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데이터 접근성을 통한 보건의료와 인공지능의 융합 : 일반정보보호규정(GDPR)이 정책 입안자들에게 신호등 역할을 할 수 있는가?

        엄주희(Juhee Eom),심지원(Jiwon Shim),김혜경(Hye kyung Kim)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20 인권법평론 Vol.- No.25

        보건의료 분야에서 인공지능은 정밀의료, 진단 도구, 심리정신적 치료와 의사결정 지원, 돌봄 서비스 등의 분야에 접목되어 상당한 발전을 이루어오고 있다. 보건의료 분야의 인공지능은 연구대상자로부터 추출된 건강 관련데이터와 민감 정보를 포함하여 상당 부분의 개인정보와 데이터에 의존한다. 보건의료에 융합된 인공지능의 발전 추이를 감안하면, 인공지능에 기반이 되는 데이터에 대한 규율이 보건의료 인공지능을 규제하는데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유럽연합(European Union; EU)에서 제정된 「일반정보보호규정」(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GDPR)은 데이터 보호 법제를 통해 인공지능을 규율하려는 최초의 시도를 했다. GDPR은 개인정보처리자나 수탁자가 유럽연합 내에서 정보주체에게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이 된 경우에, 그리고 정보주체의 행동을 모니터링하는 것과 관련이 있을 때 적용되기 때문에, 유럽연합 뿐 아니라 유럽연합에 속하지 않은 많은 외국 기업들의 활동이 GDPR의 규율 대상에 포함된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GDPR의 규율로 인해서 데이터 관련 정책과 법제를 개혁해야 한다는 압박이 제기되고 있다. 보건의료 분야에 대한 인공지능의 기여도와 전망의 개요를 살펴보고, 이 분야의 발전으로 인한 데이터 및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과제를 탐구하였다. 이를 통해 GDPR의 시사점과 함의를 가지고, 미국과 캐나다의 정책적 개선점을 위한 핵심 방안을 짚어보았다. In the field of health and medical care, artificial intelligence has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areas such as precision medical care, diagnostic tools, psychological and mental treatment, decision-making support, and care services.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health care sector relies on a significant por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health-related data and sensitive data extracted from research subjects.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tegrated into health care, it is judged that regulation of data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regulating health and medical artificial intelligence. The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s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GDPR) enacted in the European Union(EU) made its first attempt to regulate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data protection legislation. This is applies to data processors involved in the provision of goods or services to data subjects within the European Union, and when it relates to monitoring data subjects’ behaviour within the European Union. In the U.S. and Canada, the rule of GDPR is putting pressure on the government to reform policies and legislation regarding data. The contribution and prospe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the health and medical field were reviewed at a glance, and the task of data and privacy protec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this field was explored. After this, key measures to improve policie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was presented through implications of the GDPR.

      • KCI등재

        인공지능 의료와 법제

        엄주희 ( Eom Juhee ),김소윤 ( Kim So Yoon ) 한국의료법학회 2020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8 No.2

        왓슨 포 온콜로지(Watson for Oncology)로 국내에 첫 관심을 불러일으킨 인공지능 의료는 디지털 헬스케어의 발전과 더불어 의료의 영역에 깊숙이 관여하게 될 것을 예고하고 있다. 「지능정보화 기본법」, 「개인정보보호법」 등의 인공지능과 데이터에 관한 법률들은 인공지능 의료의 발전에 따른 법제적인 변화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지만, 향후 인공지능 의료가 더 활성화된다면 의료 영역에 특화된 법률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도 검토가 필요하게 된다. 인공지능 의료가 인간 의사를 대신할만한 수준에 이르기까지는 아직 더 시간이 필요하지만, 4차 산업혁명의 파도와 함께 국민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을 만큼 보건의료 영역에 깊게 파고들고 있어 보건의료 환경에서의 커뮤니케이션과 규범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의료에 융합되는 인공지능 때문에 일어나는 의료진과 환자의 커뮤니케이션 변화는 인공지능이 수행하는 결정을 대리하는 대리인을 통해서 직접 인간 의사를 대신하거나, 소프트웨어나 보조 기계의 형태로 인간 의사의 의료행위를 보조하면서 인간 의사와 환자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기존의 규범의 패러다임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인공지능이 의료의 영역에 들어오는 양상을 일고하면서 인공지능과 인간 의사와의 관계들 속에 변화되는 모습 그리고 그 안에서의 규범적 요소들을 살펴보고, 인격권, 사생활의 보호, 평등의 원리 등의 기본적 권리의 문제와 인공지능을 둘러싼 의료행위의 책임과 의료기기의 허가 등의 공법적 영향을 검토한다. 의료 인공지능의 도입과 더불어 공법의 관점에서 짚어봐야 할 지점들을 분석함으로써, 인공지능이 융합된 의료의 적용에서 규범이 나아갈 방향을 전망한다. Watson for Oncology, which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December 2016, showed the potential to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medicine as it was used as a medical aid for cancer patients by acquiring imaging medical data reading methods through machine learning. In U.S., an artificial intelligence medical device that diagnoses diabetic retinopathy without the intervention of an ophthalmologist has been developed and is being used in U.S. hospitals by obtaining FDA approval. In addition, digital therapeutics such as tablet PC-based reminiscence therapy that treats cognitive disorders such as Alzheimer'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that provid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such as depression through Facebook messengers or exclusive apps are being developed. As such, artificial intelligence medicine is a tool that provides not only auxiliary functions of cancer diagnosis and treatment, but also health management, and personalized health advice for chronic disease such as heart disease, diabetes, and Alzheimer's. Artificial intelligence medicine is not a substitute for human doctors yet, but with the wav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deeply penetrating the health care sector enough to affect the quality of people's lives, and it is also bringing about changes in communication and norms in the healthcare and medical environment. Changes in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 and patients due to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converges into medical care are foreshadowing the impact of the paradigm of existing norms and legislation. In this paper, the followings is examined ; the asp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ntering the realm of medical care, the chang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 doctors, and the normative factors in it, and create public legal influences such as the basic rights of personal rights, the protection of privacy, the principle of equality, and the responsibility of medical actions surround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permission of medical devices. By reviewing the points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law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artificial intelligence, it can help predict the direction in which norms should move in the application of health care i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is integrated.

      • KCI등재후보

        기억할 의무인가, 잊을 권리인가 : 기억 조작과 법

        엄주희(Juhee Eom)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21 인권법평론 Vol.0 No.26

        최근 몇 년 동안 기억에 대한 신경과학 연구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비록 그 연구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기는 하지만, 기억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기억 현상의 과정은 부호화, 저장(응고화), 상기의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망각의 경우는 정상적인 수준에서 정신 건강과 삶의 질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단순히 정신적 결핍으로 간주 될 수 없다. 기억과 망각은 각각의 개별적인 중요성을 가지고, 상호 보완적인 과정으로 기능한다. 신경 현상과 과정에 대한 이해를 넘어 기억과 망각과 관련된 신경과학 연구는 의도적인 변화를 목적으로 한 개인의 기억에 대한 외부의 개입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로 인해 법적, 윤리적 도전이 증가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기억의 윤리적 문제에 관하여 미국에서 발간된 대통령 생명윤리위원회의 비욘드 테라피 보고서(Beyond Therapy)를 심도 있게 검토한다. 이 보고서는 인위적인 기억의 변화를 반대하는 생물 보수적 (bio-conservative) 입장을 취하여, 자아정체성, 인격, 책임감, 자기 성장에 관한 도덕적 요구에 비추어 “적절하고 진실하게” 과거를 기억해야 한다는 개인과 사회의 의무에 대해 호의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본고는 현명하지 못한 기억 조작과 관련된 다양한 위험에 대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경험을 극복하는 수단으로서 기억을 의도적으로 수정할 개인의 도덕적 권리를 위한 규범적 공간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법적인 분석을 통하여, “기억의 자유”라는 새로운 권리를 주장하면서 기억과 기억 조작과 관련된 자유권 개념을 다룬다. 삭제로부터 보호받을 권리를 포함한 기억할 권리, 기억을 증진시킬 권리, 잊을 권리 등으로 기억의 자유의 범위와 내용을 제시하고 그 법적 한계점을 검토하였다. 미래의 기억 개입 기술의 발전은 한 개인의 기억을 마음대로 지우거나 조작할 수 있게 될 것 이라는 전망 속에서, 집단기억과 증인의 증언과 같은 사회적 법익과 관련한 기억할 의무와 책임, 기억과 양심과의 관계에 대해서 논하고, 기억을 증진시킬 사회적 의무에 관한 논점을 제안하였다. In recent years the rapid development of neuroscientific research on memory has made possible in-depth analysis of its complicated nature and manifoldness, albeit the fact that the research still remains in its infancy. Memory according to its own functions can be categorized into declarative, non-declarative and their sub-categories, while the process of the memory phenomenon itself can be divided into the three phases of encoding, consolidation and retrieval. In the case of forgetting, the conceptual and phenomenal counterpart to memory, it cannot simply be merely considered mental deficit, since at the normal level it plays an essential role in human psychic health and well-being. This article argues that remembering and forgeting in fact function as complementary processes, each holding its own individual significance. Beyond the understanding of the neural phenomena and processes, neuroscientific research pertained to remembering and forgetting are bringing to realization outside interventions to a person’s memory with the purpose of intentional alteration, and this raises a range of legal and ethical challenges. Regarding the ethical issues, the authors discuss in depth the report “Beyond Therapy” by the U. S. President s Council on Bioethics, published in 2003. The report takes a bio-conservative stance against artificial memory alterations, speaking in favor of the duty of individuals and societies to remember the past “fitly and truly” in light of moral demands with respect to identity, personality, responsibility and self-growth. This paper however, rejects the Council’s tight ethical standards, and instead argue to make normative space for an individual’s moral right to amend intentionally one’s memory as a means through which to overcome traumatizing experiences, despite as well cautioning against various risks concerning unwise memory manipulations. In the following legal analysis, this article deals with legal liberties associated with memory and memory manipulations with a special focus given to Kolber’s proposition of the new right of “freedom of memory”. The concepts of the right to remember – including the right to be protected against memory erasure-, the right to enhance memory and right to forget are presented as the freedom of memory and their legal scopes and their contents are examined. With the prospect that future developments in memory intervention technology will allow a person s memory to be erased or manipulated at will, the discussion of duty and responsibilities related to social interests, such as collective memory and witness testimony, conscience was made.

      • KCI등재

        인간 증강에 관한 헌법적 고찰: 군사적 목적의 인간증강과 기본권

        엄주희(Juhee Eom),심지원(Jiwon Shim)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東亞法學 Vol.- No.91

        과학기술의 발전은 군사력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ICT(정보통신기술), BT(바이오 기술), NT(나노 기술) 간의 융합과 확장은 단순히 기술들 간의 접목이나 인간이 일상에서 기술을 이용하는데서 그치지 않는다. 이 기술을 통해서 신체의 물리성과 정서적 감성을 확장하고 인지역량을 향상하는 인간 증강기술은 군인들의 전투력 향상하는 국가 안보 분야에도 활용된다. 인간 증강기술은 사회 곳곳에 적용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의 파고와 함께 미래의 국방력의 하나로 각광을 받으면서, 국가 안보와 군사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전망되고 있다. 생존율과 회복률을 증대시키는 유전자 치료, PTSD(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부터 인간의 근육을 증강시키는 육체적 능력 증강기술, 집중력과 기억력 등의 인지 능력향상 기술, 외골격 웨어러블 로봇을 통하여 장비 운반과 전투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증강 기술, 인간의 뇌와 기계를 연결하여 군사적 무기에 활용하는 기술 등으로 미국, 독일, 호주, 캐나다, 중국, 러시아, 영국, 인도, 이스라엘 등 많은 나라에서 신경과학기술을 국가 안보 분야에 적용하는 연구 개발을 진행중이다. 첨단 기술을 군인의 인체에 적용하는 군사적 목적의 인간 증강은 윤리적 문제와 국가로부터 보호받아야 할 근본적 권리로서의 기본권적 논의를 야기한다. 본고는 해외의 경우 군대의 첨단 과학의 혁신 적용으로 군가 안보 분야의 인간 증강에 관한 윤리적 · 법적 문제는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어왔으나 아직 우리나라에서 논의된 바 없는 군사적 목적의 인간 증강에 관한 헌법적 쟁점을 살펴본다. 민간에서 개발해왔던 기술들을 국가 안보와 군사력 증진에도 활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윤리적 쟁점을 토대로 기본권과 기본적 인권 측면에서의 논점을 고찰한다.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a lot of influence on military power. Convergence and expansion between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BT (Bio Technology), and NT (Nano Technology) technologies are not just grafting between technologies, or humans using this convergence technology in their daily lives. The so-called “human enhancement,” which expands the physical and emotional sensibility of the body and improves the human cognitive capability, is also used in the field of national security that improves the combat power of soldiers. Human enhancement technology is expected to be a useful tool to enhance national security and military power, drawing attention as one of the future defense forces along with the wav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pplied throughout society. Human enhancement technology being developed overseas such as the United States, Germany, Canada, China, Russia, Israel is as follows; Genetic therapy that increases survival rate and recovery rate, physical ability to augment human muscle, PTS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reatment, increased cognitive skills such as concentration and memory, human enhancement technology that connects human brains and machines to military weapons, etc. Using human enhancement technology for military purposes, which apply the cutting-edge technology to soldiers, creates ethical and legal issues as a fundamental right to be protected from the state. This paper deals with constitutional issues on human enhancement for military purposes. Although this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field of military security, that have not yet been discussed in Korea. Based on ethical issues arising from the use of technologies developed by the private sector to enhance national security and military power, this paper review the issues that need to be examined in terms of basic rights and human rights.

      • 공정성의 관점에서 본 연명의료결정제도 : 연명의료결정제도의 공정성에 관한 헌법적 고찰

        엄주희(Juhee Eom) 한국부패방지법학회 2020 부패방지법연구 Vol.3 No.1

        연명의료중단에 관한 권리는 생애 마지막 권리로서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질 수 있는 인권이라는 점에서 모든 국민들이 이에 대한 정보를 알고 보편타당하게 행사할 수 있어야 마땅하지만, 어떤 사회 영역에서는 여전히 권리로서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우리나라에 연명의료결정제도가 시행된 것을 계기로 연명의료결정제도를 포함한 웰다잉에 대해서 관심이 증폭된 만큼, 연명의료결정법제를 점검하면서 삶의 마지막 시기에 적극적 의료를 시행하느냐 마느냐의 결정 문제를 가지고 씨름하는 것을 뛰어넘어서, 임종 전후로 한 사람의 돌봄과 권리를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포괄적인 사회보장에 관한 논의로 나아가야 될 시점이다. 연명의료결정제도를 공정성의 관점에서 살펴본 바, 환자의 의사 추정에서 사실상의 가족의 의사를 반영하거나 관계가 절연된 가족의 의사 처리 문제라든가, 의료기관윤리위원회의 운영, 현행 성년후견제도의 적극적 황용이나 사전돌봄계획의 활성화와 같이 현행 법령의 테두리 안에서 의료 전문직 윤리와 운영의 묘미를 살려야 할 점이 있다. 이보다 더 적극적이고 장기적인 방안으로 치매환자, 무연고자 등을 의사결정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지정대리인 제도를 도입하거나 민법상 성년후견제도를 연명의료결정법에 명시적으로 준용하도록 하는 것과 같이 향후에 적극적으로 법제 개선을 검토해야 할 점들도 존재한다. 모든 국민이 삶의 마지막까지 보편적인 기본권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공정성 기준이 발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연명의료결정제도가 누구나 삶의 마지막에 돌봄과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제공받게 하는 공정하고 정의로운 통로가 되어 국민들이 진정한 웰다잉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 While the right to withdraw or withhold life-sustaining treatment is the last right of a lifetime and it should be universally exercised and informed about the rights of all people, in that the right is human rights, there are still those who are not protected as the rights in some areas of society. As the interest in well-dying, including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regime, has increased in Korea, it is time to move on to a comprehensive social security discussion that can ensure the care and rights of one person before and after death, beyond tackling the issue of whether to implement active medical care at the end of life while examining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regime. As examining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regime from the perspective of fairness, there are points where medical professional ethics and operations should be flexible within the boundaries of current statutes, such as reflecting the intention of practically family for the patient s treatment decision, the management of the medical institution ethics committee, and the active use of the current adult guardianship system or advance care planning. There are some things that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in the future, such as introducing a durable proxy agent that can support medical decision-making for dementia patients and someone without family, or requiring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regime to explicitly apply adult guardianship system under civil law. Fairness standards need to be exercised to ensure that all citizens are guaranteed universal basic rights until the end of their lives. The life-sustaining medical decision regime should be a fair and just way to ensure that everyone is cared for at the end of their lives and provided with proper medical services so that the people can enjoy true well-being.

      • KCI등재후보

        보건의료법학과 헌법의 교차점 : -보건의료 규범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엄주희(Juhee Eom)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20 인권법평론 Vol.- No.24

        보건의료법학은 보건의료와 관련된 규범 영역과 국가의 법 체계 내에서 보건의료와 관련된 규범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보건의료법학은 법학의 분과로서 전문법 영역이므로 국가의 최고 법규범이자 규범적 가치기준인 헌법과 조우할 때, 그 근본 틀과 규범의 근간 및 규범의 최종 목적과 원리를 확인할 수 있다. 보건의료법학은 국민의 생명, 건강과 안전에 관한 기본권을 보장하기 위한 사회제도를 만드는 공법의 영역이기도 하다. 보건의료법학에서 궁극적으로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이 있고, 그것이 지향하는 기본권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부터 생명권, 자기결정권, 알 권리와 모를 권리, 보건에 관한 권리,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신체의 자유, 직업의 자유와 재산권 등을 논할 수 있다. 헌법 원리의 실제가 보건의료 법학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는 헌법재판소 판례를 통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보건의료 영역의 구체적 사안을 통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보건의료법학과 관련한 기본권들의 내용을 일괄하고, 구체적인 사안과 법률 조항이 헌법질서에 위배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판결 요지와 쟁점을 통해서 헌법상 기본권 질서 속에서 보건의료법학의 내용들을 탐구하였다. 우선 보건의료 영역의 내용면에서 규범적 지도 원리들로서 헌법학에서 확인된 평등의 원리, 과잉금지의 원리, 과소금지의 원리, 신뢰보호의 원칙, 적법절차의 원리의 내용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탐구하였다. 그리고 조직법적·절차법적으로 기능하는 규범적 지도 원리들로서는 체계정당성, 사안의 적합성과 법률유보, 보충성의 원리를 가지고 보건의료관련 사건에서의 적용을 살펴보았다. 이 지도 원리들은 보건의료의 입법·행정·사법의 영역에서 공권력이 발동하는 전 시점에 적용되는 권리들이다. 이와 같이 헌법의 기본권적 특성, 실체법적 조직법 및 절차법적 원리들이 보건의료 영역에 적용됨을 탐구함으로써, 향후 보건의료 영역에서 등장하는 새로운 이슈들을 헌법적인 조망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나침판과 통찰을 제공한다. Health law can be said to be the normative structure related to health care within the domain of normative health care and within the national legal system. Since health law is a branch of law as a specialized law area,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fundamental purpose and principles of the basic framework and norms when encountering the Constitution, the highest legal norm and normative value standard of the country. Health law is also an area of public law that creates a social system to guarantee human rights for life, health and safety of the people. In health law, the ultimate goal is to guarantee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and the basic rights it aims for start from human dignity and values and include the right to life, self-determination, the right to know and not know, the right to health, the secret and freedom of privacy,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freedom of body, right to choose occupation and property rights etc. How the practice of constitutional principles works in health law is clearly understoo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case, and needs to be examined through specific issues in the area of health care. Therefore, in this paper, the contents of the basic rights related to health law were summarized, and the contents of health law were explored in the constitutional basic rights order through the judgment points and issues that judged whether specific issues and legal provisions violate the constitutional order. First of all, substantive guiding principle was explored such as the contents of the principle of equality, the principle of proportion, the principle of preventing under-protection, the principle of trust protection, and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which are identified as normative guiding principles in the field of health care. In addition, as the normative guiding principles that function systematically and procedurally, the application in health-related cases was examined with the principles of system legitimacy, suitability and subsidiarity. These guiding principles are the rights that apply at all times when public power is exercised in the area of legislative, administrative, and judicial health. Thus, by exploring the application of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Constitution, substantive organizational laws and procedural principles to the health care sector and health law, it provides compasses and insights for constitutional outlook on new issues emerging in the health care sector and health law.

      • KCI등재

        유전자 프라이버시와 적법절차 - 헌재 2018. 8. 30. 2016헌마344에 대한 평석 -

        엄주희(Juhee Eom) 한국법학원 2019 저스티스 Vol.- No.173

        헌법재판소는 2018년 8월, 디엔에이감식시료채취영장 발부 과정에서 채취대상자가 자신의 의견을 진술하거나 영장발부에 대하여 불복하는 등의 절차를 두지 아니한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디엔에이법’) 제8조에 대하여 헌법불합치 결정을 선고하였다. 이 판례는 사회방위의 일환으로 형사절차에서 수집 및 집적되는 유전자와 DNA를 다루고 있는데, 이 판례를 분석함으로써 유전자에 관한 기본권과 형사 절차 상에서 유전자의 수집 채취와 관련한 적법절차 원리를 검토하였다. 유전자의 존재론적 의미는 민감 정보로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보호 대상이 되는 의미를 뛰어넘어 인간의 존엄과 가치로부터 나오는 인격권,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까지 통합적으로 포괄하는 의미의 유전자 프라이버시권으로 다루어져야 하는 특수성과 독립적인 기본권으로서의 의미가 있다. 본고에서는 개별적인 유전자 또는 DNA 프라이버시권으로서의 성립과 보호 가능성을 제시하고, 사건의 쟁점이 된 기본권들과의 관계성을 분석한 후, 이 사건의 또 하나의 핵심 쟁점인 영장 절차를 포함한 적법절차원리 상 문제들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첨단과학기술의 홍수 속에서 프라이버시의 보호 영역 중 점차 그 중요성이 더해져가는 유전자와 DNA의 보호를 위해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August 2018,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setting no proceedings to state subject"s opinion or object to the issue of the warrant when a warrant is issued, is against the Constitution. Therefore, Article 8 of the DNA act is against the Constitution. This case deals with genes and DNA collected and aggregated in criminal procedures as part of social defense. By analyzing this case, the basic rights to genes and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related to the collection of genes in criminal procedures were reviewed. The ontological meaning of genes is meaningful as the speciality and independent fundamental right that should be dealt with as the right to genetic privacy, which is meant to comprehensively encompass the personal rights and privacy from human dignity and value, beyond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elf-determination as sensitive information. Through this article, I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formation and protection as the individual right to genetic or DNA privac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sic rights that were the issues of the case, and reviewed the issues of due process, including warrant procedures. This suggested the necessary implications for the protection of genes and DNA, which are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protection area of privacy amid the flood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 KCI등재후보

        혼인과 가족생활에 관한 소고 - 헌법재판소 결정과 헌법 개정 논의를 중심으로 -

        엄주희 ( Juhee Eom ) 연세법학회(구 연세법학연구회) 2019 연세법학 Vol.33 No.-

        혼인과 가족생활은 부부와 자녀를 구성원으로 하는 사회 최소단위의 공동체에 대한 보호를 제도화하며, 혼인과 가족생활에 수반된 기본권들을 보장하는 것이다. 본고는 제헌 헌법 이후 우리 헌법 개정 역사 속에서 혼인과 가족생활 규정이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고, 현재 헌법과 법률의 해석으로 헌법재판소가 바라보는 혼인과 가족생활의 개념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2006년 한국헌법학회의 헌법 개정안을 시초로 최근 2018년 한국헌법학회가 제시한 개정안까지 헌법 개정 논의 과정 속에서 혼인과 가족생활 규정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검토함으로써 혼인과 가족생활규정에 관해 헌법적으로 의미 있는 통찰을 제시하였다. 헌법재판소 결정과 헌법개정 논의들을 살펴본바, 혼인과 가족생활은 개인의 존엄, 자율성, 평등의 가치를 내면화하는 제도이자 미성년인 아동을 양육 보호하고 교육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기반이 된다. 가족생활은 평등한 부부가 중심이 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자녀의 양육과 교육도 가족생활의 핵심적인 내용 중 하나이다. 헌법재판소의 결정들은 혼인과 가족생활의 의미로 개인의 존엄과 양성의 평등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있고, 문화현상과 관습적 생활양식을 담은 보편타당한 윤리와 도덕관념으로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선량한 성도덕과 일부일처주의 혼인제도 유지의 가치를 표명하고, 가족생활에서 자녀 교육의 권리와 의미를 확대하고 있다. 헌법 개정의 시도로서 2011년과 2016년 대화문화아카데미 개정안부터 소수자의 인권과 동성결혼 등의 새로운 가족형태 도입의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양성평등을 성평등으로 개정을 제안하고 있으나, 제헌 헌법 이후 유지되어온 조항에 대해 혼인과 가족제도의 해석을 달리해야 할 정도의 헌법 변천이 이루어졌다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전통적인 헌법적 가치와 해석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국민 전체의 컨센서스가 이루어졌다고 볼만한 헌법 개정의 절차적 정당성이 필요할 것이다. The meaning of the provisions on marriage and family life in the Constitution is to institutionalize the protection of the minimum community of society with the couple and children as members and to guarantee basic rights entrusted to the married family. This article examines how rules of marriage and family have been developed in the history of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since the Korean first Constitution, and examined the concept of marriage and family life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see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Constitution and the law. In addition, from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bill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law association in 2006 to that in 2018, how regulations of marriage and family life are being dealt with were examined in the process of revising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stitutional Court's rulings and discussions on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marriage and family life is the regime which internalize the value of individual dignity, autonomy, and equality and provide a basis for institutional guarantee for children’s protection, education and custody. Family life is not only centered on equal couples, but also children’s support and education is one of the core contents of family life. The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have continued to identify individual dignity and equality in the sense of marriage and family life, and presented standards for ethical and moral notions of universal relevance that include cultural phenomena and customary lifestyles. It also expresses the value of good moral and monogamous marriage system maintenance and extends the rights and meaning of children's education in family life. As an attempt to amend the Constitution, it is proposed to revise the equality of both sexes as “gender equality” since 2011 because it is the cornerstone for accepting the form of a new family such as same-sex marriage.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clare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marriage and family system under the constituent power has been changed as the changes of the constitutional meaning from equality of both sexes to gender equality. Therefore, in order to change the traditional constitutional values, the procedural legitimacy of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according to the consensus of the whole nation, is needed.

      • KCI등재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헌법적 고찰

        엄주희(Juhee Eom) 한국헌법학회 2021 憲法學硏究 Vol.27 No.2

        독일 연방헌법재판소는 2020년 2월 조력자살 서비스를 금지하는 형법 조항에 대해서 위헌 결정을 내리는 전향적인 판단을 하였다. 독일 형법 제217조는 조력자살을 업무상 제공하는 경우 3년 이하의 징역이나 벌금에 처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연방헌법재판소의 결정 전에는 업무상 이루어지는 조력자살이 금지되어 있었다. 이 형법 조항은 2015년에 통과된 것으로서 스위스의 디그니타스(DIGNITAS) 같은 곳에 찾아가서 조력 자살을 실행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해서 제정된 것이었다. 그러나 2020년 독일 연방헌법재판소가 생명을 종결하려고 하는 사람을 업무상 조력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형법 제217조에 대해 위헌 선언함으로서, 본인 스스로 생명을 종결하기를 원하는 사람을 조력하는 행위에 대한 정당성을 헌법적으로 인정하였다. 자살, 즉 본인의 생명을 종결하는 행위는 원칙적인 본인의 자율성과 자기결정 행위로서,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으로 인정한다는 판단을 내린 것이다. 우리나라는 2018년도에 연명의료결정제도가 시행된 것을 계기로 연명의료결정제도를 포함한 웰다잉에 대해서 관심이 증폭되었고, 최근에는 적극적으로 죽음에 관한 권리를 주장하는 논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2020년 들어서는 독일, 오스트리아 등 유럽을 중심으로 자살에 관여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법률에 대해서 위헌 선언을 하는 결정이 계속 이어지고, 각국의 주(州) 정부에서는 의사조력자살을 법제화하는 움직임도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의 연방대법원과 독일의 연방헌법재판소에서 검토되었던 의사조력자살 내지 조력사망으로 칭해지는 삶의 마지막 시기의 결정에 대한 헌법적 권리성 판단을 검토하고, 미국의 각 주의 법제화 움직임을 중심으로 그에 대한 평가와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우리나라에 현재 계류 중인 연명의료결정법 관련 헌법소원 사건과 향후 발생이 예측되는 조력사망에 관한 입법이나 헌법적 판단을 위한 함의를 제시한다. The German Constitutional Court ruled in February 2020 that the provision of the Criminal Code prohibiting assisted suicide services was unconstitutional. Article 217 of the German Criminal Code prohibits assisted suicide before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s decision. The criminal law was passed in 2015 to prohibit the performance of assisted suicide such as DIGNITAS in Switzerland. However, in 2020, the German Constitutional Court ruled unconstitutional Article 217 of the Criminal Code prohibiting the end of life from assisting those who wish to end their lives, thereby recognizing the legitimacy of assisting those who wish to end their lives. Suicide, or the act of ending one s life, is a principle of one s autonomy and self-determination, and it is judged that one recognizes one s right to self-determination concerning death.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system in Korea, 2018, the interest in well-dying has intensified in Korea, and it has recently actively claimed the right to die. The decision to declare unconstitutionality continues to be made against laws that prohibit assisted suicide in Germany and Austria. Through examining constitutional case and legislation concerning assisted suicide (dying in aids) and reviewing it as a constitutional right in the final period of life or as a matter of legislative freedom, the significant implications is presented for the pending constitutional appeal case in Korea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s decision.

      • KCI등재

        건강 관련 제도 보장에서의 개인의 책임에 대한 공법적 접근 : 개인의 건강관리 책임의 법제화

        정은주 ( Chung Eunjoo ),엄주희 ( Eom Juhee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19 과학기술법연구 Vol.25 No.4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는 자국민의 건강하게 살 권리를 보장하고, 필요한 보건의료서비스를 모든 국민에게 보편타당하게 제공하기 위해 국민건강보험제도라는 사회보장제도를 제도적 기초로 마련하고 있다. 그런데 현대사회의 기대수명 증가, 경제성장 둔화, 의료비 부담의 증가 등의 이유로 사회적 보건 안전망 운영에 재정적 한계에 봉착하게 되었다. 보편적 공공재로서의 사회보장제도 운영이 지속적으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국가의 사회보장 의무와 맞물려 개인이 주장할 수 있는 권리와 책임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지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해외 국가들은 개인의 가치와 신념에 기초한 생활습관이나 행동, 건강 관련 규율 준수가 사회보장제도 중에서도 보건의료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가 되거나, 보건의료서비스 혜택에 있어서 유리·불리의 조건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 바 있다. 본고는 이에 대한 다학제적 관점의 찬반 입장과 쟁점을 일괄하면서 이에 관한 헌법적 근거와 공법적 토대를 고찰하고, 해외 각국에서 이를 실천하고 있는 입법례를 살펴보았다. 독일의 사회보장법전 중 사회의료보험에 관한 법과 일명 메타보 법으로 통용되는 일본의 특정 건강 진단 및 특정 보건지도의 실시에 관한 기준 등의 해외법제에서 개인의 생활습관, 행동, 건강규율을 사회보장제도의 이용과 혜택의 조건으로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개인의 생활습관과 건강규율 준수를 국내 실정법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럼으로써 향후 우리나라의 보건의료에 대한 사회보장제도의 정비와 정책 방향을 견인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oday, most countries have established and applied the social security system on an institutional basis to guarantee their citizens' right to live healthy and to provide the public with necessary health care services. However, increasing life expectancy, slowing economic growth, and increasing medical expenses have placed financial limitations on the operation of the social health safety net, thus, raised the question of whether the continuation of the current social security system as a universal public good is durable and/or whether there are other condition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conjunction with the state's social security obligations. In this regard, foreign countries have discussed to have in-dividuals’lifestyles, health behaviors, and healthcare compliance as a influencial factor for the use of social security systems or a favorable or adverse conditions of determining the extent of social security benefits. This paper introduced the pros and cons of this issue and examined how foreign laws such as Social Code Book V (Sozialgesetzbuch, Germany), and Standard Concerning Implementation Special Health Examination and Special Public Health Guidance(also known as Metabo Law, Japan) define individual's health-related lifestyle, behavior and healthcare compliance as a condition of the use and benefits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Lastly, this paper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adopting foreign countries’precedents in Korea’s social security system as well as how to apply lessons learned from foreign laws to domestic health-related laws. It is hoped that the thoughts and insights drawn by this paper will provide insights on readjustment and a search for sustainable directions of Korea’s general health social security system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