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릿대 잎 추출물과 밥을 이용한 햄버거 패티의 품질 특성

        오현경,임현숙,Oh, Hyun-Kyung,Lim, Hyeon-Sook 한국축산식품학회 2010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0 No.5

        본 연구에서는 패티 재료의 육류 일부를 SBE 또는 SBE-밥으로 대체하여 건강지향적인 기능성 패티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제품 패티 3종을 제작하여 이들의 품질 특성과 관능성 및 기호도를 전형적인 표준 패티(Control)와 비교 평가하였다. 시제품 패티는 SBE로 육류의 2.5%를 대체한 것(S)과 SBE-밥으로 육류의 25%(SI) 또는 50%를 대체한 것(SII)이었다. Control 패티에 비해 S, SI 및 SII 패티 모두 수분 함량은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탄수화물과 조회분 및 Na 함량은 높았고 반면에 지방과 콜레스테롤 및 단백질 함량은 낮았다. 회분과 Na 함량의 증가는 특히 S 패티에서 컸고, 탄수화물의 증가와 지방, 콜레스테롤 및 단백질 함량의 저하는 SI과 SII 패티에서 상당했다. 가열 감소율은 중량, 직경 및 두께 모두에 네 패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는 바, S 패티는 Control 패티에 비해 직경 감소율이 낮았고, SI 패티는 중량과 직경 감소율이 낮았으며, SII 패티는 중량과 직경 감소율이 낮은 반면에 두께 감소율은 컸다. 색도는 S, SI 및 SII 패티 모두 Control 패티에 비해 명도(L)는 낮았으나, 황색도(b)가 높았으며, S 패티의 경우는 적색도(a)도 높았다. pH는 Control 패티에 비해 SI 패티는 동일했으나, S 패티는 높았고, 반면에 SII 패티는 낮았다. 경도는 S 패티는 Control 패티와 같았으나, SI 패티는 낮았고, SII 패티는 더 낮았다. MDA 값은 SII, SI 및 S 패티 순으로 낮았다. 패티의 관능성은 Control 패티에 비해 S, SI 및 SII 패티 모두 색이 좋게 평가되었으며, SI과 SII 패티는 윤기도 높게 평가되었고, 기타 관능성 항목에서는 네 패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기호도 조사에서는 Control 패티에 비해 S, SI 및 SII 패티 모두 색은 좋게 평가되었으나, SII 패티는 윤기는 높으나 경도가 낮게, S와 SII 패티는 느끼함과 이취가 낮게, S 패티는 고소함이 낮게, 그리고 맛은 S와 SI 및 SII 패티 모두 낮게 평가되어, S와 SII 패티는 전체적인 기호도가 낮았다. 한편, 이들 패티를 이용하여 제작한 햄버거의 기호도는 Control 패티에 비해 S 패티는 이취와 고소함,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으나 SI 패티는 가장 우수하다고 평가되었다. 이는 SI 패티의 SBE 함량이 S와 SII 패티의 절반 수준이었고 SBE-밥의 함량은 SII 패티의 절반이었던 점이 이취가 강하지 않았고 경도의 저하 또한 크지 않았기 때문이라 해석된다. 이와 같은 본 연구결과는 패티 재료의 육류 일부를 SBE 또는 SBE-밥으로 대체할 경우 패티의 수분 함량이나 경도 및 pH에 큰 변화가 없고, 색이 향상되며, 지질산패도가 낮은 우수한 품질 특성을 갖게 되고 또한 가열감소율이 적은 장점을 갖는다는 점과 함께 관능성과 기호도 또한 나빠지지 않음을 확인해 주었다. 그러므로 SBE에 들어있는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저에너지, 저지방 및 저콜레스테롤의 건강지향적인 기능성 패티의 개발 가능성이 크다고 결론 내릴 수 있겠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patties by substituting a portion of meat by bamboo (Sasa borealis) leaf extract (SBE) and/or cooked rice. Four types of patty were prepared: Control, S, SI, and SII. S was the patty for which 2.5% of meat was substituted with SBE. SI and SII were the patties with 25% or 50%, of meat, respectively, substituted with cooked rice containing SBE. The moisture contents of S, SI, and SII patties were not changed. The compositions of fat, cholesterol, and protein of S, SI, and SII patties were decreased. Cooking loss of weight as well as the diameters of S, SI, and SII patties were decreased. pH was increased in S patty, hardness was reduced in SI and SII patties, and malondialdehyde values were lowered in S, SI, and SII patties, compared to control. The S, SI, and SII patties were evaluated higher for color in sensory tests and preference tests. Through preference tests of burgers with these patties, the overall taste of the SI patty was assessed highly among the 4 patties. Therefore, it may be concluded that developing a patty by substituting a portion of meat with SBE and/or cooked rice may be worthwhile.

      • KCI등재

        변산반도국립공원 특별보호구인 개암사 및 쇠뿔바위 지역의 노랑붓꽃 자생지에 분포하는 식물상

        오현경,Oh, Hyunkyung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7 환경영향평가 Vol.26 No.5

        변산반도국립공원의 특별보호구로 지정되어 있는 개암사와 쇠뿔바위 지역의 노랑붓꽃 자생지 2구역을 대상으로 식물상을 조사한 것으로, 변산반도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71과 166속 222종 2아종 27변종 4품종으로 총 255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목본식물은 114분류군(44.7%), 초본식물은 141분류군(55.3%)으로 확인되었다. 세부구역별로 개암사 지역에서 총 178분류군, 쇠뿔바위 지역에서 총 18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법정보호종인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에 해당하는 노랑붓꽃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희귀식물은 총 6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은 각각 멸종위기종(CR)에 노랑붓꽃 1분류군, 취약종(VU)에 호랑가시나무 1분류군, 약관심종(LC)에 개족도리풀, 태백제비꽃, 이팝나무, 뻐꾹나리 등 4분류군으로 구분되었다. 특산식물은 은사시나무, 개족도리풀, 은꿩의다리, 고광나무, 떡윤노리나무, 민땅비싸리, 참갈퀴나물, 병꽃나무, 청괴불나무, 지리대사초, 노랑붓꽃 등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3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V등급에 노랑붓꽃 1분류군, IV등급에 층실사초 1분류군, III등급에 큰여우콩, 호랑가시나무, 단풍나무, 새비나무, 호자덩굴, 산기장 등 6분류군, II등급에 자주잎제비꽃, 큰참나물, 이팝나무, 청괴불나무, 좀딱취, 지리대사초, 금난초 등 7분류군, I등급에 쇠고비, 전나무, 폭나무, 개족도리풀, 큰꽃으아리, 개구리발톱, 투구꽃, 상산, 대팻집나무, 사철나무, 말오줌때, 나도밤나무, 합다리나무, 돌외, 송악, 오갈피나무, 개시호, 정금나무, 들메나무, 올괴불나무, 조릿대풀, 큰천남성, 일월비비추 등 2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본 노랑붓꽃 특별보호구는 변산반도국립공원 다른 어떤 지역보다 자연성과 건강성이 우수한 지역이므로 향후에도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특별보호구로서 역할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in the vascular plants of special protection zones (the native land of Iris koreana in Gaeamsa Temple and Soeppulbawi Rock) of Byeonsanbando National Park and identified the whole flora.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255 taxa including 71 families, 166 genera, 222 species, 2 subspecies, 27 varieties and 4 forms. Woody plants were identified as 114 taxa (44.7%) and herbaceous plants as 141 taxa (55.3%). A total of 178 taxa were identified in the area of Gaeamsa Temple, and 184 taxa were found in the Soeppulbawi Rock. As a legal protected species, the endangered wild plant II grade Iris koreana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as confirmed. A total of 6 taxa of rare plants were identified, each of which was divided into 1 taxa of critically endangered (CR; Iris koreana), 1 taxa of vulnerable (VU; Ilex cornuta), and 4 taxa of least concern (LC; Asarum maculatum, Viola albida, Chionanthus retusa and Tricyrtis macropoda).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11 taxa (Populus tomentiglandulosa, Lonicera subsessilis, Carex okamotoi, etc.). In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38 taxa, a degree I were 23 taxa (Euscaphis japonica, Hedera rhombea, Lophatherum gracile, etc.), 7 taxa of a degree II (Viola violacea, Ainsliaea apiculata, Cephalanthera falcata, etc.), 6 taxa of a degree III (Ilex cornuta, Callicarpa mollis, Mitchella undulata, etc.), 1 taxa of a degree IV (Carex remotiuscula), 1 taxa of a degree V (Iris koreana). The Iris koreana special protection area that is more natural and healthier than any other areas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Therefore, it should be possible to continue its role as a special protection area through regular monitoring in the future.

      • KCI등재

        사물탕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오현경,신말식,임현숙,Oh, Hyun-Kyung,Shin, Mal-Shick,Lim, Hyeon-Soo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5

        본 실험에서는 한방 재료를 이용한 건강 기능성 식빵의 제조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우선 보혈제의 기본 처방인 사물탕을 첨가하는 경우 식빵의 품질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 지 검토고자 하였다. 사물탕은 당귀, 백작약, 숙지황 및 천궁을 각각 4.68 g씩 혼합하여 $120^{\circ}C$에서 3시간 동안 탕재하였다. 식빵 반죽 시 첨가하는 물의 25%(S-I), 50%(S-II), 75%(S-III) 또는 100%(S-IV)를 사물탕으로 대체하여 4종의 사물탕 첨가 식빵을 제조하였다. 본 실험 결과, 식빵 반죽의 pH는 사물탕 첨가로 유의하게 낮아졌는바, 식빵 반죽의 발효에 보다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 것으로 판단된다. 식빵 반죽의 젖은 글루텐 함량은 사물탕 첨가로 유의하게 높아져 역시 식빵 적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보였다. 식빵 반죽의 색도에 있어, 명도는 사물탕 첨가로 점차 유의하게 낮아진 반면에 적색도와 황색도는 유의하게 높아졌다. 식빵 반죽의 무게와 식빵의 무게는 사물탕 첨가에 따른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따라서 식빵의 굽기 손실율도 영향을 받지 않았다. 식빵의 모양 및 부피와 비용적 등 식빵의 형태적 특성은 사물탕 첨가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식빵의 수분함량은 사물탕 첨가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단백질과 회분함량은 유의하게 높아졌다. 사물탕 첨가는 반죽의 색도뿐만 아니라, 식빵의 속 색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끼쳤다. 즉, 사물탕 첨가로 식빵 속의 명도는 낮아졌고 황색도와 적색도는 높아졌다. 텍스쳐 측정 결과, 사물탕 첨가는 식빵의 경도를 증가시켰으나 부착성, 탄력성 및 응집성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저장 3일과 5일에 식빵의 수분함량은 유의성은 없었으나, 사물탕 첨가 식빵은 감소 정도가 작았다. 식빵의 X-선 회절도는 사물탕의 첨가에 따른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관능평가 결과 사물탕 첨가는 식빵의 대칭성, 맛, 경도 및 기공성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았으나, 식빵의 겉과 속의 색을 어둡게 하였고, 이취를 높였으며, 부피감과 점착성을 유의성있게 증가시켰다. 그러나 부피감과 점착성의 향상은 물론 어두운 색과 이취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어 전체적인 기호도는 물의 50%를 사물탕으로 대체한 식빵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물 대신 사물탕을 사용해 식빵을 제조하는 경우 제빵 적성 및 식빵의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고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혈액순환과 조혈기능을 촉진하는 건강 기능성 식빵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It has been known that Samultang has positive effects on blood circulation and erythrocyte formation. Samultang was composed of four ingredients, Angelica gigas Nikai, Rahmanniae Radix Preparata, Paeonia lactiflora Pallas, and Cnidium officinale Makino. Five types of bread were prepared by replacing water with Samultang for dough proportionally. Control (C) did not have Samultang and the other four experimental bread contained Samultang: S-I (25% of water was substituted by Samultang), S-II (50% substituted), S-III (75% substituted), and S-IV (100% substituted). Moisture, protein, and ash contents of Samultang were $97.34{\pm}0.11%,\;0.42{\pm}0.04%,\;and\;1.40{\pm}0.16%$, respectively. Replacing water with Samultang decreased pH and increased significantly wet gluten content of the dough. Substitution of Samultang for water incremented redness and yellowness of the dough and bread and increased hardness. It also raised the contents of ash and protein. Although it was not significant, in addition, moisture loss of the bread during storage seemed to be lessened by replacing water with Samultang. However, total volume and specific loaf volume of the bread, baking loss rate, and the other textural characteristics except hardness were not affected by substituting water with Samultang. Due to the above results, sensory evaluation of volume and gumminess of the bread were improved significantly by substituting Samultang for water. The bread replaced 25% of the water with Samultang was ranked as the best by the test of sensory evalua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adding Samultang instead of water to dough for bread might bring positive effe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ithout any adverse influences. Therefore, it might be worth developing functional bread using Samultang.

      • KCI등재

        생다시마 가공제품의 배변활동 개선 효과

        오현경,임현숙,Oh, Hyun-Kyung,Lim, Hyeon-Soo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6

        본 연구는 생다시마를 주성분으로 제조한 가공제품이 배변활동과 장 내용물의 대장통과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만성 기능성 변비 증세를 지닌 연구대상자 32명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졌다. 이들 연구대상자를 8명씩 4개 실험군으로 나누어 2주간 1일 3회 식간에각각의 실험물질을 섭취하도록 하였고, 6주간의 휴지기간을둔 후, 다시 2주간 동일한 실험물질을 급여하였다. Control군은 150 mL의 생수를 3회 섭취하도록 하였고, +Control군은 생수 150 mL 이외에 생약 성분의 변비약을 취침 전에 1회복용하도록 하였으며, STT군은 생다시마차를 150 mL에 타서 3회 음용하도록 하였고, STB군은 150 mL로 포장된 생다시마음료를 섭취하도록 하였다. 총 대장통과시간 측정은 방사능 비투과성 표지자($Kolomark^{TM}$)를 3일간 매일 아침에 섭취하도록 한 후 4일째에 단순 복부 엑스선 촬영을 하여구하였다. 본 실험결과, 연구대상자 스스로 판정한 자신의 배변활동은 생다시마차의 섭취로 변비가 개선되었다. 1차 실험에서 생다시마차의 섭취는 배변횟수증가, 배변시 힘주기 강도, 배변량 증가, 잔변감의 감소 및 주요 배변 시간대의개선 등 유의성 있는 효과를 보였다. 2차 실험에서는 비록 구체적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배변활동의 평균 점수가 유의하게 낮아져 역시 배변활동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생다시마차의 배변활동 개선 효과는 생약제재의 변비약을 복용한 효과와 거의 같았다. 이외의 배변활동 항목인 대변의 굳기, 배변시 힘주기 및 배변 소요시간에 있어서도, 유의성은 없었으나 개선의 추세를 보였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생다시마차가 생다시마 음료에 비해 변비 개선 효능이 좀 더 낮다고 판단된다. 방사선 비투과성 표지자의 총 대장통과시간은 +Control군만 1차와 2차 실험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이는 예상했던 결과와 같으며 시중에서 판매되는 식이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변비약이 결장의 운동기능을 향상시켜 장 내용물의 대장통과시간을 단축시킨 것이라고 해석된다. Control군은 1차 실험에서는 +Control군과 근사한 정도로 총 대장통과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보였으나 2차 실험에서는 아무런 효과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생수의 음용 시 온도가 1차와 2차실험 간에 달랐기 때문이 아닌가 추측된다. 본 실험결과로 미루어 볼 때 하루에 3회씩 냉장온도의 생수를 150 mL씩 섭취하는 것은 결장의 운동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시판되는 변비약과 비슷한 정도라고 해석된다. 예상과는 달리 STT군과 STB군에서는 총 대장통과시간이 감소하는 경향은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이는 배변활동이 개선되었다고 응답한 결과와 일치하지 않았다. 그러나 대장통과시간의측정 방법이 갖는 제한점을 생각할 때 생다시마차와 생다시마 음료의 동 개선 효능은 인정된다. 생다시마차나 생다시마 음료도 1차 실험 때에는 차가운 상태로 음용했는바 차가운생수만큼 총 대장통과시간의 단축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점은 본 연구결과만으로는 해석하기 어렵다. 아마도 생수와 여러 물질의 혼합용액의 온도가 장에 끼치는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raw sea tangle products on idiopathic constipation. A total of thirty-eight women participated voluntarily in this study. They were placed into one of four groups by their total colonic transit time (TCTT) to make the four groups have the same TCTT. In the first trial, the subjects in Control group were fed 3 times of 150 mL of mineral water per day for 2 weeks, those in +Control group were fed a kind of stool softener as well as the same mineral water for 3 times, those in STT group were fed 3 times of 150 mL of sea tangle tea and those in STB group were fed 3 times of 150 mL of sea tangle beverage. After 6 weeks, a second trial was performed for another 2 weeks. Although the TCTT of the group exposed to of KolomarkTM was not significantly reduced, the subjects in STT group answered that their evacuation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evacuation frequency was increased, stool hardness was reduced, evacuation straining was lessened, stool amount was increased, incomplete sense of evacuation was lessened, and major evacuation time was improved like those in +Control group. The results imply that it is worthy to develop some products of raw sea tangle such as STT, which are effective in treating or preventing constipation.

      • KCI등재

        다시마 분말과 밥을 첨가한 햄버거 패티의 품질 특성

        오현경,임현숙,Oh, Hyun-Kyung,Lim, Hyeon-Sook 한국축산식품학회 2011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1 No.4

        본 연구는 생리활성이 높은 다시마와 소비를 촉진해야 할 쌀을 이용하여 햄버거 패티가 지닌 고에너지, 고지방 및 고콜레스테롤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건강기능성이 향상된 패티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표준패티는 지방을 첨가하지 않는 재료 조성으로 제조하였고, 세 종류의 실험패티는 표준패티 재료 중 육류의 2.5%를 다시마 분말로 대체한 패티 L과 육류의 25% 또는 50%를 동 분말을 함유한 밥으로 대체한 패티 LI과 LII이었다. 이들 세 종류의 실험패티에 대해 일반성분과 나트륨 및 콜레스테롤 함량을 분석했고, 품질 특성을 측정했으며, 관능성과 기호도를 평가했다. 실험패티의 일반성분은 표준패티와 크게 달라졌다. 즉 탄수화물 함량은 L은 낮았으나 LI과 LII는 높았고, 조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은 세 실험패티 모두 낮았는데 LII와 LI은 더욱 낮았으며, 조단백 함량은 LI과 LII만 낮았다. 회분과 나트륨 함량은 세 실험패티 모두 높았는데 이중에서도 L이 가장 높았다. 실험패티의 품질특성도 표준패티와 상당히 변화되었다. 즉 가열 후 중량 감소율은 세 실험패티 모두 낮았는데 LII가 가장 낮았으며, 직경 감소율은 세 실험패티 모두 적었고, 반면에 두께 감소율은 L과 LII가 높았다. 색도는 세 실험패티 모두 명도와 적색도가 낮은 반면에 황색도는 높았다. 수분 함량은 세 실험패티 모두 높았는데 특히 LI과 LII가 크게 높았다. pH 값은 세 실험패티 모두 높았다. 경도는 L은 높았으나 반대로 LI과 LII는 낮았다. MDA 함량은 세 실험패티 모두에서 낮았으며, LII, LI 및 L 순으로 낮았다. 패티의 관능평가 결과, LI과 LII는 표준패티에 비해 대칭성, 색상, 윤기, 경도 및 다즙성이 우수하였고, 향미, 이취, 고소함, 느끼함, 맛, 이미 등 6개 항목을 같았다. 패티의 기호도 평가에서는 세 실험패티 모두 표준패티에 비해 윤기가 높았고, 이외에 전체 풍미를 포함한 11개 항목은 동일하였다. 이들 패티를 이용하여 제작한 버거의 기호도 역시 전체 풍미를 비롯한 10개 항목은 모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패티 재료 중 육류의 2.5%를 다시마 분말로 대체하거나 25% 또는 50%를 동 분말을 함유한 밥으로 대체하면 패티의 수분 함량은 높아지고, 에너지와 지방 및 콜레스테롤 함량은 낮아지며, 품질 특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고 또한 관능성이나 기호도에 바람직한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확인해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시마 분말이나 동 분말을 함유한 밥을 이용한 건강기능성 패티의 개발이 매우 긍정적이며 가능성이 높음을 알려준다. This study created hamburger patties by substituting a portion of the meat with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powder and/or cooked rice to reduce fat and calories and to add the functional components of the sea tangle. Four types of experimental patties were prepared: Control, L, LI, and LII. L was the patty with sea tangle powder substituted for 2.5% of the meat and LI and LII were patties with cooked rice containing sea tangle powder substituted for 25 or 50% of the meat. In all experimental patties, moisture content increased and crude fat and cholesterol content decreased, pH increased, and malondialdehyde concentration de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The substitutions made the color of the patties darker with dimmed redness and amplified yellowness. The substitutions also made the cooking loss weight and diameter of the patties lessen but that of thickness increased. In the sensory evaluation, symmetry and color of the patties improved significantly by substituting sea tangle powder and/or cooked rice for meat, and no adverse effect on preference for the experimental patties and hamburgers was observed. Therefore, substituting sea tangle and/or cooked rice for a portion of the meat could be used to develop healthier patties without any adverse influence on preference or sensory evaluation.

      • KCI등재

        장애학생의 도전행동에 대한 예비 체육교사의 감정반응

        오현경 ( Hyun-kyoung Oh ),이재원 ( Jae Won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7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도전행동에 대한 예비체육교사들의 감정반응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비체육교사(남, 319명; 여, 112명) 431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Oh, Seo, & Kozub, (2010)이 개발한 장애학생 도전행동에 대한 감정반응척도(ERCBS-K)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24.0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중다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원봉사 경험(β=.125, p<.05)에서만 두려움/불안의 감정반응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원봉사 경험(β=-.157, p<.05)과 신뢰감(β=.118, p<.05)은 책임감 있는 감정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장애학생의 도전행동이 나타났을 때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자원 봉사활동 경험이 예비체육교사의 감정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Korean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emotional reaction toward challenging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ur hundreds thirty one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319 males; 112 females; M = 22.53 years, SD = 2.66), were asked to fill out the Emotional Reaction to Challenging Behavior scale- Korean (Oh, Seo, & Kozub, 2010).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 resulted in a five-factor(Depression, Positive, Fear/Anxiety, Confused, and Responsible) scale explaining 63% of the variability. It was found that only Volunteer Experiences(β=.125, p<.05) statistically predicted for “Fear/Anxiety” emotional reaction and Volunteer Experiences(β=-.157, p<.05) and Confidence(β=.118, p<.05) statically predicted for “Responsible” emotional reaction. Data from the current study provides a closer link than any other previous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 study of how training and volunteer experiences affect pre-service physical educators working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en challenging behavior is addressed.

      • KCI등재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 및 산림휴양 증진을 위한 전라북도 장안산 일대의 관속식물상 연구

        오현경(Oh, Hyun-Kyung),손병율(Son, Byeong-Yul),유주한(You, Ju-Han)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5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전라북도 장안산 일대의 관속식물상에 대해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여 생태경관보전지역 선정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식물상은 95과, 289속, 441종, 4아종, 49변종, 10품종 등 총 504분류군으로 요약되었다. 희귀식물은 태백제비꽃, 금강제비꽃, 토현삼, 뻐꾹나리, 말나리, 나도개감채, 금강애기나리, 꽃창포 등 8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한국특산식물은 은사시나무, 참개별꽃, 진범, 할미밀망, 은꿩의다리, 노각나무, 고광나무, 갈퀴아재비, 오동나무 등 11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의 경우 I등급은 26분류군, II등급 18분류군, III등급 8분류군, IV등급 2분류군, V등급 2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미국자리공, 다닥냉이, 토끼풀, 달맞이꽃, 미국가막사리, 지느러미엉겅퀴 등 21분류군이며,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애기수영,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등 3분류군이었다. 식물상은 숲해설, 생물관찰, 생태교육 등에 이용되기 때문에 중요한 소재이다. 따라서 장안산의 생태계 보전과 이용을 위해서는 식물상이 필수적으로 조사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selecting the ecological and landsacpe conservation area by surveying and analyzing the vascular plants in Mt. Jangan, Jeollabuk-do, Korea.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504 taxa including 95 families, 289 genera, 441 species, 4 subspecies, 49 varieties and 10 forms. The rare plants were 8 taxa including Viola albida, Scrophularia koraiensis, Lilium distichum, Iris ensata var. spontanea and so forth.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11 taxa including Populus tomentiglandulosa, Pseudostellaria coreana, Stewartia pseudocamellia, Philadelphus schrenckii and so forth. In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a degree I were 26 taxa, 18 taxa of a degree II, 8 taxa of a degree III, 2 taxa of a degree IV and 2 taxa of a degree V. The naturalized plants were 21 taxa including Fallopia dumetorum, Phytolacca americana, Lepidium apetalum, Trifolium repens, Oenothera biennis, Bidens frondosa, Carduus crispus and so forth. The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10 taxa including Meliosma myriantha, Hylomecon vernalis, Brachybotrys paridiformis and so forth. The flora is important material used for the forest interpretation, the observation of living things and ecological education. Therefore, the flora will have to be surveyed as essential to ecosystem conservation and use of Mt. Jangan.

      •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이식된 미선나무군락지의 식생분석 및 생육특성

        오현경(Hyun-Kyung Oh),김영하(Young-Ha Kim),양주영(Ju-Yung Yang),박경욱(Kyung-Uk Park) 국립공원연구원 2010 국립공원연구지 Vol.1 No.3

        본 연구는 부안댐 건설로 인해 수몰위기에 처해있는 미선나무 개체를 이식한 지역으로 현재 변산반도국립공원 특별보호구 내에 위치하고 있어 일반인의 접근이 불가능하며,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청림에 있는 천연기념물(제370호) 군락지보다 개체수가 많고 생육상태도 매우 양호하여 식생분석 및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이식된 미선나무군락지의 식물상은 21과 33속으로 총 35종류가 확인되었다. 이중 미선나무는 환경부의 법정보호종인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 IUCN 평가기준에 따른 희귀식물 중 멸종위기종 및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다. 미선나무군락지 내의 군집구조는 2개의 조사구를 분석하여 자귀나무-졸참나무군락, 자귀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이중 층위별 중요치는 자귀나무-졸참나무군락에서 팽나무, 비목, 신나무 순으로, 자귀나무군락에서 산뽕나무, 신나무, 팽나무 순으로 분석되었다. 미선나무의 중요치는 자귀나무-졸참나무군락에서 3.7%, 자귀나무군락에서 6.0% 로 분석되었다. 미선나무 개체군이나 잎의 형태적 특성 또한 2개의 조사구에서 채취하거나 분석하였다. 이중개체군은 조사구 1번에서 43개체, 조사구 2번에서 34개체를 정밀 분석하였으며, 미선나무 잎 60개를 채취하여 형태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평균 엽장은 73.0 mm, 평균 엽폭은 35.0 mm, 평균 엽병장은 4.9 mm 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rea which Abeliophyllum distichum in danger of being submerged because of Buan-dam construction were replanted to analyze vegetation and growing condition. This area is located in specially preserved area of Byeonsanbando National Park, so this area is not open to the public. Abeliophyllum distichum growing in this area are growing more than a community of Abeliophyllum distichum located in Cheongrim, Jungkye-ri, Byeonsan-myeon, Buan-gun and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No. 370) and growing conditions for Abeliophyllum distichum are also better. As a result of study; we found that there are 21 families, 33 genus, 35 taxa and among these species the Abeliophyllum distichum are legally preserved species (Grade II) from Ministry of Environment, endangered species of rare species from standards of IUCN standards and also one of endemic plants in Republic of Korea. The structure of this community is classified as community of Albizzia julibrissin-Quercus serrata and community of Albizzia julibrissin from investigating 2 enumeration districts. The hierarchy of importance value is in the order of Celtis sinensis, Lindera erythrocarpa and Acer ginnala in the community of Albizzia julibrissin-Quercus serrata and in the order of Morus bombycis, Acer ginnala and Celtis sinensis in the community of Albizzia julibrissin. The percent of importance value of Abeliophyllum distichum is 3.7% in the community of Albizzia julibrissin-Quercus serrata and 6.0% in the community of Albizzia julibrissin. Moreover, in order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of Abeliophyllum distichum and leaves shape, 43 individuals from first district, 34 individuals from second district and 60 leaves of Abeliophyllum distichum are closely examined. As a result, the average leaf length is 73.0 mm, the average leaf width is 35.0 mm and the average petiole length is 4.9 mm.

      • KCI등재

        사찰림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이용한 식물생태지수 분석

        오현경 ( Hyun Kyung Oh ),최윤호 ( Yeon Ho Choi ),유주한 ( Ju Han You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4 환경영향평가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data and method for assessing the naturaliness of temple environment by applying the ecological index of plant to quantitatively and objectively assess the flora and to understand the flora distributed in major temple forest. The ecological index of plant was based in the surveyed flora. The whole flora were summarized as 535 taxa including 103 families, 310 genera, 426 species, 5 subspecies, 82 varieties and 22 forms. And, the numbers of taxa in the Beopheungsa were 267 taxa, 314 taxa of the Daeseungsa and 296 taxa of the Seongjusa. The rare plants were 9 taxa including Aristolochia contorta, Viola albida, Arisaema heterophyllumand so forth, and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11 taxa including Clematis trichotoma, Stewartia pseudocamellia, Vicia chosenensis and so forth.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51 taxa including Wistaria floribunda, Celtis aurantiaca, Angelica gigas and so forth, and the pteridophyta were 26 taxa including Osmunda japonica, Polystichum braunii, Onoclea orientalis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35 taxa including Fallopia dumetorum, Conyza canadensis, Xanthium strumarium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Ambrosia artemisiifolia, Aster pilosus and Eupatorium rugosum. In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ecological index of plant in whole temple forests, RI(Rare Index) was 1.7%, 2.1% of EI(Endemic Index), 9.5% of SI(Specific Index), 1.2 of PI(Pteridophyta Index) and 6.5% of NI(Naturalized Index) in narrow sense. In broad sense, FI(Flora Index) was 11.0%, 1.5% of RI, 3.4% of EI, 4.8% of SI, 10.1% of PI, 10.9% of UI(Urbanized Index) and 25.0% of DI(Disturbed Index). The FI of the Daeseungsa was the highest among the three temple forests. In narrow sense, the RI, SI, NI and DI of the Beopheungsa was high, the seongjusa was higher the EI and SI. In broad sense, the RI and SI of the Beopheungsa, the EI, SI and PI of the Seongjusa, the UI is high in the Daeseungsa. In future, if we will analyze ecological index of plant in other temple forests, we will offer the help to establishing the plan of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n ecosystem in whole temple forests.Environmental Specimen Banks (ESBs) are playing pivotal role in monitoring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ollution on the ecosystem based on the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representative samples collected regularly and stored in cryogenic condition.

      • 특별강연 : 발표 ; 한북정맥 식물상 및 보전관리방안

        오현경 ( Hyun Kyung Oh ),김영하 ( Yung Ha Kim ),김은옥 ( Eun Ok Kim ),김동필 ( Dong Pil Kim ),김수봉 ( Soo Bong Kim ),엄정희 ( Jeong Hee Eu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1

        본 연구는 한북정맥 중점조사지역의 전체식물상을 조사하여 식물상의 유형을 분류한 후 희귀식물의 보전방안과 생태계교란식물의 관리방안 등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한북정맥의 식물자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수행하였다. 한북정맥 중점조사지역의 전체식물상은 98과 345속 565종 5아종 80변종 13품종으로 총 663분류군(taxa)이 확인되었다. 이중 중점조사지역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광덕산지역의 식물상은 83과 252속 380종 5아종 57변종 6품종으로 총 448분류군, 청계산 지역의 식물상은 87과 237속 334종 5아종 44변종 6품종으로 총 389분류군, 죽엽산 지역의 식물상은 92과 254속 365종 5아종 48변종 10품종으로 총428분류군이 각각 확인되었다. 식물상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희귀식물은 왜박주가리, 금강초롱꽃, 솔나리, 범부채, 쥐방울덩굴, 홀아비바람꽃, 도깨비부채, 태백제비꽃, 과남풀, 미치광이풀, 참배암차즈기, 금마타리, 말나리, 나도개감채, 금강애기나리, 토현삼 등 1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중 인위적인 식재종을 제외하고 취약종(VU) 이상 희귀식물의 보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왜박주가리(Tylophora floribunda)는 우리나라 산지에서 비교적 드물게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IUCN 평가유형 중 취약종에 해당된다. 한북정맥 중점조사지역 중 청계산 지역 등산로 주변에서 여러 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주로 탐방로를 따라 빛이 들어오는 입지환경에서 나타나기때문에 인위적인 훼손우려가 있는 식물이다. 따라서 현 자생지 보전뿐만 아니라 추가 자생지 발견 및 유전자원(생채나 종자 등)을 확보한 후 현지내외 보전이 필요할 것이다. 금강초롱꽃(Hanabusaya asiatica)은 우리나라 경기도와 강원도 이북에서 볼 수 있는 한국특산의 여러해살이풀로IUCN 평가유형 중 취약종에 해당된다. 이 식물은 속 자체가 한국특산속으로 북한에서 자생하는 검산초롱꽃(H. latisepala)도 있으며, 자생지내의 개체수는 많은 편이다. 한북정맥 중점조사지역 중 광덕산 지역 마루금에서 수십 개체가, 청계산 지역 등산로 주변에서 여러 개체가 확인되었다. 이 식물은 입지환경에 따라 꽃색의 변이가 심한 편이며, 관상가치가 매우 높기 때문에 인위적인 채취로 인한 훼손이 우려된다. 따라서 추가 자생지 발견이나 현 자생지내 생채와 종자 채취 등 유전자 확보를 통해 향후 훼손되거나 멸종위기에 처했을 때 복원 개체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무엇보다 현자생지 보전이 중요하고, 이 식물이 기후변화에도 취약하기 때문에 환경요인 등의 변화에 대처하는 방안도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솔나리(Lilium cernuum)는 우리나라덕유산 이북 백두대간 마루금에서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IUCN 평가유형 중 취약종에 해당되며, 한북정맥 중점조사지역 중 청계산 지역 마루금에서 여러 개체가 확인되었다. 2012년 이후에 환경부의 법정보호종인 멸종위기야 생식물에서 해제되었으며, 바위틈이나 척박지 및 트인 곳을 좋은 하는 습성을 가진 식물이다. 백두대간을 따라 중부이북 지역은 자생지나 개체수가 풍부한 편이나, 중부이남 지역은 많지 않기 때문에 추가 자생지 발견이 필요하다. 또한 꽃의 감상가치가 뛰어나기 때문에 인위적인 훼손이 우려되고 중부이북 지역의 군부대에서는 진지구축이나 작업로 개설 등에 의해 대규모 면적의 솔나리군락이 실제적으로 훼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추가 훼손을 막기 위해서는 교육 및 홍보와 더불어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보전방안을 구축해야 하며, 또한 종자 채취나 생채 확보 등의 유전자원을 사전에 확보해둘 필요성이 있다. 범부채(Belamcandachinensis)는 우리나라 산과 들에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IUCN 평가유형 중 취약종에 해당되며, 한북정맥중점조사지역 중 죽엽산 지역 저지대 등산로에서 3개체가 확인되었다. 흔히 도심 화단에 심어지고 있지만 야생에서는 보기 힘든 식물 중에 하나이며, 개발 압력 등에 밀려 현재는 해안 산지 양지바른 곳에 일부만이 남아있는 편이다. 이 식물은 관상가치가 높아 인위적인 훼손으로 인해 급격하게 자생지나 개체수가 줄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 자생지보전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며, 추가 자생지 확인 및 종자채취나 생채 확보 등의 유전자원 현지내외 보전이 필요한식물이다. 또한 특산식물은 키버들, 무늬족도리풀, 참개별꽃, 외대으아리, 할미밀망, 홀아비바람꽃, 은꿩의다리, 진범, 매자나무, 흰괭이눈, 고광나무, 노랑갈퀴, 민땅비싸리, 개나리, 참배암차즈기, 오동나무, 참갈퀴덩굴, 갈퀴아재비, 병꽃나무, 금강초롱꽃, 벌개미취, 고려엉겅퀴, 분취, 좀비비추 등 2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Ⅴ등급에 두메우드풀, 승마,솔나리 등 4분류군, Ⅳ등급에 산꽃고사리삼, 홀아비바람꽃, 애기기린초, 도깨비부채, 금강초롱꽃, 앉은부채 등 6분류군, Ⅲ등급에 분비나무, 거제수나무, 개박달나무, 비술나무, 검은종덩굴, 흰진범, 매자나무, 꼬리조팝나무, 참조팝나무, 노랑갈퀴, 참당귀, 개회나무, 덩굴박주가리, 미치광이풀, 참배암차즈기, 토현삼, 털둥근갈퀴, 갈퀴아재비, 산기장, 광릉용수염, 긴잎여로, 주걱비비추, 중나리, 나도개감채 등 27분류군, Ⅱ등급에 좀나도히초미, 난티나무, 참개별꽃, 동의나물, 꿩의다리아재비, 돌단풍, 털괭이눈, 돌양지꽃, 황벽나무, 회목나무, 복자기, 복장나무, 민둥뫼제비꽃, 노랑제비꽃, 붉은참반디, 고본, 큰참나물, 산앵도나무, 앵초, 긴산꼬리풀, 애기며느리밥풀, 붉은병꽃나무, 연복초, 금마타리, 여우오줌, 정영엉겅퀴, 고려엉겅퀴, 왕쌀새, 처녀치마, 말나리, 금강애기나리 등 33분류군, Ⅰ등급에 애기일엽초, 관중, 청나래고사리, 전나무, 홀아비꽃대, 가래나무, 박달나무, 물박달나무, 쥐방울덩굴, 동자꽃, 큰꽃으아리, 투구꽃, 피나물, 는쟁이냉이, 세잎꿩의비름, 까치밥나무, 물양지꽃, 야광나무, 산돌배, 큰괭이밥, 노랑물봉선, 나래회나무, 오갈피나무, 개시호, 들메나무, 왜박주가리, 올괴불나무, 큰엉겅퀴, 껍질용수염, 좀비비추, 일월비비추, 얼레지, 퉁둥굴레, 좀나도히초미 등 35분류군으로 도합 10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소리쟁이, 돌소리쟁이, 닭의덩굴, 털여뀌, 흰명아주, 좀명아주, 개비름, 미국자리공, 끈끈이대나물, 다닥냉이, 콩다닥냉이, 아까시나무, 서양벌노랑이, 족제비싸리, 선토끼풀, 붉은토끼풀, 토끼풀, 가죽나무, 달맞이꽃, 선개불알풀,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서양등골나물, 미국쑥부쟁이, 개망초, 망초, 붉은서나물, 미국가막사리, 털별꽃아재비, 지느러미엉겅퀴, 큰금계국, 코스모스, 서양민들레, 오리새, 쥐보리, 큰김의털, 왕포아풀, 미국개기장 등 총 3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중 생태계교란식물은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서양등골나물, 미국쑥부쟁이 등 4분류군으로 관리방안은 다음과 같다.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은 북아메리카 원산의 한해살이풀로 한북정맥 중점조사지역 3개 지역 모두에서 확인되었다. 대부분이 등산로 진입로 주변과 나지에서 확인되었으며, 돼지풀의 종자가 워낙 미세하기 때문에 바람에의한 종자확산을 막아야 된다. 이 식물은 우리나라 전역에 이미 침입하여 막대한 세력을 확장하고 있으며, 특히 하천변, 목초지, 경작지 및 도로변에 없는 곳이 없을 정도로 많이 개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꽃이 피기 전에 집단적으로 제거하거나 물리적, 화학적 방법을 동원하여 뿌리까지 완전히 제거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은 한북정맥 중점조사지역 중 광덕산과청계산 지역 등산로 진입로 주변과 나지에서 확인되었으며, 바람의 통로인 도로와 물길을 따라 널리 퍼지는 특성상 바람의 상류부에 위치한 집단군락지는 종자확산방지대책으로 종자결실 전에 뿌리째 뽑아 건조 후에는 반드시 폐기해야 한다. 주의사항으로는 돼지풀이나 단풍잎돼지풀이 속하는 Ambrosia속 식물은 꽃가루 알레르기와 연관이 있어 민감한 사람은 이러한 식물이 있는 지역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서양등골나물(Eupatorium rugosum)은 한북정맥 중점조사지역 중 죽엽산 지역 등산로 진입로 주변에서 확인되었으며, 우선 산림 초입부에 있는 개체를 먼저 제거해야 산림 수림하에 이입을 막을 수 있고, 그 다음으로 산림수림하에 있는 개체를 제거하는 것이 적절한 방법일 것이다. 이 식물만큼은 다른 귀화식물보다 우선적이면서 빠른제거가 필요한 이유는 음지 조건에서도 살아남아 숲 생태계를 교란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빠른 제거가 요구된다. 미국쑥부쟁이(Aster pilosus)는 한북정맥 중점조사지역 3개 지역 모두에서 확인되었으며, 대부분이 등산로 진입로 주변과 나지에서 확인되었으며, 하천을 따라 종자확산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하천변 식생인 갈대나 물억새군락등과 경합시켜 자연적인 쇠퇴를 유도하는 방안이 있을 것이다. 이 식물은 단기적인 제거보다는 장기적인 안목에서 점차적으로 제거하는 방안이 필요하며, 특히 집단발생지는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더 이상 확산을 막고 점차적으로 쇠퇴시키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