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양금기보법 비교연구: 개량양금 기술표현체계 개발을 전제로

        윤은화 ( Yin Hua Yin ),미지 ( Mi Ji Yang ) 세계음악학회 2015 음악과 문화 Vol.32 No.-

        The Yang geum mentioned Guracheolsahyeongeum (歐邏鐵絃琴) by Yeonam Park, Ji-won in Western Yang guem. Originally,Yang geum was a sort of Dulcimer. It has been translated and spread to the world under the names such as Tympanon, Harkvert, Cembalo and Yangqin. Actually new traditional music composition skills in Korea are represented and required in several ways through the Modernized Yang Geum, but the real state of a study on sign system of the modernized Yang Geum`` new performing technique is poor. Accordingly, this study was made to develop a newly improved Yang Geum``s performing technique sign system by searching the existing Chinese Yangqin, Korean Traditional Yang Geum and Modernized Yang Geum``s performing technique sign systems. Yang Geum has been actively played, studied and improved as a folk musical instrument of the world, while the Korean Yang Geum research has continued to have little on traditional music. The Korean Traditional Yang Geum is dominated mainly by one-handed technique, whose tune is frequently changed by environment. And popular acceptance is poor due to the limit of the instrument noisy tuning. As a result, China``s Modernized Yang Geum Performing Technique Sign has been systematically studied for a long time and organized and mentioned on the first top part of any manual. This notated a special technique playing in commonly used sign when playing the Modernized Yang Geum Performing that led to the correct Modernized Yang Geum performing expression. First, the Chinese Modernized Yang Geum is composed by staff notation and number notation, and the correct technique training is good by the notation system of performing technique. Second, the Korean Traditional Yang Geum is composed by staff notation(except jungganbo), and the notation sign system ofjungganbo was used by the notation sign system of performing technique when having reverse score of staff notation. Third, Korea``s 18strings Modernized Yang Geum improved the musical instrument by magnifying the register of the Korean Traditional Yang Geum and the notation system was notated by the staff notation of the West. The notation sign systems of performing technique includes left hand slapping · Zither Stick · vibrato · rolling the stick · One-time pushing · twice pushing · pushing from the bottom sound · glissando · grace note · continuation technique · chord technique · barrier slapping technique · left-hand technique · right-hand technique · arpeggio · banchegui technique · staccato · tremolo · two voice tremolo · vibrato · mute technique. However, several performing techniques by composers are reported cause chaos, and even the same performing notation is differently indicated to have poor precision shown. Fourth, Korea``s 43strings Modernized Yang Geum is a musical instrument improved by the North Korea``s Yang Geum with all techniques of the existing instrument 18strings Modernized Yang Geum accepted that led not only to Korean music but to several musics. This allowed the suspension of the existing 18strings Improved Yang Geum to be expanded, the traditionality and merits of the existing Modernized Yang Geum to be preserved by improving the musical instruments such as pedaling, the new Modernized Yang Geum performing technique to be expanded according the demand of a new era, and several technique expressions to be progressively presented. As a result, the Korean Modernized Yang Geum``s new performing technique sign systempresented the pedal, Goejo rate, performing technique of two stick, semitone technique expression system by expanding the existing Modernized Yang Geum performing technique except the rolling the stick, arpeggio, tremolo, vibrato. Like this, 43strings Modernized Yang Geum is the musical instrument improved to play several musics not only of the existing 18strings Modernized Yang Geum performing techniques but also new traditional music, which seems to be the beginning to raise importance of the future new traditional music Yang Geum``simportance used.

      • KCI등재

        松川 梁應鼎의 生涯와 憂國衷情 詠史詩 一考

        승천(Yang Seung-Cheon) 동아인문학회 2018 동아인문학 Vol.43 No.-

        송천 양응정은 조선 중기에 활동한 관료이자 문인으로, 호남지방에서 활발한 문학활동을 전개한 중심인물 중의 한 사람이다. 그는 1552년 식년문과에서 을과로 급제를 하였고, 1556년 중시문과에서 ‘남북제승대책’으로 장원을 하였다. 또한 대사성을 두 번이나 지냈고, 문장에도 능하여 목릉성세를 이루었던 시인 중의 한 사람이다. 그는 한국한 시문학의 금자탑을 쌓은 정철, 백광훈, 최경창과 같은 뛰어난 제자를 길렀다. 송천 양응정은 문인이면서도 군략에 조예가 있는 병법과 전술 등에 일가견을 가지고, 국방에 대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는 등 현실적으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문과중시에서 장원한 그의 ‘남북제승대책’에서 국방에 대한 현실적인 대책을 제시하였다. 또한 자식들에게 머지 않아 남쪽에 외환이 있으리라는 것을 말하고, 장차 있을지 모르는 나라의 위험에 대비해 병법을 가르쳤다. 부친에게 병법을 배운 아들들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즉시 의병에 가담하여, 차남 양산룡은 운량장이 되어 군량을 조달하였고 삼남 양산숙은 진주성 싸움에서 33세의 젊은 나이로 목숨을 잃었다. 송천 양응정 사상의 핵심은 충, 신, 신독 세가지로 압축할 수 있다. 그의 사상은 유교에서 선비가 지키고 마땅히 행하여야 할 행동 지침들로, 그 사상의 핵심은 현실에 대한 탁월한 안목을 지니고 있는 생활적인 실천철학이었다. 그가 중시에서 ‘남북제승대책’으로 장원을 한것도 그런 맥락에서 보아야 할 것이다. 송천 양응정 문집에는 영사시들이 몇 수 있는데, 모두 중국 역사에서 주제가 되는 재료를 취재한 작품으로, 우국충정 일화를 제재로 삼은 것들이다. 따라서 그의 영사시는 신념과 가치관을 역사적 인물에 투영시켜 형상화 한 것이므로, 그의 우국충정 정신이 녹아있다 할 것이다. Songcheon Yang Eung-jeong, who was a bureaucrat and literary artist from the mid-Joseon era, was one of key literati active in the Honam region. He passed the government examination of the civil official division-B class in 1552. In 1556, he passed another higher level examination as the top winner by writing about ‘South-North Winning Measures.’ In addition, he served as the Head of Confucian Education Department twice, and was excellent in writing essays, becoming one of the poets which dominated the so called prosperous period. He fostered excellent disciples such as Jeong Cheol, Baek Gwang-hun and Choe Gyeong-chang who laid firm groundwork for Korea"s Sino-Korean poetry genre. Yang Eung-jeong was a literary artist and yet was good at military strategy and tactics, proposing specific national defense measures. As such, he was pragmatic. He, who passed the governmental examination as the first winner, proposed the pragmatic national defense measures in his writing of ‘South-North Winning Measures.’ In addition, he taught their children how to cope with foreign invasions in the southern region that he insisted would occur. The children, who were taught about military tactics, engaged in Imjinwaeran, Japanese invasion of Joseon, as civil soldiers. Second-son Yang San-ryong became the head of logistics unit to procure food, and third-son Yang San-suk engaged in Jinjuseong battle, and unfortunately, died at the young age of 33. The key thoughts of Songcheon Yang Eung-jeong come down to loyalty, sincerity and integrity. His thoughts, which Confucian scholars should keep and practice, were anchored on his excellent insights into reality and pragmatism. In that context, he wrote ‘South-North Winning Measures’ in the governmental examination, by which he won the top spot. The literary collection of Songcheon Yang Eung-jeong contains several historic poems, which all took the subject matter of patriotism from the Chinese history. Thus, his historic poems, which were based on the conviction and values of historic figures, embraced his patriotism.

      • KCI등재

        기후요소를 고려한 초고층 건설공사의 타워크레인 양중시간 예측 시뮬레이션 모델

        강혁,이현수,박문서,정민혁,황성주,Yang, Kanghyeok,Lee, Hyun-Soo,Park, Moonseo,Jung, Minhyeok,Hwang, Sungj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3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4 No.2

        초고층 건물공사에서 타워크레인의 양중계획은 전체 공사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타워크레인의 양중계획에 있어 양중시간은 기본적인 요소 중 하나로 이를 바탕으로 양중부하 및 타워크레인을 선정하기 때문에 양중계획을 위해서는 정확한 양중시간의 예측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초고층 공사의 양중시간 예측은 기존의 실적자료와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수행하고 있지만 양중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인 요인에 대해서는 충분히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중작업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바람을 시뮬레이션에 반영하여 초고층 공사의 타워크레인 양중시간을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였다.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바람의 영향을 반영한 양중시간은 높이가 올라갈수록 증가하였으며, 초고층부의 경우 기계적 양중시간보다 바람의 영향에 의한 양중 지연시간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 대상지인 서울의 풍속은 4월이 강하고 10월이 약하게 나타났으며, 양중시간을 예측한 결과 둘 간의 큰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향후 초고층 타워크레인 양중계획 시 바람이 양중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이를 고려하여 실제 상황과 동일한 양중계획을 세우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ower crane hoisting plan is one of the key element for the success of entire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Hoisting time is the basic factor to appropriate hoisting plan which need to the hoisting load estimate and tower crane selection. With this reason, accurate hoisting time is needed to the proper hoisting plan. The current hoisting time estimation for High-Rise Building focus on the hoisting cycle time estimation with historical data. However, this method underestimated the external influences like environmental factor. Thus,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hoisting time estimation model with discrete event simulation which include the wind influences with certain height.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 the hoisting time which applied wind influence is increasing with height growth. Because of the high speed wind, the upper area of building has more operation delay time than the mechanical operation time. Seoul, the research area, has the most fastest wind speed on April and the least on October. Due to these differences of wind speed, the hoisting time is estimat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pril and October. This hosting time estimation model would be used for estimating the influence of wind. Moreover, this could apply to make the realistic hoisting plan.

      • KCI등재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의 생애와 부(賦)에 대한 고찰

        승천 ( Yang Seung-cheon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8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2

        양응정은 조선 중기에 활동한 관료이자 문인으로, 호남지방에서 활발한 문학 활동을 전개한 중심인물 중의 한 사람이다. 그는 1552년 식년문과에서 을과로 급제를 하였고, 1556년 문과 중시에서 내수외양책에 의한 <남북제승대책>으로 장원을 하였다. 또한 대사성을 두 번이나 지냈고, 문장에도 능하였다. 양응정이 주로 활동했던 시기는 16세기 중엽 명종과 선조 때이다. 목릉성세로 일컬어지는 이 시기는 시와 문장이 찬란한 꽃을 피웠다. 이 시기를 예비하고 주도했던 인물은 주로 호남 출신이거나, 호남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던 문인이었다. 이들 중에는 목릉성세 터전의 기초를 닦았던 인물도 있고, 그 시대의 주동적인 처지가 되어 이끌었던 인물도 있다. 양응정의 경우는 목릉성세 터전의 기초를 닦았던 인물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양응정은 세 편의 부(賦) 작품을 남겼다. <사(射)>, <태백묘(泰伯廟)>, <대장불기재(大匠不棄材)>가 그것이다. <사>는 『예기』 <사의>를 참고하여 지은 것이고, <태백묘>는 『논어』 <태백>을, <대장불기재>는 『맹자』 <진심장 상>을 참고해 지은 것이다. 문학 작품은 작가정신과 의식의 소산이므로, 필연적으로 그가 살고 있는 시대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 세 편의 부는 그가 활동했던 16세기 중엽의 명종과 선조 시대를 배경으로, 그의 우국충정이 아늑하게 서려 있다. <사>에서는 시대적 혼란기에 사대부와 선비들의 정신을 진작시킬 중요한 방법으로 활쏘기를 권장하여, 그들이 문무를 겸한 만방의 모범이 되는 사람이 되길 바란다. <태백묘>에서는 왕위 계승 문제로 인한 조정의 혼란을 막기 위하여 역사적 사실을 인용해, 선조의 왕위 계승 문제를 합리화하고 있다. <대장불기재>에서는 임금이 인재를 발굴해 쓰려 할 때는, 혹시라도 인재를 버리는 일이 없이 잘 파악해 적재적소에 골고루 써야 한다는 것이다. 양응정은 많은 부 작품을 남기지 않고, 세 편의 작품을 남겼다. 그러나 그의 부는 신라 최치원의 <영효> 이후로, 고려와 조선을 거치면서 내려오는 우리나라 부의 문학사에서 한 단락을 차지하는데 얼마간의 도움이 되었다고 하겠다. Yang Eung-jeong, who was a bureaucrat and literary artist from the mid-Joseon era, was one of key literati active in the Honam region. He passed the government examination of the civil official division-B class in 1552. In 1556, he passed another higher level examination as the top winner by writing about ‘South-North Winning Measures’ under the theme of “the policy of governing internally well and boosting power externally.” In addition, he served as the Head of Confucian Education Department twice, and was excellent in writing essays, becoming one of the poets which dominated the so called prosperous period. It was the times of King Myeongjong and King Seonjo in the mid-16th century that Yang Eung-jeong was mainly active. That era, which was called the prosperous period, bloomed the activities of writing poems and essays. Figures, who helped create that era, were mainly those literati from the Honam region or closely related with Honam. Among them were the founders of the prosperous period, and opinion leaders of that time. Yang Eung-jeong is seen as one of the founders of the prosperous period. Yang Eung-jeong left three poetic essays, which are < Archery >, < Shrine of Taebaek >, and < A great master craftsman does not abandon wood >. < Archery > was written based on the Meaning of Archery of 『The Book of Rites』 ; < Shrine of Taebaek >was based on Taebaek of 『The Analects』 ; and < A great master craftsman does not abandon wood > was based on Daejang of 『Mencius』. The writers should be influenced by their times since their literary works are the outputs of their spirits and understanding. The three works, which were set in the times of King Myeongjong and King Seonjo in the 16th century, is filled with the patriotism of Yang Eung-jeong. < Archery > recommends the archery for noblemen and scholars as a way of promoting their spirit in confusing times, and wishes that they were models every inch equipped with literary ability and martial arts. < Shrine of Taebaek >, quoting the historical facts, rationalizes the enthroning of King Seonjo to prevent the confusion of the government due to the issue of succession to the throne. < A great master craftsman does not abandon wood > suggests to kings that they should put the right man in the right place not to disregard talents. Yang Eung-jeong did not leave many poetic essays. However, his works, after the essay < Yeongho > of the greatest essayist Choe Chi-won from Silla, is regarded as an important part of the poetic essay genre of Korea which was handed down to Goryeo and Joseon from the previous times.

      • KCI등재

        족관절 양과 유사 골절에서 삼각인대 보강술과 경비인대 결합 나사 고정술의 임상적 결과 비교

        종헌(Jong Heon Yang),윤성현(Sung Hyun Yoon),서재완(Jae Wan Suh),최성준(Sung Joon Choi),박현우(Hyun-Woo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2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9 No.1

        목적: 족관절 양과 유사 골절에서 비골 골절에 대한 정복 및 내고정술을 시행한 후 불안정성을 평가하여 경비원위결합을 고정하는것은 잘 알려진 치료법이다. 그러나 내측 삼각인대를 보강하는 술식에는 그 필요성과 효과에 대해 여전히 논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과 유사 골절에서 외과 골절에 대한 고정 이후 삼각인대 보강술을 시행한 환자군과 경비인대 결합 나사 고정을 시행한 환자군 간의 치료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년부터 2022년까지 양과 유사 골절로 수술을 시행한 환자들 중 외과 골절에 대한 고정을 포함하여 삼각인대를 보강한 31명의 환자군과 경비인대 결합 고정술을 시행한 12명의 환자들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술 후 12개월째 시각통증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족관절 가동 범위를 측정하여 임상적인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수술 전 후 내측간격(medial clear space), 경비겹침(tibiofibular overlap), 경비간격(tibio-fibular clear space)을 측정하여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술 후 합병증 발생 유무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술 후 AOFAS score와 시각통증척도 score 및 술 후 가동 범위를 비교한 결과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방사선학적 결과상 수술 전 후 내측간격, 경비겹침, 경비간격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삼각인대 보강술을 시행한 군에서 술 후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경비인대 결합 나사 고정을 시행한 환자군에서는 각각 1건의 나사 파손과 천부 감염이 관찰되었다. 결론: 양과 유사 골절에서 외과 골절 고정 후 삼각인대 보강술만 단독으로 시행하더라도 임상적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경비인대 결합 고정술을 시행하는 것보다 삼각인대 보강술만 단독으로 시행하게 되면 부정 정렬의 가능성이 거의 없고, 금속나사의 파손이나 금속 나사의 제거를 위한 추가 수술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어, 삼각인대 보강술은 양과 유사 골절의 수술적 치료 시 좋은 치료 술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current treatment option of bimalleolar equivalent fractures is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lateral malleolus followed by syndesmotic screw fixation of syndesmosis or deltoid ligament augment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is still debate using deltoid ligament augmentation technique. This study compared the clinical results of deltoid ligament augmentation and syndesmosis screw fixation in bimalleolar equivalent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2007 to 2022, this study retrospectively compared 31 patients who underwent deltoid ligament augmentation with fibula fixation with 12 patients who underwent syndesmosis fixation for bimalleolar equivalent fractures. The clinical results were compared by measuring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and ankle range of motion 12 months after surgery. The radiological results were compared by measuring medial clear space, tibiofibular overlap, and tibiofibular clear space before and after surgery.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compared. Results: The post-operative AOFAS score, the VAS score, and the ankle range of motion were similar in the two groups. The radiological results showed a similar medial clear space, tibiofibular overlap, and tibiofibular clear space in th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surgery. In addition, there were n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the group that underwent deltoid ligament augmentation, and one screw break and superficial infection were observed in each of the patient groups that had undergone trans-syndesmosis screw fixation. Conclusion: Clinically good results could be obtained despite only deltoid ligament augmentation being performed alone after fibular fracture fixation in bimalleolar equivalent fractures. In addition, if only deltoid ligament augmentation is performed alone rather than transsyndesmosis screw fixation, there is little possibility of misalignment and no risk of screw breakage or the need for additional procedures to remove the screws. In conclusion, deltoid ligament repair without syndesmosis screw fixation could be viable for treating bimalleolar equivalent fractures.

      • KCI등재
      • KCI등재

        네트워크 존재론의 시대 - 왕양명과 메를로-뽕띠를 중심으로 -

        선진(Yang Sun-Jin) 영남퇴계학연구원 2018 퇴계학논집 Vol.- No.23

        들어가는 말 1. 제 4차 산업 혁명시대의 특징 2. 제4차 산업혁명시대: 새로운 존재론의 요청 3. 왕양명의 존재론 4. 메를로-뽕띠의 존재론 나오는 말 근대의 과학기술은 인간과 자연을 분리하고 자연을 마치 기계처럼 간주하는 원자론적이며 인과론적 존재론 내지 세계관이다. 하지만 새로운 시대인 일명 제4차 산업 사회는 기존의 존재론을 수정해야할지 모른다. 왜냐하면 제4차 산업 사회는 인간과 인간, 인간과 사물, 인간과 자연을 하나로 묶는 ‘연결 사회’를 초래할 것이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인간을 규정하는 문화적 특성과 공간적 특성은 점차 사라지고 디지털화에 기반을 둔 새로운 관계 속에 진입하게 될 것이며 이러한 관계는 새롭게 인간의 정체성을 설명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새로운 디지털 사회는 인간과 인간, 인간과 사회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기존의 세계관 내지 관계론에서 배제되었던 영역인 인간과 사물의 관계를 존재론적으로 인정해야하는 시대가 다가올 것이다. 논자는 새로운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는 철학자로서 동양의 왕양명과 프랑스의 메를로-뽕띠를 통해서 고찰하려고 하였다. 왜냐하면 두 철학자는 원자론적이며 기계론적인 세계관 내지 존재론을 부정하고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 인간과 사물을 하나로 묶는 존재론 내지 세계관을 제시한 철학자들이기 때문이다. 새로운 시대에 새로운 존재론을 구축하기 위해서 우리는 전통 철학자인 왕양명과 메를로-뽕띠의 존재론을 살펴보고 제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부응하는 존재론의 실마리를 찾고자 하였다.

      • KCI등재

        지성중심의 사고를 넘어선 철학상담의 가능성 모색 - 왕양명과 베르그손 사상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

        선진 ( Yang Sun-jin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5

        서양의 철학은 이성이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특히 근대 철학자인 데카르트와 칸트 철학은 이성 중심 철학의 정점에 위치한다. 하지만 이성중심의 철학이 삶과 괴리되면서 실천성이 약화되었다. 베르그손(Henri Bergson: 1859-1941) 은 근대 서양의 인간 규정인 이성(=지성)이 생명의 실재를 서술할 수 없음을 역설하면서 삶과 분리된 이성을 비판하고 역동적인 생명의 지속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성중심의 철학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직관의 철학을 주장한다. 동양의 유학자인 왕양명(王陽明: 1472-1528)<sup>1)</sup>은 인간이 천지자연과 근원적인 관계 속에 있으며 인간의 도덕적 근원이 외부에 법칙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내부에 존재함을 역설한 철학자이다. 왕수인에 의하면 인간 생명은 결국 물리적 법칙으로 설명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인격적 자연인 천지(天地)와 유기적 관계를 맺어야만 한다. 베르그손이나 왕양명은 생명을 정태적인 법칙성 속에서 이해하려는 철학을 거부하고 모두 생명을 그 자체로 이해하려고 노력한 철학자이며 생명존재를 설명하기 위해서 이성적 차원만으로 부족함을 역설한 철학자이다. 베르그손에게 생명의 본질적특성인 생명의 약동은 최초의 근원자가 약동성을 부여하였음을 인정하며 왕양명은 모든 존재는 천지와의 유기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한다. 철학상담은 기본적으로 인간을 생명적이며 인격적인 존재임을 전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베르그손의 이성은 사변적이거나 추상적 이성이 아닌 실제적이며 살아있는 이성임을 규명할 것이다. 그리고 베르그손의 이성과 유사하게 동양철학자인 왕양명의 지성(知)도 삶과 괴리되지 않는 행동(行)과 긴밀한 관련성이 있는 실제적 삶 속에 나타나는 지성이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동양의 인간의 본질을 감성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유학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감성에 대한 강한 신뢰이며 인간의 존재론적 조건이라고 설명한다. 철학상담에 적용한다면, 상담자는 내담자의 맥락 속에서 실천적 지성을 가지고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도록 도와줄 뿐이다. 인간 행동의 대부분은 감성의 작용이며 이성은 극히 제한적으로 작용한다. 왕양명은 맹자처럼 감성을 인정하지만 인간의 인간다움은 바로 영성에 있다고 본다. 인간존재는 근원자(왕양명의 우주자연/베르그손의 생의 약동을 부여한자)로부터 존재근거를 설명한다. 인간이 근원자로부터의 단절은 인간의 실존적 문제 및 철학적 질병과 관계된다. 근원적인 우주자연과의 분리는 철학적 불안으로 나타나며 심리학적 우울증과는 다르다. 베르그손과 왕양명의 철학에 근거한 상담은 내담자에게 심리적 차원에서 치료할 것이 아니라 근원적 인격적 자연과 관계회복을 통해서 치료해야한다. 철학상담자는 근본적 질병이 해결될 수 있도록 내담자가 근원자와 관계를 회복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진정한 의미의 본질적 치료이다. Wang Yang-ming is based on the ontology of the characteristic of nature (天地) which has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humanity. According to Wang Yang-ming, human life is ultimately impossible to explain through the laws of physics. Bergson critiqued reason which is separated from the life and the world, because modern Western reason is abstract and speculative. Both philosophers have in common the characteristics which don`t only reject the law of life and understanding of life itself but also emphasized the spiritual dimension. According to Bergson`s essential features of life, life recognizes the initial source of vital explosion. Selon Wang Yang-ming thought that all beings are in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heaven and earth. Philosophical Counseling should recognize the essence of the human condition containing the intellectual, emotional, and spiritual dimension. True Philosophical Counseling should be treated through the fundamental relationships with the God (characteristic nature) rather than the cure recovered from the psychological level to clients.

      • KCI등재

        지성과 직관에 대한 고찰 - 베르그손과 왕양명을 중심으로 -

        선진 ( Yang Sun-jin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2 퇴계학논총 Vol.39 No.-

        인간은 본능, 직관 그리고 이성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물을 인식하고 깨달음을 얻는다. 인간의 인식에 가장 중요한 기능에 속하는 직관, 이성 또는 지성 그리고 지혜란 도대체 무엇이며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인가? 논자는 이러한 다소 애매하면서 혼란스럽게 사용되고 있는 개념 중에서 특히 지성과 직관에 대해서 가장 명확한 철학적 작업을 수행했던 철학자인 베르그손(Henri Bergson; 1859-1941)의 철학을 고찰함을 통해서 동양 철학자인 王陽明(1472-1528)의 철학 속에서 등장하는 개념들(知, 智 등)을 이해하고자 한다. 베르그손의 지성(intelligence)이란 공간과 언어를 매개로 파악하는 사유이다. 지성이 간접적 의식이라면 직관은 직접적 의식이며 지성이 매개적 의식이라면, 직관은 무매개적 의식이다. 지성이 인식 주체의 안과 인식 대상의 밖이 구별된다면, 직관은 인식 주체의 안과 인식 대상의 밖의 매개물이 없는 상태이다. 왕양명의 지성(慮, 思 또는 思慮, 省察)이 인간적 노력의 차원이라면 직관적 의미를 의미하는 知, 즉 良知는 반대되는 의미이다. 두 철학자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베르그손의 직관이란 단순히 형이상학적이고 존재론적 앎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왕양명의 良知는 직관적이면서 동시에 도덕적 의미를 지닌다. 인간의 지성이 도달한 진리란 인간적인 능동적 노력으로써 도달할 수 있는 인간적 진리(人道)라면, 인간이 깨달음의 차원인 양지의 진리란 인간의 지성적 노력으로 도달할 수 없는 하늘(天)이 부여하고 계시한 진리(天道)이다. 베르그손의 직관은 철학의 영역에서 종교의 영역까지 확장된 개념이다. 베르그손의 직관적 인식이란 단번에 완성된다거나 生得的이라는 의미를 지니지 않으며 부단한 인간적 노력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왕양명의 직관 개념과는 다르다. 맹자의 사상을 계승한 왕양명의 도덕적 직관, 즉 도덕감(moral sense)은 베르그손의 직관 개념처럼 後驗的 노력의 결과물이 아니라 인간이면 누구나 지니고 능력을 수양을 통해서 재발견될 수 있는 先驗的인 것이다. Humans recognize things and gain enlightenment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instinct, intuition and reason. What is intuition, reason or intelligence, and wisdom in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human perception and how can we understand it? The Eastern philosopher is the first to understand through these philosophical ideas, the philosophy of Henri Bergson(1859-1941), the philosopher who performed the clearest philosophical work on intelligence and intuition among these rather ambiguous concepts. I would like to understand the concepts(知, 智, etc.) that emerge in the philosophy of Wang Yang Ming(1472-1528). Bergson's intelligence is the reason for grasping space and language. If intellect is an indirect consciousness, intuition is a direct consciousness; If the intellect distinguishes the inside of the cognitive subject from the outside of the cognitive subject, intuition is in the state without the inside of the cognitive subject. If the Wang Yang-Ming's mind is the dimension of human effort, the knowledge meaning intuitive meaning, or yangji(良知), is the opposite. Sunny does not simply mean metaphysical and ontological knowledge as in the case of Bergson, but also has an intuitive and moral meaning. If human mind is a human truth that can be reached through human effort, heavenly truth is a world that cannot be reached by human intellectual effort. Bergson's intuition is an extension of intuition that extends from the realm of philosophy to the realm of religion. Bergson's intuitive perception is different from Wang's intuition in that it does not mean that it is complete or intrusive, and that it is the product of hard work. Wang's intuition concept is that Wang's moral intuition or moral sense, which inherits the idea of Mencius, is not the result of a priori epigenetic effort, but rediscovers the ability of all human beings through fostering.

      • 전국의 공중화분 및 공중진균 포자 분포에 관한 연구

        편복(Bok Yang Pyun),김성원(Sung Won Kim),오재원(Jae Won O),이혜란(Hae Ran Lee),김정수(Jung Soo Kim),이경일(Kyung Il Lee),강임주(Yim Joo Kang),국명희(Myung Hee Kook),강혜영(Hae Young Kang),김진석(Jin Suk Kim),이명현(Myung Hyun Lee)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0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0 No.1

        목 적 : 공중화분과 공중진균에 대한 분포 조사는 전세계적으로 이미 많이 연구되었고, 알레르기 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구미에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이는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기본 자료로서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이를 기초로 역학적 조사가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아직 전국적인 공중화분과 공중진균에 대한 분포 조사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공중화분의 분포에 대하여 산발적이고 지역적인 보고가 있었으나 전국적인 역학적 분포 조사는 보고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저자들은 1997년 7월 1일부터 1999년 6월 30일까지 2년간 전국의 공중화분과 공중진균의 분포를 조사하였기에 이를 보고한다. 본 연구는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의 주관으로 이루어진 한국 어린이, 청소년 알레르기 질환에 관한 전국적 역학조사의 일환으로 조사가 시행되었다. 방 법 : 1997년 7월 t일부터 1999년 6월 30일까지 전국 10개 지역에 공중화분 및 진균포자 채집소를 정하여 가능한 동일한 조건을 얻기 위하여 모든 채집기(rotorod sampler; Sampling Technologies, Inc. MN)는 바닥으로부터 150 ㎝ 높이에 장치하여 매일 오전 8시부터 익일 오전 8시까지 24시간 동안 공중화분 및 공중진균을 포집한 후 매 2주마다 집결소(한양대 구리병원)로 보내어져 그곳에서 2명의 연구원에 의해 Calberla`s fuchs운으로 염색하여 100배 배율 하에서 공중화분을 관찰하고 400배 배율 하에서 공중진균을 관찰 동정하고 ㎥당 grain과 spore 수를 동정, 측정하였으며, 각 지역의 기상 관측소와 연계하여 채집 기간의 날씨(풍향, 기온, 습도 등)를 매일 기록하여 연관성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전국적으로 가장 많이 화분이 비산되는 시기는 8월 12일부터 9월 21일까지이었다. 지역별로는 전주지역에서 가장 많은 화분이 채집되었으며, 그 다음은 부산지역 순이었으며 대전, 대구, 여수지역은 비교적 적은 양의 화분이 채집되었다. 공중화분은 12월 중순부터 1월 중순까지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봄철 화분분포는 3월 7일부터 3월 30일까지 절정을 이루고 있었다. 지역별로는 부산지역이 가장 먼저 화분이 발견되었으며. 가장 많이 채집되었고, 그 다음으로 전주지역, 여수지역 순이었다. 8월부터 9월까지 두드러기쑥(Ambrosia)와 쑥(Artemisia) 가장 많이 나타났는데, 전주, 부산, 서울지역에서 많은 분포를 보였다. 공중진균은 7월 10일경부터 10월 24일까지 절정기를 이루었으며, 강우량과 비래하였으며, 장마철과 같이 아주 많은 양의 강수량이 있는 시기는 급격히 감소하였다가 비가 개인 다음날부터 많은 양의 진균포자가 비산하였다. 1998년 7월에 서울, 대전, 여수, 부산지역에서는 게릴라성 폭우로 인하여 강수량은 급증하였으나 공중진균의 양은 감소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공중진균 포자의 비산은 11월부터 서서히 감소되며, 12, 1월에는 현격히 감소되지만 전국적으로 연중 발견되었다. 공중진균은 전국적으로 유사한 채집량을 보이고 있으며, 종류별로는 Cladosporium, Alternaria, Leptospheria의 ascospore 순으로 많이 발견되었다. Purpose : As outdoor allergen, pollen and mold are increasely drawing attention all over the country in Korea. The peninsula is located in a temperate zone and has four distinct seasons. In this study, we described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pollen and mold distributions in Korea, which may be used to evaluate the pollenosis prevalence for the first time. Methods : Rotorod samplers were installed on the 10 stations at each state in Korea. Outdoor allergens were collected daily in each station from July 1, 1997 to June 30, 1999. After staining they were identified, counted and recorded with the weather in each state. Results : The pollens were found in the beginning of February through the middle of December. The earliest pollen was found from Pusan which is a south region, and followed by Chonju, Daegu which are midsouth. The peak season for pollen was from the end of April to the middle of May(major pollen: Tree, Grasses), the second peak was depicted from the end of August to the middle of September (major pollen : sagebrush, ragweed) the outdoor molds were largely collected from the July to the middle of October. Cladosporium and Alternaria were prevalent all year round and Ascospores of Leptospheria was peak in monsoon season. Conclusion : The pollens were found during the whole year except from middle of the December through the middle of the January. Molds were found all year r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