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과 핵심역량 교육과정의 구현을 위한 정책적 접근

        오윤주 ( Oh Yun-joo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6 국어교육 Vol.0 No.154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2015 revised Korean curriculum in association with the core competency curriculum. Especially, this study explores the overall aspects of the Korean curriculum in terms of the policy. The overall introduction of the core competence curriculum is the most important aspect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ome researchers have discussed how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curriculum and core competencies. However, they have not yet been successful in creating a new identity of the Korean curriculum. As a result, more in-depth discussion is required in regard to this issue. This study focused on the educational governance surrounding the Korean curriculum. An approach from the policy dimension is required to make the core competency curriculum realized in the field of schools. Its core is the construction of a democratic, participant, and reflective governance. And this study has proposed to achieve this.

      • KCI등재

        디지털 시대 청소년 학습자의 미디어 서사 문식성 함양을 위한 문학교육 방안 연구

        오윤주(Oh Yun 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3

        이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로의 변화 속에서 미디어 서사 문식성을 중심으로 하여 학습자의 주체적 문학 향유 역량을 기르는 문학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미디어 서사 문식성은 서사 장르의 변화 양상을 민감하게 포착하고 향유할 수 있는 역량으로, 미디어 전반에 대한 활용 능력 및 비판적 성찰 능력을 아우르는 미디어 문식성과 함께, 미디어 서사에 대해 심미적 경험을 할 수 있는 심미적 문식성을 융합적으로 이르는 개념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미디어 서사를 적극적으로 향유하는 이들을 ‘미디어 서사 향유자’로 선정하고, 이들의 향유 양상을 ‘미디어 서사 장르 역량의 적극적 획득’, ‘심미적 수용 역량 및 심미적 재구성·창조 역량의 융합’, ‘사회적 활용 가능성의 극대화’, ‘미디어 서사를 둘러싼 비판적·윤리적 차원의 작동’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고등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수업을 구안, 실천한 후 ‘생비자로서의 가능성과 한계’, ‘향유와 성찰 사이의 거리 두기’를 문제 지점으로 포착하고, 미디어 서사 문식성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new horizons of literary education to cultivate subjective literary enjoyment in learners, focusing on media narrative literacy in the transition to the digital media era. Media narrative literacy can be considered as the ability to sensitively capture and enjoy changes inside the narrative genre. This is a concept that combines media literacy and encompasses the ability to use media and critical reflection, along with aesthetic literacy that enables an aesthetic experience of the media narrative. In this study, those who actively enjoy media narratives were categorized as “media narrative enjoyers.” Their typical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to be “acquisition of media narrative genre competency”; “fusion of aesthetic acceptance capacity, aesthetic reconstruction, and creation competency”; “maximization of social applicability”; and “critical and ethical perspectives on media narrative.” Based on these factors, the study designed and implemented a class for high school learners. Through this class, the study recognized Possibility and Limitation as a Prosumer and the Gap between Enjoyment and Reflection as problem points and suggested educational methods for making these factors the main subject of the digital media era.

      • KCI등재
      • KCI등재

        사회 정의 교육으로서의 소설 교육 연구 : 장강명의 <알바생 자르기>를 중심으로

        오윤주(Oh Yun 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본 연구는 사회 정의 교육으로서의 소설 교육 내용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먼저 사회 정의 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탐색한 후 사회 정의의 관점 및 소설 교육적 관점을 바탕으로 장강명의 <알바생 자르기>를 주요 텍스트로 삼아 분석하고, 이로부터 사회 정의 교육으로서의 소설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문학 작품 읽기는 독자로 하여금 타자의 삶을 상상하고 공감하도록 하는 한편 ‘공동-추론’의 장을 열어 분별 있는 관찰자의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사회 정의를 위한 공적 감정을 형성케 한다. 사회 정의로서의 소설 교육은 문학의 이러한 속성을 적극적으로 교육내용화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어갈 수 있는 역량을 기르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장강명의 <알바생 자르기>는 소설의 서사 전략을 통해 목소리를 소유하지 못한 타자의 목소리에 주목하게 함으로써 사회 정의에 대한 감각을 일깨운다. 또한 이 작품은 작가의 메시지를 선명하게 드러내지 않음으로써 인물에 대한 윤리적 평가를 독자 스스로 수행하도록 인도한다. 독자들은 작품 읽기를 통해 무엇이 정의로운 것인가를 묻는 공론장 속 모색의 과정에 참여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하여 사회 정의 교육으로서의 소설 교육 방안을 ‘소설의 수사적 장치를 경유한 윤리적 성찰’, ‘소설을 둘러싼 공론장의 활성화’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novel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realization of social justice. Using Chang Kang Myoung’s Fired as the main text, I intend to draw implications for social justice education. Literary works allow their readers to imagine and empathize with others’ lives. Moreover, by providing a “co-inference” field, the reader acts as a sensible observer, thereby forming public emotions about social justice. The novel education plan for social justice will develop the ability of learners to create a just society by actively presenting these attributes of literature as educational content. Chang Kang Myoung’s Fired awakens a sense of social justice by focusing on the previously unheard voices of others. Furthermore, this work does not clearly reveal the author’s message, leading readers to conduct their own ethical evaluations. Through the work, readers participate in an exploration process in the public sphere of what justice is. On this basis, this study proposes a novel-based education plan for social justice in the form of ethical reflection through a rhetorical device of fiction and the formation of an active public sphere surrounding the novel.

      • KCI등재

        시민 교육으로서의 소설 교육 -아르케 없음의 아르케를 향하여-

        오윤주 ( Oh Yun-joo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7 문학교육학 Vol.0 No.54

        이 연구는 공교육에서 소설 교육이 왜 필요한가 하는 질문에 대해 사회적요구의 관점에서 답하고자 하였다. 특히 시민 교육과 관련하여 소설 교육의 목표를 재정립하고 교육적 구도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시민 교육은 개인의 행복과 함께 공공의 선을 추구해 가는 인간을 기르는 일이다. 이는 특정한 교과나 형식적 절차로서만 달성될 수 없으며 교육의 모든 국면에서 주요한 목표로 추구되어야 한다. 소설은 개인과 공동체의 `인간다움`을 묻는 장르이다. 그 이상태로 구체화된 사회 체제가 `민주적 시민 사회`라고 한다면, 소설 교육은 시민교육의 구도 속에서 매우 중요한 소임을 맡고 있다고 하겠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시민` 개념의 역사적 변천과 우리 사회에서의 위상을 살핀 후, 소설 교육 속 시민교육의 현황 및 지향점을 탐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민 교육으로서의 소설 교육이 어떤 구도를 지녀야 할 것인가를 목표, 내용, 방법, 맥락 등의 차원에서 개괄적으로 모색하였다. 특히 이 연구는 시민 교육과 소설 교육의 접점으로서 `아르케 없음의 아르케-원리 없음의 원리`에 주목하였다. `아르케`는 세계를 구성하는 절대적 준거점으로서의 원리를 말한다. 민주주의와 소설은 이 아르케의 지배를 거부하며 들리지 않는 목소리들에 귀를 기울이고, 그들에게 중심의 자리를 내어주고자 한다. 소설은 허구의 세계를 축조하고 유희하며 타자와의 공통감각을 형성하고, 주체와 세계의 절대성을 흔드는 방식으로 시민을 위한 교육을 향해 간다. This study aims to redefine the goals of novel education in terms of social needs and to propose the structure of novel education in relation to citizen education. In this study, I first examin how the concept of “citizen” has been formed in our society, and then I investigate the status and direction of citizen education and novel education. Based on this, I suggest novel education as citizen education in terms of goals, content, method, and context. In particular, this study proposes “Arche that there is no Arche” as a point of contact between civic education and novel education. “Arche” derived from Greek mean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the world. Democracy and novels refuse to be ruled by this Arche, listen to unheard voices and give them a central place. The novel constructs a fictional world, and shakes the absoluteness of the subject and the world. Through this process, novel education help educate citizens.

      • KCI등재

        웹툰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국어교육 연구

        오윤주 ( Oh¸ Yun-joo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1 문학교육학 Vol.- No.72

        본 연구에서는 웹툰이 청소년의 주요 문화 향유 장르로 급부상하였음에 주목하고, 웹툰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국어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웹툰 문식성은 웹툰 장르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 텍스트에 대한 분석적·비판적·심미적 경험을 주체적으로 수행하며 웹툰을 둘러싼 상호작용의 맥락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역량을 의미한다. 웹툰 장르는 책 문화와 멀티미디어 문화의 융합, 조형 예술과 언어 예술의 융합, 장르와 장르들 간의 융합 등 혼종성과 융합성을 주요 특성으로 갖는다. 또한 웹툰은 서사성과 비서사성의 공존, 생산 및 수용 주체 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성 및 당대성의 돌출이라는 특성을 드러낸다. 본 연구에서는 웹툰 문식성을 기능적 문식성, 비판적 문식성, 문화적 문식성, 심미적 문식성으로 범주화하여 그 교육적 구체화 방안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생활세계를 둘러싼 미디어 문화에 주목하고 그에 대한 교육적 지원을 구상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noted the emergence of webtoons as a major cultural genre for teenagers and examined ways to promote webtoon literacy among Koreans. Webtoon literacy refers to the ability to actively engage in interactions surrounding webtoons through analytical, critical, and aesthetic experiences of the text,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genre. Webtoons have hybridity and convergence characteristics such as convergence of book and multimedia cultures, fusion of formative and language art, and fusion between genres. They also show the coexistence of narrative and non-story characteristics, active interaction between production and acceptance aspects, and the expression of contemporaryity. To explore educational specifications, this study structured webtoon literacy into four categories: functional, critical, cultural, and aesthetic.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has focused on the media culture surrounding the learner’s world and conceived educational support for it.

      • KCI등재

        심미적 경험으로서의 소설 교육

        오윤주 ( Oh Yun-joo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7 문학교육학 Vol.0 No.55

        이 연구는 심미적 경험으로서의 소설 교육에 주목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소설은 언어라는 재료로 이루어진 예술 작품으로서의 속성을 지닌다. 그러므로 소설에 대한 이해는 예술 교육의 한 영역으로서 심미적 경험에 초점을 두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그간 우리의 소설 교육에서 심미성은 구호의 차원에 머무르며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였다. 많은 소설 수업들은 인지적 분석 혹은 윤리적 가치의 강조에 치우치거나 학습자의 주관적 정서 체험에 방점을 두었다. 한편 소설에 대한 심미적 접근은 사회적 맥락이나 윤리적인 가치와 단절되어 `미` 개념 자체에만 집중하는 협소한 의미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이 연구는 심미적 경험이 소설에 대한 인지적, 정서적, 윤리적 접근을 모두 아우르는 총체적인 것이라는 데에 주목하고, 학습자의 삶과 당대의 사회적 맥락 속에서 학습자가 자신과 세계를 함께 변화시키며 성장해 가는 미적 향유의 소설 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focuses on novel education and seeks to embody it as an aesthetic experience. A novel is an arrangement of meaningful symbols, and is also an art work based on language. Therefore, understanding of novels should be done collectively based on the aesthetic experience. In the present state of novel education, aesthetics remain on the level of slogans and has not been properly shaped. In many cases, novel lessons focus on cognitive analysis or emphasis on ethical values, or to focus on learners` subjective emotional experiences. On the other hand, the aesthetic approach to novels is perceived as restrictive, focusing only on the concept of `beauty` itself. This study proposes a novel education of overall aesthetic enjoyment that a learner changes with himself and the world together.

      • KCI등재

        문학사적 안목 형성을 위한 문학사 교육의 구도 모색

        오윤주 ( Yun Joo Oh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6 문학교육학 Vol.0 No.50

        이 연구는 문학사 교육의 목적이 문학사적 안목을 형성하는 데에 있다고 보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문학사 교육의 구도를 모색하고자 한다. 그간 문학사 교육의 목적으로서 문학사적 안목 형성을 상정하는 데에 대체적인 합의가 이루어져 왔으나 실제 문학사 교육은 여전히 시대 순에 따라 작품을 이해하고 당대의 상황을 지식의 차원에서 학습하는 데에 머물러 왔다. 문학사적 안목이란 문학 작품을 작품이 위치한 문학사적, 사회적, 시대적, 개인적 맥락 등 다양한 관계 속에서 파악하여 비평할 수 있는 능력이며, 문학 교육 전체를 통어하는 목표로서의 능력이다. 이 연구는 문학사적 안목을 기르기 위한 교육 내용으로 문학사적 지식 및 문학사적 활동을 설정하고 이를 위계화하였다. 적절하게 형성된 문학사적 지식은 일종의 스키마로 작동하여 학습자의 문학 감상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고, 교육내용으로서 다루어져야 할 문학사적 지식을 설정하고 배열하였다. 또한 문학사적 안목을 기르기 위한 탐구 활동을 단계별로 제시하여 중학교 단계에서 고등학교의 심화 과정에 이르기까지 문학사 교육이 어떤 궤적을 그려가야 할지 전반적으로 개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structure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literary historical perspective. Literary historical perspective means the ability to critique literary works in a variety of literary historical, social, and personal contexts. So it could be considered as the ultimate goal of literary education. This study sets literary historical knowledge and literary historical activity as essential curricula for developing literary historical perspective. This study supposes that historical knowledge could be a kind of schema, and that it could develop the literary appreciation ability of learners. I arranged literary historical knowledge concerning the developmental level of the learners and the internal logic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Also, I suggested the hierarchical differentiation of learning activities about literary history education.

      • KCI등재

        김애란 소설에 드러난 청춘 모티프의 21세기적 변주 - 내일 없음에 대처하는 젊음의 방식을 중심으로 -

        오윤주 ( Oh Yun-joo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3 No.-

        이 논문은 김애란의 소설들을 청춘 모티프를 중심으로 읽고, 그로부터 청춘 모티프의 영원회귀성과 21세기적 변주의 교직 양상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청춘은 인생의 가장 빛나는 시기이면서 또 한편으로 출구 없는 방황의 시절이다. 인류의 서사 속에서 ‘내일 없는 청춘’의 모티프는 언제나 강렬하고 절실하게 빛을 발해 왔다. 역설적이게도 ‘내일 없는 청춘’의 모티프는 영원회귀적으로 지속된다. 이는 길 없음을 고민하는 청춘들이 계속해서 이 세계에 새로 당도하기 때문이다. 한나 아렌트는 이를 ‘탄생성’이라 명명하고, 인간 존재의 근원적 조건으로 규명한 바 있다. 청춘 모티프에서 이들이 공유하는 보편적인 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첫째는 입사(入社)의 문제 앞에서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하는 것이며, 두 번째는 타자 혹은 공동체와의 관계를 어떻게 맺을 것인가에 대한 대응의 문제에 관한 것이다. 김애란 소설에서 ‘청춘’들은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 같은 어둠의 시간을 지나고 있으며, 이들의 입사는 끝없이 지연된다. 또한 이들은 가족이나 이웃, 사회에서 만나는 타자와의 연대에서 번번이 실패하거나 환멸을 느낀다. 그의 소설에서 청춘 군상들은 신자유주의의 심화 속에서 21세기의 청춘들만이 고유하게 겪는 특별한 삶의 난관 속에 처해 있으며, 또한 한편으로는 청춘의 모티프가 지니는 보편적 문제의식을 드러낸다. 이들은 시대의 질곡들 사이로 난 현실과 낭만 사이의 좁다란 경계선을 따라 걸어가며 이 세계가 정말 살 만한 세계인가 하는, 해묵었으되 늘 새로이 탄생하며 세계 갱신을 추동하는, 영원히 되돌아오는 질문을 우리에게 던지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Kim Ae-Ran’s novels centered on the motifs of youth, and attempts to reveal the eternal regression and the variations of these motifs in the 21st century. Youth is the most glorious period of life, while, at the same time, being a period of wandering without exit. In the narrative of humanity, the motif of “youth without tomorrow” has always existed intensely and desperately. Paradoxically, the motif of “youth without tomorrow” lasts for eternity, because young people who are worried about being stuck with no roads leading anywhere continue to appear in the world. Hannah Arendt named this “Natality” and identified it as a fundamental condition of human existence. There are two major universal problems regarding the motifs of youth: 1) how to respond to the problem of Initiation, and 2) how to deal with the other or the community. Kim’s novels show youths passing through a dark time that seems to never end; their Initiation is endlessly delayed, and they also often fail or become disillusioned with their family, neighbors, and others who they meet in society. In Kim’s novels, youths go through struggles in life that are unique to the young people of the 21st century. On the other hand, they put forward an eternally repeated question: “Is this world really good as it currently is?”

      • KCI등재

        경기도 교사 행복지수 개발

        이찬주 ( Lee Chan Joo ),허연구 ( Heo Yeoun Gu ),오윤주 ( Oh Yun Joo ),소준영 ( So Jun Young ),윤지영 ( Yoon Ji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6

        이 연구는 교사의 행복이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기본 전제하에 교사의 행복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 수립의 방안을 탐색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선행연구들이 단순히 행복의 개념이나 요인 등에 주목하였다면 이 연구는 타당화 절차를 통해 교사의 행복지수를 측정하는 표준화된 도구를 개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경기도 교사 행복지수 개념모형과 측정모형을 개발하였고, 내용타당성 분석(CVR)을 실시하였으며, 자유응답 질문을 분석하여 측정모형의 하위요인과 행복 정의를 수정하였다. 최종 설정된 행복지수 모형으로 20개교(초8, 중6, 고6) 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EFA)을 실시하였다. 본조사는 초중고 각각 50개교를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재차 실시하여 측정모형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최종 진단 도구별 기술통계 결과를 제시하였고 그 결과로 32개 문항으로 구성된 진단도구를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그리고 경기도 교사의 행복지수의 영역별 가중치를 도출하기 위해 AHP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 요인의 중요도를 파악하여 그 중요도에 따라 점수를 산출하였다. 이 연구는 경기도 교사를 이해하고 삶을 다층적으로 이해하는 자료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경기도 교사 행복지수를 연차별로 누적하여 조사 및 분석하는 것은 향후 경기도 교사와 관련한 정책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tarts by exploring the ways of establishing policies to increase teachers' happiness under the basic premise that teacher's happiness can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Whereas previous studies were only interested in the concept or factors of happi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andardized tool to measure the happiness index of teachers through the validation procedure. First, the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A conceptual model and measurement model for the happiness index of teachers in Gyeonggi-do were developed, a content validity analysis (CVR) was performed, and sub-factors and happiness definitions of the measurement model were modified by analyzing free response questions. As a final happiness index model,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eachers of 20 schools (8 elementary schools, 6 middle schools, and 6 high schools),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was conducted. This study attempted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by once again conduct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argeting 5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results of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resented for each final diagnosis tool, and 39 questions were created with the results to confirm the diagnosis tool. In this study, AHP analysis was performed to derive weights for each area for the happiness index of teachers in Gyeonggi-do. Based on this,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was identified, and score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index to help teachers in Gyeonggi-do understand and organize life into multi-layered materials. In addition,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Gyeonggi-do teacher happiness index by year can be used as basic data when establishing policies related to Gyeonggi-do teacher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