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세어 ‘지-’ 구성의 현대어 수용 양상에 대해

        양지현(Yang, Ji-hyeon),황병순(Byung-sun Hwang) 언어과학회 2016 언어과학연구 Vol.0 No.79

        ‘JI-’ having a meaning of desire, was used in the composition of ‘V JI-’, ‘V EOJI-’, ‘V GOJI-’ in the medieval language, ‘-JYEO’ in ‘V JYEO’, which is a component of ‘V JI-’, was transformed to ‘-JA’ in the contemporary language. ‘V JYEO HA’, an extensive form of ‘V JI-’, was abbreviated with ‘HA’ and integrated with ending behind ‘HA’, which formed ‘-JAMYEON’, ‘-JANI’ and ‘-JAGO’ in the contemporary languages. ‘V EOJI-’ disappeared. ‘v GOJI-’ is generally used as an extension. Among extension forms, ‘V GOJEO HAYA’ in ‘V GOJEO HA’ composition was abbreviated with ‘HA’ and transformed to ‘-GOJA’ in the contemporary language. ‘V GOJYEO SIB-’ composition was abbreviated to ‘-GO SIP-’ in the contemporary language and is also used as ‘-GOP’ with the more abbreviated form. This component is used as dialect in some areas in the form of ‘-GOJEOB/GOJEOP-’.

      • KCI등재

        ‘-(으) ㄹ까 하-/싶-/보-’에 대해서

        양지현 ( Yang Ji-hyeon ) 배달말학회 2018 배달말 Vol.62 No.-

        이 글은 ‘-(으)ㄹ까 하-/싶-/보-’ 구성에서, ‘-(으)ㄹ까’에 어울린 ‘하-’, ‘싶-’, ‘보-’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문장에서 통용해서 쓸 수 있는 경우는 언제인지 등에 관심 갖고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의문종결형 ‘-(으)ㄹ까’ 뒤에 쓰인 ‘하-’, ‘싶-’, ‘보-’가 각각 어떤 용언인지 살피고 ‘-(으)ㄹ까 하-/싶-/보-’ 구성은 어떤 통사적 특성을 지니는지 살폈다. 그 뒤 ‘하-’, ‘싶-’, ‘보-’가 이 구성에서 언제 통용이 가능한지를 살펴보았다. ‘하-’는 어휘적 의미가 비었거나 아주 약한 ‘하-’이며, ‘-(으)ㄹ까’에 의한 추측이나 의지·의도의 의미를 드러내는 앞말을 그대로 수용할 뿐이다. ‘싶-’는 앞말을 수용하면서 앞말에다 화자의 기대나 바람, 걱정, 두려움 등과 같은 내면을 싣는다. ‘보-’는 감각동사로, 앞말이 순간적이고 즉흥적인 인식에 의한 것임을 보인다. 추측표현으로 쓰인 ‘-(으)ㄹ까 보-’에는 걱정, 불안과 같은 화자의 내면이 담겨 있다. ‘-(으)ㄹ까 하-/싶-/보-’ 구성은 ‘하-’, ‘싶-’, ‘보-’의 차이로 인해, 그 쓰임이 동일하지 않다. 문맥에서 통용되어 쓰이는 곳도 제한되어 있다. 먼저 의미적 측면에서 보면, 추측을 나타내는 문장에서는 그 추측에 걱정이나 두려움이 담겨 있는 경우에만 통용이 가능하다. 의지·의도를 나타내는 문장에서는 마주보고 있는 상대를 향한 의지·의도 표현이 아닌 경우라야 통용해서 쓸 수 있다. 다음, 통사적 측면이다. 추측의 의미를 지닌 문장에서는 ‘-(으)ㄹ까 해(서)/ 싶(어)/ 봐(서)’와 같은 구성으로 두 문장의 사이에서, 의지·의도의 의미를 지닌 문장에서는 ‘-(으)ㄹ까 해(요)/ 싶어(요)/ 봐(요)’와 같은 구성으로 문장의 끝에서 통용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s of “ha-”, “sip-”, and “bo-” that are matched with “-(eu)lkka” in the sentence construction of “-(eu)lkka ha-/sip-/bo-”, and the occasions that allow their common use in sentences. To this end, the respective meanings of the predicates “ha-”, “sip-”, and bo-”, which are used behind the interrogative final ending “-(eu)lkka”, and the respective syntact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ntence construction of -(eu)lkka ha-/sip-/bo-” were examined. In addition, specific occasions that allow the common use of “ha-”, “sip-”, and bo-” in this structure were identified. “ha-” has a very weak lexical meaning, and thus literally accepts and reflects the preceding words to which “-(eu)lkka” provides the meaning of a conjecture, will, or intention. “sip-” adds the speaker’s inner feelings such as anticipation, hope, concern, and fear to the preceding words while accepting and reflecting them. As a sensory verb, “bo-” shows that the preceding words are from instantaneous and spontaneous recognition. “-(eu)lkka bo-”, which is used as a conjectural expression, contains the speaker’s inner feelings such as concern and anxiety. The common use of the sentence construction of “-(eu)lkka ha-/sip-/bo-” is limited to certain contexts due to differences in the use of “ha-”, “sip-”, and “bo-”. First, the lexical meanings of its preceding words make a difference. The construction can be commonly used if sentences with a conjectural meaning contain a feeling of concern or fear. Second, if sentences that show a person’s will or intention do not express the will or intention toward a counterpart that the person faces, the construction can be commonly used. Finally, a syntactic aspect should be considered. In a sentence with a conjectural meaning, the construction can be commonly used between its two parts in the form of “-(eu)lkka hae(seo)/sipeo(seo)/bwa(seo)”. In a sentence that shows one’s will or intention, the construction can be commonly used at the end of the sentence in the form of “-(eu)lkka hae(yo)/sipeo(yo)/bwa(yo)”.

      • KCI등재

        국어학 : 의도표현에 대하여 “-려 하(다)”, “-려고(요)”, “-려고 하(다)”를 중심으로

        양지현 ( Ji Hyeon Yang ) 배달말학회 2013 배달말 Vol.52 No.-

        이 글은 ``-려 하(다)``와 ``-려고 하(다)``, 문말에 나타나는 ``-려고(요)``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의도를 나타내는 ``-려고’가 처음부터 쪼갤 수 없는 기본 형태인지, ``-려 하(다)’는 ``-려고 하(다)``의 ``-고``가 수의적으로 탈락될 뿐, ``-려고 하(다)’와 ``-려 하(다)’는 동일한 것인지 등에 대해서 그 형성과정을 통해 해답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논의가 접속어미로서의 ``-려고``에 집중되어 있거나 다른 의도 표현과의 관계 속에서만 살피고 있을 뿐, ``-려 하(다)``나 ``-려고 하(다)``, 문말에 나타나는 ``-려고(요)’에 대해서는 크게 관심을 두지 않고 있으므로, 각각의 의미적·통사적 특성에 대해서도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려 하(다)’는 중세에서부터 쓰였다. ``- 려 ㅎ(다)’는 선행용언에 [+내면성]을 부여하는 ``-리-``가 결합한 ``-리어 ㅎ(다)’이다.``- 려 하(다)’는 어떤 행위를 드러내기 위한 표현이라기보다는 행위주의 ‘의도’나 화자의 ‘추측’과 같은 [+내면성]을 나타내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진 표현이다. 그러나 행위주가 일인칭이 아닌 경우, 행위주의 ‘직접적인 행동’을 표현할 때도 쓰인다. 이런 ``-려 하(다)’는 첫째, 행위에 대한 행위주의 인칭 등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한 행위주가 무정명사인 경우에도 표현 가능하다. 둘째, 부정 표현에서 행위주의 의도를 드러낼 때는 의지부정인 ‘안’ 부정문만 가능하다. 셋째, ``-려 하(다)``는 행위주가 무정명사일 경우, 부정표현을 쓸 수 없다. ``-려고(요)``의 ``-려고``는 ``-려 ㅎ고’로 쓰던 말에서 ‘ㅎ-’가 줄어들어 ``-려고’가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두 어구가 줄어들 때는 둘째 구의 어간 ‘하-’가 생략된 것이다. ``-려고’의 첫 등장은 접속어미로서이다. 접속어미 ``-려고’는 문법화 과정을 거쳐 문말에 ``-려고(요)’로 실현된다. ``-려고(요)’는 행위주의 ‘행위’는 드러내지 않고, 오로지 ‘의도·의향``만을 드러내는 표현이다. ``-려고(요)’는 담화 참가자, 즉 화자와 청자가 행위주인 경우만 실현 가능한 표현으로, 행위주가 삼인칭일 때는 비문이 된다. ``-려고(요)``가 ‘의도·의향``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부정표현에서 의지 부정인 ‘안’ 부정만 가능한 것이다. ``-려고 하(다)``는 접속어미 ``-려고’로 연결된 복문의 후행절이 ‘하(다)’로 대체되었다고 볼 수 있다. ``-려고 하(다)’는 ``- 려 ㅎ고 하(다)`` 구성이므로, ``-려 하(다)’ 나 담화 상 표현인 ``-려고(요)`` 보다 ‘하(다)’가 한 번 더 쓰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려고 하다)’는 행위주의 의도를 드러낼 뿐만 아니라 의도를 수행하기 위한 어떠한 직접적·간접적 행위가 있음을 나타낸다. 통사적 측면에서 ``-려고 하(다)’는 ``-려 하(다)’와는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 행위주의 인칭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점, 행위주가 무정명사인 경우에도 표현이 가능하다는 점, 부정 표현에서 행위주의 의도를 드러낼 때 ‘안’ 부정문만 가능하다는 점 등은 ``-려 하(다)’와 동일하다. 다만, 행위주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묻는 표현에서는 외적인 동작성이 드러나는 ``-려고 하(다)’보다는 ``-려고(요)’나 ``-려 하(다)’가 더 자연스럽다. Wording ``-ryeo`` is often used in modem Korean language when one intends to express one`s ``intention``. This writing is a study on formation process and meaning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ryeo ha(da)`` and ``-ryeogo ha(da)`` as well as ``-ryeogo(yo)`` which appears at the end of sentence. First of all, -ryeo ha(da)`` has been used since the middle age. Wording ``-ryeo ha(da)`` is ``-rieo ha(da)`` combined with ``-ri-`` which renders [+intemality] to preceding predicate. ``-ryeo ha(da)`` is an expression focusing on [+intemalityi such as ``intention`` of a doer or ``a guess`` of a speaker rather than an expression revealing a certain behavior. However, it sometimes is used to express ``direct behavior`` of a doer even if a doer is not the first person. First, such ``-ryeo ha(da)`` is not restricted by the person of doer with respect to behavior. In addition, such an expression is possible even in case a doer is inhuman noun. Second, ``an`` negative statement is only possible when intention of a doer is to be shown in a negative expression. Third, ``-ryeo ha(da)`` cannot be used in a negative expression if a doer is a inhuman noun. ‘-ryeogo`` of ``-ryeogo(yo)`` is deemed that ``ha-`` diminished from ``-ryeo hago``, which resulted in ``-ryeogo``. The stem ``ha-`` in the second phrase is omitted when two phrases diminish. ``-ryeogo`` first appeared as conjunctional ending. The conjunctional ending ‘-ryeogo`` is realized as ``-ryeogo(yo)`` at the end of a sentence through grammaticalization process. ``-ryeogo(yo)`` is an expression to expose only ``intention·intent`` instead of showing ``behaviour`` of a doer. ``-ryeogo(yo)`` is an expression which can be realized only when a speaker and a listener, i.e. conversation participants, are doers; if a doer is the third person, it will be an ill-formed sentence. ``-ryeogo(yo)`` has a meaning of ``intention intent`` so that ``an`` negative statement is only possible in a negative expression. ‘-ryeogo ha(da)`` can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clause in a complex sentence connected with ``-ryeogo`` is replaced by ``ha(da)``. ``-ryeogo ha(da)`` is a composition of ``-ryeo hago ha(da)`` and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ha(da)`` is used once more than ``-ryeogo ha(da)`` or ``-ryeogo(yo)`` of conversational expression. ``-ryeogo ha(da)`` reveals not only intention of a doer but also existence of a certain direct indirect behavior to conduct intention. From the syntactic viewpoint, ``-ryeogo ha(da)`` has not a big difference from ``-ryeo ha(da)``. It is same as ``-ryeo ha(da)`` in following aspect; it has no restriction from the person of a doer; its expression is possible even in case a doer is an inhuman noun; and, ``an`` negative statement is only possible to expose intention of a doer in a negative expression. However, in an expression to directly ask intention of a doer, ``-ryeogo(yo)`` or ``-ryeo ha(da)`` is more natural than ``-ryeogo ha(da)`` which reveals external motional nature.

      • KCI등재

        접속어미 ‘-다고’에 대하여

        양지현(Yang Ji-Hyeon) 우리말학회 2021 우리말연구 Vol.67 No.-

        이 글은 간접인용구문을 이끌었으나 현재 문법화를 거쳐 접속어미가 된 ‘-다고’에 대한 것이다. 간접인용구문이 아닌 문장에서 ‘-다고’는 두 문장을 접속하는 쓰임을 보인다. 그런데 ‘-다고’가 쓰인 문장 중에는 후행절을 접속하기는 하나 접속어미라고 하기에 무리가 있는 ‘-다고’도 있다. 이에 접속어미 ‘-다고’를 변별해 보고, 접속어미로서 ‘-다고’의 의미적, 통사적 특성을 중점적으로 살피고자 한다. 더불어 ‘-다고’와 유사한 의미를 지닌 접속어미와 비교해 봄으로써 서로 간 쓰임의 유사점과 차이점도 알아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is about -dago which led the indirect quotation sentence but became the conjuctive ending through grammaticalization. However, among the sentences with -dago , there is -dago , which is difficult to say it is conjunctive ending, although it connects the following clau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riminate the conjunctive ending ‘-dago’, and to focus on the semant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dago’ as the conjuctive ending. In addition, by comparing “-dago” with the conjunctive endings that have a similar meaning, the similarity and differentiation of their usage will be investigated.

      • KCI등재

        Radiometric Calibration Method with Compensation of Nonlinearity of Detector for Hyper-Spectral Camera

        Ji-Hyeon Yang(양지현),Byung-In Choi(최병인),Hee Duk Park(박희득),Sohyun Kim(김소현),Yong Chan Park(박용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2 No.10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radiometric calibration method which can effectively compensate the nonlinearity of the detector for hyper-spectral camera. In general, the detector of hyper-spectral camera can produce nonlinear output depending on radiance and integral time. The conventional radiometric calibration methods extract the imprecise radiance profile from the spectral profile of the target due to this nonlinearity. In our proposed method, we use a quadratic equation instead of a linear equation to describe the relation between output of detector and radiance. Then, we use a fractional function to compensate variation of integration time. Thus, our proposed method can extract more precise spectral profile of radiance than conventional radiometric calibration method.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 목적지 선택 행태 분석: 선택 영향 요인을 중심으로

        양지현 ( Ji Hyun Yang ),조창현 ( Chang Hyeon Joh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6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9 No.1

        목적지 선택 행태 분석은 교통 수요 연구의 중요한 주제이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교통 수요 연구와 달리 일반인과 다른 인구집단적 특성을 갖고 있는 대학생들의 통학 등의 쇼핑, 여가, 오락 활동을 위한 통행의 목적지 선택에 대한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대학생들의 일상은 취업자나 중고등학생보다 상대적으로 자율적이나 수업 등의 의무 활동이 혼재되어 있다. 쇼핑, 여가, 오락 활동은 업무나 학업 등의 활동과 달리 그 실행의 구체적인 내용의 선택이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본 연구는 다항로짓 분석을 통해 대학생들의 거주지 주변, 학교 주변, 강북 지역, 강남 지역 등의 통행 목적지 선택에 대한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들 활동들의 목적지 선택에는 거주지와 성별, 소득 등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대학생에 특징적인 다양한 해석이 도출되었다. 일반인과 다른 특성의 대규모 인구집단인 대학생의 통행 특성 연구는 교통계획에 시사점을 준다. Destination choice analysis is an important issue of transportation demand research. The current study analyses the influential factors for university students` trip destination choice. The university students differ from other population groups in many aspects. The study is concerned with shopping, leisure and amusement purposes of trips, other than obligatory trips such as going to school. University students` daily life differs from those of employees a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sense that a lot of flexible activities are mixed with fixed activities such as work and school attending. A multinomial logit analysis investigates the significance of the impact of a set of variables including residential location, gender and income of the university student. The results show that these variables affect the destination choice of shopping, leisure and amusement. The analysis also provides interesting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with the location choices, which are particularly relevant to the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확장된 페트리네트를 이용한 차량형 군사로봇의 운용자 성능 및 통신장애 영향분석

        최상영(Sang Yeong Choi),양지현(Ji Hyeon Yang) (사)한국CDE학회 2017 한국CDE학회 논문집 Vol.22 No.2

        Unmanned military vehicles (UMVs) are most commonly characterized as dealing with dull, dirty, and dangerous tasks with automation. Although most of the UMVs are designed to a high degree of autonomy, the human operator will still intervene in the robot’s operation, and teleoperate them to achieve his or her mission. Thus, operator capacity, together with robot autonomy and user interfa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sign factors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UMVs. Further, communication may affect the operator task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operator performance and the communication effects on the operator performance by using the extended Petri nets, called OTSim nets. The OTSim nets was designed by the authors, being extended using pure Petri n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