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천수정화 근자연형 인공습지의 초기 질소제거

        양홍모 한국환경농학회 2002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1 No.4

        근자연형 인공습지에 식재한 부들이 거의 죽지 않고 활착하였으며, 7월부터 새줄기가 일부 나오기 시작하였다. 부들의 활착과 성장은 양호한 편이었다. 개수부에는 부들의 새줄기가 나오지 않았다. 조사기간 인공습지의 평균 NO₃-N와 평균 TN 제거율은 각각 85.8 ㎎/㎡/day, 171.4 ㎎/㎡/day를 나타냈다. 북미에서 운영중인 인공습지의 평균 NO₃-N 제거율 125㎎N/㎡/day와 평균 TN 제거율 513 ㎎N/㎡day 보다는 다소 낮다. 이들 북미습지는 조성 후 수년이 지나 습지의 기질층이 NO₃-N 및 TN 제거에 양호한 조건을 갖춘 습지들이다. 본 연구 인공습지의 조사기간이 조성 후 초기이고, 조사기간에 겨울철 일부 기간이 포함되어 있는 점을 고려하면 NO₃-N과 TN 제거율이 양호한 편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습지의 부들이 2∼3년 후 개수부 이외의 습지를 완전히 덮고, 부들의 잔재물이 습지바닥에 쌓여 탈질화에 필요한 탄소공급원의 역할을 하면 NO₃-N 및 TN 제거율이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기존의 인공습지는 수질정화 측면을 강조하여 일정한 수심유지와 유입수의 단기이동 방지를 위해 습지바닥을 수평으로 균일하게 조성하여 왔다. 최근 들어 인공습지 설계에서 친환경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추세이다. 본 근자연형 인공습지는 제방에 면한 습지바닥의 일부에 완만한 경사를 두고 습지외곽의 모습을 타원형으로 조성하여 자연습지의 모습과 가급적 유시·한 모습으로 조성하였다. 초기 조사분석결과 질소정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습지일부에 완만한 경사를 도입하여 자연습지와 유사한 모습으로 수질정화 인공습지의 조성 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 0.19 hectare stream water purification demonstration wetland was constructed and planted with cattails from April 2001 to May 2001. Some portions of its bottom surfaces adjacent to levees have a variety of slope of 1:4~1:15 and two small open water areas were installed in the wetland. These make its shape closer to a natural wetland. Nitrogen removal was a major objective of the wetland Waters of Sinyang Stream flowing into Kohung Esturiane Lake located southern coastal region of Korean Peninsula were pumped and funneled into it. Volumes and water quality of inflow and outflow were analyzed from July 2001 through December 2001. Average inflow and outflow were 120 ㎥/d and 112 ㎥/d, respectively. Hydraulic retention time was about 3.1 days. Average nitrate and total nitrogen removal rate for the early stage of the wetlands were 85.8 mg/㎡/day, 171.4 mg/㎡/day respectively. Full establishment of cattails within a few years can develope litter-soil substrates and supply available carbon sources beneficial to the denitrification of nitrate. These can lead to increases of the nitrate retention rate. Short circuiting and dead zone areas which might be occurred due to the close-to-nature layout of the wetland were not observed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 KCI등재

        축산폐수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조건성연못의 메탄발효

        양홍모 한국환경농학회 2000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9 No.2

        조건성연못의 메탄발효 환경조건은 용존산소가 없고, 혐기성 및 중성 pH가 유지되어야 하며, 온도변화가 적어야 한다. 분석결과 실험 조건성연못의 바닥은 이러한 조건들을 충족시키고 있어 설계인자가 비교적 적절하다고 본다. 조건성연못의 수심이 2.4m일 경우도 강한 바람이 불면 상충의 용존산소가 바닥으로 이동하여 연못바닥의 메탄발효를 일시적으로 저하시키는 현상이 있을 수 있다. 용존산소의 바닥침투를 완화하기 위해 수심을 깊게 설계할 수 있으나 수심이 깊어지면 연못바닥의 수온이 낮아져 메탄발효의 효율이 저하된다. 실험결과 조건성연못의 수심은 2.4m 정도가 적합하다고 본다. 최근에는 용존산소의 연못바닥 침투를 차단하기 위해 연못바닥에 Pit를 설치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나 시설비용이 추가되는 단점이 있다. 실험 조건성연못의 슬러지층의 온도가 16℃ 이상에서 메탄발효가 원활히 일어나고 있다. 기존 조건성연못의 메탄발효 연구에 의하면 연못바닥 슬러지충의 온도가 19℃에서 슬러지 분해량과 침전량이 같아진다고 보고되고 있다. 실험 조건성연못에서는 19℃보다 3℃ 낮은 온도에서도 메탄발효가 원활히 일어나고 있다. 실험 조건성연못의 바닥온도 분석결과 메탄발효가 거의 정지되는 14℃이하가 되는 기간이 약 7 개월이 되어, 매년 어느 정도의 슬러지는 바닥에 쌓이게 된다. 1997년 1월부터 9월까지 9개월 동안 연못바닥에 형성된 슬러지 깊이가 1.3㎝였다. 따라서 연간 약 1.7㎝가 쌓일 것으로 예측된다. 실험 조건성연못처럼 연못의 수심을 2.4m로 유지하고, 연못바닥에 슬러지 퇴적을 위해 여분의 0.3m 깊이를 두어 15 - 20년에 한번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메탄발생이 왕성한 기간에 연못상충에서 포집한 가스의 83%가 메탄으로 구성되어 있어 축산폐수를 처리하면서 메탄가스를 회수하여 연료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Parker(1979)의 연구에 의하면 슬러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연못이 슬러지층이 형성된 연못의 BOD제거수준에 이르는데는 약 1년이 소요된다. 메탄박테리아 활동이 슬러지층의 표면에서 훨씬 높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조건성연못의 초기 메탄발효를 분석한 것으로 조건성연못이 생태적으로 적용하면 초기단계보다 메탄발효의 효율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A wastewater treatment pond system was developed for treatment and recycling of dairy cattle excreta of 5 m¹per day. The wastes were diluted by the water used for clearing stalls. The system was composed of three ponds in series. A submerged gas collector for the recovery of methane was installed at the bottom of secondary pond with water depth of 2.4m. This paper deals mainly with performance of methane fermentation of secondary pond which is faclutative one. The average BOD_5, SS, TN, and TP concentrations of influent into secondary pond were 49.1, 53.4, 48.6, and 5.3 ㎎/ℓ, and those of effluent from it were 27.9, 45.7, 30.8, 3.2 ㎎/ℓ respectively. Methane fermentation of 2.4-meter-deep secondary pond bottom was well established at 16℃ and gas garnered from the collector at that temperature was 80% methane. Literature on methane fermentation of wastewater treatment ponds shows that methane bacteria grow well around 24℃, the rate of daily accumulation and decomposition of sludge is approximately equal at 19℃, and activities of methanogenic bacteria are ceased below 14℃. The good methane fermentation of the pond bottom around 16℃, about 3℃ lower than 19℃, results from temperature stability, anaerobic condition, and neutral pH of the bottom sludge layer. It is recommended that the depth of pond water could be 2.4m. Gas from the collector during active methane fermentation was almost 83% methane, less than 17% nitrogen. Carbon dioxide was less than 1% of the gas, which indicates that carbon dioxide produced in bottom sludges was dissolved in the overlaying water column. Thus a purified methane can be collected and used as energy source. Sludge accumulation on the pond bottom for a nine month period was 1.3㎝ and annual sludge depth can be estimated to be 1.7㎝. Design of additional pond depth of 0.3m can lead to 15 - 20 year sludge removal.

      • KCI등재

        하천고수부지 수질정화 자유수면인공습지의 초기운영단계 인제거

        양홍모 한국환경농학회 2003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2 No.4

        Phosphorous removal rate and emergent plant growth were examined of a surface-flow constructed treatment wetland system, whose dimensions were 31 meter in length and 12 meter in width. The system was established on floodplain in the down reach of the Kwangju Stream in Korea in one and half months from May to June 2001. Cattails(Typha angustiflora) were transplanted in the system. They were dug out of natural wetlands and stems were cut at about 40 cm height from their bottom ends. Water of the Kwangju Stream were funneled into it via a pipe by gravity flow and its effluent were discharged back into it. The stems of cattails grew from 45.2 cm in July 2001 up to 186 cm in September 2001 and the number of cattail stems per square meter increased from 22 in July 2001 to 53 in September 2001. The early establishment of cattails was good. Volume and watersquality of inflow and oufflow were analyzed from July 2001 through December 2001. Mow averaged 40 ㎥/day and hydraulic retention time was about 1.5 days. The concentration of total phosphorous in influent and effluent was 0.85 ㎎/L, 0.41 ㎎/L, respectively. The average removal rate of total phosphorous in the system was about 52% The retention efficiency was slightly lower, compared with that in surface-flow wetlands operating in North America, whose retention efficiency was reported to be about 57% The lower abatement rate could result from the initial stage of the system and inclusion of two cold months into the six-month monitoring period. Root rhizosphere in wetland soils and l litter-soil layers on bottoms were not properly developed. Increase of standing density of cattails within a few years will establish both root zones and substrates beneficial to the removal of phosphorous, which may lead to increase of the phosphorous retention rate. The system was submerged one time by heavy storm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The inundation, however, scarcely disturb its environment.

      • KCI등재

        하천고수부지 수질정화 여과습지의 초기운영단계 질소제거

        양홍모 한국환경농학회 2003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는 고수부지에 조성한 여과습지의 초기운영단계 질소제거율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처리수의 평균수온은 17.1℃ 이었고, 평균 pH는 7.1 이었으며, 갈대의 평균 N 흡수량은 69.31 N ㎎/㎡/day였다. 유입수와 유출수의 평균 NO₃-N 농도는 각각 3.46, 2.23 ㎎/L이었으며, 여과습지의 NO₃-N 평균제거율은 195.58 ㎎/㎡/day였다. 유입수와 유출수의 평균 NH₃-N 농도는 각각 0.92, 0.58 ㎎/L이었으며, NH₃-N 평균제거율은 53.65 ㎎/㎡/day를 보였다. 유입수와 유출수의 평균 T-N 농도는 각각 10.24, 6.32 ㎎/L 였으며, T-N 평균제거율은 628.44 ㎎/㎡/day를 보였으며, 제거량 기준으로 T-N 평균제거율은 약 39%를 나타냈다. 시스템이 초기 운영단계인 점을 고려하면 T-N제거 수준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 여과습지의 7~10월의 수온이 암모니아화, 질산화 탈질화에 비교적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였고, 매질사이의 공극에 입자성 유기태 질소가 고정되고, 매질표면에 형성된 미생물막에 유기태 질소가 흡착되어 분해되고, 유입수가 원활히 시스템을 흐른 것이 질소제거의 주요 원인으로 사료된다. 2~3년 후 갈대가 정상적으로 성장하여 뿌리와 근권이 발달하고, 갈대의 잔재물로부터 유기쇄설물이 형성되어 탈질화에 필요한 탄소공급원이 제공되면, 시스템의 질소 처리율이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실험결과 고수부지를 활용한 수질정화 여과습지는 오염하천수에 함유된 질소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nitrogen removal rate of a subsurface-flow treatment wetland system which was constructed on floodplain of the Kwangju River from May to June 2001. Its dimensions were 29 m in length, 9 m in width and 0.65 m in depth. A bottom layer of 45 cm in depth was filled with crushed granite with about 15-30 ㎜ in diameter and a middle layer of 10 cm in depth had pea pebbles with about 10 ㎜ in diameter. An upper layer of 5 ㎝ in depth contained course sand. Reeds (Phragmites ausatrdis) were transplanted on the surface of the system. They were dug out of natural wetlands and stem were cut at about 40 cm height from their bottom ends. Water of the Kwangju River flowed into it via a pipe by gravity flow and its effluent was funneled back into the river. The height of reed stems was 44.2 ㎝ in July 2001 and 79.3 ㎝ in September 2001. The number of stem was increased from 80 stems/㎡ in July 2001 to 136 stem/㎡ in September 2001. Volume and water quality of Mow and outflow were analyzed rom July 2001 through December 2001. Inflow and outflow averaged 40.0 and 39.2 m/day, respectively. Hydraulic detention time was about 1.5 days. Average nitrogen uptake by reeds was 69.31 N ㎎/㎡/day. Removal rate of NO₃-N, NH₃-N, T-N averaged 195.58, 53.65, and 628.44 ㎎/㎡/day, respectively. Changes of NO₃-N and NH₃-N abatement rates were closely related to those of wetland temperatures. The lower removal rate of nitrogen species compared with that of subsurfaceflow wetlands operating in North America could be attributed to the initial stage of the system and inclusion of two cold months into the six-month monitoring period. Increase of standing density of reeds within a few years will develop both root zones suitable for the nimcation of ammonia and surface layer substrates beneficial to the denimcation of nitrates into nitrogen gases, which may lead to increment in the nitrogen retention rate.

      • KCI등재

        도시하천 제방사면에 식재한 다년생 초본류의 군락 형성 비교

        양홍모,Yang, Hong-Mo 한국조경학회 2014 韓國造景學會誌 Vol.42 No.1

        도시하천 제방사면의 다년생 초본류 군락 형성 연구를 위해 2009년 4월 중순 물억새, 억새, 띠, 수크령, 새를 식재하였다. 새는 분주를 식재하였고, 나머지 초종은 이년생 포트를 식재하였다. 식재 후 3년간 매년 2회의 잡초 제거를 통해 2011년 군락이 형성되었다. 2012년과 2013년은 잡초를 제거하지 않고 실험초종이 군락을 유지하는지 관찰하였다. 잡초를 제거한 2011년과 잡초를 제거하지 않은 2012년간, 잡초를 제거하지 않은 2012년과 2013년간 줄기수와 초장에 차이가 있는지 5월, 7월 9월의 줄기수와 초장을 활용하여 유의수준 0.05에서 t-검정을 하였다. 실험초종 모두 2012년의 줄기수가 2011년보다 적어(p<0.001) 잡초의 피해를 입었다. 억새, 띠, 수크령, 새의 초장은 2012년이 2011년보다 작아 잡초의 피해가 나타났다. 물억새의 초장은 5월과 7월에 차이를 보여 잡초의 피해를 입었으나 (p<0.001), 9월에는 차이가 없어(p=0.098) 피해를 입지 않았다. 2012년과 2013년간t-검정 결과, 새를 제외한 나머지 초종은 줄기수와 초장에 차이가 없었다(p>0.05). 이들 초종은 군락이 형성된 후 잡초의 피해 없이 군락이 유지되었다. 새는 줄기수와 초장 모두 차이를 보여 잡초의 피해가 컸다. 물억새, 억새, 띠, 수크령은 군락 형성 후 잡초 제거 없이 군락이 유지되었으나, 새는 잡초의 피해가 커 군락 유지가 어려웠다. 군락 형성 및 유지, 하천경관 개선, 제방사면 보호의 관점에서 물억새, 억새, 띠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investigate community formation ability, herbaceous perennials such as Miscanthus sacchariflorus Bentham,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Rendle, Imperata cylindrica Linne, 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and Arundinella hirta Tanaka were planted in April 2009 at the levee slope of Gwangju Stream in South Korea. Miscanthus sacchariflorus Bentham,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Rendle, Imperata cylindrica Linne and 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which grew in pots for two years and divided rhizomes of Arundinella hirta Tanaka gathered from fields were employed. Weeds growing on the experiment sites were removed twice a year until 2011 when the plant species were formed into community. Weeds were not eradicated during 2012 and 2013 to observe community sustainability of the species. T-tests on stem numbers and heights in May, July and September were conducted between 2011 and 2012, and between 2012 and 2013. Stem numbers of the five species in 2012 were significantly reduced(p<0.001) compared with those in 2011, which were attributed to weed growth in 2012. Heights of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Rendle, Imperata cylindrica Linne, 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and Arundinella hirta Tanaka in 2012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2011(p<0.001), which resulted from weed invasion. Heights of Miscanthus sacchariflorus Bentham in May and July 2012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in 2011(p<0.001), however, heights of Miscanthus sacchariflorus Bentham in September 2012 were almost the same as those in 2011(p>0.05). Miscanthus sacchariflorus Bentham was able to compete against weeds in September 2012. Stem numbers and heights of Miscanthus sacchariflorus Bentham,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Rendle, Imperata cylindrica Linne and 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in 2013 were similar to those in 2012(p>0.05). However, stem numbers and heights of Arundinella hirta Tanaka in 2013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in 2012(p<0.001). After community formation, Miscanthus sacchariflorus Bentham,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Rendle, Imperata cylindrica Linne and 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were able to maintain its community without weed removal. However, Arundinella hirta Tanaka was unable to establish its community due to the weed growth. Miscanthus sacchariflorus Bentham,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Rendle, Imperata cylindrica Linne are more suitable to stream levee slope environment in terms of community formation and maintenance, stream landscape enhancement and slope erosion control.

      • KCI등재

        생태적 축산폐수 처리 및 재활용 연못시스템의 Pit 메탄발효

        양홍모 한국환경농학회 1999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8 No.2

        유입폐수의 BOD_5가 1차연못에서 88%가 제거되고 있어 Pit의 BOD_5 제거효율이 60%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메탄발효 Pit의 환경조건으로 용존산소가 없고, 혐기성 및 중성 pH가 유지되어야 하며, 충분한 체류시간이 확보되어야 하고, 온도변화가 적어야 한다. 분석결과 실험 메탄발효 Pit는 이런 조건들을 만족시키고 있어 Pit설계가 적절함을 알 수 있다. 실험결과 메탄발효 Pit의 설계인자로 폐수체류 기간이 2day, 월류유속은 1.5-2㎥m^(-2)day^(-1)가 적합하며, Pit바닥의 수심은 슬러지층의 온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3-3.5m 정도가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Pit 바닥의 슬러지층 온도가 16℃이상으로 유지되어야 메탈발효가 원활히 일어난다. 우리나라 중부지방과 기후조건이 유사한 지역에 위치한 연못시스템 연구에 의하면, 연못바닥의 온도가 메탄박테리아 활동이 거의 정지하는 14℃ 이하로 내려가는 기간이 약 7개월이 된다. 온대권의 연못시스템은 연간 슬러지 침전량이 분해량보다 많아 어느 정도 슬러지가 쌓이게 된다. 따라서 여분의 30㎝ 수심을 두어 10-20년에 한번 슬러지를 제거하도록 설계한다. 실험 연못시스템이 설치된 장소는 중부지방보다 평균기온이 약 3-4℃ 높은 지역으로 연못바닥 지하 1.5m에 위치한 Pit의 수온이 14℃이하가 되는 기간이 Fig.5에서 약 6개월이 된다. 실험 메탄발효 Pit는 좁은 면적의 연못에 설치하기 위해 콘크리트구조로 만들었으나, 1차연못의 규모가 크면 토공만으로 Pit설치가 가능하며 비용이 적게 든다. Pit에서 발생한 가스가 연못상층으로 이용하면서 CO₂가 해리되어 정제된 메탄을 회수할 수 있다. 메탄발생이 왕성한 기간에 연못상층에서 포집한 가스는 거의 메탄으로만 구성되어 있어 축산폐수를 처리하면서 메탄가스를 회수하여 연료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탄발효 Pit가 생태적으로 적응하면 초기보다 처리효율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어 지속적인 실험을 수행할 예정이다. An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pond system is developed for treatment and recycling of excreta from dairy cattle. It is composed of three ponds in series. A pit with a capacity of 10㎥, 2-day hydraulic residence time, and overflow velocity of 1.5 ㎥m^(-2)day^(-1) is located internally in primary pond. It is designed for efficient sludge sedimentation and effective methane fermentation. It receives 5㎥/day of diluted cattle excreta by the water used for clearing stalls. A submerged gays collector for the recovery of methane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pit. The average BOD_5 concentration of influent is 398.7㎎/ℓ. That of the effluent from primary pond is 49.2㎎/ℓ. About 88% of BOD_5 are removed in primary pond. It is assumed that about 60% of the influent BOD_5 is removed in the pit and that almost all of the carbon of the removed BOD_5 in the pit is converted to methane and carbon dioxide. Methane fermentation of the pit is well established at 16℃. This phenomena results from temperature stability, complete anaerobic condition, and neutral pH of the pit. Gas from the collector is almost 90% methane, less than 9% nitrogen, and less than 1% carbon dioxide. Thus a purified methane is produced, which can be used as energy source.

      • KCI등재

        축산폐수 처리 연못시스템의 처리수 재활용 양어

        양홍모 한국환경농학회 2000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9 No.4

        축산폐수를 처리하는 연못시스템의 1차연못 처리수(평균 BOD_5 49.1㎎·L^(-1), T-N 48.6 ㎎·L^(-1))를 1주에 2-3회 실험양어지에 공급하여 잉어의 성장을 조사하였다. 처리수 공급유량과 실험양어지의 유량이 1:4가 유지되도록 공급하였으며, 실험양어지의 평균 BOD_5는 15 - 20 ㎎·L^(-1)였다. 양어지에 수용한 잉어의 평균 체중은 8월에 204.2 g에서 9월과 10월에 210.4 g와 219.3 g로 각각 늘었으며 60일간 사육에서 생잔율이 82%였다. 운반 및 조사시 잉어에 주는 스트레스를 감안하면 양어지의 수질과 환경은 잉어 성장에 나쁘지 않았다고 여겨진다. 8월부터 10월 사이의 다소 낮은 성장률은 양어지의 물을 빼내고 잉어를 잡아 체중과 체장을 측정하는 과정이 잉어에 스트레스를 준데 원인이 있다고 사료된다. 월동 후인 이듬해 4월에 잉어의 평균 체중은 205.3g로 감소하였으며 전년도 10월과 비교하여 생잔율은 83%였다. 일반적으로 잉어는 월동 후에 체중이 약 10 - 20%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양어지 실험결과 양어지의 평균 BOD_5가 15 - 20 ㎎·L^(-1)로 유지되면 용존산소결핍으로 잉어가 일시에 죽는 현상은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평균 BOD_5와 T-N이 각각 27.9, 30.8 ㎎·L^(-1)인 2차연못에 체중 약 100g 정도의 잉어 10마리를 8월에 넣어 보았으나 1주일 이내에 모두 죽었다. 새벽 무렵의 급격한 용존산소결핍 현상에 원인이 있다고 사료된다. 연못시스템의 3차연못에 잉어를 직접 털어 성장을 분석하였다. 3차연못의 평균 BOD_5와 T-N은 각각 19.8 ㎎·L^(-1), 21.0 ㎎·L^(-1)였다. 3차연못은 2차연못에서 발생한 조류(algae)가 죽어 연못바닥으로 침전되는 마무리연못(maturation pond)으로 연못전체가 호기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3차연못에 8월에 넣은 잉어의 평균체중은 107.5g였으며 2개월 후에 165.2g으로 증가하였다. 사육 1년 후의 평균체중은 478.2g으로 약 3배 증가했으며, 1년 후의 잉어 생잔율도 86%로 높게 나타났다. 월동을 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매우 좋은 성장이다. 생잔율이 높게 나타난 원인은 측정 횟수가 적어 측정에 따른 스트레스가 적었다는 점과 3차연못의 환경조건 (수질, 먹이 등)이 잉어사육에 적합했다고 사료된다. 사료공급 없이 하·폐수를 재활용하는 세계 여러나라의 잉어 생산량은 약 18 - l37g·m^(-2)year^(-1)이다. 3차연못 잉어생산량은 125 g·m^(-2)year^(-1)로 아주 양호한 생산량이다. 산업폐수가 유입되지 않은 생활하수나 축산폐수의 처리수를 이용한 양어의 고기는 생체실험결과 인체에 해가 없다고 규명되어 왔다. 축산폐수를 자연생태적으로 처리하는 연못시스템의 연못에서 잉어를 사육할 경우 연못의 수질이 2차처리수준인 BOD_5 20 ㎎·L^(-1)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사료된다. 연못시스템은 축산지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어의 수확으로 축산농가의 소득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Utilization of animal excreta in aquaculture can have potentials of high fish production and low maintenance costs for fish farming and it can reduce water pollution caused by animal waste disposal. Integration of wastewater treatment pond system with aquaculture has been utilized in many countries. Ecologically balanced pond ecosystem is formed through the stabilization of wastes, the growth of aquatic plants, and the cultivation of fish. The most appropriate fish for rearing in these ponds are those which can feed directly on phytoplankton, especially algae. Carp were introduced into a tertiary pond - water depth of 2.2 m, water surface area of 130 ㎡, volume of 148 ㎥ - of a pond system treating milk cow excreta. The carp production was 125g·m^(-2) year^(-1) which falls into upper range of 18 - 137g·m^(-2)year^(-1) of treated sewage-fed carp farming of other countries. Average BOD_5 and T-N of the pond was 19.8 and 21.0 ㎎·L^(-1) respectively, and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it was suitable for growth of carp. Several carp of 100g were introduced in August into a secondary pond of the treatment system, whose average BOD_5 and T-N was 27.9 and 30.8 ㎎·L^(-1) respectively. They were died within one week, which may be attributed to the depletion of dissolved oxygen at dawn. Effluents from primary treatment can be used in fish pond with dilution and those from secondary treatment can be directly funnelled into it. Waste stabilization pond treating animal excreta can be utilized for fish rearing when its water quality maintains secondary treatment level.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