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폴 틸리히의 신론에 관한 연구

        양승민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틸리히의 신론을 공정하게 이해하고, 평가하는데 주된 목적 이 있다. 이에 본 저자는 폴 틸리히의 「조직신학」Ⅰ,Ⅱ(유장환 역)을 중 심으로 연구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다른 저서와 논문도 참고하였다. 본 논문은 틸리히의 신관을 알아보기에 앞서 Ⅱ장에서는 틸리히의 생 애를 살펴보겠다. 그의 생애와 사상의 형성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상 관방법 이해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신론 이해를 위해서 필요 로 하는 그의 상관방법을 고찰하도록 하겠다. 틸리히의 신학방법은 상관 방법이라 말 할 수 있다. 그는 철학과 신학, 종교와 문화 가운데 하나만 선택한 것이 아니라, 양편을 조정하고 중재한다. 참 신학은 “중재의 신 학”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해 틸리히의 상관관계의 방법은 인간의 실존적 상황 속에 내포되어 있는 “문제들” 내지 “질문들”을 찾아 내고, 기독교의 영원한 메시지에서 이 질문들에 대한 “대답”을 제시하는 방법을 말한다. 그런데 질문과 대답은 상관관계 속에 있다. 여기서 상관 관계란 “의존성과 독립성의 통일성”을 말한다. 다시 말해 질문과 대답은 분명히 서로 다르다. 그러므로 대답에서 질문을, 질문에서 대답을 이끌어 낼 수 없다. 이런 점에서 양자는 상대방에 대해 독립적이다. 이와 동시에 질문과 대답은 서로 의존하며 상관관계 속에 있다. 인간의 유한한 존재와 그것의 근거가 되는 하나님의 존재 자체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인간이 그의 유한한 존재로부터 제기하는 “질문”은 하나님의 존재로부터 주어지는 “대답”에 의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6) 이와 같이 틸리히는 상관의 방법, 즉 실존적 질문과 신학적 대답의 상호 의존의 관계를 통해 서 기독교 신앙의 내용을 말한다. 이같이 신학의 과제를 상황에 대해 대 답하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틸리히의 신학을 상황신학(situation theology)이라고 부른다. 틸리히는 이와같은 상관관계의 방법에 따라 그 의 신론을 전개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틸리히의 상관관계의 방법을 연구 하고자 한다. Ⅳ장에서는 ‘하나님’이란 말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그가 시도한 종교 현상학적 신 이해와 그의 기본적 신 관념인 ‘존재자체로서의 하나님 이해를 고찰하고 틸리히의 신론과 그에 대한 비판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끝으로 Ⅴ장 결론 부분에서는 연구 내용을 요약하고 틸리히의 신론 이 지니는 의의를 살펴보면서 연구자의 생각을 정리함으로써 본 논문을 마치고자 한다.

      • 퇴행성슬관절염 환자의 수중운동과 노르딕워킹운동 후 하지의 근활성도와 보행형태 및 통증변인 분석

        양승민 江陵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different 8-week exercise programs to three subject groups, i.e. aquatic exercise group, Nordic walking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and examine possible effects of gait motions on different variables working in degenerative gonitis cases, such as body composition, muscle activity, kinetic variables of gait pattern and pain variables, so that it can provide useful reference materials for improving lower limb muscle functions in preparation of rehabilitation programs for degenerative gonitis cases. This study analyzed potential variations in body composition as well as muscle activity, kinetic variables and pain variables of degenerative gonitis cases depending on gait motions. As a result, this study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In terms of body composition, it was found that all the three groups hereof showed lower weight, body mass index (BMI) and body fat mass (BFM) after 8-week exercise than before. Particularly, both aquatic exercise group and Nordic walking group tended to show more reductions in weight, BMI and BFM than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weight. Both aquatic exercise group and Nordic walking group showed increasing muscle mass (MM) of lower limbs (right and left side), but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ly decreasing MM of same region on a statistical basis. Thus, it is concluded that regular exercise contributes positively to improving body composition variables. 2) In terms of time-related variables, it was found that all the three groups hereof showed shorter phase duration after 8-week exercise than before. Notably, aquatic exercise group and Nordic walking group showed shorter total duration after 8-week exercise than before. On the contrary, control group showed shorter total duration before 8-week exercise than aft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groups in phase and total duration on a statistical basis. 3) In terms of kinetic variables, it was found that all the three groups hereof showed shorter step width, shorter step width/lower limb length, shorter step length, and shorter step length/lower limb length after 8- week exercise than befor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all on a statistical basis. 4) In terms of ankle joint motions, it was found that both aquatic exercise group and Nordic walking group showed higher ankle joint angle throughout all gait sections except RHC1 (for Nordic walking group) after 8-week exercise than before, whereas control group showed lower ankle joint angle throughout all gait sections after 8-week exercise than before,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HC section alone. 5) In terms of knee joint motions, it was found that both aquatic exercise group and Nordic walking group showed a little lower knee joint angle throughout all gait sections except LHC (for aquatic exercise group) after 8-week exercise than before, whereas control group showed a little higher knee joint angle throughout all gait sections after 8-week exercise than befor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gait sections on a statistical basis. 6) In terms of variables related to muscle activity, it was found that Nordic walking group showed highest muscle activity of both right femoral rectus muscle and right lateral vast muscle across three phases except left foot swing phase after exercise, which was followed by aquatic exercise group. But it was found that aquatic exercise group showed a little higher muscle activity of said regions only at left foot swing phase than Nordic walking group. Overal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cle activity of said regions among 3 groups on a statistical basis. It was found that Nordic walking group showed highest muscle activity of left femoral rectus muscle across 3 phases except right foot stance phase after exercise, which was followed by aquatic exercise group. But it was found that aquatic exercise group showed a little higher muscle activity only at right foot stance phase than Nordic walking group. Overal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cle activity of said region among 3 groups on a statistical basis. It was found that aquatic exercise group showed a little higher muscle activity of left lateral vast muscle at three phases except left foot swing phase than Nordic walking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But it was found that Nordic walking group showed a little higher muscle activity of said region only at left foot swing phase than aquatic exercise group. Overal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cle activity of said region among 3 groups on a statistical basis. 7) In terms of pain variables, it was found that aquatic exercise group showed highest alleviation of pain after exercise than before, which was followed by Nordic walking group. But it was found that control group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eviation of pain before and after exercise. Overal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eviation of pain among 3 groups on a statistical basis. Summing up, it is generally recommended for degenerative gonitis cases to take aquatic exercise as a part of rehabilitation exercise. However,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Nordic walking has positive effects nearly equivalent to aquatic exercise. Hence, it is advisable that degenerative gonitis cases take aquatic exercise for their rehabilitation at first, which is most effective in alleviation of knee pain, and then take Nordic walking for better muscle strength. If so, it is expected that a combination of these two exercises will have more effects on alleviation and improvement of degenerative gonitis cases.

      • 한국적 다문화상담의 모색을 위한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들의 스트레스 요인과 반응에 관한 연구

        양승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국 사회는 국내 체류 외국인 100만 명 시대를 맞이하면서 다민족?다문화사회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다. 특히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국제결혼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결혼이민여성들과 그 자녀들의 수도 크게 늘고 있다. 결혼이민여성들의 적응과 장기적인 정착을 돕기 위한 지원방안과 상담적 개입은 이들의 경험에 대한 실증적인 이해로부터 출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들이 어떠한 적응과정을 경험하는지 경험의 본질을 파악하고 다문화가정에서의 상호작용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적 다문화상담의 내용과 형식을 모색하기 위해서 진행되었다.이러한 연구 목적에 근거하여 ‘결혼이민여성이 결혼생활에서 경험하는 도전과 갈등은 무엇이며 어떻게 적응해 나가는가?’를 연구문제로 삼았으며, 구체적인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민여성이 국제결혼을 선택하게 된 동기와 기대는 무엇인가? 둘째, 결혼이민여성이 지각하는 적응과정에서의 스트레스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적응과정에서의 스트레스에 결혼이민여성은 어떻게 반응하는가? 넷째, 적응과정에서 배우자와 가족들은 어떻게 반응하는가? 다섯째, 적응경험에 따른 결혼이민여성의 적응전략은 무엇인가?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농촌지역의 결혼이민여성 3명과 배우자, 가족들, 총 10명을 참여자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심층면접과 집단면접, 경험에 관한 글쓰기 등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결혼이민여성들의 적응과정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공통 주제영역에 따라 사례별 분석으로 제시하여 사례들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다문화가정의 부부가 국제결혼을 선택하게 된 동기는 경제적인 필요성 이외에도 개인적인 경험 및 다양한 욕구와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고, 현실적인 타협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둘째, 결혼이민여성이 지각하는 적응상의 문제들은 가정과 사회에서 자신의 만족스러운 정체감과 위치를 구축하는 과정에서의 어려움들로, 관계설정에서의 스트레스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주로 관계설정 및 유지의 어려움으로 나타나는 적응과정의 문제에 대한 결혼이민여성들의 반응은 저항하는 경우, 수용하는 경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는 경우 등으로 차이가 있었다.넷째, 결혼이민여성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한 가족들의 반응은 대체적으로 미온적이거나 소극적인 형태였으며, 적응을 아내가 감당해야할 몫으로 보는 경향이 있었다. 남편들의 반응과 지원 정도는 각기 달랐지만, 아내가 경험하는 개인 내적, 대인관계적, 환경적 어려움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해하지는 못하고 있었다.다섯째, 결혼이민여성들의 적응과정에서 남편 및 주변 사람들의 정서적 지지, 자녀교육에의 의지, 사회적 영역을 넓혀가고자 하는 욕구와 시도, 개인 내적자원은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가족들의 방임적인 태도와 위계적인 가족구조에서의 불합리한 관계 및 부당한 대우 등 관계문제, 상호경험의 확대라는 인식의 부재, 아내 혹은 엄마로서 안정적인 위치와 역할을 유지할 수 없을지 모른다는 불안, 결혼이민여성에 대한 부정적인 사전 정보, 가정에서의 제한적인 역할과 자유 재량권 부족은 적응과정을 위협하는 요인에 해당되었다.결혼이민여성들은 내부적인 판단과 결정에 입각하여 결혼이민을 선택한 주체적인 존재로 볼 수 있으며, 우호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저마다 자신의 위치를 구축하거나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었다. 결혼이민여성과 가족 구성원들의 어려움을 예방하고 상호적인 문화적응을 돕기 위해서 이들의 현실을 고려한 한국적 다문화상담이 필요하다. 참여자인 결혼이민여성들의 사례를 통해 명료하게 확인된 한국적 다문화상담에서의 상담자의 태도와 역할, 상담의 목표, 내용과 형식, 학계 차원의 관심, 다문화상담 연구 및 상담자 양성과 훈련에 대해 논의하였다.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민여성들의 적응과정 모델이나 이론형성을 위한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균형 잡힌 시각과 윤리성을 바탕으로, 다수의 연구 참여자 확보와 다양한 연구 설계를 통한 양적, 질적 확대가 필요하며, 종단 연구가 바람직하다. 결혼이민여성들의 적응을 위한 지원 사업 및 정책의 목표, 내용과 관련하여,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일방적으로 학습시키던 기존의 방침에서 벗어나 이들의 문화적 독특성을 인정하는 가운데 다문화정체성 공존을 목표로 할 것을 제언하였다. 결혼이민여성, 다문화가정의 구성원,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포용적인 다문화교육은 물론 결혼이민여성들의 자조모임 구성과 운영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정책적 배려가 시급하다.결혼이민여성들이 적응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의 심층에는 이질적인 것에 대해 배타적이고 이문화를 배척하는 우리 문화, 특별히 가족과 혈연 중심인 보수적인 농촌문화의 토착적 특성이 반영되어 있었다. 이 연구는 서구문화 중심의 상담이론 및 접근과는 달리, 우리 문화가 현실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현장 중심으로 탐색한 귀납적 연구이며, 이를 바탕으로 상담연구 및 실제에서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을 입증했다는 데 가장 큰 의의가 있다.

      • Synthesis and fabrication of binder-free electrodes for oxygen evolution reaction

        양승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energy conversion processes such as hydrogen and oxygen evolution reactions, the majority of the electro-catalysts developed were initially spread on a glass carbon (GC) electrode surface before being covered with a binder like Nafion or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to immobilize it. Such a polymer binder would, however, raise the series resistance, may obstruct active sites, and could prevent diffusion, which would limit catalytic activity. Numerous approaches can be used to overcome such issues, including hydrothermal procedure or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which allows the active phases to grow directly on conductive substrates. Both the CVD and the hydrothermal processes were successful in depositing material; however, the utilization of high temperatures and extensive chemical treatments severely restricts their usefulness in real-world settings. Here, in this work different cost-effective, scalable, and binder-free synthesis routes of electrodes applicable for HER and OER are discussed. Moreover, from stainless steel, a binder-free electrode is fabricated and evaluated for OER electrochemical performance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binderless substrates for clean energy generation. Inherent active species are fully revealed in the form of Ni/FeOOH nanocrystallites showing competent water oxidation displaying low overpotential (η500) of 287 mV @ 500 mA cm-2 in 1 M KOH by surface corrosion of SSW. Also, electrodeposition was used to fabricate the OER electrode with CoSe-CoP.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was equally assessed and showed 240 mV @ 10 mA cm-2 in 1 M KOH. This work will highlight a completely new way to synthesize and fabricate a current collector for water splitting. 수소 발생 반응(HER) 및 산소 발생 반응(OER)과 같은 에너지 전환 과정에는 반드시 전기화학적 촉매가 필요하다. 개발된 대부분의 전기화학적 촉매를 전극에 고정시키기 위해 Nafion,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같은 바인더를 사용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고분자 바인더는 직렬 저항을 증가시키고 활성 사이트에서 전기 화학적 반응을 방해하며 고분자적 특성으로 확산을 방해해 촉매 활성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수열합성법, CVD(화학적 기상 증착법)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접근법을 사용하여 활성 사이트가 전도성 기판에 직접 성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수열합성법과 CVD 등은 모두 훌륭한 증착법이나, 고온의 열처리 과정과 광범위한 화학적 처리 활용 면에서 유용하지 않은 방법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ER 및 OER 반응에 적용 가능한 전극을 제작하는 데에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는 비용 효율적이고 넓은 범위에서 사용 가능한 다른 합성 방법 두 가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스테인리스 스틸의 부식을 이용해 니켈/철 산화물 나노입자 활성 표면을 만들고 OER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는 1 M KOH에서 287 mV @ 500 mA cm-2의 낮은 과전압을 보이며 좋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전기증착법을 이용하여 코발트 셀레나이드 촉매를 스테인리스 스틸에 증착한 전극도 제작하여 같은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해당 전극은 1 M KOH에서 240 mV @ 10 mA cm-2 의 과전압을 나타내며 역시 좋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 대용량 RFID 데이터 처리를 위한 부하 분산 모델

        양승민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ctive RFID system needs to process large tag data efficiently in a short time. Traditional active RFID systems use network models such as synchronous / asynchronous, multithreaded, thread pool, and IO multiplexing. However, existing models have packet delay problems due to sequential connection wait and data reception. In this study, I implemented a multi-channel multithread model to solve the packet delay problem.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the execution time using the implemented system, as the number of reader increases, even if you send a bundle of tag data in bulk I confirmed that the execution time was shorter than the existing model. 능동형 RFID 시스템은 대용량 태그 데이터를 빠른 시간에 효율적으로 처리 할 필요가 있다. 기존 능동형 RFID 시스템은 동기/비동기, 멀티스레드, 스레드풀, IO 멀티플렉싱과 같은 네트워크 모델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기존 모델은 연결 대기, 데이터 수신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패킷 딜레이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패킷 딜레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멀티채널 멀티스레드 모델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을 이용해 수행시간을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고, Reader의 대수가 증가하고, 대량에 태그 정보 묶음을 전송할 경우에도 기존 모델보다 수행시간이 단축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 상호작용 양식과 진로결정효능감간의 관계

        양승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만족스러운 진로의 선택은 삶의 주요 발달과업 중 하나로,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을 앞두고 있는 대학생들에게는 중요한 당면문제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 상호작용 양식과 진로결정효능감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진로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과제 수행에서의 확신감이나 자신감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가족기능 변인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가 선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 상호작용 양식과 진로결정효능감간에 상관관계가 존재하는가, 상관관계가 있다면 가족 상호작용 가운데 어떤 하위변인이 진로결정효능감을 효과적으로 예측하는가, 둘째, 대학생의 개인 변인 즉, 성별, 학년, 전공,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가족 상호작용 양식은 어떠한가, 셋째, 대학생의 개인 변인에 따른 진로결정효능감은 어떠한가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 소재 3개 대학, 지방 소재 5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606명을 연구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가족 상호작용 양식을 측정하기 위한 가정환경 척도(Family Environment Scale-Form R; FES-Form R)와 진로결정효능감 척도(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Short Form; CDMSES-SF)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분석 방법으로, 가족 상호작용 양식과 진로결정효능감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진로결정효능감을 효과적으로 예측하는 가족 상호작용 양식의 하위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개인 변인에 따른 가족 상호작용 양식 및 진로결정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분산분석과 Tukey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상호작용 양식에서 관계 영역의 하위 요인인 응집성과 표현성, 개인적 성장 영역의 하위 요인인 독립성과 지적-문화적 지향성, 활동-여가 지향성, 도덕적-종교적 강조, 가족체계유지 영역의 하위 요인인 조직과 진로결정효능감간에 상관이 있었다. 관계 영역에 속하는 원가족의 갈등과 목표선택·문제해결에서의 자기효능감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진로결정효능감의 다섯 가지 하위 요인들을 효과적으로 예측하는 가족 상호작용 양식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적 성장 차원과 가족체계 내에서의 조직화 정도가 10.4-16.3% 수준에서 유의하였다. 따라서 대학생들이 지각한 가족 상호작용 양식들 가운데 가족이 지지하는 목표와 가족체계의 조직 정도가 진로결정효능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개인적 성장 영역의 하위 요인들 중에는 독립성, 지적-문화적 지향성, 그리고 도덕적-종교적 강조가 진로결정효능감의 중요한 예측 변인이었다. 둘째, 가족 상호작용 양식 점수는 성별, 전공계열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집단간 차이가 있었다. 전공계열간에는 예·체능계열이 가족 상호작용 양식의 평균에서 자연계열, 사범계열, 기타계열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가족 상호작용 양식의 점수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진로결정효능감은 가정의 월평균소득에서만 집단간 차이가 있었고, 성별, 학년, 전공계열에서는 진로결정효능감 점수의 평균에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과 학년이 증가할수록 더 높은 진로정체감을 지닌다는 선행연구 및 진로에서의 발달적 맥락과도 일치하지 않는 결과이므로,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다양한 진로관련 변인 및 연구 대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 결과에 기초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진로발달에 근본적인 영향을 미치는 환경으로 가족관계를 상정한 본 연구를 통해서, 대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과제 수행에서의 확신감이나 자신감을 형성하는데 가족 상호작용 양식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진로상담의 계획에 내담자의 가족기능 및 가족환경에 대한 관심을 포함시켜야 한다. 1) 대학생들에게 있어서 가족이 지지하는 목표는 진로발달 과업과 관련된 자신감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특별히 학생들에게 가족이 독립성을 지지하고 격려하는 정도에 대해 질문하는 것도 유용할 것이다. 가족구성원들로 하여금 자기주장을 하고 자급자족하며 스스로 결정을 내리고 독자적인 사고를 하도록 권장하지 않는 가정에서 성장한 학생들은 그들의 진로의사결정에서 어려움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 2) 학생들에게 그들의 가족체계가 조직적으로 유지되고 있는지를 질문하는 것도 유용할 것이다. 원가족이 가족활동을 계획하는데 질서와 조직을 중요시하지 않으며 명확히 규정된 규칙과 책임도 없는 가정에서 자란 이들은 진로의사결정 과업과 관련된 스스로의 능력에 낮은 자신감을 지닌다. 진로결정의 발달적 맥락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맞춘 이러한 기초연구를 토대로 바람직한 진로발달을 위한 이해가 가능할 것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에 의의가 있다. The selection of a satisfactory career, which has been one of the principal developmental task of life, is an important problem to college students who are faced with the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family functioning variables work in the formation of confidence which is necessary for career decision-making tasks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family interaction pattern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To accomplish the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is there a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family interaction pattern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which subscales of family interaction patterns effectively predict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ores? Second, how family interaction pattern scores differ according to selected demographic variables(i.e., gender, grade, academic major, socioeconomic status)? Third, how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ores differ according to selected demographic variables? To address these questions, 606 students from 3 colleges in Seoul and 5 colleges in the provincial area participated in the empirical study, in which Family Environment Scale-Form R(Moos, 1986) that assessed individual's perceptions of interaction patterns in the family-of-origi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Short Form(Taylor & Betz, 1983)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interaction pattern subscale score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ubscale scores, Pearson correlations were computed. A series of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to find out which subscales of family interaction pattern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explaining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effective way. Both an oneway ANOVA and a Tukey test were utilized to assess family interaction pattern score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ores according to selected demographic variab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everal factors of family interaction pattern dimensions - cohesion and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dimension, independence, intellectual-cultural orientation, active-recreational orientation and moral-religious emphasis in the personal growth dimension and organization in the system maintenance dimension.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dimension and self-efficacy for both career goal selection and problem solving. Both personal-growth dimension factors and organization(one of two family system maintenance dimension factors) accounted for 10.4-16.3% of the variance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ubscales. Thus, the clos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wo factors of the family interaction pattern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 the family-supported goal orientations and organization in the system maintenance dimension. Three of the personal-growth dimension factors - independence, intellectual-cultural orientation and moral-religious emphasis -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ore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 mean differences in family interaction pattern scores according to gender, academic major and socioeconomic status of their parents.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arts and athletic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interaction pattern scores compared with students in other departments such as science, education and etc. Third, the monthly family income brought significant group mean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ores, with other variables like gender, grade level and academic major making any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ores among groups. These results are inconsistent with developmental perspectives of the career process and previous researches which assert the fact that college students have more vocational identity in accordance with their age and grade. Therefore, it is open to further discussions with more diverse career variables and other subjects of the study. The conclusion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abov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rough the study introducing the family relationship as the environmental factor which has an fundamental influence on career development, the fact is found that family interaction patterns play a leading role in forming confidence of college students in regard with specific career decision-making tasks. Therefore, it may be required that career counselors should consider both the environment and the function in their clients' family-of-origin. 1) To college students, it seems that family supported-goal orientations reinforce their confidence related with career developmental tasks. Especially, it may be useful to ask students about the level of family support in their independence. Students, who grew up in families which have discouraged their assertiveness, self-sufficiency and making own decisions, have more possibilities to experience difficulties in career decision-making. 2) Also, it will be helpful to question if their family system has been maintained in an organizational way. Students, who grew up in families ignoring organization and structure in planning family activities and in families without any definite disciplines and responsibilities, have a tendency to doubt their ability to perform career decision-making tasks. The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will facilitate understanding of desirable career development by focusing on developmental context of career decision-making.

      • 손목 착용형 디바이스의 제스처 입력 인터랙션 연구

        양승민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관심은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인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는 사용 환경이 많이 다르다. 특히 화면표시장치가 없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이 상당 수 존재하며 화면표시장치가 있다고 하더라도 스마트폰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그 크기가 작거나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또한 현재의 손목 착용 형 디바이스의 사용환경에서는 한 손을 이용한 입력이나 음성을 통한 입력이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입력 인터랙션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상황에 따라 사용성의 저하를 야기할 수도 있다. 이처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다양한 인터랙션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기술이 발전하면서 기존의 터치 입력 인터랙션을 보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제스처 인터랙션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에서 사용자들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손목 착용 형 디바이스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먼저 제스처 인터랙션 및 입력 인터랙션에 관한 선행 연구 및 사례분석을 통해 별도의 부가장치 없이 손목 착용형 디바이스의 센서를 활용하는 제스처 입력 인터랙션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이후 제스처 입력 인터랙션에 필수적인 센서기술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손목 착용형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제스처들의 분류 기준을 정의하고 도출하기위해 손목 착용형 디바이스의 제스처 입력 인터랙션을 크게 2가지로 분류 하였다. 첫째는 사용자가 하나의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활용 가능한 싱글 디바이스 인터랙션이며 이는 제스처의 주체에 따라 정적 제스처 인터랙션과 동적 제스처 인터랙션으로 나눌 수 있다. 둘째는 사용자가 각각의 아래팔에 디바이스를 착용하거나 두 명의 사용자가 각각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멀티 디바이스 인터랙션 이다. 멀티 디바이스 인터랙션은 두 디바이스의 상대적 움직임에 따라 고정-이동 제스처 인터랙션, 이동-이동 제스처 인터랙션으로 정의하였다. 추가적으로 도출된 제스처들의 사례적용을 통해 활용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적으로 향후 손목 착용형 디바이스 제품 개발 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제스처 입력인터랙션을 설계하고 디자인함에 있어 본 연구를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17세기 傳奇小說의 통속화 경향과 그 소설사적 의미

        양승민 高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고는 17세기 傳奇小說 전체를 대상으로 그 통속화 경향에 관한 연구를 중추 과제로 삼았다. 17세기 전기소설은 고전소설사의 전환적 국면을 잘 보여준다는 이유로 그동안 꾸준한 관심 속에 연구 돼 왔다. 그러나 15ㆍ16세기 전기소설을 분석하는 잣대로 17세기 전기소설을 관찰하거나, 한문소설인 전기소설은 국문소설과 현격히 다르다는 인식에서 접근하는 등의 치명적인 문제점들을 종종 노출해왔던 게 사실이다. 그 담당층이나 생산지반에 있어서도 한문소설과 국문소설 양자는 판이한 양상을 보인다는 게 거의 정설로 굳어진 지 오래이다. 결과 적으로 17세기 소설사의 추이와 관련해 실로 많은 문제들이 베일에 가려져 있는 가운데 전반기와 후반기 사이에 소설사의 사각지대가 형성되기에 이르렀던게 아닌가 한다. 이에 본고는 전적으로 소설사의 실상이 그래서가 아니라 미흡한 연구결과 때문이기도 하다는 가설적 진단을 내리는 일로부터 출발했다. 그리고 그 해법을 17세기의 전기소설에 대한 새로운 연구시각에서 찾을 수 있다는 기대 하에, 종래의 연구방법과는 달리 이를테면 국문소설을 읽는 시각에서 접근해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국면들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제 앞서 논의한 내용을 요약 정리하는 것으로 결론에 대신하고자 한다.

      • 노인의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 요인 비교연구 : 거주형태와 빈곤여부를 중심으로 한 패널회귀분석

        양승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successful aging factors on cognitive function among the elderly based on their living arrangement and poverty status. The research subjects were 2,358 older adults who were over the age of 65 selected from the first year (2006) through the fifth year (2014) panel data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their living arrangement and poverty status. Panel regression analysis using random effect model was us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successful aging factors on cognitive function. The findings were the followings: First,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in the groups showed that the elderly living alone in poverty was the oldest and had the highest ratio of female and rural residence, while the lowest in education level and working ratio. The elderly living with a family in poverty showed lower education level, working ratio and household income, but had a higher ratio of rural residence and presence of a spouse than the elderly living in no poverty. Second, the physical and emotional aspect factors in the four groups showed that the elderly living alone in poverty had highest in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depression rate while having the lowest self-rated health. The elderly in no poverty had better condition in physical and emotional factors than the elderly in poverty. The change of physical and emotional factors in the elderly living with a family showed relatively exacerbating. Third, the social aspect factors among the four groups indicated that the elderly living alone has a higher frequency of meeting friends and social activities than the elderly living with a family. During the whole period, the frequency of this social aspect factors decreased except for the frequency of social activities in the elderly living alone. Fourth, the elderly living alone in poverty had the lowest cognitive function, and the elderly in poverty had higher decreasing cognitive function than the elderly in no poverty during the whole period. The difference in the cognitive function among individuals within each group increased over time. Fifth, common factors influenc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were age, education, religion, self-rated heal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The frequency of meeting with friends was the common factor for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except the elderly living alone in no poverty. Region only influenced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in poverty as working status only influenced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living with family. The presence of a spouse and the frequency of social activities influenced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living with a family in no poverty. The difference in living arrangement and poverty status of the elderly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인지기능에 대한 성공적 노화 요인들의 영향력이 거주형태와 빈곤여부에 따라서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종단으로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에서 활용한 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수집한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1차년도(2006)부터 5차년도(2014)까지의 데이터이며, 이 중 1차년도(2006) 기준 65세 이상 노인 2,35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거주형태와 빈곤여부에 따라서 연구대상을 4집단으로 구분하였고,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 요인들의 영향력 파악을 위해 확률효과모형을 적용한 패널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4집단 간 인구사회학적 측면의 비교 결과, 빈곤 독거노인의 경우 연령과 여성비율, 농촌지역 거주율이 가장 높았고, 학력과 근로율이 가장 낮았다. 빈곤 동거노인은 비빈곤 노인(독거, 동거)에 비하여 저학력, 높은 농촌지역 거주율, 높은 유배우율, 낮은 근로율, 낮은 가구 총소득의 특성을 보였다. 둘째, 4집단 간 신체적‧정서적 측면의 요인을 비교한 결과, 빈곤 독거노인의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하여 만성질환 수가 많았고, 주관적 건강상태가 낮았으며,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비빈곤 독거노인의 경우 상대적으로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가장 양호하였고, 만성질환 수가 적었으며,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고, 우울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거노인(빈곤, 비빈곤)의 경우 신체적‧정서적 측면의 전 기간 변화량에 있어서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악화, 만성질환 수의 증가, 주관적 건강상태의 감소, 우울의 증가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셋째, 4집단 간 사회적 측면 요인의 비교 결과, 친한 친구와의 만남 빈도, 사회활동의 빈도는 독거노인이 동거노인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측면 요인의 전 기간 변화량을 볼 때 독거노인의 경우 친한 친구와의 만남 빈도는 감소하였으나 사회활동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동거노인의 경우 친한 친구와의 만남 빈도와 사회활동의 빈도 모두 감소하였다. 넷째, 빈곤 독거노인의 경우 인지기능의 평균이 가장 낮았고, 전 기간 인지기능 감소량은 빈곤노인(독거, 동거)에서 크게 나타났다. 또한 집단 내 개인 간 인지기능 차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점 커졌고, 다른 집단에 비하여 비빈곤 독거노인 집단 내의 차이가 가작 작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노인의 인지기능에 대한 4집단의 공통 영향요인은 연령, 학력, 종교 유무, 주관적 건강상태, 일상생활 수행능력, 우울로 나타났다. 친한 친구와의 만남 빈도는 비빈곤 독거노인을 제외한 나머지 3집단의 인지기능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지역은 빈곤노인(독거, 동거)의 인지기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근로상태는 동거노인(빈곤, 비빈곤)의 인지기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배우자 유무와 사회활동 빈도는 비빈곤 동거노인의 인지기능에만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인지기능 감퇴를 예방‧지연시키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기존에 노인의 유형 구분 없이 획일적으로 진행한 노인복지 프로그램 및 정책들은 인지기능 저하의 예방을 위하여 노인의 유형에 따라 구체적으로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독거노인과 동거노인 각각을 동질적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각각의 집단 내 다양성의 증가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 때 노인의 다양성을 반영하는 핵심 변인으로 거주형태와 빈곤여부가 적절할 수 있다. 이제는 독거에 대하여 부정적으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하나의 삶의 형태로 인정하면서 자아성찰과 자아실현 등 그들의 고차원적 욕구를 파악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동거노인들의 경우 가구 구성원과의 부정적 관계가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인지기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가족관계의 질적 향상에 관심을 가져야한다. 노인의 다양화 현상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노인의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측면의 요인들을 지속적으로 지원․관리할 수 있도록 노인 유형별로 예방적이고 종합적인 사회안전망 구축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