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송 및 유통온도에 따른 ‘원황’ 배 품질 및 생리장해 발생

        오경영(Kyoung-Young Oh),이욱용(Ug-Yong Lee),문승주(Seung-Joo Moon),김영옥(Young-Ok Kim),육홍선(Hong-Sun Yook),황용수(Yong-Soo Hwang),천종필(Jong-Pil Chun)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3

        본 실험은 만개후 120일, 130일에 수확 후 과실의 숙도별 적정수송온도 및 유통온도의 설정을 위하여 유통기간 중 과실의 품질과 생리장해 발생을 조사하여 상온보구력을 측정하였다. 미숙과는 유통 21일까지 처리구에서 경도를 유지하였으나 적숙과는 25℃ 유통온도에서 과육이 분질되어 상품성을 상실하였다. 생리장해 발생은 적기수확과가 조기수확과에 비해 장해발생이 심하였고 이는 호흡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유통기간 중 수송온도 보다 유통온도가 상온보구력에 큰 영향을 주었고 수송온도 또한 낮은 온도가 유리하였다. 과실의 품질과 생리장해 발생을 고려한 결과 조기수확과는 유통 21일까지 상품성을 유지하였으나 적기수확과는 7일 이내로 판단되었다. ‘Wonhwang’ pear (Pyrus pyrifolia Nakai) often showed physiological disorder and quality deterioration during long-term storage and shelf life although this cultivar has the advantage of a good appearance and better taste for overseas export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mperature during transportation and continuing market temperature on fruit quality, and the occurrence of physiological disorder to set up the appropriate transportation and distribution temperatures in the fruits harvested at different times. Unripe fruits harvested 120 days after full bloom maintained higher firmness until 21days of shelf life at both 18 and 25℃ than late harvested ones. Otherwise, ripe fruits harvested 130 days after full bloom showed high incidence of mealiness breakdown of flesh tissues in 21 days of shelf-life at 25℃ of market temperature, but not in the fruits stored at 18℃. Late harvested fruits showed much severe physiological disorders when compared with early harvested ones that showed relatively lower respiration rates. Fruit quality parameters were more highly affected by market temperature than transportation temperature. Results showed that unripe fruits harvested at 120 days after full bloom maintains high marketability until 21 days of shelf-life, while the maximum shelf-life of ripe fruits harvested 130 days after full bloom will be considered at within 7 days.

      • 소아 부비동염의 임상적 연구

        오경영(Kyoung Young Oh),이선기(Sun Ki Lee),권우진(Woo Jin Kwon),임승근(Seung Keun Lim),윤경애(Kyoung Ae Yoon),이동희(Dong Hee Lee),박진(Jin Park),현재호(Jae Ho Hyun),양만규(Man Kyu Yang)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6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6 No.2

        목적 : 부비동염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비동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소아기에 빈발하는 질병의 하나이며, 소아과 의사들이 자주 접하게 되는 흔한 질환중의 하나이다. 부비동은 태생기와 소아 초기에 발생하여 사춘기에 이르기까지 발육하므로, 소아의 부비동염은 성인과는 다른 임상 증상과 치료에 차이를 보인다. 부비동염과 호흡기 알레르기와 관련성을 보면, 만성 호흡기 증상을 호소하는 알레르기질환 환아에서 부비동 질환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천식 환아에서 부비동 X-선 검사를 해보면 비정상 소견을 흔하게 볼수있다는 보고들이 있었으며 알레르기 질환 환아의 53%에서 비정상 소견이 있었으며, 27%에서는 완전한 혼탁이 있었다는 보고도 있다. 이에 저자들은 부비동염 환아를 알레르기군과 비알레르기군으로 분류하여 소아부비동염의 일반적인 특징과 알레르기와 부비동염의 관계 및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3년 1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대림 성모 병원 소아과 외래 및 입원 환아 중 부비동 X-선 검사상 부비동염으로 환진된 107명을 대상으로 하고 그 중 71멍에서 알레르기 피부 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이들 107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혈청 IgE와 총호산구를 측정하고 천식, 알레르기 피부 검사를 종합하여 알레르기군과 비알레르기군으로 분류하여 두 군 사이에서 중상과 혈액 검사 소견 부비동과의 관계 및 특징을 알아보고, IgE와 총호산구와의 관련성을 t-teat를 이용하여 비교 관찰하였다. 결과 : 1) 나이늘 3세에서 8세까지가 18.6%를 차지했고, 남때비는 1.7:1이었다. 2) 임상 증상 및 증후로는 비루가 66례(61.7%), 발열이 63례(58.9%), 비폐색 44례(41.1%)로 비교지 많이 볼 수 있었고, 알레르기군에서는 재채기, 비루, 발열, 비폐색이 순으로 빈도가 높았고, 비알레르기군에서는 비폐색, 재채기, 발열, 비루, 구토의 수능로 나타났다. 3) 알레르기 질환 과거력에서는 천식성 기관지염이 8.4%로 가장 빈도가 높았고, 아토피성 피부염 7.5%, 결막염 5.6%, 알레르기성 비염 47%, 두드러기 2.8%, 식품 알레르기 1.9%에서 볼 수 있었다. 4) 혈액학적 소견으로는 백혈구 증가가 33.3%, 호산구 증다증 23.2%, 적혈구 침강속도 증가 33.3%였다. 5) 부비동 X-선 소견은 혼탁이 77.6% , 점막비후 22.4%로 나타났다. 6) 총 IgE치는 200IL/m1 미만이 84.4%. 200IL/m1 이상이 15.5%이며, 1,000IL/ml 이상은 1.6%였다. 결론 : 부비동염 환아를 알레르기군과 비알레르기군으로 나누어서 비교한 결과 임상 증상 및 증후, 알레르기 질환 과거력증에서 차이가 있었지만 IgE와 총호산구의 평균값은 유의한 차이가 없으므로 IgE와 총호산구수 검사는 알레르기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로는 부적절하다고 생각된다. This report is an analysis of 107 outpatients and in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sinusitis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between January, 1993 and December, 1995. In these patients, serum IgE, total eosinophil count, allergic skin test were performed and past history of allergy was taken. These cas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allergy group and the non-allergy group and the clinical observation was don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range of ages from 3 to 8 was 78.6%, a large percentage. There were 67 males (62.6%) and 40 females(37.4%), male to female ratio was 1.7:1. 2) The clinical signs and symptoms consisted of rhinorrhea in 61.7%, fever in 58.9%, nasal obstruction in 41.1% of the cases. 3) Sneezing, rhinorrhea, fever, nasal obstruction were noted, in decreasing order, in the allergy group and in the non-allergy group, nasal obstruction, sneezing, fever, rhinorrhea vomiting, in decreasing order. 4) Asthmatic bronchitis was noted in 8.4% which was the highest in the past history of the allergic patients and the others such as atopic dermatitis, allergic rhinitis, conjuntivitis, urticaria, food allergy were noted only in a small number. 5) In hematologic findings, leukocytosis(>10,000/㎣) was noted in 33.3%, increase in eosinophil was noted (>5%) in 23.2%, and the ESR level was elevated(≥15㎜/hr) in 33.3%. 6) In the PNS view, opacity was noted in 77.6%, mucosal thickening in 22.4% of the cases. 7) Total IgE level less than 200 IU/ml in 84.4%, more than 200 IU/ml in 15.6% and more than 1,000 IU/ml 1.6% of the cases. 8)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the mean value of IgE & total eosinophil count of t-test between allergic group and non-allergic group.

      • KCI등재후보

        화총내 착과위치에 따른 ‘신고’ 배 (Pyrus pyrifolia Nakai) 과실의 품질비교

        이욱용(Ug-Yong Lee),오경영(Kyoung-Young Oh),심훈기(Hoon-Ki Shim),이혁재(Hyuk-Jae Lee),황용수(Yong-Soo Hwang),천종필(Jong-Pil Chun)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0 농업과학연구 Vol.37 No.1

        In order to prepare the technical fundamental in production of premium quality fruits of ‘Niitaka’ pears, we compared the quality parameters and storability of the fruits that had various fruit set position in a cluster. The fruits set on 4<SUP>th</SUP> from basal part in fruit cluster had the largest fruit size. The weight of fruits set on the higher position than 4<SUP>th</SUP> from basal part in fruit cluster showed decreasing tendency. The production rates of marketable fruits which had 500g to 899g in weight were the high in 3-5<SUP>th</SUP> from basal part in cluster than those in other position. The differences of fruit height and diameter which represent balanced fruit shape also showed less difference in the fruits set on 4-5<SUP>th</SUP> from basal part in cluster than the fruits set closely on basal part in cluster. The fruits set on 3-4<SUP>th</SUP> from basal part in cluster showed lower rate in incidence of core breakdown and pithiness disorder during 4 months of cold storage than those on the closer position to basal part in cluster.

      • KCI등재

        동양배 ‘원황’ 및 ‘화산’의 상온유통 중 품질 및 생리장해 발생에 미치는 1-methylcyclopropene (1-MCP) 처리의 영향

        이욱용(Ug-Yong Lee),오경영(Kyoung-Young Oh),문승주(Seung-Joo Moon),황용수(Yong-Soo Hwang),천종필(Jong-Pil Chun) 한국원예학회 2012 원예과학기술지 Vol.30 No.5

        본 연구에서는 1-MCP 처리가 조생종 ‘원황’ 및 중생종 ‘화산’배의 상온유통기간 중 과실품질 및 생리장해 발생 경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원황’배는 만개 후 130일과 140일에, ‘화산’배는 만개 후 135, 145 및 150일에 각각 수확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1-MCP를 1μLㆍL<SUP>-1</SUP> 농도로 처리한 후 25℃ 상온에서 21일간 유통시킨 후 과실경도를 조사한 결과, 1-MCP 처리에 의한 과실 경도 저하 지연효과가 인정되었다. ‘원황’배에 있어 만개 후 130일에 수확한 과실의 경우, 무처리구의 과실 경도는 상온유통 14일 후 32.3 N, 21일 후 10.1N으로 유통기간이 경과하면서 경도가 급격하게 저하되었다. 1-MCP 처리구는 같은 조사 기간에 각각 39.4 및 33.1N으로 무처리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유지되었다. 만개 후 140일에 수확한 ‘원황’에 있어서는 상온유통 14일에 각각 14.8 및 35.0N으로 1-MCP 처리구의 경도가 두 배 이상 높게 유지되었고 유통 21일에는 1-MCP 처리구가 33.3N이었던 반면 무처리구는 6.6N으로 상품성을 완전히 상실하였다. ‘화산’에 대한 1-MCP 처리 효과는 수확시기가 늦은 과실에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원황’에 대한 1-MCP 처리는 각 수확기에 있어 가용성고형물 함량이 높게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화산’에 있어서는 1-MCP 처리에 따른 함량차이는 인정되지 않았고 1-MCP 처리에 의한 산함량 감소 지연효과도 ‘원황’에서만 나타났다. 에틸렌 발생량은 ‘원황’의 경우 수확시기가 늦은 과실에서 다소 높게 측정되었으나 최대 0.58μlㆍL<SUP>-1</SUP>으로 매우 소량에 머물렀는데 ‘화산’의 경우에는 ‘원황’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1-MCP 처리유무 및 유통기간의 경과에 따른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유통기간 중 1-MCP 처리에 따른 과실의 호흡량은 ‘원황’에 대한 1-MCP 처리는 만개 후 130일 및 140일 수확 과실에 있어서 상온유통 14일에 무처리구 대비 각각 44 및 50% 감소시킨 것으로 조사되었다. ‘화산’의 호흡량은 ‘원황’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고 1-MCP 처리에 따른 호흡률의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 과실내부에 발생하는 생리장해를 측정한 결과, 두 품종 모두 수확시기가 늦어지는 경우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원황’에 있어 만개 후 130일 수확 과실에 대한 1-MCP 처리는 과육갈변을 완전히 방지하였고, 바람들이 및 과심갈변의 발생을 현저히 경감되었던 반면 flesh spot decay 장해는 증가하였다. 1-MCP 처리는 ‘원황’에서만 생리장해 경감효과가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화산’에서는 그 효과가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1-methylcyclopropene (1-MCP) on fruit quality and incidence of physiological disorders for keeping freshness during marketing period in Asi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Wonhwang’ and ‘Whasan’. Fruits were treated with 1 μLㆍL<SUP>-1</SUP> 1-MCP for 12 hours at 25℃, at two or three stages of ripeness as determined by days after full bloom (DAFB). Fruits were harvested at 130 and 140 DAFB in early season cultivar ‘Wonhwang’ and 135, 145, and 150 DAFB in mid-season cultivar ‘Whasan’, respectively. Fruits were stored at 25℃ for 21 days and measured the flesh firmness, weight loss, soluble solids, acidity, ethylene, respiration and severity of physiological disorders at week interval. 1-MCP treatment to ‘Wonhwang’ pears harvested at 130 and 140 DAFB effectively delayed firmness loss during storage at 25℃. Untreated fruits of ‘Wonhwang’ pears harvested at 130 DAFB showed 32.3 and 10.1N of firmness after 14 and 21 days of shelf-life at 25℃, respectively, while those of the 1-MCP treated fruits showed 39.4 and 33.1N during same period. In the fruits harvested at 140 DAFB, the firmness of untreated fruit was lowered to 14.8 and 6.6N after 14 and 21 days, respectively, but those of 1-MCP treated fruit were 35.0 and 33.3N, respectively. Whereas, 1-MCP treatment delayed firmness loss only in the fruit harvested late (150 DAFB) in ‘Whasan’ pears. Higher soluble solids content and acidity during extended shelf-life were apparent in 1-MCP treated ‘Wonhwang’ pears, while those of ‘Whasan’ pears were little changed. ‘Wonhwang’ pears showed a relatively high ethylene production (maximum 0.58 μLㆍL<SUP>-1</SUP>) in the fruits harvested late than early harvested one. ‘Whasan’ pears showed little amount of ethylene production regardless of extended shelf-life. 1-MCP treatment to ‘Wonhwang’ pears decreased respiration rate following shelf-life, 42 and 50% reduction were observed at 14 days of shelf-life when compared with those of untreated ones harvested at 130 and 140 DAFB, respectively. No reduction of respiration rate by the treatment of 1-MCP was detected in ‘Whasan’ pears which showed considerably low respiration rate compared with ‘Wonhwang’ pears. Harvest time influenced the level of physiological disorders together with extension of shelf-life in both the cultivars. 1-MCP treatment completely blocked the incidence of internal browning of ‘Wonhwang’ pears harvested at 130 DAFB, and reduced the incidences of pithiness and core browning, while it promoted the flesh spot decay disorder regardless of harvest time. 1-MCP treatment was of little benefit for the prevention of physiological disorders in ‘Whasan’ pears compared with those of ‘Wonhwang’.

      • KCI등재

        ‘화산’ 배 모의수출 기간 중 온도환경 및 유통기간에 따른 품질변화

        김진국(Jin Gook Kim),오경영(Kyoung-Young Oh),이욱용(Ug-Yong Lee),마경복(Kyeong-Bok Ma),황용수(Yong-Soo Hwang),최종명(Jong-Myung Choi),천종필(Jong-Pil Chu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1 시설원예‧식물공장 Vol.20 No.4

        본 실험은 수출과정 중 ‘화산’ 배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과실의 숙도별 적정수송온도 및 유통온도의 설정을 위하여 모의유통기간 중 과실의 품질과 생리장해 발생을 조사하였다. 만개 후 135일에 수확한 과실의 경우, 유통 30일에 조사한 과실 경도는 1℃에 수송되고 18℃에서 유통된 과실은 28.6N로 조사되었던 반면 5℃에서 수송되고 25℃에서 유통된 과실은 24.2N으로 수송 및 유통온도가 낮을수록 경도가 높게 유지되었다. 만개 후 145일에 수확한 과실의 경도는 만개 후 135일에 수확한 과실에 비하여 유통기간 중 경도가 현저하게 낮았는데 유통온도가 높을수록 과육의 경도 저하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과실의 생리장해 발생을 측정한 결과, 수송온도와 관계없이, 25℃에서 유통된 과실이 18℃에서 유통된 과실보다 과육의 생리장해 발생 및 과실 부패율이 2배 이상 높게 측정되어 수출과정 중 과실의 신선도 유지를 위해서는 유통온도의 관리가 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수출과정 중 발생하는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고품질 과실의 유통을 위해서는 유통환경을 고려한 수확시기 조절 및 수송 유통과정에서의 철저한 온도관리가 필수적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fruit quality indices and the incidence of physiological disorders of Korean new pear cultivar ‘Whasan’ to determine appropriate harvest time for exportation and to enhance storability and shelf-life of the fruits during simulated exportation and extending market environment under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In the experiment of simulated exportation headed for North America including Canada and U.S.A., the fruits transported at 1℃ showed less weight loss than those of 5℃. Market temperature appeared as a key factor for keeping freshness of exported pear fruits rather than transportation temperature. Quality factors such as high flesh firmness and low incidence of fruit rot and physiological disorders including core breakdown and pithiness were attained at the fruits maintained at 18℃ when we compared with 25℃. The fruits of harvested early maturity at 135 day after full bloom showed 28.6 N of flesh firmness when the fruits stored at 1℃ of transportation and 18℃ of market temperature, while the fruits progressed 5℃ of transportation and 25℃ of market temperature dropped to 24.2 N during 30 days of shelf life. Also, a high incidences of physiological disorders and of fruit decay rates were obvious in the fruits distributed at 25℃ were observed approximately two times higher than the those of 18℃. Therefore, temperature management during marketing resulted as an important point for maintaining fruits quality in the process of pear fruit expor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