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학 자료 번역 도구로서의 한국학 영문 용어 용례 DB구축 연구

        양창진(Yang Chang-Jin) 인문콘텐츠학회 2009 인문콘텐츠 Vol.0 No.16

        국가 간 교류의 활성화로 인해 한국 문화의 심층적인 측면이 세계로 많이 알려지고 반대로 외국의 문물도 국경을 초월하여 넘어 오고 있다. 하지만 넘어오는 정보에 비해 외국으로 전파되는 우리의 정보는 그 양과 질 면에서 부족함이 있다. 과거와 달리 상황이 많이 좋아지기는 했지만 아직도 한국, 중국, 일본이 경쟁하는 동북아 역사 논쟁 등과 관련하여 세계에 알려진 우리의 연구 성과는 나머지 두 나라에 비할 수 없는 수준이다. 이는 무엇보다 체계적으로 우리의 학문적 성과를 알리고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기초 수단’이 부족한데도 일부 원인이 있다. 학술교류의 성과는 번역 자료의 양과 번역 수준에 비례한다. 이에 연구자들은 한국 관련 정보를 영어로 번역하여 보급할 필요성을 제기해 왔다. 하지만 이 주장과 달리 현실에는 다양한 장애가 존재한다. 무엇보다 한국학 용어에 대응되는 영문용어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자료 번역 및 학술 교류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영문 용어 표준화가 어려운 이유는 연구자에 따라 하나의 용어를 매우 다양하게 번역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특정 분야에만 쓰이는 전문 용어는 대응되는 영문용어가 없어서 해당 분야에 정통한 연구자가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새로 만들어야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국어와 영어는 언어 문화적 차이로 인해 단어가 직접 1대 1로 대응되지 않는 관계로 대역어 사전을 만들기가 힘들다. 따라서 대역어 사전보다는 한국학 용어가 영어로 번역되는 다양한 사례를 체계적으로 정리해서 학계와 번역가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현 단계에서는 가장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수행하는 “한국학 영문 용어 용례사전” 편찬연구 사업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 사업은 기존에 영어로 번역된 한국학 관련 명저에서 영어로 번역되는 다양한 용례를 추출하여 제시해 줌으로써 한국학 자료의 번역을 돕고자 하는 취지에서 추진되고 있다. 이 연구 사업으로 구축한 한국학 용어 영문 용례 DB는 현재 1만 7,000여 개의 용례를 수록하여 인터넷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 논문은 한국학 자료의 체계적인 번역과 보급을 위한 기초 도구로써, ‘한국학 영문 용어 용례사전’ DB 콘텐츠 구축의 필요성을 알림과 아울러, 그동안 수행된 성과를 보다 진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영문 용례집 편찬뿐만 아니라 기타 외국어용 용례집 구축에도 많은 참고 사항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As the statue of Korea has been improved in the level of economy and social development, the essence of Korean culture and heritage has been known to the world widely so as foreign cultural experiences has been introduced to Korean society for decades. But the scale of cultural exchanges with other countries is still unbalanced; some information or knowledge of Korea is not being introduced with its exactness and richness. Admittedly, the situation is getting better though, comparing with neighboring powerful countries, Japan and China, in the international stage in terms of the historical debate over the history text book, or territory issue, it seems to be obvious that the capacity of Korea appealing what we believe the truth is to the international society is quite inferior to other two countries. It is surely because of the lack of ‘fundamentals’ in academy community which contributes to produce reliable results, to introduce it to the international academy group or relevant society and to get wide range of agreement. We should not forget the qualification and level of academic results of a nation depends on the qualification level and scale of the volumes of translated literature. Some group of researchers has encouraged the need of English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or materials which introduces the rich heritage of Korean culture. But in translating Korean materials to English there exists varied level of barriers; as the standard rule of translation of Korean terms(mostly literal Chinese terms) referring to did not exist, so individual researchers and translators had difficulties, and they had not choice but create their own terms in varied ways. Even worse, there are many cases of literal Chinese technical terms from Korean Classics which do not have any correspondence in the target language, which requires lots of time and energy to create English correspondences. But it is not easy to produce a dictionary which corresponds word to word in the case of Korean Classics. Rather it would be more helpful and reasonable to collect the glossaries which had been produced by individual researchers and translators which contain varied examples, and provide them useful Glossary of Korean Studies accessible on line. And the author believes that’s the most reliable way to promote Korean Studies in terms of translation. Considering this issue importan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launched a project of building the Glossary of Korean Studies in 2005 and has served the Glossary of which items were selected from the books written by authorized scholars of Korean Studies, which was served on internet. Now the on ?line Glossary contains 17,000 examples, and based on this outcome the standard rule of terms of Korean Studies will be settled.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aim and need of the Glossary of Korean Studies and to encourage this long-term project. The case of the Glossary of Korean Studies can hopefully be a model for other foreign languages.

      • KCI등재

        학술 논문의 주제어 표기 및 활용 방안 연구

        양창진(Yang Chang-Jin)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9

        오늘날 모든 학술 논문은 DB화 되어 온라인으로 공개되면서 중요한 디지털 콘텐츠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런데 DB로 구축되는 논문의 수가 급증하는 관계로 원하는 논문을 쉽게 검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논문내용 전체를 보지 않고도 검색과 분류를 보다 용이하게 해 주는 주제어(keyword)는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런데 논문의 메타데이터를 가지고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면, 학술지마다 주제어의 표기 양식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또한 논문을 저술하는 연구자도 주제어를 일정한 표준에 근거하지 않고 자신의 지식에 기초하여 임의로 수록하기 때문에, 유사한 분야의 논문에 수록된 주제어를 비교해 보면, 유사한 주제어가 다양한 용어로 표현됨으로써 주제어의 다양한 활용에 장애가 되고 있다. 주제어는 논문 제출을 위한 단순한 형식 요소가 아니라, 정보 검색을 위한 핵심요소이다. 즉, 주제어는 문자열 검색뿐만 아니라 주제별 분류 색인을 통해 논문에 접근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학술 연구 동향을 정리한 주제어 사전을 매개로 하여 같은 주제의 논문들을 상호 연계시키는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논문은 여러 논문들에 제시된 주제어 표기 방식이 잘못되었거나 문제가 많다는 점을 논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다만 DB화를 통한 온라인 정보 서비스가 대세를 이루는 현실에서, 주제어 표기의 표준화를 통해 학술 논문을 보다 손쉽게 DB화하고 주제어를 중심으로 관련 논문들을 상호 연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If readers want to have a look at theses or papers published all they need to do is to make a click on line. They have become one of important digital contents on line. But as the number of written materials which have been provided in form of electric one alarmingly increased, the need of easier and faster search engine which is expected to show what the users actually want to find also has risen up. In this context the most critical element to build such effective engine is to build a category of keywords groups, which would help readers relate those ideas with what they are looking for without through reading of whole paper. When you practice analysis of papers with meta-data you will find that the way to decide what should be key words of each paper depends on writers, or rule of editors of journals, which make it difficult to categorize them uniformly. Providing key words in the end of a paper has been regarded conventional so far, but now it needs to think that they are critical elements for searching information on line; with typing some key words one line could users get access to the materials they want to find and they also could get more information with links of the result. It is not the author’s aim to blame the producers of the less effective key words of the papers, or editors of journals, but it is definitely important to establish a kind of standard way to produce key words of any paper, categorize and construct the data base of them and help the users find, associate, and make the best use of what they find.

      • KCI등재

        역사문화 콘텐츠 육성 정책의 회고와 전망

        양창진(Yang, Chang-Jin)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5

        한국은 해방 후 전쟁의 폐허 속에서 국가 주도형 산업화 정책을 바탕으로 고속성장을 이루었다. 자원과 에너지를 결집하여 신속히 압축 성장하기 위한 국가 주도 산업화 정책은 많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러한 경험을 하드웨어 정보 인프라 구축 및 정보 콘텐츠 축적에도 적용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제 우리나라는 산업화 단계를 넘어 지식 정보화 시대를 지나고 있다. 지식 정보화 시대는 제조업이 국가적 역량을 결정하던 과거와는 달리 정보의 축적과 이를 활용한 산업이 국가 발전의 토대가 되는 시대이다. 때문에 지식 정보화 시대에는 개인의 창의성을 바탕으로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민간 기업과 벤처 기업의 역할이 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따라서 국가 주도형 산업화를 추진해 온 우리나라가 정보화라는 시대 조류 속에서도 이전의 국가 주도 패러다임을 유지할 것인가 아니면, 새로운 전략을 모색할 것인가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이 글은 우리나라가 과거에 추진한 국가 주도형 산업화 전략이 지식 정보시대의 정보 콘텐츠 및 DB 구축에도 유효할 것인가 하는 점을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가가 추진하는 대표적인 지식 콘텐츠 구축사업 중 ‘국가DB사업’, 특히 역사 문화 분야의 DB 구축사업을 주로 고찰하였다. 이 사업은 국가주도의 디지털 사회간접자본 축적 사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국가 DB사업 전담기관인 한국정보화진흥원은 국가DB사업 출범 초기와 달리 단기간에 경제적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2차 가공 자료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사업을 전환하고 있다. 그런데 박근혜 정부는 출범하면서 국정과제로 정부3.0을 제시하였는데, 이 정책의 핵심은 정보의 공유 개방을 통한 국가 보유 콘텐츠의 민간 활용 제고에 있다. 이 정책을 위해서는 정부가 민간 영역에 속하는 콘텐츠의 2차 가공 사업은 지양해야 한다. 이렇게 정부와 정책 담당 기관 사이에 정책의 불일치가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경제적 가치 창출을 위한 활용은 민간에 맡기고, 국가는 여전히 원문 중심의 기초 자료 축적을 담당하여야 함을 선진국 사례와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After the liberation and ruins of Korean War, Korea achieved rapid economic growth on the basis of the state-led industrialization policy. This policy, despite many problems, mobilized resources and energy for compressive growth and had a big success. A result of the success now the private sector has been greatly expanded and the extent of state intervention in the economy was weaker. Korea is going through the knowledge information era. Unlike in the past, economic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ge depends on the capacity of na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So, the creativity of individuals to respond quickly to the change and the role of private enterprises has become more important. Then, is the state-led industrialization a old paradigm? This paper aims to look whether the state-led industrialization policy is available in this time. For this purpose, I focused on the National Knowledge Information DB Project. National Information Agency is moving the direction of this project to build a secondary processing materials that can create economic value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the government of President Park Geun-hye proposed the Government 3.0 issues. The core of this policy is to promote the private advantage of the national informations by its’ opening and sharing. Secondary processing of content for economic values belongs to the private sector. In conclusion, National Knowledge Information DB Project was a state-led digital social overhead capital or basic contents accumulation strategy and is still valid in the information era.

      • KCI등재

        전거중심 인물정보 사전 편찬 방안 연구

        양창진 ( Yang Chang-ji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 民族文化硏究 Vol.75 No.-

        역사 연구에서 인물정보는 핵심적인 연구 자료이자 연구 대상이 된다. 따라서 인물정보의 정확성은 연구의 정확성을 담보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특히 인물정보들이 정제되고 응축되어 있는 인물사전(人物事典)은 지식의 표준과 같아서 정확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소가 된다. 하지만 주변에 출판되거나 온라인에 유통되는 사전의 내용을 보면 인물정보가 실려 있을 뿐, 내용의 정확성을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 특히 우리나라 같이 인물정보에 민감한 사회에서는 객관적 자료에 근거한 학술적 정확성이 인물사전 편찬에서 가장 중요시된다. 그런데 인물정보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정보의 출처가 정밀하게 정리된 것이 없기 때문에, 잘못된 정보가 사전에 한 번 기록되면 수정되기 힘들고 당연하게 받아들여져서 계속 재생산 되는 경우가 많다. 인터넷을 통해 빛의 속도로 정보가 유통되는 오늘날에는 잘못된 정보도 빛처럼 빠른 속도로 재생산되고 유통되어 정보의 혼란은 더욱 가중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혼란을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 인물정보를 구성하는 자, 호, 시호, 생몰년 등 주요 인물 식별 요소[메타데이터]의 내용을 사료에서 추출하고 해당 출처 전거와 함께 사전 형식으로 정리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보았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안은 서적형 사전 편찬을 전제로 한 것이며, 물리적 제약을 받지 않는 온라인 사전에도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study of history, figures information is a key research material and subject to research. Therefore, the accuracy of the historical figures information is the most fundamental element that guarantees the quality of the study. In particular, accurac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at the figures cyclopedia, in which information is refined and condensed, is regarded as a standard of knowledge. However, there are a lot of figures information in cyclopedia that are published or circulated around, but it is not easy to judge the accuracy of contents. Especially in countries where there are many people who are sensitive to figures information like Korea, the accuracy based on objective data is a goal that must be continuously pursued. In the meantime, the sources of figures information were rarely systematically organized. Therefore, if the wrong information is recorded once, it is difficult to be corrected and taken for granted. In the present day information is distributed at the speed of light through the Internet, erroneous information can be reproduced and circulated at high speed, causing confusion. In order to reduce these problems, I proposed a method of sorting the source information of the figures information into the authority centered cyclopedia form.

      • KCI우수등재

        설계용 스펙트럼에 적합한 인공지진동의 에너지 응답특성의 평가

        전대한,양창진,Jun, Dae-Han,Yang, Chang-Jin 대한건축학회 201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8 No.5

        It has long been recognized that energy input, absorption, and dissipation in seismic resistant design of structures are the most fundamental quantities controlling seismic performance. While the input energy($E_I$) is a reliable parameter for selecting the most demanding earthquake ground motion, it alone is not sufficient for proper seismic design of the structure. The importance of reliable estimation of the input energy of possible earthquake ground motions at the site of structure in order to select the proper design earthquake motion is emphasized. 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 of input energy concepts between the real recorded ground motion and the artificial ground motion in seismic resistant design of building structures. For long-period contents dominant earthquake ground motion, the input energy spectra are sensitive to the variation of the natural period of structures. It is concluded that the input energy quantities by the artificial ground motions used in this paper presented better stability than those by real recorded ground motions. Also, the artificial ground motions compatible with design spectrum are applicable as input ground motions for a seismic response analysis of building structures.

      • KCI등재

        설계용 스펙트럼에 적합한 인공지진동의 에너지 응답특성의 평가

        전대한(Jun Dae-Han),양창진(Yang Chang-Jin) 대한건축학회 2012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28 No.5

        It has long been recognized that energy input, absorption, and dissipation in seismic resistant design of structures are the most fundamental quantities controlling seismic performance. While the input energy(EI) is a reliable parameter for selecting the most demanding earthquake ground motion, it alone is not sufficient for proper seismic design of the structure. The importance of reliable estimation of the input energy of possible earthquake ground motions at the site of structure in order to select the proper design earthquake motion is emphasized. 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 of input energy concepts between the real recorded ground motion and the artificial ground motion in seismic resistant design of building structures. For long-period contents dominant earthquake ground motion, the input energy spectra are sensitive to the variation of the natural period of structures. It is concluded that the input energy quantities by the artificial ground motions used in this paper presented better stability than those by real recorded ground motions. Also, the artificial ground motions compatible with design spectrum are applicable as input ground motions for a seismic response analysis of building struc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