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의 수학 발달 분석 : Matthew 효과 검증

        여승수(Seungsoo Y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 발달 궤적을 분석하여 Matthew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었다. 연구대상자는 A 광역시 도심지에 위치한 B 초등학교 112명의 1학년 학생이었고, 이들은 1, 2학기 동안 총 6회기의 수학 CBM (Curriculum-Based Measurement) 검사에 참여하였다. 종단자료 분석 방법인 LMER(Linear Mixed Effects Regression)의 결과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수학 교과에서 Matthew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히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여 수학 성취를 분석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초깃값에서 높았던 상위집단의 학생들은 하위집단의 학생들 보다 높은 기울기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두 집단 간의 학업 격차는 측정 회기가 증가할수록 지속해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집단의 학생들은 학기 초에 벌어진 학업 격차를 끝내 좁히지 못하고 2학기를 마무리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presence of the Matthew effect for first graders by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al math trajectories. Participants included 112 students in first grade and were recruited from one school in A city. CBM Math tests were administered 3 times for semester. The results from LMER supported the presence of the Matthew effect. In particular, the outcomes for high and low group showed that the slope for high group was higher than that for low group. Achievement gap between the two groups of students gradually widened over time, leading to the Matthew effect. As a result, low performing students group did not catch up with their peers.

      • KCI등재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어휘-선택 CBM의 개발

        여승수(Yeo, Seungsoo)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3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과학교과 영역에서 활용 가능한 CBM의 측정학적 적합성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특별히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과의 특성을 고려하여 어휘-선택(vocabulary-matching) 유형의 CBM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는 A 광역시의 B 초등학교 재학중인 6학년 학생 전원(84명)이 참여하였다. 측정학적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본 연구의 분석방법으로는 먼저 어휘-선택 과학과 CBM의 동형검사 신뢰도와 준거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상관계수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예측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회기별 CBM 점수를 독립변수로 사용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진단적 평가의 정확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ROC 곡선과 AUC지표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어휘-선택 과학과 CBM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모두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향후 연구 및 학교 현장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echnical adequacy of CBM (Curriculum-Based Measurement) in Science. Especial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subject, vocabulary-matching CBM was developed in this study. In this study, 84 students in sixth grades from B elementary school in the A city were participated. In order to evaluate alternate-form reliability and criterion validity, pearson correlation-coefficients were used. In addition,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for evaluating predictive validity. ROC curve and AUC analyses were used for evaluating accuracy of diagnostic evaluation. This study showed that both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vocabulary-matching CBM were good, meaning that the vocabulary-matching CBM could be considered as an indicator of progress monitoring in Science. Implication for research and practices are presented.

      • KCI등재
      • KCI등재

        쓰기 위험군 학생을 위한 진전도 모니터링 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 : 기울기 민감도, 학년, 성별 차이 검증을 중심으로

        여승수(Yeo, Seungsoo) 한국학습장애학회 2020 학습장애연구 Vol.17 No.2

        그동안 저학년 학생들을 위한 쓰기 진전도 모니터링 검사도구의 중요성이 부각됨에도 불구하고 관련된 국내 연구의 수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특별히 그림제시검사를 사용하여 기울기 민감도, 학년, 성별 차이에 초점을 맞추어 측정학적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초등학교 재학 중인 196명의 1, 2학년 학생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종단자료 분석방법은 LMER(linear mixed effects regression)이었으며, 기울기 민감도와 학년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MI(multimodel inferencermation)분석방법을 추가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그림제시검사의 기울기 민감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및 학년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쓰기 진전도 모니터링 검사에 대한 교육적 함의와 향후 연구주제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였다. Despite of an importance of monitoring progress in writing for early graders,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technical adequacy of picture-word probe, focusing on the sensitivity of growth rate, and grade and gender differences. In this study, 196 first and second grader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were participated. The main research method for analying longitudinal data such as CBM was LMER(linear mixed effects regression). In order to evaluate the sensitivity of growth rate, and gender and grade difference, MI(multimodel inferencermation)was used. This study showed that picture-word probe scores were sensitive to growth over time. In addition, grade and gender were related to intercept and slope. We discuss implication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 학습장애 연구에서 영가설 유의성 검증(NHST) 방법의 문제점과 대안

        여승수(Seungsoo Yeo) 한국학습장애학회 2023 한국학습장애학회 학술대회지 Vol.2023 No.-

        연구목적: 지난 100년이 넘는 기간동안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NHST의 통계 검증 방법을 꾸준히 비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학습장애 분야에서는 이와 관련된 주제를 충분히 논의 되지 않았음.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논문으로는 처음으로 학습장애 분야에서 NHST의 문제점을 논의하고 대안을 고찰하고자 하는 연구목적을 갖고 있음.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NHST의 주요 개념과 관련된 문제점을 요약하고, NHST의 대안이 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기 위하여 NHST에 관한 최신 논문과 함께 전통적으로 많은 인용이 된 논문을 참조하였음. 연구결과: 그동안 문헌에서 보고한 NHST의 주요한 문제점 5가지를 제시하였으며, NHST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효과 크기와 효과 크기의 신뢰 구간을 제시함. 결론: 국내 학습장애 연구자들은 그동안 관행처럼 사용한 NHST와 p value의 개념을 재고찰 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수행되는 양적연구에서는 NHST에 기반하기 보다는 효과 크기와 신뢰 구간을 보고하는 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음.

      • KCI등재

        수학 위험군 조기 선별을 위한 보편적 선별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 연구: 2015년 개정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여승수(Seungsoo Yeo) 한국학습장애학회 2020 학습장애연구 Vol.17 No.1

        수학교과에서의 보편적 선별검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관련된 연구의 수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개정교육과정에 근거한 수학 보편적 선별검사를 개발하고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A 광역시에 속한 B 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중인 112명의 학생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 선별검사의 일반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1, 2학기 동안 총 6회기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예측 및 준거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12월 학기 말에 수학종합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수학 보편적 선별검사에서 산출한 기울기는 변화에 민감한 특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새롭게 개발한 수학 보편적 선별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을 증명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Schools need universal screening measures in mathematics, but there is little research evaluating these measures in mathematics. The main purpose of this current study was to develop the mathematics universal screening measure in grade 1 and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mathematics. The participants were 112 students attending the first grade of A elementary school in B city. Giv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universal screening measures, screening measures were administered 6 times per year (3 times per semester). In addition, the mathematics comprehensive assessment administered at the end of December was used to evaluate the criterion and predictive validity of universal screening meas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lopes were sensitive to growth on performance. In addition, good evidence of reliability and validity was found for universal screening measures. Collectively, this study supported the evidence of the technical adequacy of universal screening measures in mathematics.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중재반응모형 활용을 위한 음운인식과 유창성검사 간의 기울기 타당화 연구 -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

        여승수 ( Seungsoo Yeo ),홍성두 ( Sungdoo Hong ),김동일 ( Dong Il Kim ),김희진 ( Heejin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3

        본 연구는 학습장애 진단의 핵심모형으로 인식되고 있는 중재반응모형을 조기선별시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음운인식과 유창성검사간의 진전도상에 관련성을 타당화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의 읽기 영역중에서 음운인식과 유창성검사의 자료를 종단적으로 수집하고 두검사에서 산출된 진전도 기울기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의 연령은 4~5세 유아들로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표집 되었다. 검사도구로는 자체 개발된 음운인식검사와 유창성검사가 사용되었고 10월부터 12월까지 세 번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두검사의 매 시점별 상관계수는 .7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음운인식검사는 유창성검사의 기울기를 예측하는데 유의한 변수는 아니었다. 끝으로 본연구의 제한점과 향후연구과제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growth rates of both phonological awareness and oral reading fluency. An important focus was to explore the potential that these measures could be useful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at risk within an Response to Intervention(RTI). Participants were 52 children enrolled in Seoul and Kyungki Kindergarten. The children across ages 4 to 5 were administered these early reading measures in each month. This study showed that even though there were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in slopes between the two measures, the growth rate for phonological awareness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oral reading fluency growth rate.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on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 특수교육에서 반복 연구의 개념 및 개선방안 고찰

        여승수(Seungsoo Yeo) 한국학습장애학회 2021 학습장애연구 Vol.18 No.2

        특수교육연구에서 반복 연구는 연구 결과의 신뢰성과 일반화 정도를 검증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 유형이다. 특히 증거기반교수를 선별하기 위해서는 반복 연구의 결과들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한국 특수교육에서는 반복 연구의 특성을 지닌 중재전략의 연구 수가 부족한 상황이며, 관련된 논의도 충분히 이뤄지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특수교육에서 반복 연구의 개념과 중요성 및 개선방안을 검토하는 연구 목적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반복 연구의 주요 개념을 살펴보았다. 개념의 설명과 함께 반복 연구가 특수교육연구에서 중요한 이유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 특수교육에서 반복 연구를 증진시킬 수 있는 10가지 개선 방안을 제공하였다. 본 논문을 기점으로 더 많은 반복 연구가 특수교육에서 수행되길 기대해 본다. Replication study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estimating both reliability and generalization of research on special education.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test the results from replication studies because it is available to identify what evidence based practices work for in special education. Despite of these importances, few replication-based studies are reported in special education in Korea. In addition, this issue has not been fully discussed in special education research.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important concepts and solutions of replication in special education. First, two different types of replication were discussed in this paper. Second, some reasons why replication of a study is important for special education research were provided. Finally, this paper provided 10 strategies that may increase the number of replication study in Korea.

      • KCI등재

        쓰기장애 위험군 학생의 조기선별 정확성을 위한 그림-단어제시검사의 신뢰도와 예측 타당도 연구: 2년간의 종단자료

        여승수 ( Seungsoo Yeo ),손지영 ( Ji Young S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4

        본 연구는 쓰기 위험군 초등학교 저학년(1,2학년)학생들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저학년용 쓰기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측정학적 적합성을 평가하는 주된 목적을 갖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그림-단어제시검사를 활용하여 쓰기 위험군 학생의 조기선별 여부를 검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 학생은 A시에 소재하고 있는 B 초등학교 42명이었다. 검사에서 사용된 분석방법은 신뢰도와 예측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피어슨 상관계수를 사용하였으며 진단의 정확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ROC 곡선 분석방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그림-단어제시검사는 양호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ROC 곡선 분석에서 제공된 절단점 점수를 활용할 경우 진단의 정확성이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writing measures for early screening for first-second graders at risk. Especially, in this study, picture-word prompt measure was used as a measure for identifying struggling beginning writers. In this study, 42 students from B elementary school in the A city were participated. In order to evaluate alternate-form reliability and predictive validity, pearson correlation-coefficients were used, while ROC curve analyses were used for evaluating accuracy of classificat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picture-word prompt measure could be considered as an adequate indicator of predicting struggling beginning writers. In addition, the use of ROC curve analyses resulted in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accuracy of classification. Implication for research and practices a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