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교실에서 돌봄 공동체 구축을 위한 유아교사의 교수실천

        염지숙(Yeom Ji-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교실에서 유아교사가 돌봄 공동체 구축을 위하여 어떠한 교수실천을 실행하며, 돌봄의 교실공동체를 구축을 위한 교수실천이 다문화 유아교사에게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나눔 마을 햇살어린이집의 교사, 유아, 부모였다. 자료 수집은 관찰, 대화, 저널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정 교사가 돌봄 공동체 구축을 위해 실행했던 교수 실천은 가족과 지역 사회 맥락에서 이해하고 실천하는 삶과 교육, 다양하고 적극적인 방식으로 부모와 소통하기, 일상의 삶 속에서 실천하는 ‘돌봄’, 다문화 교사교육자 되기였다. 다문화 교실에서 교실 돌봄의 공동체를 구축을 위한 정 교사의 교수실천은 정 교사에게 다문화 교실의 구성원과 함께 살아내는 삶이며, 아이, 부모, 교사, 마을 주민 간의 관계를 엮어주는 연결 축으로서의 삶을 살아가는 것을 의미했다. 본 연구 결과는 농촌지역에서 다문화 유아를 위해 교사와 부모, 더 나아가 마을전체가 어떻게 소통하면서 교육과 보육을 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보여주는 하나의 모범 사례로서의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eaching practice of an early childhood educator with the goals of constructing a caring community in the multicultural classroom and discovering the meaning of her teaching practice. I invited one teacher and three children with their parents who were from the Haessal Child Care Center. The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conversations with the participants, especially with the teacher. The teaching practice of the teacher was as follows: Practicing her teaching in the context of children’s family backgrounds and community; Actively communicating in various ways with the children’s parents; Implementing the caring curriculum in daily life; Becoming a multicultural teacher educator. The meanings of teaching practice of this teacher were ‘living’ with the classroom members, not simply teaching them and living her life as a central axis of the community, and connecting those members.

      • KCI등재

        내러티브 탐구 연구방법론에서 관계적 윤리의 실천에 대한 소고

        염지숙(Yeom, Ji-Sook)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2

        이 연구에서는 ‘관계’를 탐구의 중심에 두는 내러티브 탐구 연구방법론에서 관계적 윤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살펴보고, 그러한 관계적 윤리를 유아교육연구에서 어떻게 실천할 수 있는가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질적 연구에서 제기되는 윤리적 문제를 살펴보고, 그다음으로 내러티브 탐구에서 관계적 존재론에 기초한 관계적 윤리를 살펴본 후, 마지막으로 유아교육연구에서 관계적 윤리의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 유아교육연구에서 관계적 윤리 실천방안으로, 참여자들과 함께 살아가는 ‘관계적 공간’으로 들어가기, 참여자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반응하기, ‘긴장’이 일어나는 순간에 주목하기, 참여자 보호를 위한 픽션화(fictionalization)된 연구텍스트 구성하기 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질적 연구자에게 질적 연구에서 윤리적 문제의 중요성을 재고해 보고, 윤리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기존 방식과는 차별화되는 방식에 대해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더 나아가 연구자에게 자신의 연구에 적합한 독특한 방식으로 윤리적 문제를 다룰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al ethics in a narrative inquiry that places its focus on relationship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ethical dilemmas in qualitative research were first analyzed. Then the relational ethics based on relational ontology were explored. Finally, strategies to implement relational eth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were discussed. The strategies are as follows: entering into the ‘relational space’ where participants and researchers co-exist, listening and responding to participants’ stories, focusing on the moment of the ‘tension’, and composing fictionalized research texts to protect the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texts. This study will provide opportunities for narrative inquirers to reflect upon the importance of ethics in a narrative inquiry. Furthermore, this study will allow the researcher to contemplate on different ways to deal with ethical issues. Lastly, this study will open the door for researchers to find their own appropriate strategies for managing ethical issues in their research.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교육 관련 국내연구 동향 분석

        염지숙(Jl Sook Yeom),조형숙(Hyung Sook Cho),박지희(Ji Hee Par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수행된 예비유아교사교육 연구 동향을 유치원교사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향후 이 분야의 연구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0-2013년 사이에 유아교육관련 4개, 교사교육관련 1개, 총 5종의 학술지에 실린 81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예비유아교사교육에서 다루어진 핵심역량은 교육과정 운영, 교직인성 개발 및 전문성 개발 역량 순으로 많았고, 학급운영 역량과 관련된 논문은 한 편도 없었다· 누리과정 영역별로는 자연탐구 영역, 특히 과학교육 영역을 다룬 논문이 압도적으로 많이 수행되었다· 과학교육 영역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진 핵심역량은 교육과정 운영, 교직인성 및 전문성 개발 역량 순이었다· 교수학습방법별로는 반성적 교수, 탐구중심, 현장연계, 수업사례, 포트폴리오, 개념도 전략 순으로 많이 다루어졌으며, 교직인성 및 전문성 개발 역량과 교육과정 운영 역량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교육실습 관련 연구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진 핵심역량은 교육과정 운영 역량이었다· 향후 예비유아교사교육 관련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적게 다루어진 핵심역량 및 누리과정 영역을 다룬 연구가 더 활발히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pertaining to the development of future studies by analyzing present research trends in the area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doing so, the ‘Korean kindergarten teacher core competency standard’ was used as the criteria for the analysis of 81 research papers from 5 different journals published between 1990 and 2013.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Research in the area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focused on ‘curriculum execution competency’ and the ‘teaching disposition & professional development competency.’ All research examined the ‘class management competen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areas of the Nuri curriculum, most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An analysi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showed that used most often was reflective instruction, followed by inquiry-based instruction, and then field related instruction, using the cases of teaching, portfolios, and conceptual diagram strategy. For the research in the area of early childhood practicum, researchers addressed most often the ‘curriculum execution competenc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유아교육과 편입생들의 편입 후 대학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염지숙(Yeom Ji-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 편입생들이 편입 후에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를 알아보고 그 경험의 의미를 찾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인 박정미 학생과 김혜영 학생은 편입 초기에 편입에 성공에 했다는 심리적 안도감, 학업성취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과 인간관계에서의 심리적 소외감이라는 양면적인 심리적 상태를 보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들은 철저한 자기관리와 재학생들에게 먼저 다가가기, 재학생들로부터 배우고 그들에게 도움주기, 유아교육과 구성원들의 도움을 통해 ‘경계인’으로 살아가면서 궁극적으로 유아교육과 구성원으로서 정체성을 형성하고 유아교사로서의 미래 삶을 위한 비전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편입생들은 자아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구축하였다. 편입생지도를 위한 방안으로 학과 교수들의 적극적인 지도와 조언, 학과의 조교나 선배를 통한 멘토링제도 제공, 편입생과 교수와의 열린 대화의 장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ransfer students and the resultant wholistic meaning in their lives. Narrative inquiry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Two students who transferred to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 University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Both students showed two differen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t the beginning of their first transfer year. Increasingly, they realized the need for and demonstrated their ability to self-discipline themselves. They also focused on forming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other students who already were in their department, learned from and helped other students, and appreciated the help received from both students and professors in their department. They were forming their own identities as a member of their department and becoming more secure in their personal ‘vision’ of their life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For the transfer students, this entire process was an integral part of reconstructing of their self-identity, and the process of redefining who they were. This study suggests that provision of space by professors to encourage open communication and an active involvement in building relationships with the transfer students, as well as the department's well planned mentoring system, would contribute to forming part of a strong basis for the successful transition of these students.

      • KCI등재

        누리반 유아들의 다문화 교실공동체 만들어가기

        염지숙 ( Ji Sook Yeo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별나라 어린이집 누리반 유아들이 어떻게 다문화 교실공동체를 만들어가며, 누리반을 통해 본 유아 다문화 교실동동체의 특성이 무엇인가를 탐색하는 것이다. 자료 수집은 누리반에서 4개월간의 집중적인 관찰과 대화를 통해 이루어졋다. 연구결과 학기초에 다문화가정 유아 민지를 놀이집당에서 배제하고 차별하던 누리반 아이들이 다문화교육 활동과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박 교사의 인식변화 및 교육방식에 의해 누리반 구성원들의 다름을 인정하고 서로를 수용하게 되었다. 누리반에서 볼 수 있는 다문화 교실공동체의 특성은 소수자의 주체화, 다수자의 변화, 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실행, 공동체의 일반적 특징, 즉 돌봄, 대화, 존중, 협력 등이였다. 결국 누리반은 차별과 배제의 공간에서 차이와 생성의 공간으로 변화하면서, 서로 이질적인 문화들이 융해되고 혼합되어 재구성이 이루어지는, 그리하여 새로운 혼종의 문화를 만들어내는 "제 3의 공간"(Bhabha, 1994)이 되어가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유아와 일만유아 모두를 위한 다문화교육 실시하기, 기관, 부모, 지역사회가 서로 협력하기, 소도시와 농어촌지역의 유아 다문화교사교육을 위해 행·재정적 지원하기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way in which the children in a Nuri clas at Beolnara daycare center constructed a multicultural classroom community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community. Data was collected during a 4 month period through observing classroom activities and the conversations between the children and their teacher. Findings reveal that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the children excluded Minji, a child in their play group who was from a multicultural family. However, as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multicultural activities which were provided by their teacher, they began to acknowledge and accept the "otherness" of each other. Thus, recognition of the subjectivity of the minority and the change in the majoritie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curriculum by the teacher and the construction of community emerged a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Nuri multicultural early childhood classroom community. In sum, the space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became the space of differences and generation, a "third space" in which different cultures mixed and fused and new cultures were reconstructed, generating a hybrid culture. The study suggests that success in creating this positive hybrid culture requires providing a time and space during which children can speak with their own voices. As well, time, space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re needed to allow early childhood institutes, parents and local communities to work collaboratively for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in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 프로젝트 접근법의 국내 유아교육현장 적용 시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한 질적 연구

        염지숙(yeom Ji-Sook)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4 韓國敎育論壇 Vol.3 No.1

        This study examined the difficulties of the teachers, parents, children, and principal while project approach was being implemented in korean preschool classrooms and suggested the ways of improvement in implementing it five prohects implemented between the academic year of 2000-2001 in the preschool were observed. participant observed participant observation, journal writing, interview, and conversation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major finding od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teachers had diffculties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emergent curriculum the excessive ratio of children to teacher per class, the lack of support from parents, community, and administators of the preschool. 2. The parents had difficulties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project Approach properly 3. The children had difficulties due to lack of drawing and writing abilitities. 4. The principal had difficulties in helping teacher and parendts understand project Approach properly. Th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in implementing Project Approach are as follows: 1. New perspectives of the role of teachers, the images of children, and the meaning of collaboration have to be made among early childhood educators, parents of collaboration have to be made among early childhood educators, parents, and administrators. 2. The ratio of children to a classroom teather should be lowered. 3. Parents education to a classroom teacher should be lowered. 4. It is important for children to be able to go to the same preschool for 2-3 years consecutively in order to be accustomed to Project activities. 5. Pre- service and in-service education for Project Approach should be planned and carried out more systematically.

      • KCI등재

        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ty)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염지숙 ( Ji Sook Yeom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3 교육인류학연구 Vol.6 No.1

        이 글에서는 질적 연구의 한 형태로 클랜디닌과 코넬리(Clandinin & Connelly, 2000)가 개발하고 발전시켜온 내러티브 탐구를 소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 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필요성1 내려티브 탐구의 구체적인 수행 절차를 기술하였다. 그리고 내러티브 탐구 수행 시 연구자가 경험할 수 있는 딜레마와, 좋은 내러티브 탐구자가 되기 위해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필요성올 언급하는데 있어서, 궬넬리와 클랜디닌은 교육 연구에서 우리의 관심은 교사와 학생들의 삶 의 경험이며, 내러티브가 경혐의 의미를 가장 잘 드러내 줄 수 있는 방법들 가운데 하나라고 주장한다. 연구 수행 절차 부분에는 현장에 들어 가는 단계, 현장에서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 현장 텍스트를 구성하는 단체, 연구 텍스트 구성올 위해 경협에 대한 의미를 만드는 단계, 연구 텍스트를 구성하는 단계를 연구자가 유념해야하는 면들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이에 더하여, 이 글에서는 블랜디닌과 코낼리(2000)가 내러티브 탐구라는 연구 방법의 틀을 제시하기 위하여 발전시킨 은유적 용어, ‘내려터브 탐구의 삼차원적 공간(three-dimentional narrative inquiry spaces)’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좋은 내리티브 탐구를 위해, 일상의 삶 속에서 현상을 내러티브적으로 보고, 생각하고, 느끼는 일을 실천하는 내러티브 탐구자의 자세가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narrative inquiry which was a typ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It was begun and developed by Clandinin and Connelly (2000). What is narrative inquiry, why it is important in educational research, and what is the specific procedure of narrative inquiry were described. What are the dilemmas of narrative inquiry and what makes a good narrative inquirer were examined. It was emphasized for the narrative inquirers to observe, think, and feel narratively the phenomena of the daily lives to do good narrative research.

      • KCI등재

        유아교육,보육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평가제도의 통합방안

        염지숙 ( Ji Sook Yeom ),고영미 ( Young Mi G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유아교육·보육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평가제도의 통합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육·보육 서비스의 질 및 평가제도 관련 문헌, 우리나라 및 OECD 국가의 유아교육·보육 서비스 평가현황, 우리나라 유치원과 어린이집 평가제도 관련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부터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시사점을 토대로 유아교육·보육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평가제도의 통합방안을 평가목적, 평가대상, 평가주관 및 평가과정 운영, 평가방법, 평가위원, 평가결과 공개 및 활용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나타난 평가제도의 통합방안을 제시하면, 평가목적으로는 영유아 및 교사의 성장과 발달 뿐 아니라 부모, 지역사회, 국가의 요구나 기대 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시스템 구축과 이를 통한 기관의 질적 수준 제고 및 공교육·보육의 실현을 포함하는 것이 적절하다. 평가대상은 유치원 뿐 아니라 어린이집 전체로 확대해야 하며, 평가주관은 국가차원에서, 평가과정 운영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수행하고 있는 현 체제의 기본원칙은 지속시키되, 한 부서에서 유치원과 어린이집 평가를 총괄 관리하는 시스템 구축이 바람직하다. 평가내용으로는 누리과정영역, 교육·보육환경, 유아의 건강 및 안전, 운영관리, 부모 및 지역사회연계 등을 중심으로 핵심적인 사항을 포함한 공통지표와, 시·도교육청이나 지자체의 역점사업 또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특성을 고려한 자체지표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평가방법으로는 평가참여 신청, 자체점검, 자체점검 보고서에 대한 서면심사, 외부평가위원의 현장방문 평가, 최종평가를 포함하고, 다면적 평가방법을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 평가위원으로는 최소 3년 이상의 현장 경력을 지닌 현장방문 평가자 또는 관찰자로 구성하고 현장평가에 필요한 사항을 숙지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연수와 훈련 등을 의무사항으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가결과 공개 및 활용으로는 현 체제 속에서 두 기관 모두 최소 3단계 공개에서 점차 미인증, 인증, 우수인증의 동일한 형태로 유치원 알리미 및 아이사랑 보육포털 또는 통합된 하나의 포털 사이트에 공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가결과 활용은 인증 또는 우수기관에 대한 재정 차등지원이나 교직원 인센티브와 같은 제도 도입, 미흡기관에 대한 컨설팅이나 조력, 기준미달 기관에 대한 재정지원 제한 등과 같은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이 같은 평가제도의 통합방안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관련 법 조항의 개정 및 신설을 통해 법적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integrated evaluation system for monitoring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CEC). To achieve this goal, we reviewed literature in the areas of quality 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s in ECEC, analyzed current methods of monitoring quality in ECEC in both Korea and other OECD countries, and analyzed related Korean laws. Then, we drew implications from these analyses and, based on these implications, suggested an integrated plan for an evaluation system of monitoring quality in ECEC as follows:1. The purposes of the evaluation: The further development in areas of learning and teaching of young children`s and their teachers; the construction of a system to meet the needs of parents, community, and nati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ECEC; the attainment of public education and care in ECEC. 2. Targets: Every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3. Responsible bodies: the Korean government, the local governments, perhaps a single independent institute. 4. Contents: Common evaluation indicators, self-developed indicators from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or each of ECEC institute. 5. Methods: Both internal and external evaluations, multi-faceted methods. 6. Qualifications of evaluation committee: Holding at least 3 years of practical experience; will require/require additional training. 7. Publicity of results: Informing publically through a single portal site. Public will be informed through a single portal site. 8. Outcome: Financial support, incentives for staff, providing consulting, imposing sanctions. 9. The legal grounds: inserting additional articles or revising existing laws.

      • KCI등재

        유아들의 경험으로부터 본 조기유학의 빛과 그늘

        염지숙(Yeom Ji-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6

        본 연구에서는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부모의 의사결정에 의해 조기유학을 오게된 유아들이 낯선 외국의 학교에서 겪는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통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유치원을 마치고 캐나다로 조기유학을 온 후, 연구진행 당시 초등학교 1학년에 다니고 있던 건우와 민정이, 그리고 그들의 어머니들과 총 9개월에 걸친 대화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유아들의 일기, 미술작품, 학교 수업시간 동안의 활동자료, 과제물, 유아들이 쓴 편지 등이 보조 자료로 사용되었다. 건우는 조기유학동안 아빠와의 이별과 영어의 부족으로 인해 학교생활 초기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잃지 않기 위해 한국말을 잊어버리지 않으려는 의지도 보여주었다. 민정이 역시 영어의 부족으로 학교생활 적응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으나, 한국말과 영어를 모두 할 수 있는 한국인 친구의 도움과 담임교사의 배려로 점차 안정된 학교생활을 할 수 있었다. 건우와 민정이의 이야기가 부모, 유아교육자, 행정가들로 하여금 유아들의 조기유학의 목적이 무엇인지, 유아에게 반드시 필요한 일인지, 조기유학 이외의 방법은 없는지 등에 대해 신중하게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the 삭제) young Korean children during their short period of studying abroad. Narrative inquiry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ology, as conceptualized by Connelly and Clandinin(1990, 2000). Data was collected for 8 months(,삭제) from April to December 2007, using conversations with two Korean young children who were in grade one. at the time of my conducting the research with them and their mothers.(삭제) Data analysis was made in a more holistic way than coding. The stories of the two children's experiences clearly indicate that there were tensions, difficulties, and uncertainties in the process of adjusting in a foreign country. For both children, English was the greatest barrier in this process of adjusting to their new foreign landscape.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for teachers, teacher educators, policy makers, and administrators to consider improvement in curriculum making and implementation in the area of second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자녀의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농촌지역 어머니들의 취학준비에 관한 연구

        염지숙(Yeom, Ji-Soo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7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4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어머니들이 자녀의 초등학교 적응을 위해 어떠한 준비를 하는가를 살펴보고, 그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하늘면 청정마을 해맞이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2명의 어머니들이다. 자료 수집은 어머니들과의 개별면담, 담임교사와의 면담, 이들과의 비공식적인 대화, 그리고 교실관찰에 의해 이루어졌다. 어머니들은 자녀의 초등학교 준비를 걱정하였으나 정보의 부재를 경험하였고, 유일한 취학준비로서 자녀들에게 학습지를 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어머니들은 유치원이 초등학교를 위한 학습준비 장소가 아닌, 자녀들이 친구를 사귀고 놀이하는 장소로서의 역할을 해주길 바랐다. 또한 어머니들은 교사, 아이들, 부모가 모두 서로 보살피는 관계에 있는 작은 학교가 자녀들이 초등학교에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연구결과로부터 자녀의 초등학교 취학준비를 위한 부모 지원의 방안으로서, ‘정보의 교환을 위한 농촌지역의 사회적 관계망을 발전시키기’, ‘사교육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기’, ‘마을과 학교가 함께 아이들의 교육을 책임지는 교육공동체 구축하기’를 강조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to discuss the ways in helping mothers’ preparation of their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n a rural area.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wo mothers who sent their children to a small kindergarten that was attached to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Haneul-myou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informal conversations with the two mothers and a kindergarten teacher. The mothers were concerned about their children’s adjustment. However, they were not able to obtain the information to help their children’s transition to grade one. To help their children academically, both mothers taught their children through worksheets from the visiting teacher. Despite the academic concerns, both mothers were happy to send their children to a small school due to its tight-knit community. They thought that this kind of caring environment would help their children’s adjustment for grade one. Based on these results, ‘developing social relationship network’, ‘escaping from the dependence of private education’, and ‘constructing local educational community’ were discussed for helping and supporting parents in a rural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