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아파트 디자인에 대한 거주 후 평가

        오찬욱(Oh, Chan-Oh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0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5

        The basic premise of this study was that the elderly family would be one user type to live in apartment houses. This means that apartment houses should be designed by considering the elderly family as well as general young famil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rry out POE of apartment houses by the elderly resident and to suggest the design direction of apartment houses from the elderly’s point of view. The subject was 150 elderly residents who lived in apartment houses in Jangyu new urban area, Kyungnam. The individual interview was done for this POE by six interviewers. They asked about how degree they were satisfied with 30 design elements of apartment houses. Those consisted of 8 elements related to outdoor environments, 16 ones to indoor environments, and 6 design evaluative elements for the elderly housing.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ings; 1) In general, the elderly subject was very satisfied with their apartment design. However, more considerations of the design evaluative elements for the elderly were needed in order to be apartment houses for the old generation. 2) Natural facilities such as small parks and walks, and local amenities should be arranged systematically to be used easily by the old residents. 3) The design solutions for reducing noise should be added. 4) The same quality of housing environment should be provided in all sizes of housing units.

      • KCI등재

        라프카디오 헤른의 일본 괴담과 아일랜드

        오찬욱(Oh, Chan-woo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0 외국문학연구 Vol.- No.37

        라프카디오 헤른 Lafcadio Hearn은 일본으로 건너가 귀화한 후 일본의 설화와 신구의 문물을 서구에 소개한 수많은 저술활동을 하였는데 일본에서는 그 업적이 평가받아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반면, 모국 아일랜드에서는 극히 인지도가 낮아 대조를 이루고 있다. 그의 저술 중에서도 특히 널리 알려진 일본의 괴담집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동향을 보면 일본인 연구자들이 주로 번역 대상이 된 각 이야기의 출전 확인에 주력해온데 비해 아일랜드의 연구자들은 이야기의 선정 배경에 아일랜드의 신화나 전설의 영향이 작용하고 있음을 부각시키고 있어 이야기의 성립을 둘러싸고 일본과 아일랜드의 연구자들 간에 미묘한 시각차가 노정되고 있다. 헤른이 청소년기에 아일랜드에서 겪은 불행 때문에 미국에서 기자 일을 하면서도 아일랜드에 대한 기술을 거의 남기지 않는 등, 오랫동안 자기 안의 아일랜드적 요소를 부정해온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어린 시절에 아일랜드의 민화나 전설을 다양한 루트를 접해 알고 있었고, 만년에 이르기까지 이를 모두 기억하고 있었음이 아일랜드와 일본에 남아 있는 친척이나 후손들의 증언을 통해 확인되고 있는데, 일본에 온 후 이즈모 出雲에서의 생활, 영국인 또는 영국 문물과의 접촉, 아들의 탄생 등을 경험하면서 어린 시절의 추억이 되살아나 일본의 괴담을 영역할 무렵에는 고티에나 중국의 괴담을 초역할 때와는 달리 어렸을 때 들었던 아일랜드 민화의 스토리나 모티브가 이야기 선택의 한 기제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그의 대표작인 Kwaidan 괴담에 수록돼 있는 “The Story of Mimi-Nashi-Hoichi 귀 없는 호이치 이야기”와 “Mujina 너구리”, 그리고 “The Dream of Summer Day 여름 날의 꿈”이라는 기행문 속에 줄거리가 소개돼 있는 민화 “우라시마타로”를 예로 들어 이 이야기들과 아일랜드의 요정들인 “푸카 Puca”, “반쉬 Banshee”, “메로우 Merrow”가 등장하는 민화와의 관련성에 대해 논하였다. Lafcadio Hearn was born in 1850 of the Anglo-Irish and Greek parentage, and he emigrated to America at age 18, where he became a journalist and author. In 1890, he went to Japan as a newspaper correspondent and became a naturalized Japanese, whereupon he assumed the Japanese name of Yakumo Koizumi. In Japan, Hearn authored several collections of Japanese legends and ghost stories, such as Kwaidan:Stories and Studies of Strange Things, and they made him famous in the Western world.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on Hearn's stories revealed a drastic contrast between the Japanese and Irish researchers. While the Japanese researchers tended to focus on tracing the original source of the stories, the Irish explored the influences of Hearn's Irish background on his choice of stories. It is well known that Hearn had denied his Irish identity while in America because of his unhappy experiences in Ireland. But he was exposed to Irish folk tales and myth through various channels during his youth, and he undoubtedly retained the stories during his later writing career. This paper seeks to establish thematic relationships between Hearn's Japanese stories such as “The Story of Mimi-Nashi- Hoichi,” “Mujina,” “Urashimataro,” and Irish folk tales such as “Puca,” “Banshee,” and “Merrow.”

      • KCI등재

        『고콘초몬주 古今著聞集』와 역사서술

        오찬욱(Oh Chan woo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57

        본 논문은 일본의 중세 초기(1254년)에 편찬된 설화집 『고콘초몬주 古今著聞集』의 텍스트가 역사서술을 지향하고 있는가를 규명코자 한 것이다. 『고콘초몬주』의 편자 다치바나 노 나리스에 橘成季는 당초 그림을 그리기 위한 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설화를 모으기 시작했으나 도중에 헤이안 平安 시대와 당대의 세속을 집대성해 후세 사람들에게 전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방침을 변경해 20권이나 되는 대규모의 설화집을 편찬했다. 『고콘초몬주』에는 1)행사에 관한 기록, 그 중에서도 궁중 내외에서 개최된 공적 행사에 관한 기록을 많이 수록하고 있고, 2)자신이 수집한 자료에 대해 편자가 내용의 진위에 주의를 기울였으며, 3)설화집의 조직을 귀족세계가 공유하고 있던 세계관에 맞춰 틀을 짠 다음, 4)이 틀 안에 수집한 자료를 연대순으로 배열시키고 있어 편자가 이야기책이 아니라 일종의 역사서술을 시도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 『고콘초몬주』는 천황과 귀족들이 역사를 편찬할 수 없었고 무인계급 또한 자신들이 타도한 왕실과 귀족계급의 과거를 서술할만한 능력을 지니고 있지 못했던 시대에 공적 정치적 행정적 사안은 물론 사적이고 문화적 일상적 소재까지 포함시켜 만든 설화에 의한 역사서술이었다. 그러나 『고콘초몬주』에 의해 설화가 역사서술화하면서 고대의 몰락한 씨족의 신화나 전설이 그랬듯이 제도의 문화권 안에 박제화 돼버린 일본의 설화문학은 부유하며 소비되어야 하는 본래의 기능과 의미를 상실하고 그 역할을 중세의 구송문예 - 가타리 語り - 등의 여타 언설에게 넘기고 역사무대에서 사라질 수밖에 없었는데 이와 함께 설화문학의 시대는 막을 내리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text of Kokonchomonjyu, published in 1254 during Japan’s middle period, is inclined towards historiography. The noted features of Kokonchomonjyu a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number of records pertain to the official functions in and out of the royal court. Second, the editor evidently took pains to authenticate the contents of the materials included therein. Third, the basic framework of the tales adhered to the world view of the nobility of the times. Fourth, the tales thus organized were chronologically sequenced, thereby hinting at the possibility that the editor wanted the work to be read as a historical narrative, rather than as a mere collection of entertaining (albeit informative) stories. For these reasons, the study concludes that Kokonchomonjyu is, for all means and purposes, a historical narrative composed of tales entailing not only private, cultural, and everyday topics, but also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accounts, written at a time in Japanese history when the Emperor and the nobility could not publish official historical chronicles. By transforming tales into a historical narrative, Kokonchomonjyu eventually became a permanent cultural fixture of the establishment, and by so doing went the way of the myths and legends of long lost dynasties of antiquity. In due course, Japanese narrative literature as a whole forfeited its primal attribute as a literary genre widely disseminated and consumed by the populace, and was consequently superceded by alternative medium of expression and eventually faded from the annals of Japanese history.

      • KCI등재

        MLCC 공장 클린룸의 화재시 연기확산 지연을 위한 급 배기설비 운전 시나리오별 성능 평가

        오찬욱(Chan-Wook Oh),김지훈(Ji-Hun Kim),오륜석(Ryun-Seok Oh),최준호(Jun-Ho Choi) 한국화재소방학회 2023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7 No.6

        MLCC 공장 클린룸에 설치된 급·배기 설비로 인해 실내에 하강기류가 발생한다. 이 하강기류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원으로부터 생성되는 열, 연기 및 독성가스 등의 연소생성물이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연기감지기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 할 우려가 있고, 연소생성물의 확산 형태에 따라 큰 인명 및 재산 피해로 이어질 위험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급·배기 설비 운영방식에 따른 연기 확산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화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델링을 실시하였으며, 모델링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실제 T.A.B. 테스트 결과를 기반으로 분석 대상지에 설치되어 있는 급·배기 설비의 성능을 구현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공조 급기 설비의 하강기류가 화원에서 발생한 연기를 천장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클린룸 설계시 공조환경과 화재 특성을 고려한 설계가 되어야 한다. Downdrafts are generated indoors because of the water supply and exhaust equipment installed in the clean room of the MLCC factory. In the event of a fire, this downdraft may interfere with the exposure of combustion products, such as heat, smoke, and toxic gases generated from the fire source, to the smoke detector installed on the ceiling. There is a high risk of this adversely affecting people and damaging property, depending on the diffusion of the combustion produc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moke diffus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s of the supply and exhaust facilities. Modeling was performed using a fire simulation program, and the performance of the water supply and exhaust facilities installed at the analysis site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actual testing, adjusting, and balancing test results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modeling results.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downdraft from the air-conditioning supply system prevented smoke from the fire source from spreading to the ceiling.

      • KCI등재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 (MLCC) 공장 클린룸의 공조환경과 연기감지기의 성능을 고려한 최적 설치위치 설정에 관한 연구

        오찬욱(Chan-Wook Oh),김지훈(Ji-Hun Kim),오륜석(Ryun-Seok Oh),최준호(Jun-Ho Choi) 한국화재소방학회 2023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7 No.6

        MLCC 공장의 목적상 클린룸 내부에는 순환 기류가 형성된다. 이 기류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연소생성물(열, 연기, 독성가스 등)의 이동에 영향을 주며 이로 인해 화재를 감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지연시킬 위험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클린룸 내부의 순환 기류가 화재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제 MLCC 공장 클린룸을 대상으로 T.A.B.를 실시하였으며, 화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모델링을 통해 연기 감지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감지기 위치를 도출하였다. A circulating airflow was generated inside the clean room of an MLCC factory. This airflow affects the movement of combustion products (such as heat, smoke, and toxic gases) when a fire breaks out, and there is a risk of delaying the time required to detect the fire. In this study, testing, adjusting, and balancing were conducted for an actual MLCC plant clean room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irculating airflow inside the clean room during fire spread. In addition, the optimal detector location that reduces the time required for smoke detection was determined using a fire simulation program.

      • 병원 건축물의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 사례

        최병극(Choi, Byeong-Geuk),백태순(Baek, Tae-Sun),성창원(Seong, Chang-Won),오찬욱(Oh, Chan-Uk) 대한건축학회 2017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7 No.2

        2016년 9월 12일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은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에 대한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특히 내진설계기준이 마련되기 전 대부분의 건축물은 지진하중이 작용할 경우 구조안전에 대단히 취약하다. 따라서 본 사례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내진설계기준이 적용되기 이전에 시공된 병원 건축물에 대하여 내진성능을 평가하고 내진보강 전·후의 내진성능수준을 비교하였다.

      • KCI등재

        이인(異人)에 의한 이류퇴치담(異類退治譚)의 구조와 전개

        오찬욱 한국일어일문학회 1997 日語日文學硏究 Vol.31 No.1

        日本の神話, 昔話, 設話, 物語等には異人と共同體との交涉を描いた話が多い. 交涉の仕方には, 相互訪問, 婚姻, 退治など色色あるが, そのうちもっとも多く見られるのは異人を退治する話で, しかも異人が異類を退治する話-$lt;異人による異類退治譚$gt;-が主流をなしている. $lt;異人による異類退治譚$gt;にはニつの類型があって, 境界の外側から入ってきた異人が共同體に危害を加える異類を退治して共同體に定着する$lt;定着型$gt;と, 異能でもって共同體の中で異人化したものが共同體の秩序を亂す異類を退治する$lt;秩序回復·鎭魂型$gt;とにオけられる. $lt;異人による異類退治譚$gt;は, それぞれの時代の信仰や民俗の影響を受けながら多樣な形へと變容, 發展していくが, 中古時代以降は$lt;秩序回復. 鎭魂型$gt;が中心となる. 中古時代には陰陽師や驗者, 武人など, 異能を持ったもの一つまり, 異人-一たちが, 貴族階級の日常的な平和や不安を脅かすもののけ, 怨靈, 妖怪, 謨反人のような異類を退治する役割をし, 彼らを主人公とする話が物語, 說話文學に數多く取られている. 中世時代になると同型の話は軍記物語や御伽草子の中に繼がれ, また宿執を殘して世を去った人人の靈を諸國を巡る憎侶が弔う形式を取る謠曲の中にも積極的に取られて行く. 都市の出現によって在來の共同體の解體を余復なくされた近世時代には. 異人觀の變化に伴いこの話型の引用は少なくなるが, 累と裕天上人という新しい登場人物たちが現れ, 活字の世界ばかりではなく舞台の上をも賑わわせた. 日本の古典文學に$lt;異人にょる異類退治譚$gt;という話型の話が多く取り入れうれたのは, 日本人が共同體に加えられる災いや福は外部から來るもので, それをコントロ-ルできるのは外部の者しかいないという考え方を持っていたからで, 結局$lt;異人による異類退治譚$gt;とは他者に對する差別と排除が生み出した表現構造であったといえる.

      • KCI등재

        『 고금저문집 』 의 편자귤성계의 의식구조

        오찬욱 한국일어일문학회 2001 日語日文學硏究 Vol.38 No.1

        『古今著聞集』의 編者 橘成季는 화중화말(話中話末)의 평어(評語) 속에서 귀족적 공공성(公共性)이 재대로 구현돼 있는 사상(事象)에 대해서는 극히 긍정적 평가를 내리고 있는 반면 그 반대의 경우는 부정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는 바, 이로 볼 때 기본적으로는 「예(例)」 지향적인 인물이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본문 중의 주기(注記)부분을 검토해보면 한편으로 사물을 상대화시켜 보려는 시각 또한 견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는데 전시대의 귀족 취향의 소재와 함께 당대의 서민을 다룬 이야기가『古今著聞集』 안에 공존할 수 있었던 것은 『例』 뿐만 아니라 상식과 주관으로 사물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안목을 겸비하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소화의 중세적전개 : 『 고금저문집 』 의 「 흥언이구 」 편을 중심으로

        오찬욱 한국일어일문학회 1998 日語日文學硏究 Vol.33 No.1

        平安時代末부터 鎌倉時代初까지의 笑話를 모아놓은 「古今著聞集」의「興言利口」編은 담론의 형식이나 내용이 集中의 여타 編에 비해 이질적이다. 형식면에서는, 冒頭形式이 定型을 벗어난 이야기가 다수 포함되어 있는 점과 前後의 이야기가 공통의 連想契機에 연결되는「二話一類樣式」의 說話配列이 폭넓게 전개되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는데 이는 編者가 街談巷說로서의 성격이 강한 同篇의 物語性에 주목, 이를 살리고자 취한 의도적 조치로 보인다. 한편 내용에 있어서는 재치 있는 발언이나 행동이 웃음발생의 계기가 되는 경우와 그러한 것들의 결여가 웃음의 대상이 되는 경우로 대별되는데, 前者로는 隨身, 女房 僧侶 등 知的인 인물이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고 後者로는 하급귀족이나 시골사람 등, 遺族社會의 底邊部를 形成하고 있던 사람들이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中古時代의 笑話를 모아놓은 『今昔物語集』の 第28卷과「興言利口」篇의 설화를 비교해보면, 前者가 서사형식에 있어 예의 「今ハ昔…トナム語り傳へタルトヤ」라는 틀의 규제로부터 한 걸음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데 비해 後者는 부분적이기는 하나 자유로운 서사형식이 모습을 드러내고 있고, 문장이나 문체도 스토리를 장황하게 늘어놓는 방식에서 웃음 자체에만 포인트를 둔 짧고 간결한 방향으로 변화하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今昔物語集』에서는 볼 수 없는 猥褻談 의 존재는 근세의 艶笑談의 先驅를 이루는 것으로 평가되며, 이야기 끝에 <落ち>를 도입한 점도 笑話의 재미를 한 단계 올려놓은 것이라 할 수 있는데「興言利口」篇은『今昔物語集』에서 시작된 笑話를 近世의 笑話文學으로 이어주는 架橋的 역할을 담당하였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