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청원 옥산 소로리 유적지 일대 유기질 니층의 화분분석에 의한 식생변천사에 관한 연구

        김주용,양동윤,봉필윤,이융조,박지훈 한국제4기학회 2001 제사기학회지 Vol.15 No.2

        한반도 내륙지역의 제4기 후기의 식생변천 과정을 밝히기 위하여, 충북 청원군 옥산면 소로리 유적지($36^{\circ}41'3"N$, $127^{\circ}24'49"E$)의 퇴적물을 대상으로 화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 지역 일대는 \circled1OS-1의 아고산성 침엽수림(만빙기;약 15,000yr.B.P.~10,000yr.B.P.)$\longrightarrow$\circled2OS-2의 침엽ㆍ낙엽 활엽수혼합림(후빙기 초기;약 10,000yr. B.P.경)$\longrightarrow$\circled3OS-3의 냉온대성 낙엽활엽수림(후정기 중기;약 10.000yr.B.P.~2,000yr.B.P.)$\longrightarrow$\circled4OS-4의 침엽수림(후빙기 후기;약 2,000yr.B.P.) 이후)로 변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을 알 수 있었다. We have analyzed the pollen sequence since the Late Glacial at Sorori Archaeological Site. The Sorori Site is an open site located at Soro-ri, Oksan-myeon, Cheongwon-gun, Chungchongbukdo.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our forest zones have been distinguished. \circled1 OS-1 zone : Pinus-Abies-Picea forest (the sub-alpine conifer forest), the Late Glacial (about 15,000~10,000yr. B.P.) ; \circled2 OS-2 zone : Pinus-Colyus forest (the mixed conifer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R I (about 10,000 yr.B.P.) : \circled3 OS-3 zone : Alnus-Quercus forest (the cool temperat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R II(about 10,000~2,000yr.B.P.) : \circled4 OS-4 zone : Pinus forest (the conifer forest), R III (about after 2,000yr.B.P.)

      • KCI등재
      • 거창 지역 하성퇴적층 형성환경과 화분산상 연구

        김주용,양동윤,봉필윤,김진관,오근창,최돈원,Kim, Ju-Yong,Yang, Dong-Yoon,Bong, Pil-Yun,Kim, Jin-Kwan,Oh, Keun-Chang,Choi, Don-Won 한국제4기학회 2006 제사기학회지 Vol.20 No.1

        거창의 정장리 유적은 거창분지에 포함되며 황강천상류 하안단구면 위에 분포한다. 정장리의 유적발굴 지내에는 하성퇴적층이 제2지구 2트랜치 북면과 남면에 잘 발달하여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장리 일대의 하성퇴적층의 산상, 입도분석 및 화분분석을 통하여 퇴적층 환경과정을 해석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하성퇴적층의 상부에는 약 $25,000{\sim}30,000$년전의 토양쐐기 구조가 발달한 고토양층이 분포하며, 하부로 가면서 적갈색 니사질층, 유기질 니층 및 사력층이 분포하고 있다. 대표단면인 남벽토층의 유기질 니층에 대한 화분연구 결과, 단면 하부에 초본식물 화분대, 상부에 오리나무-참나무-소나무 화분대가 각각 발견되었다. 형성시기로 볼 때 하부 화분대는 약 80,000 - 70,000년전의 아빙기, 상부 화분대는 약 60,000-50,000년전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정장리 유적에 나타나는 화분대는 활엽수/침엽수 혼유림이 우세하며, 당시에는 온냉(cool temperate) 습윤기후가 우세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Jeonjangri site of Geochang area is located in the Geochang Basin, and lies on the river terrace of upstream part of Hwang River. Fluvial deposits are well distributed at the northern and southern walls of trench 2(district 2) in the Jeonjangri archeological site.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occurrences of fluvial sedimentary deposits on the basis of grain size analysis and palynological analysis in the representative sections of Jeongjangri site. The sedimentary profile shows that the upper units are typified by paleosols with soil wedge formed at about $25,000{\sim}30,000yr$ B.P, and the lower units are characterized by reddish brown muddy sands, organic muds and sand/gravel downwards in the profile. Particularly palynological study on the organic muds of southern wall section showed a result that lower unit is dominant with grass vegetation, and upper unit with Alnus-Quercus-Pinus vegetation. The former is interpreted to be formed at $60,000{\sim}50,000yr$ B.P (stadial), while the latter at $80,000{\sim}70,000yr$ B.P. In general broad-leaved/coniferous mixed forests are mostly dominant in Jeongjangri site and the climate was presumed to be cool temperate at that time.

      • 진주 집현 장흥리 유적 제4기 퇴적층 형성 및 식생환경 연구

        김주용,박영철,양동윤,봉필윤,서영남,이윤수,김진관 한국제4기학회 2002 제사기학회지 Vol.16 No.2

        한국의 후기 구석기 유적 중에서 하성기원의 한데유적은 주로 하상 비고 약 30m 이내의 저평한 구릉지와 곡간지, 그리고 충적평야를 이루고 있으며, 이런 지형은 옛사람의 생활공간으로 널리 이용되었다. 본 연구는 집현 장흥리 후기 구석기 유적지의 제4기층의 분포, 입도분석, 연대측정, 화분분석, 지화학과 점토광물, 박편분석, 대자율 분포 등의 연구를 통하여, 장흥리 유적의 제4기말 고토양층과 퇴적층 형성환경과 식생활환경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적지층 분류와 형성시기 연구결과, 장흥리 구석기 유적지는 하부로부터 (1) 사면기원퇴적층/하부 고토양층, (2) 신기하성사력층과 유기질 점토층, (3) 신기 고토양층으로 3대분할 수 있다. 이 중 신기 고토양층은 홀로세 동안 하성범람과 범람 기간 사이의 정지기 동안 형성된 건열(desication cracks)을 포함하고 있다. 장흥리 유적의 신기 하성사력층과 유기질 니층은 최종빙기 최성기 이후에 형성된 지층이다. 약 17Ka 이후에는 신기하성사력층과 유기질 점토층의 형성이 활발했으며, 장흥리 유적에서 약 15,000yrsB.P와 11,000yrsB.P에 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기 하성퇴적층은 플라이스토세 최말기인 B$\Phi$lling, Older Dryas, Allerod, 그리고 Younger Dryas에 걸쳐서 유기질 니층이 현저히 발달되고 있다. 장흥리 유적 일대의 약 14만년전 이후에서 약 1만년전 까지 고기 남강의 주기적 범람이 잇었으며, 배후 습지에는 유기질 니층을 형성시켰다. 화분연구 결과, 약 만년전까지 목본류(Abies/Picea-Betula)와 초본류(Ranunculaceae, Compositae, Cyperaceae) 들이 번성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장흥리 유적의 하부 고토양층에서는 석기유물이 출토되고 있으며, 후기 구석기 유적들의 입지환경을 검토해 볼 때, 하천주변과 자연 제방 위에 범람으로 인하여 후기 구석기인들의 생업활동이 매몰되었음을 시사한다. 장흥리 유적의 하부 고토양층의 형성시기는 약 22,170yrsB.P(구덩-R35)에서 18,730yrsB.P(구덩-K17)에 걸치며, 장흥리 유적 일대는 고기 남강의 하상변동이 심했다. 특히, 장흥리 유적 남쪽에서 북쪽으로 지형삭박이 활발했으며, 최종빙기 최성기 초기에서 약 17,000yrsB.P까지 활발히 일어났던 것으로 해석된다. In Korea, many open-air upper palaeolithic sites are located at the river valley, particularly exposed in gently rotting terrain along the river course. They are situated at an altitude less trail 30 m above present river bottom, and covered with the blankets of slope deposits of several meters in thicknes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luridate depositional and vegetational environment of the alluvial upper palaeolithic Jangheung-ri sites on the basis of analytical properties of grain size population, chronology, palynology, soil chemistry and clay mineralogy and magnetic susceptibility of the Jangheung-ri Quaternary formations. The lithostratograpy of Jangheung-ri sit is subdivided into 3 layers based on the depositional sequence and radiocarbon ages. From bottom to top, they are composed of slope deposits with lower paleosol layers, young fluvial sand and gravel with backswamp organic muds, and upper paleosol layers. The upper paleosol was formed under rather dry climatic condition between each flooding period. Dessication cracks were prevalent in the soil solum which was filled with secondarily minuted fragments due to pedogenetic process. The soil structure shows typical braided-typed cracks in the root part of cracking texture, and more diversified pattern of crackings downward. The young fluvial sand gravel were formed by rather perennial streams after LGM. The main part of organic muds was particularly formed after 15Ka. Local backswamp were flourished with organic muds and graded suspension materials in the flooding muds were intermittently accumulated in the organic muds until ca. 11Ka. This episode was associated with migration of Nam River toward present course. Organic muds were formed in backswamp or local pond. Abies/Picea-Betula with Ranunculaceae, Compositae, Cyperaceae were prevalent. This period is characterized with B$\Phi$lling, Older Dryas, Allerod, and Younger Dryas (MIS-1). Stone artefacts were found in the lower paleosol layers formed as old as 18Ka-22Ka. Based on the artefacts and landscape settings of the Jangheung-ri site, it is presumed that settlement grounds of old people were buried by frequent floodings of old Nam River, the river-beds of which were heavily fluctuated laterally and river-bed erosions were activated from south to north in Jangheung-ri site until the terminal of LGM9ca 17K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