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國 詞文學 硏究의 歷史와 現況 —한국 漢文學으로서의 詞文學 硏究를 중심으로—

        安向梅(An xiangmei)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5 No.-

        한국 한문학으로서의 詞文學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지난 20세기 60년대 益齋 詞에 대한 연구로부터 시작되었다. 사문학의 개황기인 60년대는 차주환의 자료정리가 가장 중대한 성과로 지금까지의 사문학연구에서 없어서는 안 될 기초자료를 제공해주었다. 70년대는 이제현의 詞 외에 이규보의 詞가 새로 학계에 소개되었고, 조선시대의 詞人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으 며,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사문학에 관한 첫 석사학위논문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80년대는 退溪, 茶山, 梅月堂, 象村 등 한문대가의 詞硏究에까지 범위가 확대되었고 金克己(3편), 金宗直(4편), 李滉(3편) 등 少作인 作家에 대한 연구도 나타났다. 90년대는 사문학연구가 본격적인 궤도에 들어선 시기다. 柳己洙와 白禎喜의 박사학위 논문이 선후로 발표되었고 한국 詞文學 연구에서 비교문학의 이론을 도입하여 연구를 시도한 시기이며, 처음으로 고려와 조선 두 시기의 詞文學을 두루 살피려고 시도했다. 2000년대는 처음 으로 한국사문학을 다룬 전문 저작인 韓國詞文學通論이 나왔다. 이 시기 에는 고려 시기 사문학에 대한 배경 고찰, 한국 詞창작 부진에 대한 원인 규명, 조선 시기 詞文學 인식 등 다양한 각도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비교문 학적 차원에서는 중국 詞文學에 대한 고려의 수용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던 시기다. 2010년 이후 현재까지 사문학연구는 여전히 형성 발전 단계에 있다. 50년간의 硏究史를 검토해본 결과 몇 가지 문제점이 눈에 띈다. 첫째는 아직도 자료발굴이 충분치 않아 전체적인 조감이 어렵다는 점이다. 둘째, 연구의 대상이 지나치게 일부 작가에만 집중되어 있다 보니 중복연구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셋째, 詞의 연구에 있어서 형식과 내용의 균형을 이루지 못했다. 넷째, 시기적으로 여전히 고려 시대에 치우쳐 있다. 한국 詞文學은 한문학 연구 분야에 속하지만 현재로서는 한국의 중문학 자들과 중국의 비교문학 연구자들이 오히려 더 여기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다. 보다 전체적이고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하려면 한문학 연구자들의 작가론, 작품론을 비롯한 문헌학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고, 거기에 기초하여 중문학자들의 이론적인 분석과 설명, 비교문학 연구자들의 독특한 시각과 다양한 방법론을 모두 동원해야 할 것이다. Research on ci literature (詞文學) as Chinese classics in Korea genuinely began from the 1960’s in the 20th century with research on Ikjae (益齋)’s ci (詞). In the 1960’s, the golden period of ci literature, Cha Ju-hwan produced the most significant outcome with his data arrangement, and it provided foundational data that are indispensable even now for research on ci literature. In the 1970’s, not only Lee Je-hyeon’s but Lee Gyu-bo’s ci were introduced newly to the academic circles, and research on Sain (詞人) in Chosun started. What is the most noticeable is that the first master’s thesis on ci literature was written then. In the 1980’s, research on ci was extended to the masters of Chinese including Toegye (退溪), Dasan (茶山), Maewoldang (梅月堂), or Sangchon (象村), and research on authors who wrote little such as Kim Geuk-gi (金克己) (3 pieces), Kim Jong-jik (金宗直) (4 pieces), and Lee Hwang (李滉) (3 pieces) was conducted, too. The 1990’s was the period that research on ci literature entered the track in earnest. Ryu Gii-su and Baek Jeong-hui’s doctoral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in turn, and for research on ci literature in Korea, theories of comparative literature were induced. Also, ci literature in Goryeo and Chosun both was intended to be examined all around for the first time. In the 2000’s, Introduction to Korean Ci Literature (韓國詞文學通論), the first specialized book dealing with Korean ci literature, came out. In this period, they considered the background of ci literature in Goryeo, figured out the causes of Korean ci creation in slump, and studied recognition over ci literature in Chosun multilaterally. In terms of comparative literature, research mainly dealt with Goryeo’ acceptance of China’s ci literature. From 2010 up till now, research on ci literature has been still at the step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history of research for 50 years, there are some noticeable problems found. First, there are data yet to be discovered, so it is difficult to have a view of it as a whole. Second, research is focused on only some of the authors exclusively, so it is quite overlapped somehow. Third, in research on ci, the forms and contents are not in balance. Fourth, in terms of periods, still, most of it is focused on Goryeo. Korean ci literature belongs to research on Chinese classics, but as of now, Korean scholars of Chinese literature and Chinese researchers of comparative literature seem to have interest in it more instead. To conduct research more holistically and concretely afterwards,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the writer’s theory of Chinese classics researchers and also theory of works and bibliography in advance. Grounded on that, it will be needed to mobilize theoretical analysis and explanation from scholars of Chinese literature as well as unique viewpoints and various methodologies from researchers of comparative literature all.

      • KCI등재

        자기-상대방 상호 의존성 모델을 활용한 신혼기 부부의 결혼만족도 영향요인

        안향선(Hyang Sun Ahn),서미아(Mia Seo) 한국가족치료학회 2019 가족과 가족치료 Vol.27 No.4

        본 연구는 신혼기 부부의 결혼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 관계와 자기-상대방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선행연구를 통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변인으로 원가족 분화, 대처유연성, 장서갈등의 영향력을 검증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의 결혼 5년 이내 신혼부부 총 329쌍으로 SPSS 20.0, AMOS 20.0, APIM(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원가족 분화와 결혼만족도의 관계는 남편의 자기효과, 상대방효과가 유의했고 아내는 자기효과만 유의했다. 원가족 분화와 장서갈등의 관계는 남편과 아내 모두 자기효과, 상대방 효과가 부적으로 유의했다. 원가족 분화와 대처유연성의 관계, 대처유연성과 장서갈등의 관계는 남편의 자기효과만 유의했다. 장서갈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는 남편의 자기효과, 상대방 효과만 유의했다. 원가족 분화와 장서갈등의 관계에서 대처유연성의 매개 효과는 남편과 아내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원가족 분화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장서갈등은 남편과 아내 모두 매개 효과가 있었다. 원가족 분화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대처유연성과 장서갈등의 이중 매개 효과는 남편과 아내 모두 유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원가족 분화는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며 결혼만족도는 부부 각각의 개인내적 특성과 원가족의 영향을 받은 특성이 함께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신혼기부부의 결혼만족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영향요인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부부치료 시 어디에 초점을 두고 개입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marital satisfaction in newlywed couples by means of apply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Methods: The study analyzed a total of 329 couples within five years of marriage with SPSS 20.0, AMOS 20.0, and APIM, in order to provide a basis for counseling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that affect marital satisfaction and Actor-Partner effect of newlywed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the actor-partner effects between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iginal family differentiation and the conflict between mother-in-law and son-in-law, neither the husband nor the wife showed the mediated effect of coping 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lict between mother-in-law and son-in-law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conflict between mother-in-law and son-in-law had a mediated effect on both husband and wife. The dual mediated effects of coping flexibility and the conflict between mother-in-law and son-in-law in relation to the original family differentiation and marriag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for both husband and wife. Conclusions: This study will help to create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couples are influenced by their original family to improve the marital satisfaction of newlywed couples and how they affect their marital relationships.

      • KCI등재후보

        시각적 지원을 활용한 자기관리중재가 지적장애 성인의 스트레칭 수행과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안향,김은경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논총 Vol.34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intervention using visual supports on the stretching performance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 The research subjects were three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design of the study used a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and one group pretest posttest design. Intervention was self-management intervention using visual supports. Stretching photos and videos were used visual support, and self-management intervention was conducted to stretching performance, self-monitering, self-evaluation and create cupon plates. The rate of stretching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quickness, fiexibility, and balance) were measured during baseline and maintenance phases, and the rate of stretching were measured during the intervention phas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stretching increased through self-management intervention using visual supports. Second, increased rate of stretching improved flexibility and balance of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Third, stretching behavior learned by self-management intervention using visual supports was maintained even after the withdrawal of interven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management intervention using visual supports have affected stretching performance and improving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시각적 지원을 활용한 자기관리중재가 지적장애 성인의 스트레칭 수행과 건강체력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지적장애 성인 3명이며, 연구설 계는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및 사전․사후설계를 사용하였다. 중재는 시각적 지원을 활용한 자기관 리중재를 실시하였다. 시각적 지원으로 스트레칭 사진과 동영상을 사용하였고, 스트레칭 수행, 자기점검, 자기평가 및 쿠폰판을 작성하는 자기관리중재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기간과 유지기간에 스트레칭 수행율 과 건강체력(순발력, 유연성, 평형성)을 측정하였으며, 중재 기간에는 스트레칭 수행율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적 지원을 활용한 자기관리중재를 통해 스트레칭 수행율이 증가하였다. 둘째, 스트레칭 수행율의 증가를 통해 건강체력 중 유연성 및 평형성이 향상되었 다. 셋째, 시각적 지원을 활용한 자기관리중재에 의해 습득된 스트레칭 행동은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시각적 지원을 활용한 자기관리중재가 지적장애 성인의 스트레칭 수행 과 건강체력 향상에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 KCI등재

        A Gesture Interface based on Hologram and Haptics Environments for Interactive and Immersive Experiences

        편해걸,안향,육성민,박진호 한국게임학회 2015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5 No.1

        This paper proposes a user interface for enhancing immersiveness and usability by combining hologram and haptic device with common Leap Motion. While Leap Motion delivers physical motion of user hand to control virtual environment, it is limited to handle virtual hands on screen and interact with virtual environment in one way. In our system, hologram is coupled with Leap Motion to improve user immersiveness by arranging real and virtual hands in the same place. Moreover, we provide a interaction prototype of sense by designing a haptic device to convey touch sense in virtual environment to user's h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