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4년제 사립대학의 교육지원 조직 유형과 편제

        정승환 ( Seunghwan Jung ),오수현 ( Suhyun Oh ),김지하 ( Jiha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4년제 사립대학의 교육지원 조직을 탐색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79개 대학의 공식적인 직제규정과 사무분장규정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교육지원을 위한 직제유형은 12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가장 많은 유형은 ‘대학본부 내 처(處)수준으로 총괄조직이 존재’하는 형태였다. 둘째, 총괄조직 중 가장 많은 형태는 ‘~원’이었으며, 총괄조직의 명칭 중 가장 많은 명칭은 ‘교육혁신’이었다. 셋째, 교수학습지원 조직, IR조직, 비교과지원 조직은 각각 79개, 62개, 28개 대학에 편제되어 있었으며,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명칭은 각각 ‘교수학습개발’, ‘교육성과관리’, ‘비교과통합관리’였다. 대학들은 이와 같은 조직을 통해 대학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다 독립적인 역할 정립, 전문인력의 배치, 예산과 인프라의 투자, 네트워킹과 정보교류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departments for educational support of the 4-years private universities in Korea, and we analyzed 79 universities’ official regulations. First, there were 12 types of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the most common type was the superior department exists at the level of ‘Office.’ Second, the most form of the superior department was ‘~institute’, and the most common name was ‘educational innovation.’ Third, ‘teaching- learning support’, ‘institutional research’ and ‘extracurricular support’ department was organized in 79, 62 and 28 universities. And the most common name was ‘teaching-learning development’, ‘educational performance management’ and ‘extra-curricular integrated management.’ In conclusion universities are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such organizations. And establishing more independent roles, deploying professionals, investing in budgets and infrastructure and information exchange are required.

      • KCI등재

        주ㆍ토공 통합의 효율성 평가

        우윤석(Woo Yoonseuk),오수현(Suhyun Oh) 한국도시행정학회 2009 도시 행정 학보 Vol.22 No.2

        Incumbent administration has put forward integrating Korean National Housing Corporation(HC) and Korea Land Corporation(LC) that have overlapping business areas related to housing supply as a top priority to achieve efficient public corporation reform. However, current trend of discussion over the necessity to integrate the two corporations is found far from the viewpoint of efficiency, and is full of emotionally conflicting reactions between pros and cons. Also, governmental plan for modernizing public corporations puts stress on simple rationale of integration without evaluating possible improvement of efficiency which could arise by integration. It is necessary to evaluate whether integration could lead enhanced efficiency in terms of objective and quantitative perspectives. This study tried to figure out changed efficiency of integrated corporation by comparing relative efficiency levels among public corporations of state-run and municipality-run in the era of localization. For this purpose, we employed Data Envelopment Analysis which is suitable to measure relative efficiency level among different decision making units. As a result, both HC and LC are found less efficient than some other local public corporations who are able to cross-subsidize and put more input on relatively lucrative areas such as land development. However, from the simulation test of various scenarios, this study found integrated corporation has higher efficiency level compared to HC and LC alone. The level becomes higher when integrated corporation gets rid of overlapped business areas, and it could achieve ultimate level of efficiency when it decreases input level or increases output level. From the study, we found that it is desirable to integrate both corporations and restructure their business areas to achieve enhanced level of efficiency compared to municipality-run public corporations.

      • KCI등재

        생존분석을 적용한 대학 신입생 중도탈락 시점 영향요인 분석 : S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은정(Eunjung Lee),송영수(Youngsoo Song),오수현(Suhyun 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들의 중도탈락을 예방하기 위해 적시에 대학차원에서의 실효성 있는 지원책을 적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4년제 사립대학인 S대학교의 2018학년도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24개월 동안 관찰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도탈락 시점에 대한 생존분석을 시행하였다. 시간의 경과에 따른 중도탈락 확률의 추세를 살펴보기 위해 카플란 마이어 생존 함수 곡선을 도출하여 중도탈락 최초 발생 시점과 위험률을 확인한 다음, 콕스비례위험모형 분석을 통해 그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 대학생활 적응, 교육기관 만족 요인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입학 이후 신입생 기간 동안 중도탈락한 학생의 수는 24개월의 관찰 기간 중 중도 탈락한 전체 인원의 89.1%를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중도탈락 위험률이 가장 높은 시점은 2학기가 마무리 되는 시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 요인의 정서안정성과 대학기관 만족 요인의 전공 교육 내용의 효과성은 중도탈락 시점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대학생활 적응 요인 중 경제적 여건은 중도탈락 시점을 가속화하는 영향력이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신입생 중도탈락 징후의 조기 발견 및 선제적인 개입책 적용의 필요성과 신입생의 안정적인 대학생활 및 학업 수행을 위한 정서적, 학업적 영역에서의 지원의 중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중도탈락을 개선하기 위해 개입책을 적용해야 하는 적절한 시점과 지원 방향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imely support at the university level to prevent student departure. To this end, a surviv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of freshmen observed for 24 months at a four-year private university located in Seoul.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appli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school adjustment, and institution satisfaction factors on the timing of student departur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89.1% of the dropouts that occurred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take place within a year after admission. The highest risk rate of student departure was recorded to be near the end of the second semester. While the effectiveness of major education and emotional stability have been found to have the effect of delaying the time of student departure, economic conditions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ccelerating the time of student departure. Based on this, it suggested the need for offering preemptive intervention to prevent student departure at a timely manner, and the importance of services on emotional support and academic performance to help freshmen adapt to university life.

      • KCI등재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4년제 대학 중도탈락률 예측 요인 탐색: 대학 수준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이은정 ( Eunjung Lee ),송영수 ( Youngsoo Song ),김지하 ( Jiha Kim ),오수현 ( Suhyun Oh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육의 대표적인 성과 지표인 중도탈락률을 개선하기 위한 대학 차원의 거시적인 관점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정보공시자료를 활용하여 2016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의 전국 4년제 대학의 중도탈락률 추이를 분석하였으며, 최신 머신러닝 기법인 랜덤 포레스트 예측 모형을 구축하여 중도탈락률을 예측하는 대학 수준의 결정요인을 탐색하였다. 예측모형에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대학특성, 사회평판, 연구활동, 교육투자, 강의여건, 교육환경 6개 항목으로 구성된 총 14개 변수가 투입되었으며 모형의 변수 설명력은 63.4%를 기록하였다. 2016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 전국 4년제 대학의 중도탈락률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사립대학과 비수도권대학의 중도탈락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규모별로는 2016년 이후 대규모 대학은 개선된 반면, 중소규모 대학의 중도탈락률은 악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도탈락률을 예측하는 결정요인의 중요도를 도출한 결과 14개 변수 모두 중도탈락률 예측력을 해석하기 위한 최소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전임교원 1인당 논문 수, 신입생 충원률, 재적학생 수, 학생 1인당 교육비 변수가 중도탈락률 예측 중요도 상위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전체 차원에서의 주기적인 교육 성과 지표 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제언하였으며, 대학의 중도탈락률 개선을 위한 전략적인 정책 설정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reducing the dropout rate of 4-year universities from the perspectives of an institutional level.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trend analysis of the dropout rates from 2016 to 2018 using higher education public disclosure information and developed a random forest model predicting the dropout rate of 4- year universities. In this prediction model, 14 variables consisting of 6 factors(e.g. university characteristics, social reputation, faculty research, educational investment, class conditio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were applied. The percentage of explained variance in the model turned out to be 63.4%. It was found that the dropout rate of 4-year universities remain stable for 3 years from 2016. All 14 variables applied to the prediction model exceeded the minimum standard value for the interpretation of predictive power. The top 5 determinants predicting the dropout rate were research fund benefits per faculty member,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per faculty member, acceptance rate, the number of students, educational expenditure per stud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planning strategic policies based on periodic management of educational performance index at the institutional level for improving the dropout rate of 4-year univers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