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금강유역의 봉황천에 부존하는 잔골재 물성연구

        오근창,김주용,양동윤,이진영,홍세선,김정찬,Oh, Keun-Chang,Kim, Ju-Yong,Yang, Dong-Yoon,Lee, Jin-Young,Hong, Sei-Sun,Kim, Jeong-Chan 한국제4기학회 2007 제사기학회지 Vol.21 No.1

        이 연구에서는 금강 지류하천에 발달한 구하상에 부존하는 잔골재의 물성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KS 품질기준과 비교하여 잔골재로서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봉황천의 상류에 발달한 구하상에는 하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입도가 큰 잔골재가 선별적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봉황천 구하상에 부존하는 잔골재 물성은 기반암의 종류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 결과를 보여 준다. 즉, 기반암종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규모 수계일 경우 잔골재 물성은 퇴적물 입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봉황천 구하상 잔골재는 밀도와 잔입자량 이외에는 전반적으로 KS 규격기준에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experiment on sand deposits (tine aggregates) taken from the old river-bed of the Bonghwang-cheon of Geum River Basin, and evaluate physical properties of fine aggregates in comparison to the KS quality regulation. As a result of experimentation, particle size of fine aggregates is generally smaller in the downstream area than in the upstream area. In addition,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ne aggregates tend to depend on the bedrock type. Physical properties of fine aggregates show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particle size of old river-bed sediments. Finally, the general physical properties of fine aggregates are conformable to the KS quality regulation, except density and proportion of materials finer than $75{\mu}m$.

      • KCI등재

        금강 중류 하상 퇴적층의 기원과 형성시기 및 퇴적율

        오근창,김주용,양동윤,홍세선,이진영,임재수,Oh, Keun-Chang,Kim, Ju-Yong,Yang, Dong-Yoon,Hong, Sei-Sun,Lee, Jin-Young,Lim, Jae-So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0 자원환경지질 Vol.43 No.4

        금강의 지류인 유구천과 정안천은 공주시 일대에서 금강 본류에 합류하는데 금강 중류는 현하상과 구하상에 모래를 많이 포함하는 하천 퇴적물이 널리 분포하고 있다. 금강 중류유역에서는 풍화에 상대적으로 약한 중생대의 화강암이 주요한 기반암이지만 금강 상류로 갈수록 풍화에 강한 선캠브리아기의 편마암이 기반암을 형성한다. 하천퇴적물의 주요 기원암은 연구지역 일대의 유구천과 정안천 하류를 포함하는 금강 중류수계 주변에 분포하는 선캠브리아기의 편마암과 중생대의 화강암이며, 석영과 장석이 우세한 특징을 보인다. 금강중류에 분포하는 조립질 퇴적물은 기후가 온난 다습해지는 기후조건하에서 강우량 증가에 따라 하상을 따라 운반된 퇴적물과 금강 본류와 지류들의 합류부 주변에서 조성된 범람환경하에서 형성되었다. $^{14}C$ 연대분석을 통하여 금강중류 유역의 가장 오래된 니질퇴적층의 연대가 약 9,430 yr BP임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더 하부에 분포하는 사질퇴적층은 플라이스토세말에서 홀로세 초기에 퇴적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대부분 현하상에 분포하는 퇴적층은 3,000-6,000 yr BP로 나타나며, 이는 그 형성시기가 홀로세 중기와 그 이후로서 기후변화로 인해 여름몬순(summer monsoon) 이 강하게 작용했던 시기이다. 금강중류의 하상과 범람원 퇴적층의 퇴적율을 보면, 하상사질층은 KJ-29 시추공에서 0.12 cm/yr-0.16 cm/yr, KJ-28 시추공의 범람원 퇴적층은 0.02 cm/yr-0.09 cm/yr로 각각 산정되었으며, 범람원보다 현하상에 가까울수록 퇴적율이 높게 나타났다. Fluvial sediments are widely distributed in present and old river-beds of the mid-Keum River, the tributaries of which are the Yugu and Jeongan Rivers. The basement of the mid-Keum River area consists of Mesozoic granites which are easily eroded compared to Precambrian gneisses, which are exposed in the upper-Keum River area. The provenance of the fluvial sediments includes both the Precambrian gneisses and Mesozoic granites, which occur in the catchment of the mid-Keum River. The coarse-grained sediments were probably transported from the river-beds and the overbank floodings of the main Keum River and its tributaries when the climate was warm and wet. The oldest mud deposits were dated at ca. 9,400 yr BP by the radiocarbon method. It has been estimated that the sand deposits below the dated muds were formed in a period from the Late Pleistocene to the Early Holocene. However we have revealed that the major part of the present river-bed sediments was formed at ca. 3,000-6,000 yr BP, i.e., in the mid- to late Holocene, when summer monsoon was very strong due to climatic changes. We have calculated fluvial sedimentation rates of 0.12-0.16 cm/yr and 0.02-0.09 cm/yr for borehole KJ-29 river-bed sediments and borehole KJ-28 floodplain deposits, respectively. We conclude that the sedimentation rate is higher near the present stream channel than near the floodplain.

      • KCI등재

        칸트의 인간성 정식과 도덕적 자율성

        오근창(Oh, Keun-Cha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4 No.-

        직관적으로 호소력이 있지만 상당히 모호하게 보이는 칸트의 인간성 정식(FH)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에 대한 많은 논의들이 존재한다. 이 글에서 나는 현존하는 견해들과 다른 칸트의 인간성 정식에 대한 대안적 독해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나는 먼저 ?윤리형이상학 정초?를 중심으로 칸트의 인간성 정식을 재구성한다(2장). 아래에서 나는 센센, 코스가드, 딘에 의해 제안된 인간성 정식에 대한 여러 영향력 있는 해석들이 갖는 몇몇 결점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센센과 달리, 내가 보기에 인간성 정식은 단지 보편법 정식을 보다 직관적이게 만드는 소극적인 역할만을 하고 있지 않다(3장). 또한 코스가드의 인간성 정식에 대한 독해는 너무 얇은 인간성 관념을 가짐으로써 칸트의 원래 의도와 달리 목적 수립 능력 일반이 비도덕적인 행위마저 허용하게 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4장). 최근에 딘은 인간성이 선의지와 등가적이라고 제안했지만, 나는 선의지 독해가 너무 두껍고 도덕주의적인 인간성 개념을 가정함으로써 인간성의 내용을 과도하게 제한하고 있다고 주장한다(5장). 마지막으로 이 글은 몇몇 유관한 문헌적, 철학적 이유들을 조명함으로써 인간성 정식의 핵심이 도덕적 자율성 개념에 있음을 보인다. There have been many debates regarding how to make sense of Kant’s formula of humanity (hereafter, “FH”), which seems to be intuitively appealing but perplexingly obscure. In this paper, I aim to propose an lternative reading of FH against the existing views and hope to show what FH as an end itself refers to and how it could be coherently connected to other formulas. To this end, I first reconstruct Kant’s argument for FH by focusing on Groundwork of the Metaphysics of Morals (hereafter, “Groundwork”) and briefly evaluate the validity of his regress argument (Section 2). In the following, I critically examine the flaws of several influential interpretations of FH proposed by Sensen, Korsgaard, and Dean. Unlike Sensen, my interpretation shows that FH plays a role that goes beyond that of merely bringing the formula of universal law (hereafter, “FU”) closer to intuition (Section 3). In addition, Korsgaard’s reading of FH is flawed since it has such a thin conception of humanity that the end?setting capacity in general even permits non-moral acts, contrary to Kant’s intention (Section 4). Although Dean has suggested that humanity is equivalent to a good will, I argue that a good will reading supposes a too thick and moralistic notion of humanity and thereby excessively limits the contents of humanity (Section 5). Finally, I conclude that FH should be interpreted as moral autonomy by elucidating some relevant textual support and philosophical reasons (Section 6).

      • KCI등재

        국내에 분포하는 화산암류중 금의 분포특징에 관한 연구

        윤정한,오근창,Yoon, Chung-Han,Oh, Keun-Cha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96 자원환경지질 Vol.29 No.3

        One hundred of thirty volcanic rocks col1ected from the Jeju island, Jeongog, Guryongpo and other areas were analyzed for major elements and trace elements with Au by inductively coupled argon plasma and graphite furnace atomic absorptiom spectrometry. The Au content is the highest values (0.2~43.4 ppb, average; 10.34 ppb) from the Jeju island volcanic rocks and the lowest (0.5~11.0 ppb, average; 1.23 ppb) from the Guryongpo volcanic area. The content of Au tends to be higher in the Quarternary volcanic rocks than Tertiary or Cretaceous volcanic rocks. The Au content of the calc alkali volcanic rocks tends to increase from mafic to felsic volcanic rocks, but that of the alkalic volcanic rocks tends to increase from felsic to mafic volcanic rocks. The Au content of the volcanic rocks collected from the Jeju island shows the highest values in the feldspar olivine basalts. Elements or oxides which have positive or negative correlations with Au are Ag, Mo, Rb, V, Y, $K_2O$, MgO and $SiO_2$, but other elements analyzed are not shown correlations with Au. It has a tendency to show that samples from the Jeju with 5 ppb gold and more are plotted in the non-Dupal area and those with less than 5 ppb gold in the Dupal area, while those from the Jeongog with 5 ppb gold and more are plotted in the Dupal area and those with less than 5 ppb gold in the non-Dupal area, in the Ba/Nb-La/Nb, Zr/Nb-Ba/Nb diagrams. It shows that samples from the Jeju and Guryongpo with high gold content are plotted in the within-plate, while those with low gold content are plotted in the arc-related area, and those from the Jeongog are scattered in the $TiO_2-Al_2O_3$, $Zr/A1_2O_3-TiO_2/Al_2O_3$ diagrams.

      • KCI등재

        전남 동남부 지역에 부존하는 육상골재의 물성특성에 관한 연구

        김주용(Ju Yong Kim),오근창(Keun Chang Oh),양동윤(Dong Yoon Yang),홍세선(Sei Sun Hong),장수범(Soo Bum Chang,),이진영(Jin Young Lee),임현수(Hyun Soo Rim)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5 자원환경지질 Vol.38 No.3

        Some of old fluvial sediments are originally composed of fine and silty-clay grains with sands or some of them have been segregated by weathering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groundwater fluctuations. For this reason, some of old fluvial sediments are not suitable for using as fine aggregates. Furthermore, the old fluvial aggregates with comparatively good quality have been exploited for a long time and quality of most remainders have been significantly poor. Though many old fluvial aggregates do not satisfy the quality controls(QC) standards such as KS F 2526 and KS F 2527, they must be utilized to various usage suitable for different quality categories. Thus, we try to make constant efforts to utilize aggregates of all qualities. This study shows that physical properties of old fluvial aggregates are both controlled by source rocks and also related to old fluvial environment. 육상골재의 구성물질은 퇴적 후 오랫동안 지하수 유동의 영향으로 일부는 풍화를 받아 토양화가 진전되었거나 토양화의 정도는 미약하더라도 퇴적당시의 입자가 실트-점토질 또는 세립질로서 골재로 사용하기에는 곤란한 경우도 있다. 더구나 오랜 기간 계속된 육상골재의 개발로 입지가 양호한 지점에 분포하는 육상골재는 현재 거의 개발이 완료된 상태이므로 골재의 품질기준을 규정한 KS F 2526 및 KS F 2527 등에 의하여 골재로서 부적합하거나 불량한 조건을 나타내는 육상골재에 대하여서도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차원에서 각각의 품질에 적합한 다양한 용도를 개발하고 이러한 범위 내에서 골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과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육상골재의 물성은 기원암과 고기 하천 환경에 좌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홍천 내·외삼포리 구석기유적의 지질고고학적 연구

        김주용(Kim Ju-Yong),오근창(Oh Keun-Chang),김진관(Kim Jin-Kwan),최승엽(Choi Seung-Yup)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5

        이 연구는 홍천 내외삼포리 구석기유적의 대표단면에 대한 제4기 지질조사 및 자연과학 분석을 통하여 지질고고학적 측면에서 유적의 형성 환경과 시기를 규명한 것이다. 본 연구토층은 편마암 풍화에 의해 생성된 세립질 퇴적물이 상당히 우세하게 분포하고 있다. 편마암 풍화로 인한 토양화가 진행되면서 화학적 자화 증가로 인하여 대자율 증가가 일어나며 상부로 갈수록 하부에 비하여 대자율이 점진적 증가하는 현상이 발견된다. 본 연구 토층에서는 약 4% 까지 상대적으로 높은 적철석이 함유되어 있다. 상부토층과 하부토층 사이에 주성분원소의 조성변화가 나타나며, 이는 기반암 풍화대에 직접영향을 받는 퇴적체와 사면붕적기원 및 고토양화가 수반된 퇴적체의 성인 차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토층의 구성광물은 선캠브리아기 편마암 조성광물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백운모, 몬모릴로나이트, 녹니석은 장기간 수화작용 결과 2차적으로 생성된 광물로 볼 수 있다. 적철석의 생성과수화작용 등을 고려해 볼 때, 본 토층 형성시 강우량이 증가했던 시기가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본 유적의 토층형성시기를 보면 단구사력층 OSL 연대는 최종빙기 초기인 약 63,000± 4,000년전으로 나타나며, 그 상부에서 석기들이 출토되는 사면기원 고토양층은 OSL 연대에 근거하여 유적 형성시기를 유추해 보면, 약 51,000~58,000년전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유적 형성시 기는 주로 최종빙기 초기에서 막 중기로 진입되는 아빙기 말로 추정되며 전반적인 토층은 아간빙기 동안에 적색화의 토양화를 받은 지층으로 해석된다. The Nae-Oesampori paleolithic site in Hongcheon county of Korea is located at an altitude of 40~50m above the mid-stream of Hongcheon river-bed. This research aims to interpret the environment and chronology of prehistoric site by surveying Quaternary geology and analyzing grain size. Magnetic Susceptibility(MS). major oxides and mineral composition of the soil and sediments in the profiles of WINI and E4N3 pits. The soil profiles are composed of fine-dominant fraction(silty clay) derived from gneiss and gradually increasing of MS upwards in the profile due to chemical magnetic mineral formation. Major oxides and weathering index are changed either in relation to the primary particles mainly derived from basement gneiss or to the secondary mineral formations due to weathering process. In particular Haematite as secondary minerals occur as much as 4%. Between upper and lower layers major oxide compositions are changed and it may be derived from the different origin of sedimentary records. that is. direct weathering from gneiss or pedogenesis after transported by slope process. The mineral composition of the layers are fundamentally from gneiss and it can be supported by the occurrences of Muscovite. Montmorillonite. and Chlorite which were formed by long-term hydration of silicate mineral. The Haematite formation and hydration imply the presence of sustainable high precipitation period (wet-warm) or during the formation of soil-sediment matrix of sites. The chronology of formation reveals that the geomorphic formation of terrace sand and gravel layer is 63.000± 4.000 (early last glacial age). while the age of slope sediments and paleosols containing stone artefacts is assumed 51.000~58.000years BP. This indicates that the age of oldest cultural layers ranges trom the latest middle paleolithic to early last paleolithic when the interstadial warm period was just initiated after coldest stadial of early last glaciation.

      • 거창 지역 하성퇴적층 형성환경과 화분산상 연구

        김주용,양동윤,봉필윤,김진관,오근창,최돈원,Kim, Ju-Yong,Yang, Dong-Yoon,Bong, Pil-Yun,Kim, Jin-Kwan,Oh, Keun-Chang,Choi, Don-Won 한국제4기학회 2006 제사기학회지 Vol.20 No.1

        거창의 정장리 유적은 거창분지에 포함되며 황강천상류 하안단구면 위에 분포한다. 정장리의 유적발굴 지내에는 하성퇴적층이 제2지구 2트랜치 북면과 남면에 잘 발달하여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장리 일대의 하성퇴적층의 산상, 입도분석 및 화분분석을 통하여 퇴적층 환경과정을 해석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하성퇴적층의 상부에는 약 $25,000{\sim}30,000$년전의 토양쐐기 구조가 발달한 고토양층이 분포하며, 하부로 가면서 적갈색 니사질층, 유기질 니층 및 사력층이 분포하고 있다. 대표단면인 남벽토층의 유기질 니층에 대한 화분연구 결과, 단면 하부에 초본식물 화분대, 상부에 오리나무-참나무-소나무 화분대가 각각 발견되었다. 형성시기로 볼 때 하부 화분대는 약 80,000 - 70,000년전의 아빙기, 상부 화분대는 약 60,000-50,000년전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정장리 유적에 나타나는 화분대는 활엽수/침엽수 혼유림이 우세하며, 당시에는 온냉(cool temperate) 습윤기후가 우세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Jeonjangri site of Geochang area is located in the Geochang Basin, and lies on the river terrace of upstream part of Hwang River. Fluvial deposits are well distributed at the northern and southern walls of trench 2(district 2) in the Jeonjangri archeological site.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occurrences of fluvial sedimentary deposits on the basis of grain size analysis and palynological analysis in the representative sections of Jeongjangri site. The sedimentary profile shows that the upper units are typified by paleosols with soil wedge formed at about $25,000{\sim}30,000yr$ B.P, and the lower units are characterized by reddish brown muddy sands, organic muds and sand/gravel downwards in the profile. Particularly palynological study on the organic muds of southern wall section showed a result that lower unit is dominant with grass vegetation, and upper unit with Alnus-Quercus-Pinus vegetation. The former is interpreted to be formed at $60,000{\sim}50,000yr$ B.P (stadial), while the latter at $80,000{\sim}70,000yr$ B.P. In general broad-leaved/coniferous mixed forests are mostly dominant in Jeongjangri site and the climate was presumed to be cool temperate at that time.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국내 골재석산의 분포와 유형 분석

        홍세선,이창범,박덕원,양동윤,김주용,이병태,오근창,Hong Sei Sun,Lee Chang Bum,Park Deok Won,Yang Dong Yun,Kim Ju Yong,Lee Byeong Tae,Oh Keun Cha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4 자원환경지질 Vol.37 No.5

        국내에서의 골재의 수요는 198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빠르게 증가되어 왔다. 국내 골재 생산량 중 하천골재의 비율은 약 25%, 바다골재 20∼25%, 육상골재 약 5%이며, 산림골재는 약 40∼50%를 점하며 거의 모든 굵은 골재의 공급을 담당하고 있다. 산림골재는 지역적으로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나 서울, 부산 등 광역시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국내 산림골재로서 개발되는 암석은 심성암류 27%, 변성암류 32%, 퇴적암류와 화산암류가 각각 18%를 차지한다. 암종별로 보면 전체 골재석산에서 화강암 대상이 25%, 편마암 20%, 사암 10%, 안산암 10%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석재로 이용되는 암종은 국내 암석 종류 중 15개 암종에 불과하지만 골재로 이용되는 암종은 석재 이용 암종의 2배인 29종으로 심성암류는 화강암, 섬장암, 섬록암, 반화강안, 반암, 규장암, 맥암 등이며, 화산암류는 유문암, 안산암, 조면암, 현무암, 응회암, 화산각력암 등이다. 또한 변성암류에서는 편마암, 편암, 천매암, 슬레이트, 변성사암, 규암, 혼펠스, 석회규산염암, 각섬암 등이 사용되고, 퇴적암에서는 사암, 셰일, 이암, 역암, 석회암, 각력암, 쳐트 등이 이용된다. 이들 암종들 중에는 석재로 사용하기 어려운 셰일, 이암, 화산각력암 등이 포함된다. 석재에서는 화강암이 70∼80%의 점유빈도를 보이지만 골재에서는 25% 정도의 점유율만을 보인다. 두 번째로 많이 이용되는 암종은 편마암으로 전체 점유율 중 20% 정도 차지한다. 그리고 사암과 안산암이 10% 내외 정도의 점유율을 보인다. 도별 점유현황을 살펴 보면 충북에서 심성암의 비율이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전북, 강원, 경기도의 순으로 심성암의 점유율이 감소하며 경남과 전남이 12%, 10%로 가장 낮은 점유율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보통 70∼80%의 심성암 점유율을 보이는 석재자원과는 매우 다른 형태이다. 전남지역은 화산암 골재가 50% 이상이며, 경남은 퇴적암 골재가 50% 이상을 점한다. 또한 변성암의 골재 사용비율은 경기도, 충남에서는 거의 50% 수준에 육박한다. 골재 석산은 경기도, 경북, 경남, 충북에서 거의 비슷한 비율로 분포하며 오히려 전북에서의 골재 석산의 수는 적은 편에 속한다. 강원도가 골재석산의 수가 가장 적은 편이다. The demand of aggregate resources in Korea has been increased with a rapid economic growth since the 1980s. About 25% of the total aggregate production is derived from riverine aggregates, 20% to 25% from marine sands, 40% to 45% from crushed aggregate and the rest 5% to 15% from old fluvial deposits. The abundance of crushed coarse aggregates varies in the uniform distribution of country, but in general it can be concentrated in the most densely populated areas, five main cities. Typical rock types of the Korean crushed stones are classified as plutonic rocks of 27%, metamorphic rocks of 32%, sedimentary rocks and volcanic rocks of 18%, respectively. The most abundant coarse aggregate used in the country is obtained from granite (25% of total) and subordinately gneiss (20%), sandstone (10%) and andesite (10%). Although rock types using as dimension stone are only fifteen, those as aggregate amount up to twenty nine rocks. These rocks consist of plutonic rocks such as granite, syenite, diorite, aplite, porphyry, felsite. dike and volcanic rocks such as rhyolite, andesite, trachyte, basalt, tuff, volcanic breccia and metamorphic rocks such as gneiss, schist, phyllite, slate, meld-sandstone, quartzite, hornfels, calc-silicate rock, amphibolite. And sandstone, shale, mudstone, conglomerate, limestone, breccia, chert are main aggregate sources in tile sedimentary rocks. The abundance of plutonic rocks is the highest in Chungcheongbuk-do, and decreases as the order of Jeollabuk-do, Gangwon-do and Gyeonggi-do. In Jeollanam-do, volcanic aggregates occupy above 50%, on the contrary sedimentary aggregates are above 50% in Gyeongsangnam-d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