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액토스정<sup>®</sup>(피오글리타존 30 mg)에 대한 염산피오글리타존정의 생물학적동등성

        염혜선,이태호,염정록,송진호,한상범,Yeom, Hyesun,Lee, Tae Ho,Youm, Jeong-Rok,Song, Jin-Ho,Han, Sang Beom 한국분석과학회 2009 분석과학 Vol.22 No.1

        The bioequivalence of two pioglitazone tablets, Actos$^{(R)}$ tablet (Takeda Chemical Industries, reference drug) and Pioglitazone tablet (Boryung Company, test drug)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wenty-eight healthy male Korean volunteers received each medicine (pioglitazone dose of 30 mg) in a $2{\times}2$ crossover study with one week washout interval. After drug administration,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specific time intervals from 0-36 hours.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pioglitazone were determin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The total chromatographic run time was 5 min and calibration curves were linear over the concentration range of 5-2000 ng/mL for pioglitazone. The method was validated for selectivity, sensitivity, linearity, accuracy and precision.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were determined from the plasma concentration-time profiles of both formulations. The primary calculated pharmacokinetic parameters were compared statistically to evaluate bioequivalence between the two preparations. The 90% confidence intervals of the $AUC_t$ ratio and the $C_{max}$ ratio for Pioglitazone tablet and Actos$^{(R)}$ tablet were log0.9422~log1.1040 and log0.9200~log1.1556, respectively. Based on the statistical considerations, we can conclude that the test drug, Pioglitazone tablet was bioequivalent to the reference drug, Actos$^{(R)}$ tablet.

      • KCI등재

        중학생의 또래관계 변화신념, 사회적 성취목표, 갈등해결전략, 또래관계 질 및 공격성의 관계

        염혜선(Hyeseon Yeom),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8 敎育心理硏究 Vol.32 No.2

        본 연구는 사회적 성취목표 중 수행접근목표를 인정중심 수행접근목표와 지위중심 수행접근목표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목표유형이 또래관계 변화신념과 갈등해결전략, 또래관계 질 및 공격성의 관계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중학생 613명(남 297명, 여 316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첫째 사회적 숙달목표는 절충전략 및 또래관계 질을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사회적 인정중심 수행접근목표는 지배전략과 또래관계 질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사회적 지위중심 수행접근목표는 지배전략과 또래관계 질뿐만 아니라 공격성도 정적으로 예측한 반면, 사회적 수행회피목표는 절충전략과 또래관계 질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또래관계 증진신념은 사회적 숙달목표와 절충전략을 매개로 또래관계 질을 높였으나 또래관계 고정신념은 사회적 수행회피목표와 절충전략을 매개로 또래관계 질을 낮추었다. 셋째, 또래관계 고정신념은 여학생들의 사회적 인정중심 수행접근목표에 정적 효과가 있었으며, 남학생들의 공격성에 유의한 정적 효과가 있었다. 사회적 지위중심 수행접근목표는 남학생들의 공격성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또래관계에 대한 신념에 따라 각기 다른 사회적 성취목표를 지향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갈등해결전략의 선택과 사회적 적응 수준이 달라지며 성차에 따라 그 효과가 다름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social achievement goals with implicit theories of peer relationships as antecedents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peer relationship quality and aggression as consequences. The participants were 613 first, second, and third graders(297 males, 316 females) enrolled in six middle schools.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mastery goa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er conflict compromise strategy, whereas social approval-focused performance goa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er conflict domination strategy, although both goa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er relationship quality. The social status-focused performance goa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not only with peer conflict domination strategy and aggression but also with peer relationship quality. Social performance avoidance goal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peer conflict compromise strategy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As expected, peer relationship incremental beliefs positively predicted compromise strategies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via social mastery goals. Peer relationship entity beliefs negatively predicted compromise strategy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via social performance avoidance goals.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several paths. The peer relationship entity belief positively predicted the approval-focused performance approach goal only for girls, whereas its positive effect on aggression was significant only for boys. The social status-focused performance approach goal had a positive effect on aggression only for boys. The present findings evidenced several mediating mechanisms through which implicit theories of peer relationships had different effects on social adjustment as well as gender differences in these mechanisms.

      • KCI등재

        사회적 및 학업적 맥락에서의 유능감과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성취, 또래관계 질의 구조적 관계

        염혜선(Hyeseon Yeom),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2

        본 연구는 사회적 및 학업적 맥락에서의 유능감과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성취, 또래관계 질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사회적 영역과 학업적 영역을 교차하여 유능감, 성취목표지향성 및 적응의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대도시 소재의 2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1학년 학생 705명(남 341명,여 364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학업적 유능감은 학업적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그리고 사회적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유능감은 사회적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업적 숙달목표를 추구 할수록 또래관계 질에 긍정적이었고, 학업적 수행접근목표를 추구할수록 학업성취에는 긍정적이었으나 또래관계 질에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수행회피목표를 추구할수록 학업성취에는 부정적이었으나 또래관계 질에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회적 숙달목표는 학업성취와 또래관계 질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수행접근목표는 학업성취에는 부정적이지만 또래관계 질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수행회피목표는 학업성취에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및 사회적 유능감은 또래관계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업적 유능감은 학업적 숙달목표를 매개로 또래관계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학업적 유능감은 학업적 수행접근목표를 매개로 학업성취에는 긍정적이나 또래관계 질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업적 유능감은 사회적 숙달목표를 매개로 학업성취와 또래관계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유능감은 사회적 숙달목표를 매개로 또래관계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유능감은 사회적 수행접근목표 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 의를 논의하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ademic and social competence, academic and social achievement goals, academic achievement and friendship quality of adolescents, This study also examined whether academic and social achievement goals play significant roles in the mediation of the academic and social competence on academic achievement and friendship quality, The participants were 705 first grade students(48, 4% boys) in high schools,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ademic competence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mastery goal, academic performance-approach goal, social mastery goal and social performance-approach goal, Social competence had positive effects on social mastery goal and social performance-approach goal, Second, academic mastery goa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riendship quality, whereas academic performance-approach goa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friendship quality, Academic performance-avoidance goal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friendship quality, Third, social mastery goa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friendship quality, whereas social performance-approach goal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friendship quality, Social performance- avoidance goa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Fourth, academic mastery goal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competence and friendship quality, Academic performance-approach goal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compet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friendship quality, Social mastery goal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compet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friendship quality, Social mastery goal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friendship quality, Social performance-approach goal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o pursue social mastery goal had positive effect on adjustment not only in academic domain but in social domain,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both academic goal orientation and social achievement goal were discussed for the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djustment of adolescents across the academic and social domain.

      • KCI등재

        중학생의 학업열의, 또래관계 질, 공격성 및 삶의 만족도에 대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의 시너지 효과

        염혜선(Hyeseon Yeom),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20 敎育心理硏究 Vol.34 No.3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업열의, 또래관계 질, 공격성 및 삶의 만족도에 대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8(KCYPS 2018)의 중학교 1학년 2,590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의 상호작용항 잠재변수가 포함된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은 학업열의, 또래관계 질, 삶의 만족도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공격성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은 학업열의, 또래관계 질 및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공격성에는 부적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즉,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높을수록 학업열의, 또래관계 질 및 삶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높은 수준의 구조제공이 수반될수록 더욱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반면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높을수록 공격성은 낮았으며, 높은 수준의 구조제공이 수반될수록 공격성은 더욱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이 학업적 적응뿐만 아니라 사회적 및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provision of structure on academic enthusiasm, peer relationship quality, agg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s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provision of structure.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based on data from middle school first grade 2,590 students(54.2% boys, 45.8.3% girls) in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KCYPS 2018). As a result, first,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provision of structure positively predicted academic enthusiasm, peer relationship quality, and life satisfaction and negatively predicted aggression. Second,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e revealed positive interaction effects on academic enthusiasm, peer relationship quality, and life satisfaction, and negative interaction effects on aggression. Specifically, the higher the parental autonomy support, the higher the academic enthusiasm, peer quality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provision of structure enhanced these positive effects of autonomy support.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parental autonomy support the lower the aggression, and the provision of structure facilitated these negative effects of autonomy support on aggress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provision of structure on social adaptation as well as academic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extended previous research by confirming the synergies of autonomy support and provision of structure.

      • KCI등재

        사회적 수행접근목표의 재개념화에 따른 4요인 사회적 성취목표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염혜선(Hyeseon Yeom),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7 敎育心理硏究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수행접근목표의 재개념화에 따른 4요인의 사회적 성취목표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수행접근목표를 타인의 인정과 긍정적 평가에 중점을 두는 인정중심 수행접근목표와 인기와 능력의 과시에 중점을 두는 지위중심 수행접근목표로 구분함으로써 사회적 숙달목표, 인정중심 수행접근목표, 지위중심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로 이루어진 4요인 사회적 성취목표척도를 개발하였다. 먼저 중학생 453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여 문항을 정교하게 수정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중학생 613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성취목표는 네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며 구조 모형에 대한 만족할 만한 적합도 지수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본 척도와 기존 사회적 성취목표척도, 사회적 유능감, 공격성, 사회불안, 자아존중감 수준 및 안정성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척도의 준거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성취목표에서 사회적 수행접근목표의 재개념화를 통해 하위요인을 재구성함으로써 수행접근목표의 효과를 명확히 규명할 수 있는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new social achievement goal scale based on the re-conceptualization of the social performance goal. Re-conceptualization was followed by the investigation of social achievement goal theories, scales, and related studies. The new four-factor social achievement goal scale consisted of the social mastery goal, social approval-focused performance approach goal, social status-focused performance approach goal, and social performance avoidance goal. In the main study, 613 middle school students responded to the 18 preliminary item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roduced satisfactory goodness-of-fit indices for the 4-factor structure, thereby support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new scale.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conducted between the present scale and the existing social achievement goal scale, as well as social competence, aggression, social anxiety, self-esteem level and stability. The results confirmed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scale. The present findings ha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to propose new types of social achievement goals and to enrich our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social achievement goals.

      • KCI등재

        중학생의 4요인 사회적 성취목표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사회적 적응 탐색

        염혜선(Yeom, Hyes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본 연구는 중학생의 4요인 사회적 성취목표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구분하고 프로파일에 따른 사회적 유능감, 공격성, 사회불안, 갈등해결전략, 자존감 수준 및 자존감 안정성의 차이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2016년 5월에서 6월 까지 약 1달 간 D시 5개 구에 소재한 6개 중학교에 재학중인 1∼3학년 학생 581명(남 276명, 여 3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와 Mplus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4요인 사회적 성취목표에 따라 ‘저 사회적 성취목표형’, ‘숙달지향 성취목표형’, ‘저지위중심 성취목표형’, ‘고지위중심 성취목표형’, ‘고사회적 성취목표형’의 5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특히, 숙달지향 성취목표형이 가장 긍정적인 결과를 고지위중심 성취목표형은 가장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고사회적 성취목표형은 높은 사회적 유능감을 보였으나, 또래갈등전략 중 지배전략사용이 높고 자존감이 불안정한 양면적인 양상을 나타냈다. 한편 저사회적 성취목표형은 사회적 유능감, 공격성 및 사회불안이 가장 낮고 자존감이 안정적인 특징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수행접근목표를 인정 및 지위중심 수행접근 목표로 구분한 4요인 사회적 성취목표의 잠재프로파일을 살펴보았다. 또한 사회적 지위중심 수행접근목표가 높은 집단이 가장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내며 사회적 숙달 목표만 높은 집단은 가장 긍정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latent profiles of four-factors social achievement goal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ocial competence, aggression, social anxiety,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self-esteem and self-esteem stability among profile groups. Applying latent profile analysis with 581 middle school students, five distinct profiles of four-factors social achievement goal were identified; ‘overall-low social achievement goal profile(i.e., low both mastery and performance goals)’, ‘mastery oriented achievement goal profile(i.e., only high mastery goal)’, ‘status-low achievement goal profile(i.e., only low status-focused performance approach goal)’, ‘status-high achievement goal profile(i.e., only high status-focused performance approach goal)’ and ‘overall-high social achievement goal profile(i.e., high both mastery and performance go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Mastery oriented achievement goal profile was the most positive than other four groups. However, status-high achievement goal profile was most negative results. Overall-high social achievement goal profile showed higher levels of social competence, but showed a bilateral pattern in which peer conflict domination strategy was highly used and self-esteem was unstabl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latent profiles of the four-factors social achievement goals by identifying it as the approval-focused and status-focused performance approach goal, and confirmed the maladaptive outcome of the group with the high level of the social status-focused performance approach goal. Only high level of mastery goal was most positive. Th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또래에 대한 성장신념, 기본심리욕구 지지적인 태도, 자기결정성 동기, 수업참여 및 또래관계 질의 구조적 관계

        염혜선(Yeom, Hye-Seon)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교육논총 Vol.41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또래에 대한 성장신념, 기본심리욕구 지지적인 태도를 독립변인, 자기결정성 동기(내적 동기, 외적 동기 및 무동기)를 매개변인, 수업참여 및 또래관계 질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이들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자기결정성 동기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493명(남 264명, 여 22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고 연구한 결과, 첫째, 또래에 대한 성장신념은 내적 동기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외적 동기와 무동기는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기본심리욕구 지지적인 태도는 내적 동기를 정적으로 예측하고, 무동기는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기본심리욕구 지지적인 태도는 수업참여 및 또래관계 질을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는 수업참여를 정적으로 예측하고, 무동기는 수업참여를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또래에 대한 성장신념과 수업참여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 동기의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또래에 대한 성장신념과 기본심리욕구 지지적인 태도에 따라 개인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수업참여 및 또래관계 질에도 유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the incremental beliefs about peers, supportive attitudes toward basic psychological needs, self-determination motives, student engagement,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determination motives. The participants were 493 fifth and sixth graders (264 males and 229 females) enrolled in 4 elementary school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cremental beliefs about peers and supportive attitudes toward basic psychological need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ternal motivation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amotivation. Second, supportive attitudes toward basic psychological need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er relationship quality and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tudent engagement, whereas amotiv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tudent engagement. Third, the indirect effect of self-determination motives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remental beliefs about peers and student engage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confirmed that the self-determination motive, student engagement,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are effective according to the incremental beliefs toward others peers and the supportive attitude toward basic psychological needs.

      • KCI등재

        학업적,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의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적, 사회적 적응의 차이

        염혜선(Hyeseon Yeom),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업적 및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구분하고 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성취, 또래관계, 학업적 및 사회적 유능감의 차이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다중목표관점에서 개인중심적 접근 방법을 통해 잠재프로파일별 학업적 및 사회적 적응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8개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5, 6학년 학생 647명(남 303명, 여 347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학업적 및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에 따라 ``높은 성취목표형``, ``평균 성취목표형``, ``낮은 성취목표형``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학업적 및 사회적 성취목표가 모두 높은, 높은 성취목표형은 평균 성취목표형과 낮은 성취목표형에 비해 학업성취, 학업적 및 사회적 유능감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낮은 성취목표형에 비해 학업적 및 사회적 수행접근과 수행회피목표가 유의미하게 높은 평균 성취목표형이 유의미하게 낮은 수준의 또래관계 질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학업적 및 사회적 숙달목표뿐만 아니라 수행접근과 수행회피목표도 높은 집단이 학업적, 사회적 적응이 가장 우수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학업적 및 사회적 숙달목표가 낮을 경우에는 수행접근과 수행회피목표 수준의 차이는 학업적, 사회적 적응의 차이로 이어지지 않았으며, 또래관계 질의 경우 학업적 및 사회적 수행접근과 수행회피목표가 낮을수록 오히려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latent profiles of academic and social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friendship quality, academic competence and social competence among profile groups. Applying latent profile analysis with 647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ee distinct profiles of academic and social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were identified; high achievement goal profile (i.e., high in both academic and social goals), average achievement goal profile (i.e., average level in both academic and social goals), and low achievement goal profile (i.e., low in both academic and social goals). High profil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competence, and social competence than other two roups. Average profile group and low profile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competence, and social competence, except for the friendship quality. Although average profil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approach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s than low profile group, these differences did not lead to the differences in academic and social adjustment. Given that these two groups had low mastery goals, the positive effects of performance-approach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s may be limited to the children with high mastery goals. Th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고등학생의 자기외모수용, 자존감안정성, 또래애착 및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

        김경미(Kim, Kyoungmi),염혜선(Yeom, Hyeseo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자기외모수용, 자존감안정성, 또래애착 및 우울 간의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부산, 경남의 고등학생 367명(남학생 181명, 여학생 1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에는 SPSS 22.0과 AMOS 22.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외모수용은 자존감안정성 및 또래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우울에는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즉, 고등학생의 자기외모수용이 높을수록 자존감안정성과 또래애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존감안정성과 또래애착은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기외모수용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존감안정성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존감안정성과 또래애착의 유의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자기외모수용은 자존감안정성과 또래애착을 매개하여 우울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의 자기외모수용과 자존감안정성, 또래애착 및 우울의 관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고등학생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자기외모수용의 방안과 자존감안정성과 또래애착의 중요성 및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high school student s self-appearance acceptance, stability of self-esteem, peer attachment, and depress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tability of self-esteem and peer 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ppearance acceptance and depression. Method: For the research a survey of 367 high school students (181 male students and 186 female students) in Busan and Gyeongnam was conducted.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2.0 and Amoss 22.0. Results: First, self-appearance accept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with stability of self-esteem and peer attachment but not with depressiont. In means high snhool students have a high score of self-appearance acceptance, stability of self-esteem, and peer attachment. Second, stability of self-esteem and peer attach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ion. Third, stability of self-esteem and peer attachment mediated between self-appearance acceptance and depression. It means self-appearance acceptance has an indirect effect on depression by mediating a stability of self-esteem and peer attachment.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f-appearance acceptance, stability of self-esteem, peer attachment, and depression of high school students was confirmed. To prevent the high school students’ depression, the accept attitude of self-appearance, importance of stability of self-esteem, peer attachment,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