에서 나타나고 관의 초선부터 비상비비상처까지 나타나기 때문에, 지·관의 영역, 양자 모두에 나타나면서도 각각 다른 영역에서 발생하는 염이 어떻게 지·관을 구분하는지에 대한 의문은 해소되지 않아 왔다. 본 연구는 정견(正見, sammādiṭṭhi)의 여부에 의해 구분되는 세간(世間, loka)·출세간(出世間, lokuttara)의 구분에서 그 실마리를 찾는다. 지는 세간인 색계, 무색계에서 이루어지고 관은 출세간에서 이루어지며 세간·출세간은 정견의 유·무로 구분되기 때문에, 정견의 여부는 지·관을 구분하는 기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관을 구분하는 기준이 염이 아니라 정견의 여부에 있다는 새로운 이해를 제안한다.

      • KCI등재

        『MN 9경』과 『중아함 29경』에 나타난 무명과 누의 해석 문제

        우동필 ( Dong Pil Woo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4 禪文化硏究 Vol.16 No.-

        『정견경(正見經)』 (Sammaditthisuttam, 이하 『MN 9경』)과 『대구치라경(大拘□羅經)』, (이하 『중아함 29경』)은 모두 정견(正見, sammaditthi)을 통해 정법(正法, saddhamma)에 도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두 경은 내용과 배열이 거의 같으며, 모두 사성제의 형식을 통해 십이연기(十二緣起)의 법(法)을 설명한다. 하지만 두경은 무명(無明, avijja)과 누(漏, asava)의 부분에서 각각 서로 다른 배열과 설명을 갖는다. 『MN 9경』은 무명의 부분에서 무명의 집성제(集聖諦)를 “누의 집기 때문에 무명이 집기한다(Asavasamudaya avijjasamudayo).”고 설명하고 다음에 오는 누의 부분에서 누의 집성제를 “무명의 집기 때문에 누가 집기한다(Avijjasamudaya asavasamudayo).”고 설명한다. 그에 반해 『중아함 29경』은 무명의 부분에서 ‘무명이명(明, vijja)으로 전환’되는 설명만을 한다. 『중아함 29경』에서 누는 고(苦)와 노사 (老死) 앞에 위치하고 누의 집성제는 “무명의 집기 때문에 누가 집기한다”고 설명된다. 『MN 9경』의 설명에 따르면, 누는 무명 이전 혹은 무명과 동일한 위치에서 상호 인과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중아함 29경』의 설명에 따를 경우, 누는 무명으로 인한 한 방향의 결과로만 이해된다. 무명과 누의 상호적인 관계에 대한 설명은 오직 『MN 9경』에서만 나타나고, 니까야에서 대부분의 설명들이 『중아함 29경』처럼 ‘무명이 명으로 전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MN 9경』 과 『중아함 29경』의 불일치는 어려운 문제이다. 본문은 이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 붓다의 대기설법(對機說法, upayakusala)의 관점을 고려한 방법론을 제안한다. 대기 설법은 설법과 대기의 관점으로 생각될 수 있다. 먼저 설법의 관점에서 “누의 집기 때문에 무명이 집기한다.”는 설명은 수행의 측면에서 육근(六根, chaindriya)을 수호(守護, samvara)하지 못했을 때 누가 유출(流出)되는 것을 가리킨다. 여기서 누는 『MN 148경』, 『MN 44경』의 설명을 참고할 때, 수(受)의 불고·불락(不苦·不樂)에서 무명을 집기 하게 한다. 또한 “무명의 집기 때문에 누가 집기한다”는 설명은 「십이연기의 오온」 에서 ‘무명부터 수’를 오취온(五取蘊)의 맥락에 위치한 오온(五蘊)의 구조로 주장한 것을 고려해 볼 때, 무명으로 인하여 애(愛, tanha)의 위치에서 누가 집기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누의 위치가 이와 같이 되었을 때, 대기의 관점에서 누의 의미는 붓다가 자이나교에서 누의 개념, 즉 ‘물질의 영역으로부터 영혼의 영역으로의 흐름’인 유입(流入, Skt. asrava)의 개념을, 육근을 수호하지 못했을 때 오취온의 의식상태가 되어 외부의 대상에 대해 유출되는 의식의 흐름으로 바꾸어 설명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본문의 해석이 지닌 의미는 서로 대립된 삼세양중인과설과 무시간적 연기설이 설명하는 무명과 누의 관계에 대한 해석이 아닌 대안적 해석을 보여주는 데있다. MN 9(Majjhima - nikaya 9 suttam, Sammaditthisuttam) and 中阿含經 29(『大拘□羅經』) have not only same subect but also thematic development about `Dependent Origination`(paticcasamuppada). There is no discrimination in descriptions about `from avijja to jaramarana` of Dependent Origination through Four Noble Truths(cattari ariyasaccani) at both of them. But it appears that descriptions and arrangement of avijja and asava is dissimilar each other. In MN 9, Avijjasamudaya is expounded through the ablative case of asavasamudaya and a passage of asava is located after a passage of avijja and then asavasamudaya is expounded through the ablative case of avijjasamudaya. In comparison, In 中阿含經 29, There is no description about avijjasamudaya because avijja is switched with vijja and then a passage of asava is located before a part of dukkha, jaramarana. If we accept a explanation of MN 9, an relation of avijja and asava can be approved by the interaction causal relationship. On the contrary to this, if we accept a explanation of 中阿含經 29, asava can be approved by the result that is generated by avijja in a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 First and most importantly, the interpretaion which is approved by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 of avijja and asava has not only logical fallacies but also an inconsistency with `the essential strucuture of the dhamma as a whole`. Because it is full of contradictions namely `Begging the question`(latin: circulus in probando) if avijja and asava are same in the identical view. Considering the Buddha said that if one doesn`t control six sense, avjja hiddens and appears later at neutral feeling, asava not only has no indentity with avjja but also is located at another position. So this study will make an attempt the possibility to resolve the inconsistency of both of them in the light of a methodology of Skill in means(對機說法, upayakusala) being able to deal with new position of asava.

      • KCI등재

        십이연기 존재 설명 - 하이데거의 존재 비평과 함께 -

        우동필 ( Woo Dong-pil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1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6

        본 연구의 목표는 전기 하이데거(M. Heidegger)의 존재 비평과 함께 십이연기(十二緣起, paṭiccasamuppāda)에 나타난 존재(有, bhava) 설명의 의미를 조명하는 것이다. 하이데거는 전통 형이상학과 실재성(realität)에 기반을 둔 관점을 문제로 삼고 현존재(Dasein)의 실존론적(existenzial) 존재론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하이데거에 의하면 전통 형이상학은 ‘눈앞에 존재’ (Vorhandenheit)를 통해 존재의 특성을 영속적 현전성(ständige Anwesen-heit)으로 파악하고, 그 실재론적 관점을 통해 존재 일반을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하이데거에 있어 존재물음(Seinsfrage)의 대상은 ‘눈앞에 존재’가 아니라 자신의 존재를 문제 삼아 그 의미를 발견하는 ‘세계-내-존재’(In-der-Welt-sein)로서의 현존재이다. 하이데거는 형이상학의 한계를 드러내는 것에 더 나아가 어떤 구조에서 실재론적 관점이 나타나는지를 해명하는 전략을 선택한다. 그에 의하면 ‘세계-내-존재’인 현존재는 ‘도구성’(Zuhandenheit)의 관계로부터 ‘눈앞에 존재’인 존재자들에 몰입하고 그 몰입된 관점으로부터 다시 자신과 세계를 파악하기 때문에 실재론적 관점에 예속된다. 실재성의 유래에 대한 하이데거의 설명은 십이연기의 존재 설명을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십이연기에서 존재는 ‘취(取, upādāna)를 연하여 존재가 있다’는 방식에서 설명된다. 취는 경험으로서의 오온(五蘊, pañcakkhanda)과 그것을 욕탐을 통해 실재화한 오취온(五取蘊)을 매개하는 법칙이다. 본 연구에 의하면 십이 연기는 ‘오온-취-오취온’의 구조를 가지며 이는 하이데거의 ‘세계-내-존재’와 유사한 구조를 지닌다. 왜냐하면 오온·오취온의 전개에 기반이 되는 식(識, viññāṇa)은 지향성의 계기들[十二入處]로부터 나타나 느낌(受), 인식(想, 혹은 생각)의 내용을 알며 언어적으로 활동하는 데, 이 개념이 하이데거가 말한 ‘세계-내-존재’의 기반으로서 개시성(開示性, Erschlossenheit)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세계-내-존재’에서 ‘도구성’으로부터 실재론적 관점이 형성되는 것과 같이 ‘오온-취-오취온’의 십이연기에서 ‘취착된 유’는 행(行, saṅkhāra)의 조작과 함께 식(食, āhāra), 갈애(渴愛, taṇhā)의 조건이 있을 때 다시 유(再有, puna bbhava)로 이어져 실재론적 관점을 지속한다. 따라서 하이데거의 존재 비평의 유사성으로부터 십이연기의 존재 설명은 실재론적 관점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실재론적 관점이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관한 해명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meaning of the ontological descriptions shown in the conditioned co-arising(paticicasamuppāda) along with the critique of the existence of the early Heidegger. Heidegger takes the perspective based on the traditional metaphysics and reality as a problem and presents the existential existentialism of Dasein as an alternative. According to Heidegger, traditional metaphysics is limited because it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existence through ‘presence-at-hand’(Vorhandenheit) as ‘perpetual presence’(ständige Anwesenheit) and does not explain the general existence through its practical perspective. For Heidegger, the object of ‘the question of being’ is not ‘presence-at-hand’, but ‘Being-in-the-world’ (in-der-Welt-sin), in which one discovers its meaning by taking issue with one's being. Heidegger goes further to revealing the limitations of metaphysics and chooses a strategy to explain in which structure its perspective based on reality emerges. According to Heidegger, its perspective based on reality arises because existing beings, ‘Being-in-the-world,’ immerse themselves in the presence of 'in front of them' from the relationship of ‘ready-to-hand’(Zuhandenheit) and grasp themselves and the world again from that immersed perspective. Heidegger's explanation of the origin of realism provides clues to understand the explanation of the being in Twelve Links. In Twelve Links, an explanation of being is described in the way that ‘being(bhava) is depended on the cling’(upādāna). the cling is a law that mediates between ‘the five aggregate’ as an experience and ‘the five clings to aggregate’ that take its perspective based on reality through greed. In this study, a consciousness appear from the elements of intentionality and know the content of feeling, perception, or thought, and are linguistically active. This Because there is a similarity between consciousness which underlay ‘the five aggregate’ and ‘World disclosure’(German: Erschlossenheit) which underlay ‘Being-in-the-world’, ‘the five aggregate’-‘the clings’-‘the five clings to aggregate’ has a similar structure to Heidegger's ‘Being-in-the-world’. In Twelve Links emboded by ‘the five aggregate’-‘the clings’-‘the five clings to aggregate’, the clinged being is connected by its being as an acting of formations while there are feedings or longings, and then take the structure and the perspective which sustains a being. The explanation of the being in Twelve Links through the similarity of ‘instrumentality’ (Zuhandenheit) of Heidegger's can be interpreted not by a realistic description, but rather as an explanation for how its perspective deriving from realism arises from depending on the cling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