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급 공동체의식이 집단 따돌림 관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주변인 유형(방관자, 가해동조자, 피해자 방어자)을 중심으로

        오지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집단 따돌림은 집단적이고 사회적인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또래집단 맥락에서 일어나며, 가해자가 집단 내의 다른 구성원들의 묵인이나 동조와 같은 지지를 얻으며 지속되므로 가해자와 피해자를 제외한 주변인 유형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 따돌림을 예방하기 위하여 집단 따돌림이 일어났을 때 관여하는 학급 구성원들 중 주변인 유형에 주목하였다. 집단 따돌림 감소를 위하여 폭력을 허용하지 않는 학급 분위기 형성이 중요한데, 이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학급 공동체의식이다. 미국에서는 1980년대 초부터 포괄적인 학교 개혁으로, 학교를 돌봄의 공동체로 만들고자 하는 Child Development Project로 개별적인 접근으로 예방이 어려웠던 청소년의 문제행동인 약물남용, 흡연, 폭력 등)에서 큰 효과를 보였다. 집단 따돌림에 대하여 학급 전체 구성원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즉, 역할 유형화를 통하여 학급 구성원의 다수를 차지하는 주변인 유형이 피해자를 방어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개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학급 공동체의식이 집단 따돌림 관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설 1. 학급 소속감은 집단 따돌림 관여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의사결정 관여는 집단 따돌림 관여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학급 공동체의식의 어떤 하위변인이 집단 따돌림 관여 행동의 주변인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설 3. 학급 공동체의식의 하위 변인인 방관자와 가해동조자의 행동 차이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 학급 공동체의식의 하위 변인은 가해동조자와 피해자 방어자의 행동 차이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5. 학급 공동체의식의 학위 변인은 방관자와 피해자 방어자의 행동 차이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위의 가설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급 공동체의식과 집단 따돌림 관여 행동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울, 부산, 경기, 충남, 경북, 경남 지역의 7개 중학교 학생 1,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범주형 회귀분석을 통하여 관여 행동의 유형을 구분하고 학급 공동체의식이 집단 따돌림 관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주변인 유형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학급 공동체의식의 하위 변인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 따돌림 관여 행동을 유형화 한 결과는 방관자, 피해자 방어자, 피해자, 가해자, 가해동조자 순의 빈도로 나타났다. 학급 소속감과 의사결정 관여는 모두 집단 따돌림 관여 행동에 유의하게 나타났다(가설 1, 2). 특히, 학급 소속감이 의사결정 관여보다 큰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변인 유형을 중심으로 어떤 요인이 그들의 차이를 크게 만드는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학급 소속감을 더 느낄수록 방관행동보다는 가해 동조행동을 하는 경향이 유의하게 나타났다(가설3). 학급 소속감을 더 느끼고 의사결정에 많이 관여할수록 가해 동조행동보다는 피해자 방어 행동을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가설4). 또한, 학급 소속감을 더 느끼고 의사결정에 많이 관여할수록 방관 행동보다는 피해자 방어 행동을 하는 경향이 있다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가설5). 본 연구는 집단 따돌림이 발생하는 학교의 집단적 특성에 주목하여 주변인의 관여 행동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았고, 특히 공동체의식과 관련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집단 따돌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학급 공동체의식을 함양하도록 집단 따돌림 예방 교육의 내용에 대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평가에만 의존했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는 또래평가도 병행하여 보다 정확한 유형화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집단 따돌림 유형에 대한 문항에 응답할 때 학생들이 실제 행동하는 것을 기입하기보다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방향으로 응답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솔직한 응답을 유도하면서 학생들이 자신의 행동에 대하여 생각하고 행동에 대한 인식을 가지도록 한 뒤 설문조사를 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 제언은, 돌봄의 학교 공동체를 만들고 공동체의식이 알코올남용, 비행 등 다른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연구를 한다면 문제 행동 예방을 위한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 중학교 현대미술 비평 수업연구 : Feldman의 비평방법을 중심으로

        오지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술 비평은 20세기 현대미술의 성립과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20세기의 대표적인 비평가 중 한 사람인 Greenberg는 비평을 통해 형식주의의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미술 비평을 지적인 작업으로 향상시켰다. Rosenberg는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전개에 영향을 미쳤으며, Danto는 예술의 죽음 이후 무한한 자유를 얻은 예술과 제도론 미술에 큰 공헌을 한바가 있다. 이와 같이 미술 비평이 현대미술에 미친 영향을 고려하였을 때, 학생들이 현대미술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미술 비평을 경험하고 이에 대해 아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미술 비평교육은 Picture Study Movement, School Arts 등으로 학교 현장에서 시행되어왔지만, 현대미술을 이해하기 위한 미술 비평교육은 DBAE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DBAE의 여러 학자들이 미술 비평교육에 대해 연구하였지만, 가장 널리 쓰이는 미술 비평모형을 개발한 사람은 Feldman이었다. Feldman은 교사와 학생들이 간단한 질문을 통해서 미술 비평의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미술 비평모형을 제안하였다. Feldman의 비평모형은 체계적으로 개발된 최초의 미술 비평모형으로서 기득권을 갖고 있으며 적용이 편리하여, 비판을 받는 가운데서도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2009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에서도 미술비평은 중요한 내용 체계 중 하나로서 다뤄지고 있다. 미술 비평은 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안인 2009개정에서 처음으로 내용체계의 중영역으로 편재되었다. 이 뿐만 아니라 미술 과목의 목표에서도 ‘미술의 가치를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고 하면서 미술 비평의 중요성을 밝히고 있다. 따라서 2009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도 미술 비평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Feldman(1990)의 미술 비평모형을 적용한 현대 미술 비평수업의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Feldman(1990)의 미술 비평모형의 적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미술 감상과 미술 비평이 무엇인지를 살피고, 미술 비평 교육과 현대 미술 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및 내용체계와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과 수업 도구를 조사하여, 연구 결과로서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한 Feldman(1990)의 미술 비평모형을 적용한 현대 미술의 비평 수업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자는 현대미술을 이해하기 위한 비평수업을 개발하였다. 수업 내용은 Feldman(1990)의 미술 비평모형을 활용하여 Andy Warhol과 Cornelia Parker의 작품을 비평하는 것이다. 본 프로그램은 블록타임제가 적용된 6차시의 교수-학습 지도안으로 작성하였다. 둘째, 3인의 현직 교사들로부터는 비평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아울러 교사의 설명, 동기유발, 작품의 제시 등에서 수정해야할 사항을 피드백 받았으며 이를 반영하여 교수-학습지도안을 수정하였다. 결론적으로 Feldman(1990)의 미술 비평모형을 효과적으로 적용한 현대 미술 비평수업이 개발되었다고 볼 수 있다. 본 수업에서는 Feldman(1990)의 미술 비평모형이 현재 미술교육 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반응 중심 모형을 응용하였으며, 교사와 학생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위해 게임, 질의응답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현대 미술을 이해하고, 미술 비평을 할 수 있도록 현대 미술의 비평 프로그램을 제시한다. 현대 미술 비평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미술과 교육과정의 목표인 ‘미술의 가치를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Art criticism has made a major impact on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20th-century modern art. Greenberg, who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critics of 20th century, laid the foundation for formalism and advanced the art criticism into an intellectual work through his criticisms. Rosenberg influenced post-modernism art in its progress and Danto contributed to the art of ultimate freedom after the so-called “death of art” and to the institutional theory of art. Thus,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art criticism on modern art, it is more than clear that the students need to experience and gain knowledge of art criticism in order to understand modern art. Although education on art criticism has been carried out on school field through Picture Study Movement, School Arts and more, DBAE was the very first to initiate the full-scale education of art criticism. Many scholars of DBAE conducted studies on art criticism but it was Feldman who developed the most widely used art criticism model. Feldman suggested a model which students and teachers could use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art criticism through simple questionnaires. His criticism model is the first systematically organized model with vested rights and it is easily applicable and extensively accepted despite the criticisms. Even in the 2009 revised edition of art and education system, the contents of art criticism have been dealt as one of the most major issues. The 2009 revised edition, which is the 7th revised version, included art criticism into middle school curriculum. Moreover, it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art criticism by stating the objective of art course as ‘enhancing the capability to comprehend and make sound judgment on the value of art’. Thus, in order to attain the goal of 2009 edition of art and education course, the model of art criticism is a necessity.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odern art criticism program applying Feldman’s model (1990) targeting students of second-year middle school. In addition, the study intends to look for a way to apply Feldman’s model more effectively. Through pilot study, the researcher defined an 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art and theoretically examined contemporary art education. Furthermore, the educational course, system of contents and textbooks were analyz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on study targets and teaching tools, the study developed a modern art criticism guidance plan targeting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for art criticism class. The followings ar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First, the researcher developed a criticism class to understand modern art. The content of the class was to make criticisms on works of Andy Warhol and Cornelia Parker, based on applications of Feldman’s model of art criticism (1990). This program was drawn for six classes with block time applied of teaching-and-learning guidance plan. Second, three current school teachers evaluated the program as easily accessible. To add on, the teaching-and-learning guidance plan was revised according to the feedbacks received on teacher’s instructions, motivational drives, presentations of work, and so on. Conclusively, the modern art criticism class effectively applying Feldman’s model of art criticism was developed. In this class, the investigator used response-based model in an attempt to increase efficacy of applying Feldman’s model (1990) in the art education site and utilized games and question-and-answer sessions for active interaction between educators and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modern art criticism program that helps students to understand modern art and provides opportunity to make criticisms of art. As the modern art criticism program is practiced, the objective of art and education which is ‘the ability to acknowledge the value of art’ can be achieved.

      • 인류세의 미술을 활용한 생태적 감수성 함양 수업 방안

        오지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ctive intervention in ecological crisis issues, including rising sea levels due to climate change, large wildfires in the Brazilian Amazon, and the outbreak and spread of COVID-19. Along with the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the term “Anthropocene” has begun to spread and become widely recognized. Anthropocene is a concept referring to the human era in which human influence on the global environment and ecosystem has increased dramatically. The perception of the "Anthropocene" has led to a cognitive shift that allows humans to look at the planet as a unit and look at humans from the perspective of a species, re-looking at the proble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environment. In this respect, artists accuse the destroyed and collapsed ecology in various ways under the theme of "Anthropocene," foreshadowing a bleak future or showing newly adapted nature. The art field has expressed the Anthropocene by approaching it in a unique aesthetic way through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and convergence of media and technology. This can enable new aesthetic experiences for students who will live in the future, and plays a role in enabling various thoughts about humans, nature, and life. Ecological art education programs using the art of the Anthropocene can evoke students’ dull senses with unexpected themes and image experiences and give them new enlightenment. In addition, the ecological art education program with a post-humanistic approach that deviates from anthropocentrism expands the horizon of ecological thinking and allows it to move toward concrete practice. Therefore, this study develops and applies elementary ecological art education programs using the art of the Anthropocene. This study aims to develop ecological sensitivity content elements applicable to ecological art education and to foster learners’ ecological sensitivity by proposing ecological art education programs using anthropogenic art. The ecological art education program consists of activities to experience, express, and apprec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on-human actors and learners using the art of the Anthropocene, and analyzes the impact of these activities on learners’ ecological sensitivity capabilities.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ngnam-si. A total of eight lessons were planned, and this class program was designed to gradually improve and integrate the practical aspect of interaction with non-human beings from the aspect of aesthetic perception of non-human beings among the ecological sensitivity content elements of anthropological art.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program, data such as observation, recording, questionnaire, and activity results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our elements of ecological sensitivity in the area of aesthetic perception and interaction of non-human beings.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by conducting an ecological art education program using the art of the Anthropocene develop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showing the diversification of natural concepts and clarifying the subject responsible for the ecological crisis, the aspect of materiality perception of non-human existence has been improved. Identifying the materiality of non-human beings basically includes recognizing various non-human beings and realizing that if environmental destruction continues, not nature as an infinite being, it will someday reach its limit. Second, by identifying the history of individual non-human beings, recognizing changes in meaning over time, and showing a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the life of non-human beings, the aspect of recognition of the history of non-human beings has improved. Behind the present appearance on one screen, it expresses an individual history that relates the past and the future in a different way from the present, whether positive or negative. In addition, it looked at the history of individual non-human beings and showed various emotional reactions during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ir lives in multiple ways. Third, ecological sensitivity in terms of feeling entangled with non-human beings was improved through various emotional reactions of learners when encountering non-human beings and the process of forming special meanings between non-human beings and learners. Through the activity of sensing non-human beings around learners and mapping senses, including non-human beings, learners expressed various emotions about non-human beings existing around their living base during the process of forming experiences and emotions about places. In addition, based on a friendly relationship perception of the objects, learners were able to specifically talk about what it means to them. Fourth, ecological sensitivity in terms of responding to non-human beings has been improved through understanding and empathizi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non-human beings, developing of practical expression with Ecological Imagination. For non-human existence, students were able to think their characteristics and create space for them based on humans. In addition, the future, these methods were expected to be a more natural life. In response to "non-human existence" was found to produce various severe meaningful meaning of "Responsibility" and "Responding to requests for help from non-human beings" The limitations faced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existing environmental problems focused on natural "pollution" problems caused by human behavior and human "damage" and regulated human behavior, but art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prepare for the future as a solution beyond that alternative. New alternative approaches can be obtained from the movements of the art field advocating the Anthropocene. Second, a critical approach to the term non-human existence itself needs to be presented. The use of somewhat ambiguous forms of terms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an cause difficulties in selecting more specific actors and interpreting their behavior.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in more detail, which will make learners' understanding clearer during the process of building ecological literacy, including ecological sensitivity Third,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cological literacy, human-non-human relationships, environmental protection education, including current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limate change respons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how it can differentiate from the existing environmental education discourse by evoking a new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not just the narrative of natural pollution and natural recovery. Through this, more specific programs of art education and ecological sensitivity improvement education in the Anthropocene era can be sought.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브라질 아마존의 대형 산불, 코로나19의 발생과 확산 등 생태 위기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인류세(Anthropocene)라는 용어가 대중적으로 확산되고 인식되기 시작했다. 인류세는 지구 환경 및 생태계에 대한 인간의 영향력이 극적으로 증가한 인간의 시대를 지칭하는 개념이다. ‘인류세’에 대한 지각은 인간들로 하여금 행성을 하나의 단위로 바라보게 하며, 인간을 하나의 종의 관점에서 바라보게 되면서 인간과 환경의 관계성의 문제를 다시 바라보게 하는 인식적 전환을 불러왔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미술가들은 ‘인류세’를 주제로 다양한 방식을 통해 파괴되고 붕괴된 생태를 고발하며, 암울한 미래를 예고하거나 혹은 새롭게 적응한 자연을 보여준다. 미술 분야는 학제 간 협업과 매체 및 기술의 융합을 통해 독특한 미학적 방식으로 접근함으로써 인류세를 표현해왔다. 이는 미래를 살아갈 학습자들에게 새로운 미적 체험을 해줄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인간과 비인간, 생명에 대한 다양한 사유를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인류세의 미술을 활용한 생태미술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로 하여금 생각지 못한 주제와 이미지 경험으로 무뎌진 감각을 환기시키며 새로운 깨달음을 줄 수 있다. 또한 인간중심주의에서 벗어난 포스트 휴머니즘적 접근의 생태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생태학적 사고의 지평을 넓히고 구체적인 실천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인류세의 미술을 활용하여 초등 생태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한다. 본 연구는 생태미술교육에 적용 가능한 생태적 감수성 내용 요소를 개발하고 인류세의 미술을 활용한 생태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여 학습자의 생태적 감수성을 함양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생태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인류세의 미술을 활용하여 비인간 행위자들과 학습자들이 맺어온 관계성에 대해 체험, 표현, 감상하는 활동들로 구성하였고 이 활동들이 학습자의 생태적 감수성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수업 프로그램을 통해 인류세 미술의 생태적 감수성 내용 요소 중 비인간 존재에 대한 미적 인식의 측면으로부터 비인간 존재와의 상호 작용이라는 실천적 측면을 단계적으로 향상 및 통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은 비인간 존재의 미적 인식 영역에서 물질성, 역사성 인식하기와 비인간 존재와의 상호 작용 영역에서의 얽힘 느끼기, 응답하기의 생태적 감수성 내용 요소별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류세의 미술을 활용한 생태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 개념의 다분화 및 생태 위기에 대한 책임 주체를 명확히 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비인간 존재의 물질성 인식 측면이 향상되었다. 비인간 존재의 물질성을 파악한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다양한 비인간 존재를 인식하고 있다는 것과, 무한한 존재로서의 자연이 아니라 이대로 환경파괴가 지속된다면 언젠가 한계점에 도달할 것이라는 깨달음을 포함한다. 둘째 비인간 존재 개별의 역사를 파악하여 시간에 따른 의미 변화를 인식하고 비인간 존재의 삶을 다면적으로 이해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비인간 존재의 역사성 인식 측면이 향상되었다. 한 화면에 현재의 모습 이면에는 과거, 미래를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현재와는 다른 모습으로 관계 맺는 개별의 역사를 표현하였다. 또한 비인간 존재 개별의 역사를 살펴보며 그들의 삶을 다면적으로 인식하는 과정 중에 다양한 감정적 반응을 나타내었다. 셋째 비인간 존재와의 마주칠 때 나타난 학습자의 다양한 감정 반응과 비인간 존재와 학습자 간 특별한 의미 형성 과정을 통해 비인간 존재들과의 얽힘 느끼기 측면의 생태적 감수성이 향상되었다. 내 주변 비인간 존재를 감각하고 비인간 존재를 포함한 감각의 지도를 그리는 활동을 통해 장소에 대한 경험과 감정을 형성하는 과정 중 자신의 생활 근거지 주변에 존재하는 비인간 존재에 대한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게 되었다. 또한 그 대상들에 대해 친근한 관계 인식을 바탕으로 그것이 나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가를 구체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다. 넷째, 비인간 존재의 특성을 이해하며 공감하는 모습과 함께 생태학적 상상력을 동반한 실천적 표현의 발전을 보임으로써 비인간 존재들에게 응답하기 측면의 생태적 감수성이 향상되었다. 비인간 존재에 대해 학생들은 나름대로 그들의 특성을 생각하고 인간과 동등한 관계를 바탕으로 한 그들을 위한 공간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미래에는 이러한 방식들이 더 자연스러운 삶의 양식이 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마주한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환경 문제들은 인간의 행위에 의한 자연 ‘오염’ 문제와 인간의 ‘피해’에 초점을 두고, 인간의 행위를 규제하는 형태였지만 그 대안을 넘어선 해결책으로 미래를 대비할 수 있게 하는 미술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인류세를 표방한 미술 분야의 움직임들로부터 새로운 대안적 접근들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비인간 존재란 용어 자체에 대한 비판적 접근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다소 모호한 형태의 용어 사용은 보다 구체적인 행위자 선정과 그들의 행위성을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불러올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를 위해서 인간-비인간의 관계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낼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생태적 감수성을 포함한 생태 소양을 쌓는 과정 중 학습자들의 이해를 보다 명확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생태 소양에 대한 연구,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들과 현재 환경교육을 위시한 환경보호 교육, 기후변화 대응 교육 간의 관계 설정을 보다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단순히 자연 오염, 자연 복구의 서사가 아니라 인간과 자연의 새로운 관계 맺기를 환기 시킨다는 것이 기존의 환경교육 담론과 어떤 차별점을 만들어낼 수 있는지 고민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인류세 시대의 미술 교육과 생태적 감수성 향상 교육의 보다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 『정신현상학』의 「자기의식」 장에 대한 두 해석 비교 : 상호주관적(intersubjektiv) 해석과 내부주관적(intrasubjektiv) 해석을 중심으로

        오지원 서울시립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독일 철학자 게오르크 헤겔의 저작 『정신현상학(Phänomenologie des Geistes)』의 「자기의식(Selbstbewusstsein)」 장에 등장하는 인물의 수에 대한 논쟁을 다룬다. 「자기의식」 장은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이 등장하는 것으로 유명한데, 혹자는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을 개인들 간의 투쟁으로 보기에 주인과 노예를 각기 다른 개인으로 보지만, 여기에서 의식 내부의 문제가 다루어진다고 보는 이들은 주인과 노예를 한 의식 내의 다른 측면에 대한 비유로 본다. 전자처럼 둘 이상의 개인이 등장한다고 보는 해석을 상호주관적(Intersubjektiv) 해석이라고 부르며, 후자처럼 하나의 개인이 등장한다고 보는 해석을 내부주관적(Intrasubjektiv) 해석이라고 부른다. 본 논문에서는 상호주관적 해석을 주장하는 대표적인 인물인 알렉상드르 코제브(Alexandre Kojève)와 내부주관적 해석을 주장하는 대표적 인물인 존 맥도웰(John McDowell)과 베르너 베커(Werner Becker)의 해석을 비교한 뒤, 양측이 갖는 문제를 보완하여 새로운 상호주관적 해석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the controversy about the number of characters which appear in the chapter named "Self-Consciousness" in Phenomenology of Spirit written by G. W. F. Hegel. Because of the abstruseness of the so-called 'master/slave dialectic' involved in this chapter, there is a controversy between the intersubjective interpretation and the intrasubjective interpretation. For the intersubjective interpretation, what is explained by this dialectic is the struggle between literally individual people. On the other hand, it is the problem generated in the inner consciousness that the intrasubjective interpretation considers as the main subject of this dialectic. In this paper, I offer critical explanations of the interpretations of Alexandre Kojève, who provides a classic intersubjective interpretation, of John McDowell and Werner Becker, who criticize the intersubjective interpretation and interpret this dialectic as an allegory for the problem of the inner consciousness. Finally, I suggest a new intersubjective interpretation by correcting flaws in those interpretations.

      • 자존감과 고독감 및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폭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오지원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자존감과 고독감, 스트레스가 폭식습관, 폭식행동, 폭식후 느끼는 부정적인 감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폭식(binge eating)의 측정은 Smith와 Thelen(1984)가 제작하였고 윤화영(1996)이 번안한 폭식증검사를 사용하였다. 스트레스는 최해림(1986)의 스트레스 대응질문지 중 가정생활(가족/경제)과 친구/대인관계를 묻는 문항들을 선발하여 측정하였다. 자존감은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고독감은 한국판 UCLA고독감 척도 중 친구관계를 묻는 문항과 가족관계를 묻는 문항들을 위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는 대학생 171명이 참여하였다. 자존감, 고독감, 스트레스와 그 하위요인들은 평균치를 기준으로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을 분류하고 집단별 폭식습관, 폭식행동, 폭식관련 부적감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존감이 낮을수록 폭식습관, 폭식행동, 폭식관련 부적감정이 높았다. 둘째, 고독감이 높을수록 폭식습관, 폭식행동, 폭식관련 부적감정이 높았다. 셋째, 자존감이 낮고 고독감이 높은 집단은 폭식습관, 폭식행동, 폭식관련 부적감정이 높았다. 넷째, 스트레스중 가족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폭식과 관련행동과 부적감정이 높았다. 다섯째, 고독감 중 친구고독감이 높을수록 폭식관련 행동과 부적감정이 높았다. 본 연구는 심리적인 요인으로 자존감과 고독감과 가족스트레스가 폭식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는 것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일반대학생들의 경우 친구관계에서 고독감을 많이 느끼거나 자존감이 낮은 사람일수록 폭식행동을 할 경향이 있음을 시사해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e how the self-esteem, loneliness and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influence their act of binge-eating and the negative feelings of its aftermath. To do this work, 'The Examination of Binge -eating' (1984) by Smith and Thelen, translated by Yun Hwa-young, is used for the part of binge-eating. The section, which contains the questions about familial life and social relationships, in "Choi Hae-lym's questionnaire" is selectively used for the part of stress and "The Measurement of Self-esteem" (1965) by Rosenberg for that of self-esteem. To estimate the degree of loneliness, the section, which contains the questions of the relationships with friends, in Korean Measurement of UCLA Loneliness is used and the loneliness in the familial relationship is estimat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executed by the researcher. 171 questionnaires of university students are used as data in the study.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ss the feeling of self-esteem is, the more the act of binge-eating and the higher its associated negative affect are. Second, the act of binge-eating and its associated negative affect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degree of loneliness. Third, the higher the feeling of loneliness and the less the feeling of self-esteem, the more the act of binge-eating and its associated negative affect are. However, although the high degree of stress doesn't have an effect on the act of binge-eating, it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the stress caused by famil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The study could be found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how such psychological factors as self-esteem and loneliness influence the act of binge-eating and as a result of that, suggests that people who lack self-esteem and are isolated from personal relations tend to indulge in binge-eating.

      • 공직자 유연근무제 사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오지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민간부문과 공공부문 전반에 있어 유연근무제 사용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유연근무제 확산은 더욱 심화되어 뉴노멀(New Normal)이 될 전망이다. 조직 구성원에게 유연근무제는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의 측면에서 강조되어 이를 통한 생산성 향상, 근무 여건 개선, 궁극적으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요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공직사회에서 법으로 보장된 유연근무제도는 경직된 공직사회 분위기, 직급에 따라 다른 유연근무제 참여율, 주로 고위직 공무원들이 많이 사용한다는 점, 상사와 동료로부터 눈치, 민원 공백을 우려한 소극적 태도 등의 방해 요인에 의해 사용이 저해되고 있다는 점이 꾸준히 지적되어 왔다. 유연근무제가 조직과 개인 모두에게 중요하고 변화하는 환경에서 강조됨에도 유연근무 사용 및 활성화의 영향요인을 검증한 선행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다수의 연구가 넓은 범위에서 일과 삶,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한 정책의 선행 요인을 주로 다루고 있을 뿐 구체적으로 유연근무제 사용의 선행 요인을 다룬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공공부문에서의 유연근무제 사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는 제한되어 있으며 사용 결과에 주로 편향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공무원 조직을 대상으로 개인 수준과 조직 수준에서 직무 특성 요인, 관리적 요인, 개인적 특성, 조직문화가 유연근무제 사용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제공하고 일반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진행된 2017년, 2018년, 2019년도‘공직생활실태조사’3개년 설문조사를 이용하였으며, 주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개인 수준에서는 공무원의 유연근무제 사용으로 하여 로지스틱 분석을, 조직 수준에서는 각 기관의 유연근무제 사용 인원 비율로 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요한 분석 결과와 함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개인 수준의 로지스틱 분석 결과를 먼저 살펴보면, 직무 특성으로 직무 자율성은 유연근무제 사용에 정(+)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지만 업무 모호성은 유연근무제 사용에 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공무원의 유연근무제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서 공직자에게 업무의 자율성을 부여하되 업무 명확성을 높여주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관리적 요인인 상사지원인식은 유연근무제 사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무원의 유연근무제 사용을 지지하는 개방적인 태도가 상사에게 필요함을 의미한다. 개인적 특성으로 여성일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자녀의 수가 많을수록 유연근무제 사용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직급이 높을수록 유연근무제 사용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개개인의 차별화된 수요를 반영하여 유연근무제 운영의 다각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조직 수준에서의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조직문화변수만 포함된Model 1 에서 과업지향적 조직문화가 유연근무제 사용 인원 비율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본 연구의 가설과는 반대되는 결과로 성과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라면 공무원은 유연근무제를 더 사용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직무 특성 변수를 추가한 Model 2에서 직무 자율성 역시 유연근무제 사용 인원 비율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적 요인 변수를 추가한 Model 3에서는 Model 1과 Model 2에서의 성과지향적 조직문화와 직무 자율성이 유연근무제 사용 인원 비율에 각각 미치는 결과가 유지된 한편, 추가적으로 위계적 조직문화가 유연근무제 사용 인원 비율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종 Model 4에서 개인적 특성 요인이 마지막으로 투입되었을 때, 앞서 언급한 성과 지향적 조직문화, 위계적 문화, 직무 자율성이 각각 유연근무제 사용 인원 비율에 미치는 통계적 유의미성이 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개인적 특성인 연령만이 유연근무제 사용 인원 비율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determinants of flexible work arrangement (FWA) use of public officials in Korean context. Since the pandemic of the coronavirus(COVID 19), the use of FWA has rapidly risen in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 and it became a new normal. For organizational members, FWA is important for the work-life balance,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and ultimately the quality of life. However, in the public sector, the implementation of FWA has been hampered by factors such as the rigid atmosphere of organizations, varied participation rate depending on the rank, and the passive attitude toward the use of FWA. In particular, research on the determinants of FWA use of public officials is limited in that most existing studies largely focused on the outcomes of FWA usage.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the research framework comprehensively considered task characteristics, managerial facto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ulture. Using the data of ‘Public Employee Perception Survey’ conducted in 2017, 2018, and 2019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this research examined the framework both at the individual level an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For the individual-level analysis, the research used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hile it conducte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the organizational-level analysis. The major analysis results at the individual level were as follows. Task autonomy increased the use of FWA, whereas task ambiguity decreased it. Regarding managerial factors, supervisory support increased the use of FWA. Besides,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use of FWA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individual needs including marital status, number of children, age and position.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were as follows. Model 1 including organizational culture variables only demonstrated the positive effect of performance-oriented culture. Model 2 which added task characteristics variables showed that task autonomy increased the proportion of the FWA use at the organizational level. Model 3 which added managerial factors variables also confirmed the effects of performance-oriented culture and task autonomy in Model 1 and Model 2. In addiion, the model 3 also demonstrated the negative effect of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However, in Model 4 which included all variable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aforementioned factors, performance-oriented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task autonomy, was diminished. It was found that only average age leve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oportion of the FWA use at the organizational level.

      • 사회적 소통의 맥락 이해를 통한 고전소설 교육방법 연구 : <임진록>을 중심으로

        오지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uthor of this research aims to allow the reader to first learn about our forefathers’ active literary lifestyles and to discover the thoughts, values, and overall lifestyles of our ancestors. The study then seeks to allow the modern day reader to understand these findings and reflect them upon himself to eventually “internalize” these values of our ancestors as his own. Classic literature was produced across different periods in history by groups of people who shared similar thoughts and values that are distinct to that period. During the phases of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these literary works, they have been made more popular progressively as slightly different accounts of the story were developed to reflect different literary knowledge and beliefs of the audience that they reached. Consequently, this process of reception and modification is an evidence that classic novels carry their significance as literary works that reflect our ancestors’ cultural values and ways of life. This research seeks to suggest an educational approach that does not simply throw some conventional ideas on the reader but makes him responsible for focusing on these characteristics of classic literature and deriving their significance on his own. For this purpose, I have defined the process where the work gets created and circulated in the general population-and the subsequent birth, development and morphing of main ideas throughout this stage-as the main mechanism of communication at the societal level. One of the works that effectively demonstrates such mechanism of societal communication and interconnection is <Imjinrok>, a literary masterpiece from the late Chosun dynasty. <Imjinrok> is a great representative work that can demonstrate the proposed educational approach because it has as its unique characteristic the fact that it is a joint creation and an alternative versio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way. First, in chapter II, analysis has been made on several factors associated with classic literature-such as its creation, development, distribution, and thematic elements-and their consequent influence on societal interacti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argument was thus established once this significance has been recognized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Chapter III contains detailed argument on <Imjinrok>’s “evolution” caused by its continuous travel through different layers of a given society, how this development influenced distinct versions,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work <Imjinrok> in helping to understand the societal interactive web. Chapter IV suggests four distinct stages of an educational approach based on arguments made in Chapter III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is societal interaction. These four stages consist of-increasing background knowledge of <Imjinrok>, comprehending its cultural elements in communication, expansion of the degree of societal interconnectivity by comparing different versions, and actively participating as a subject of communication. Furthermore, a guidance plan has been suggested for application in the teaching lessons. Finally, in chapter V, summary of the research was discussed along with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본 연구는 학습자가 우리 조상들의 능동적인 문학 향유 과정을 확인함으로써 고전소설에 담겨 있는 조상들의 삶의 모습과 사상, 정서를 이해하고 그 가치를 스스로 깨달아 내면화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전 소설 교육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전소설은 당대 사회와 집단의 삶과 사상, 정서를 공유하는 공동체의 일원으로서의 작가에 의해 생산되었으며 이렇게 생산된 작품은 그것이 유통되고 수용되는 과정 속에서 수용자의 문학적 소양과 의식을 반영하는 다양한 이본을 발생시킴으로써 보다 널리 향유되었다. 이처럼 고전소설이 작가에 의해 생산되고 유통되며 독자에 의해 수용되는 일련의 과정은 고전소설이 우리 조상들의 삶의 모습과 사상, 정서를 농밀하게 응축시켜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예술 작품임을 확인시켜주는 근거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고전소설의 특성에 주목하여 학습자에게 당위적인 차원에서 일방적으로 고전소설의 가치를 전달하는 것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 고전소설 작품 속에서 가치를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관점에서의 고전소설 교육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문학이 사회적인 차원에서 생산·유통·수용되고 이를 통해 의미가 생산, 전파, 확대, 재생산되는 과정을 사회적 소통의 맥락이라 정의하였다. 그리고 공동 창작으로서의 성격 및 이본이라는 독특한 존재 양식 속에서 고전소설이 갖는 사회적 소통의 맥락을 확인하여 조선 후기 대표적인 역사소설인 <임진록>을 대상으로 사회적 소통의 맥락 이해를 통한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되었다. 먼저 Ⅱ장에서는 고전소설의 발생 및 성장 과정과 유통 방식, 작품이 갖는 주제적 경향을 검토하여 고전소설이 갖는 사회적 소통의 맥락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사회적 소통의 맥락을 고전소설 교육에서 활용하는 가치 및 의의를 확인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가 대상으로 선정한 <임진록>을 사회적 소통의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작품에 드러나는 사회적 소통의 맥락을 역사의 문학적 형상화와 향유층에 따른 이본의 내용 변이로 보고 이를 중심으로 작품의 성격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사회적 소통의 맥락 이해를 통한 <임진록> 교육의 가치를 확인하였다. Ⅳ장에서는 현재 <임진록>의 교과서 수록 양상을 분석한 후 이를 통해 드러나는 문제점을 확인하고 Ⅲ장의 분석을 토대로 사회적 소통의 맥락 이해를 통한 <임진록>의 교수-학습 방법을 4단계로 제안하였다. 이는 역사소설로서 <임진록>의 성격, <임진록>의 다양한 이본 변이 양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자 스스로 작품 속에서 사회적 소통의 맥락을 찾고 이와 같은 경험을 통해 문학 소통 구조의 일원으로서 능동적인 문학 수용·생산의 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임진록> 이해를 위한 배경지식 활성화하기’ - ‘<임진록>의 문학적 소통 이해하기’ - ‘이본 비교를 통한 소통의 맥락 확장하기’ - ‘<임진록> 소통의 주체자로 참여하기’ 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교수-학습 방법의 단계를 적용하여 실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자료와 함께 2차시의 <임진록>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그동안의 논의를 요약, 정리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하였다.

      • Effects of Nurse Navigators during Transitions from Cancer Screening to the First Treatment Phase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오지원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Timely access to appropriate healthcare facilities has been known to reduce the incidence and death rates for cancer. To ensure the timely adherence to cancer diagnostic or treatment services, patient navigation program was created and its implementation was successful. However, controversies still remain until now on who should be playing the role of patient navigators. In addition, despite the phase between screening to the first treatment visit may be the most critical period for most cancer patients to reduce death rates, only one systematic review looked at the effects of patient navigation program during this perio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as to provide the evidence of the effects of nurse-led patient navigation on individuals transitioning from cancer screening to the treatment phase. Methods The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using eleven electronic databases (PubMed, CINAHL, Cochrane CENTRAL, EMBASE, Web of Science, ScienceDirect, PsycInfo, KoreaMed, KISS, RISS, and DBPIA). Two reviewers independently screened and selected eligible studies, extracted data, and evaluated quality of study designs using appropriate assessment tools. For continuous data, effect sizes were reported with Hedges’s g and 95% confidence interval. Effect sizes for dichotomous data were calculated with relative ratio. Fixed effect model was used if I2 value, a statistical measurement for heterogeneity, was less than 50%. Otherwise, random effect model was used. Results Nine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systematic review, and eight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Three studies we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the remaining six studies were non-randomized trials. Overall risk of bias was moderately fair. Nurse-led patient navigation program had favorable effects on reducing waiting times between screening to the first treatment visits (g = -0.359, 95% CI = -0.493 to -0.224), screening to diagnosis (g = -0.260, 95% CI = -0.384 to -0.135), and diagnosis to the first treatment visits (g = -0.249, 95% CI = -0.495 to -0.003). The nurse navigators also increased the rates of access to cancer diagnostic services (RR =1.146, 95% CI = 1.013 to 1.296). However, the effects on anxiety was not favorable to nurse navigators (g = 0.095, 95% CI = -0.144 to 0.334). Study participants from individual studies also reported high satisfaction level to nurse-led patient navigation programs. Conclusion Nurse navigators had a potential on reducing timeliness of care and increasing adherence rates and satisfaction level to care, but no sufficient evidence was identified on improving psychological outcomes. Further studies with rigorous study designs are needed in identifying the effectiveness of nurse-led navigation programs and the mechanisms of how nurse navigators may enhance psychological outcomes. 배경 적절한 의료기관에 대한 시기 적절한 접근은 암의 발생률과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환자들이 암 진단이나 치료 서비스를 시기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환자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고, 이 프로그램의 효과는 성공적 이였다. 하지만 환자 네비게이터로써 어떤 직종군의 사람이 가장 적절한가에 대한 논란은 지금까지 계속 되고 있다. 게다가 암 조기검진에서부터 첫 치료 방문 기간이 암환자의 사망률을 줄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기간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 중 이 기간 동안의 환자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한 연구는 단 한 개밖에 없었다. 목적 이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의 목적은 암 조기검진에서부터 첫 치료 방문 기간 동안 간호사가 주도한 환자 네비게이션의 효과에 대한 가장 최신의 근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방법 문헌 검색은 11개의 전자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PubMed, CINAHL, Cochrane CENTRAL, EMBASE, Web of Science, ScienceDirect, PsycInfo, KoreaMed, KISS, RISS, DBPIA). 두 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문헌 검색 및 선택과 데이터 추출을 하였고, 적절한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설계의 질을 평가하였다. 연속형 변수의 경우 효과 크기는 Hedges’s g와 95% 신뢰구간으로 보고하였고, 이산형 변수의 경우에는 상대위험도를 사용하여 보고하였다. 만일 통계적 이질성을 나타내는 I2 통계량 값이 50% 이상인 경우 고정효과모형을 사용하였다. 이 외의 경우에는 변량효과모형을 사용하였다. 결과 체계적 고찰에는 9개의 연구가 포함되었고, 메타분석에는 8개의 연구가 포함되었다. 세개의 연구는 무작위 대조 연구였고, 나머지 6개의 연구는 비무작위 대조 연구였다. 전체적인 연구의 비뚤림은 fair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메타분석 결과 간호사 주도 환자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은 암 조기진단에서 첫 치료 방문까지의 대기기간 (g = -0.359, 95% CI = -0.493 to -0.224), 암 조기진단에서 진단까지의 대기기간 (g = -0.260, 95% CI = -0.384 to -0.135), 진단에서 첫 치료방문까지의 대기기간 (g = -0.249, 95% CI = -0.495 to -0.003)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간호사 네이게이터들은 암 진단 의료서비스의 시기적절한 이용률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RR =1.146, 95% CI = 1.013 to 1.296). 하지만 간호사 네비게이터는 불안에 대한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g = 0.095, 95% CI = -0.144 to 0.334). 개개의 연구 참여자들은 간호사 주도 환자네비게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고하였다. 결론 간호사 네비게이터는 대기기간을 감소시키고, 시기적절한 암 진단 의료서비스의 이용률을 높이는데 있어 그 가능성을 보여주었지만 불안이나 부정적인 심리적 요인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는 충분한 근거를 찾기 어려웠다. 앞으로 간호사 네비게이터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더 엄격한 연구설계를 갖춘 1차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간호사 네비게이터가 암 환자의 부정적인 심리적 요인을 어떻게 감소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에 대해 더 알아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