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기도 교사 행복지수 개발

        이찬주 ( Lee Chan Joo ),허연구 ( Heo Yeoun Gu ),오윤주 ( Oh Yun Joo ),소준영 ( So Jun Young ),윤지영 ( Yoon Ji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6

        이 연구는 교사의 행복이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기본 전제하에 교사의 행복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 수립의 방안을 탐색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선행연구들이 단순히 행복의 개념이나 요인 등에 주목하였다면 이 연구는 타당화 절차를 통해 교사의 행복지수를 측정하는 표준화된 도구를 개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경기도 교사 행복지수 개념모형과 측정모형을 개발하였고, 내용타당성 분석(CVR)을 실시하였으며, 자유응답 질문을 분석하여 측정모형의 하위요인과 행복 정의를 수정하였다. 최종 설정된 행복지수 모형으로 20개교(초8, 중6, 고6) 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EFA)을 실시하였다. 본조사는 초중고 각각 50개교를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재차 실시하여 측정모형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최종 진단 도구별 기술통계 결과를 제시하였고 그 결과로 32개 문항으로 구성된 진단도구를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그리고 경기도 교사의 행복지수의 영역별 가중치를 도출하기 위해 AHP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 요인의 중요도를 파악하여 그 중요도에 따라 점수를 산출하였다. 이 연구는 경기도 교사를 이해하고 삶을 다층적으로 이해하는 자료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경기도 교사 행복지수를 연차별로 누적하여 조사 및 분석하는 것은 향후 경기도 교사와 관련한 정책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tarts by exploring the ways of establishing policies to increase teachers' happiness under the basic premise that teacher's happiness can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Whereas previous studies were only interested in the concept or factors of happi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andardized tool to measure the happiness index of teachers through the validation procedure. First, the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A conceptual model and measurement model for the happiness index of teachers in Gyeonggi-do were developed, a content validity analysis (CVR) was performed, and sub-factors and happiness definitions of the measurement model were modified by analyzing free response questions. As a final happiness index model,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eachers of 20 schools (8 elementary schools, 6 middle schools, and 6 high schools),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was conducted. This study attempted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by once again conduct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argeting 5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results of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resented for each final diagnosis tool, and 39 questions were created with the results to confirm the diagnosis tool. In this study, AHP analysis was performed to derive weights for each area for the happiness index of teachers in Gyeonggi-do. Based on this,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was identified, and score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index to help teachers in Gyeonggi-do understand and organize life into multi-layered materials. In addition,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Gyeonggi-do teacher happiness index by year can be used as basic data when establishing policies related to Gyeonggi-do teachers in the future.

      • KCI등재

        교사 행복의 개념 및 구성 요인에 관한 연구

        허연구 ( Heo Yeoun Gu ),오윤주 ( Oh Yun Joo ),이찬주 ( Lee Chan Joo ),윤지영 ( Yoon Ji Young ),소준영 ( So Jun 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교사의 행복이 교육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음에 주목하고 이를 어떻게 성취할 수 있을 것인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교사 행복의 개념 및 구성 요인이 무엇인가를 규명하고 이를 성취케 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 연구 및 현장 교사들과의 심층면담에 대한 질적 분석, 워킹 그룹 보고서 내용 분석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는 교사 행복을 ‘개인적 삶에 대한 주관적 안녕감을 기반으로 하여 교사로서의 효능감을 발휘하며 교육의 가치를 구현하는 주체로서 보람과 충족감을 느끼는 상태’로 규정하고, 그가 한 개인으로서 누리고자 하는 내적, 외적 차원에서의 삶의 욕구를 충족하면서 동시에 교사라는 직무의 맥락 속에서 전문성을 발휘하며 좋은 관계를 맺고 가치를 구현하며 살아가면서 지속적 충족감을 느낄 때 이루어진다고 개념화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교사 행복의 구성 요인을 보편적 개인으로서의 행복 요인과 교사 개인으로서의 행복 요인, 교사를 둘러싼 환경 요인으로 범주화하여 제시하고, 교사의 행복이 교육의 공공성을 높이는 데에 기여하는 공적 행복으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The happiness of teachers has important educational implications. This study, therefore, sought to explore how it can be achieved. Specifically,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concepts and building blocks of teacher happiness and to explore ways to achieve them. To this end, this study utilizes methods such as theoretical research, in-depth interview analysis with field teachers, and the analysis of reports from working groups. In this study, teacher happiness is defined as a state of feeling rewarded and satisfied as a subjective well-being for personal life, exercising a sense of efficacy as a teacher, and realizing the value of education. Teachers achieve happiness when they can meet the internal and external needs of their lives as individuals, while simultaneously demonstrating expertise in the context of their job as teachers. Other elements of this happiness include having good relationships, realizing the value of education, and achieving a sense of continuous satisfaction. This study categorizes teacher happiness into three components, which can be identified on an individual level, a universal level, and in the environmental factors surrounding teachers. This study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eacher happiness as a matter of public interest owing to teachers’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public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