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IgA 신증의 예후인자로서 선택적 단백뇨지수의 의의

        구영석(Young Suck Goo),강이화(Ea Wha Kang),이상철(Sang Cheol Lee),한승혁(Seung Hyeok Han),경희두(Hee Doo Kyung),정재헌(Jae Hun Jung),윤수영(Soo Young Yoon),최소래(So Rae Choi),노현정(Hyun Jung Roh),박형천(Hyeong Cheon Park),강신욱(Sh 대한신장학회 2001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0 No.5

        목 적 : 선택적 단백뇨지수(selective proteinuria index , SPI)는 신증후군 환자의 조직학적 변화 및 스테로이드 치료에 대한 반응을 알 수 있는 예후인자로 알려져 있다. 단백뇨를 보이는 IgA 신증 환자에서 사구체 기저막의 음전하 소실이 나타나고, 신기능이 저하된 IgA 신증 환자에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가 비선택적 공(pore)의 반경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선택적 단백뇨지수의 개념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신증후군 환자에서 선택적 단백뇨지수가 사구체 손상 뿐만 아니라 세뇨관간질의 손상 정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IgA 신증의 예후가 사구체경화와 세뇨관간질의 손상 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IgA 신증 환자에서 선택적 단백뇨지수가 사구체와 세뇨관간질의 손상 정도를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본 연구는 IgA 신증에서 선택적 단백뇨지수와 다른 예후인자들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선택적 단백뇨지수가 예후인자로서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0년 1월부터 2000년 1월까지 연세의료원에 내원하여 신장 조직 검사로 IgA 신증을 진단 받은 환자들 중 진단 당시에 신기능이 정상이었으며, 24시간 소변검사와 선택적 단백뇨지수를 측정한 81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들을 선택적 단백뇨지수 정도에 따라 고선택성(SPI≤0.1, n =6), 중등도 선택성(0.1< SPI≤0.2, n =33), 비선택성(SPI> 0.2, n =42)군으로 나누어 임상 소견과 신부전의 발생 차이를 비교하였다. Kaplan - Meier 생존곡선을 이용하여 예후인자에 따른 신부전의 발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혈청 크레아티닌이 1.5 mg/ dL 이상이고 진단 당시보다 혈청 크레아티닌이 2배 이상 증가한 경우를 신부전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IgA 신증에서 신증후군을 보인 28명을 대상으로 선택적 단백뇨지수에 따른 스테로이드나 세포 독성 약물 치료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결 과 : 1) 선택적 단백뇨지수에 따라 분류한 세군에서 24시간 단백뇨(0.52±0.35, 1.85±1.55, 2.79±2.51 g/ day, p<0.05), 고혈압(0, 4, 11명, p< 0.05), Haas 분류법(Ⅰ+Ⅱ : 5명, 21명, 6명, Ⅲ : 1명, 9명, 13명, Ⅳ+Ⅴ : 0명, 3명, 23명, 각각 고선택성, 중등도 선택성, 비선택성, p=0.01)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연령, 성별, 추적관찰 기간, 혈뇨, 24시간 크레아티닌 청소율, 혈청 크레아티닌은 세군간에 통계학적인 차이가 없었다. 2) Cox의 비례위험 회귀모형으로 분석하였을 경우, 신부전으로의 진행은 혈청 크레아티닌 (Exp (B)=4.2, p<0.001), 24시간 크레아티닌 청소율(Exp (B)=2.1, p<0.05), 선택적 단백뇨지수 (Exp (B)=1.7, p<0.05), 고혈압(Exp (B)=1.6, p<0.05)과 연관이 있었다. 3) IgA 신증에서 신증후군 소견을 보인 환자는 28명으로 고선택성 단백뇨군에서는 신증후군의 발생이 없었다. 약물 치료 결과는 중등도 선택성 단백뇨군에서 신증후군 양상을 보인 9명 중 N/A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실험적 당뇨 흰쥐에서 사구체의 크기에 따른 유전자 발현의 차이

        곽승재 ( Seung Jae Kwak ),정동섭 ( Dong Sub Jung ),김진주 ( Jin Ju Kim ),이금희 ( Jin Ji Li ),한승혁 ( Seung Hyeok Han ),이태희 ( Tae Hee Lee ),김동기 ( Dong Ki Kim ),이정은,문성진 ( Sung Jin Moon ),한대석 ( Dae Suk Han ),강신욱 ( Sh 대한신장학회 2007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6 No.2

        목적: 최근 발달한 microarray를 이용하여 실험적 당뇨 병성 신병증 모델에서 신장 전체를 이용한 유전자 발현의 차이를 규명한 연구는 있었으나 당뇨 사구체만을 이용한 연구는 거의 없었으며, 더욱이 비후된 사구체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저자는 실험적 당뇨 흰쥐로부터 분리한 사구체를 이용하여 microarray를 시행하여 초기 당뇨병성 신병증에서 사구체와 관련된 유전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흰쥐의 복강 내에 streptozotocin (65 mg/kg)을 주사하여 당뇨를 유발시켰으며, 당뇨 유발 6주와 12주 후에 당뇨군과 대조군 각 10마리씩을 희생시켰다. 희생시킨 흰쥐에서 sieving technique을 이용해 사구체를 분리하였으며, 사구체의 크기에 따라 125 m 체공의 체에 걸린 사구체를 큰 사구체, 75 m 체공의 체에 걸린 사구체는 작은 사구체로 분류하였다. 사구체로부터 RNA를 추출한 후 Rat cDNA 5K chip을 이용한 microarray를 수행하였으며, 유의한 유전자는 significant analysis of microarray (SAM)을 이용하여 선별하였다. 결과: Microarray 실험을 통한 전체 유전자의 발현 패턴을 hierarchical clustering을 수행하여 관찰한 결과, 실험 6주 후에는 작은 당뇨 사구체와 대조군 사구체의 유전자 발현 양상이 유사하였던 반면에, 큰 당뇨 사구체와 작은 당뇨 사구체의 유전자 발현 양상은 서로 상이하였다. 이와 반대로, 12주 후에는 큰 당뇨 사구체와 작은 당뇨 사구체의 유전자 발현 양상이 유사하였던 반면에, 대조군 사구체와 당뇨군 사구체의 유전자 발현 양상이 서로 상이하였다. 6주 당뇨 흰쥐 에서 분리한 큰 당뇨 사구체와 작은 당뇨 사구체 사이에 발현 차이를 보인 유전자 중 큰 사구체에서 유전자 발현이 1.5배 이상 증가된 유전자는 149개이었으며, 발현이 감소된 유전자는 58개이었다. 12주 당뇨 흰쥐의 경우, 105개의 유전자 중 큰 당뇨 사구체에서 유전자 발현이 1.4배 이상 증가된 유전자는 26개, 발현이 감소된 유전자는 11개이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실험적 당뇨 흰쥐에서 분리한 사구체의 크기에 따라 유전자 발현에 차이가 있으며, 당뇨병 유병 기간에 따라 크기에 따른 유전자 발현의 차이가 변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Although a few gene-profiling studies with whole renal tissue have been described in experimental diabetic nephropathy, there is only one microarray study using diabetic glomeruli. Furthermore, hypertrophic glomeruli have not been explo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gene expression profiles of hypertrophic glomeruli in early diabetic nephropathy. Methods: Forty-male Sprague-Dawley rats were injected with diluent (N=20) or streptozotocin intraperitoneally (DM, N=20) and were sacrificed at 6- and 12-week. Glomeruli were isolated by sieving technique. Glomeruli from 125 and 75 m sieves were classified into large (hypertrophic, DM-LG) and small glomeruli (DM-SG), respectively. After RNA extraction, hybridization was performed on the Rat cDNA 5K chip in triplicate, and slides were analyzed. The significant genes were selected using significant analysis of microarray. Results: At 6-week, hierarchical clustering revealed that gene expression profiles of DM-LG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DM-SG, whereas DM-SG and C glomeruli showed similar gene expression pattern. In contrast, gene expression profiles at 12-week were similar between DM-LG and DM-SG, whereas C glomeruli showed different gene expression pattern from DM glomeruli. At 6-week, a total of 207 genes showed greater than 1.5-fold differential expression. 149 genes were upregulated, whereas 58 were downregulated in DM-LG. On the other hand,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greater than 1.4-fold was observed in 37 genes at 12-week, upregulated in 26 and downregulated in 11.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ene expression profiles of DM-LG are different from DM-SG, and the gene expression patterns change with the progression of diabetic nephropat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