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가사리 추출물의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살충활성

        자영 ( Ja Yeong Jang ),이솔 ( Sol Yi ),정이영 ( Iee Young Jung ),최은현 ( Eun Hyun Choi ),조욱희 ( Uk Hee Jo ),시영 ( Jung Mi Seo ),서정미 ( Si Young Yang ),김인선 ( In Seon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1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0 No.2

        BACKGROUND: Starfish is one of major sea invertebrates that have become a serious economic threat to aquacultural farms in Korea. Much effort has sacrificed to reduce the economic losses of the farms by predatory starfish, including developing and searching biological resources for medicinal and agricultural purpos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aphicidal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the starfish Asterina pectinifera against green peach aphid. METHODS AND RESULTS: Fresh starfishes were cut into small pieces, homogenized and soaked in methanol. The methanol extracts were centrifuged and the resulting supernatant was subjected to aphicidal activity assays and a series of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More than 70% mortality of aphids were observed by the extracts at a concentration of 1,000 mg/L, exhibiting dose-dependent mortality. TOF-MS analyses detected polyhydroxysteroid as a main aphicidal compound from the starfish extracts. Transmission electronic microscopy could demonstrate that the extracts with polyhydroxysteroid caused aphids death by affecting their epicuticular membrane. CONCLUSION(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phicidal activity of the starfish Asterina pectinifera extracts against green peach aphid. Starfish biological resources may be used as a potential candidate for developing a new type natural insecticide.

      • 시각 장애인을 위한 경로 안내 서비스 개발

        심다슬(Da-Seul Sim),양자영(Ja-Young Yang),장진욱(Jin-Wook Jang) 대한전자공학회 2018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6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the route guidance ser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This application provides real-time voice guidance of the walking path of the visually impaired and guides to a safe and accurate walking path. In addition to walking navigation development, we propose a new method and algorithm for street name sign recognition in route guidance

      • KCI등재SCOPUS

        보리 도정이 Fusarium 곰팡이독소 저감에 미치는 효과

        백슬기,이미정,나주영,임수빈,최정혜,최장남,자영,정욱,이데레사,Seul Gi Baek,Mi-Jeong Lee,Ju-Young Nah,Soo Bin Yim,Jung-Hye Choi,Jang Nam Choi,Ja Yeong Jang,Jung-Wook Yang,Theresa Lee 한국식물병리학회 2023 식물병연구 Vol.29 No.4

        곡류의 도정은 곰팡이독소의 분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보리에서의 도정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트리코테씬과 제랄레논 독소에 오염된 겉보리 7점과 쌀보리 4점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도정 비율에 따라 도정하였다. 두 종류의 보리는 데옥시니발레놀과 아세틸 유도체(98.1-2,197.8 ㎍/kg), 니발레놀과 아세틸 유도체(468.5-3,965.1 ㎍/kg), 제랄레논(4.1-274.2 ㎍/kg) 등에 동시에 오염되어 있었다. 겉보리를 67%로 도정한 결과 데옥시니발레놀은 90.9%, 니발레놀은 87.7%, 제랄레논은 93.2%가 각각 감소하였다. 70%로 도정한 쌀보리의 경우는 데옥시니발레놀 88.6%, 니발레놀 80.2%, 제랄레논 70.1%이 각각 감소하였다. 두 보리 모두 데옥시니발레놀과 니발레놀의 아세틸 유도체는 100% 감소하였다. 그러나 보리겨는 도정 전 보리에 비해 곰팡이독소가 크게 증가하였다. 겉보리의 겨에서는 데옥시니발레놀, 니발레놀, 제랄레논이 각각 평균 357%, 252%, 169% 증가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쌀보리의 겨에서는 데옥시니발레놀, 니발레놀, 제랄레논이 각각 337%, 239%, 554%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보리 낟알의 외피에 존재하는 곰팡이독소가 도정 과정을 통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도정을 통해 곰팡이독소가 낟알에서 겨로 집적됨에 따라 보리겨를 인축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독소의 오염 수준을 확인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Milling can affect the distribution of mycotoxins in small grain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barley, seven hulled barley and three naked barley samples naturally contaminated with trichothecenes and zearalenone were obtained and milled at commonly used rates. Both barleys were simultaneously contaminated with deoxynivalenol and its acetyl derivatives (98.1-2,197.8 ㎍/kg), nivalenol and its acetyl derivative (468.5-3,965.1 ㎍/kg), and zearalenone (4.1-274.2 ㎍/kg). Milling hulled barleys at a rate of 67% reduced the mycotoxins in the grain by 90.9% for deoxynivalenol, 87.7% for nivalenol, and 93.2% for zearalenone. The reduction in naked barleys (milled at a rate of 70%) was slightly lower than in hulled barleys, with 88.6% for deoxynivalenol, 80.2% for nivalenol, and 70.1% for zearalenone. In both barleys, the acetyl derivatives of deoxynivalenol and nivalenol were reduced by 100%. However, barley bran had significantly higher mycotoxin concentrations than the pre-milled grains: bran from hulled barley had a 357% increase in deoxynivalenol, 252% increase in nivalenol, and 169% increase in zearalenone. Similarly, bran from naked barley had a 337% increase in deoxynivalenol, 239% increase in nivalenol, and 554% increase in zearalenone. These results show that mycotoxins present in the outer layers of barley grain can be effectively removed through the milling process. As milling redistributes mycotoxins from the grain into the bran, however, it shows that advance monitoring of barley bran is recommended when using barley bran for human or animal consumption.

      •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한 양돈용 유산균의 선발

        자영,시용,송민동 建國大學校 自然科學硏究所 2002 建國自然科學硏究誌 Vol.13 No.1

        본 연구는 가축의 장내에서 유익한 영향을 주는 유산균을 돼지의 분변으로부터 분리하고 내산성과 내담즙성이 뛰어난 균을 선별하여 유산균 생균체를 준비하고자 실시하였다. 분변에 섞여 있는 다른 균들과 산이나 담즙액에 약한 균들은 처음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pH를 2.0으로 맞춘 MRS broth에 배양시키고 oxgall이 첨가된 배지에 도말하여 40개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BCP배지를 이용해서 유산의 생성여부를 확인하고, O.D값과 pH를 측정하였으며, 그람염색과 형태관찰을 통하여 33개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중에서 산에 대한 내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12개의 균주를 분리해냈고, 12개의 균주의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3회에 걸쳐 시험하고 내산성과 내담즙성이 우수한 3개의 균주를 선별하였다. 마지막으로 담즙산 농도별 시험을 행함으로써 가축의 장까지 살아서 도달하기 위해 꼭 갖추어야 할 조건인 내산성과 내담즙성이 가장 좋은 #32-1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유산균이 생균제로서의 기능을 수해하려면 oxgall이 0.3% 함유된 배지에서 성장할 수 있을 정도의 내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보고가 있는데 #32-1 균주의 경우 담즙액의 농도가 3%인 배양액에서도 높은 생존률을 보임으로써 생균제로서 사용하기위해 갖고 있어야 할 담즙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다고 판단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creen lactic acid bacteria for the direct-fed-microbials. A lactic acid bacteria which has resistant to acid and bile salts were isolated from swine feces. Among the previously obtained acid tolerant strains, three of them show resistant to artifical gastric juice and bile. Finally, 321- stain was selected for good growth an high survival rate. The finally selected 32-1 stain was identified as Lactobacillus salivarius. The strain, which named L. salivarius JY 32-1, was able to tolerate acid condition down to pH 2.5 and could also tolerate bile at 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