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세공극을 가진 양극산화 타이타늄에 대한 연구

        양경선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미세공극을 가진 양극산화 타이타늄이 새롭게 고안된 완충고정형 임플란트 재료로 사용이 가능한지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완충고정술을 이용한 새로운 임플란트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하여 타이타늄을 양극 산화 처리하고 2% 인장력을 가하여 5분 동안 유지하는 인장 실험 전후의 타이타늄 표면을 주사전자 현미경으로 관찰,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타이타늄 표면을 양극산화 처리하면 주사전자 현미경 소견에서 균일한 미세공극을 지닌 산화 피막의 형성이 관찰되었고, 인장력을 가하여도 피막의 균열이나 부서짐이 거의 관찰되지 않고 있었다. 결론:: 미세 공극을 지닌 양극산화 처리한 타이타늄은 새로운 시스템의 완충고정형 임플란트의 재료로 사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Aim of th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availability of anodizing titanium with nanopores as a dental implant material in newly designed dental implant system. Materials & methods: Newly-designed buffered fixation implant system was devised. After titanium surface was changed by anodizing process,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EM) analysis was done before and after stress application. Results: Anodizing process induced even coating of oxidized layer with nanopores on titanium surface. Cracks and wears were rarely found after the stress application. Conclusion: Anodizing titanium with nanopores could be used as a material in newly-designed buffered fixation dental implant system.

      • 모니터링의 관점에서 본 청소년 자녀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적응과정

        양경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cess of mothers’ adaptation to the developmental changes of adolescent children, focusing on the changes in mothers’ monitoring, and to construct a theory. By doing so, the study intended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parental monitoring and to provide information to help parents change their parenting behavior in a healthy manne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mothers whose first child was in the first year or the second year of high school, and a grounded theory method was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other’s adaptation process to her children’s changes was composed of three themes. First, the children who entered adolescence increased the need for privacy and autonomy. These changes conflicted with the existing monitoring method of their mothers, which led to conflicts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Second, the changes in the monitoring method of mothers started from such conflicts with their children. Mothers changed the monitoring method as a countermeasure to avoid conflict.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self-disclosure of their children, mothers acknowledged their children’s thoughts and behaviors, and chose to ask indirectly, spying on their children and pretending not to know. The mothers used structured environments or actively created structured environments, and constantly tried to figure out where their children were and when they were coming home. Also, mothers constantly experienced internal conflicts over their children’s studying. Third, the results of the mothers’ response to conflicts, which were revealed by the change in monitoring method,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mothers’ perspectives on their children. Mothers belonging to the “viewing children as an independent person” type viewed their children as an independent person. As they went through the process of changing the monitoring method, conflicts with their children were resolved and their relationship progressed. Mothers belonging to the “imposing the mother’s standard” type viewed their children as their own possessions, and the conflict continued as they imposed the mothers’ standards on their children. These conflicts were particularly prominent in the children’s studying. Third, mothers belonging to the “experience frustration and stop forcing” type imposed their own standards on their children in regard to the study but realized that forcing them does not produce good results and only worsens relationships. The mothers experienced frustration and viewed their children as independent individuals. In this process, parent education was what helped mothers implement changes more easily. This study found that the core category encompassing the three central themes was “going from conflict to relationship change through viewing children as independent individuals.” Children’s developmental changes and conflicts with children led to changes in monitoring methods. In order for these monitoring methods changes to lead to changes in relationships, such as resolving conflicts with children and increasing the level of self-disclosure, it is important for mothers to have a view of their children as independent individual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for parents to be individualized from their children with the perspective of viewing their children as an independent person in order for mother’s monitoring method changes to lead to healthy changes in relationships beyond temporary avoidance of conflicts. Second,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n mothers’ adolescent child monitoring method and autonomy supportive parenting behavior. Third, the importance of parent education for parents of adolescent has been confirmed in this study. Fourth, this study has identified specific monitoring strategies of mothers to monitor their adolescent children. Through this, previous limitation of the adolescent child monitoring study, which lacks understanding of specific monitoring strategies, are supplemented. Fifth, the present study points to the necessity of reviewing the existing scales used for monitoring research in South Korea. Sixth, this study offers practical monitoring tips for mothers of adolescent children. Seventh, unlike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no difference was found in the mother’s adaptation process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and two possibilities are suggested. First, socioeconomic status may not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because of the culture that recognizes parents and children as identical in South Korean society. Also, since this study is based on voluntary research participa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only mothers who are actively raising their children participate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nd follow-up studies a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자녀의 발달적 변화에 대한 어머니의 적응과정을 어머니의 모니터링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며 이론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부모 모니터링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부모의 건강한 변화를 돕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 자녀가 고등학교 1학년 혹은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어머니 2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으며,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녀의 변화에 대한 어머니의 적응과정은 세 가지 주요 범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에 진입한 자녀들은 사적영역과 자율성에 대한 욕구가 높아졌다. 이러한 변화는 연구참여자들의 기존 모니터링 방식과 충돌했고, 어머니-자녀 간 갈등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둘째, 연구참여자의 모니터링 변화는 이러한 자녀와의 갈등으로부터 시작됐다. 연구참여자들은 갈등을 피하기 위한 대응책으로서 모니터링을 변화시켰다. 자녀의 자기개방 수준을 높이기 위해 자녀의 생각이나 행동을 인정하고, 자녀에게 돌려서 묻거나 몰래 살피고 모르는 척 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었으며, 구조화된 환경을 활용하거나 적극적으로 구조화된 환경을 만들기도 했다. 또, 자녀의 소재와 귀가시간을 파악하기 위해 계속해서 힘쓰고 있었으며, 자녀의 공부에 대해서는 끊임없는 내적 갈등을 겪고 있었다. 셋째, 모니터링의 변화라는 대응의 결과는 연구참여자가 자녀를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뉘어 나타나고 있었다. “자녀를 독립된 인격체로 바라보기” 유형에 속한 연구참여자들은 자녀를 한 사람의 독립된 인격체로 바라보는 관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모니터링 변화 과정을 거치면서 자녀와의 갈등이 해소되고 관계에 진전을 이루는 모습을 보였다. “엄마의 기준을 강요하기” 유형에 속한 연구참여자들은 자녀를 자신의 소유물로 바라보는 관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엄마의 기준을 자녀에게 강요하여 갈등이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었다. 이러한 갈등은 특히 자녀의 공부 영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좌절을 경험하고 강요 멈추기” 유형은 특히 공부 영역에서 자녀에게 자신의 기준을 강요하지만 강요해봤자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고 관계만 악화된다는 사실을 깨닫고 좌절을 경험하며 자녀를 독립된 인격체로 받아들이게 되는 과정을 거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부모교육은 어머니들이 보다 수월하게 변화를 이루어가도록 돕는 요인이었으며, 자녀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는 관계의 변화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주요범주를 아우르는 핵심범주가 “자녀를 독립된 인격체로 바라보는 것을 통해 갈등에서 관계의 변화로 나아가기”임을 발견하였다. 자녀의 발달적 변화와 자녀와의 갈등은 모니터링 변화라는 양육행동의 변화로 이어졌다. 이러한 모니터링 변화가 자녀와의 갈등이 해소되고 자녀의 자기개방 수준이 높아지는 등 관계의 변화까지 나아가는 변화가 되기 위해서는 연구참여자가 자녀를 독립된 인격체로 바라보는 관점을 가지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모니터링 변화가 갈등을 일시적으로 피하는 것을 넘어 건강한 관계의 변화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자녀를 독립된 인격체로 바라보는 과점을 가지고 부모가 자녀로부터 개별화 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둘째, 한국 어머니들의 청소년 자녀 모니터링과 자율성지지 양육행동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셋째, 부모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넷째, 청소년기 자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어머니들의 구체적인 모니터링 전략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구체적인 모니터링 전략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청소년 자녀 모니터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였다. 다섯째, 국내에서 모니터링 연구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기존 척도를 다시 검토해 볼 필요성을 발견하였다. 여섯째,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위한 실제적인 모니터링 팁을 구성해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존 선행연구 결과와 달리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모니터링 변화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에 대해 한국사회의 부모자녀 동일체 의식으로 인해 사회경제적지위가 크게 중요하게 작용하지 않았을 가능성과 함께 이 연구가 자발적 연구참여를 기반으로 하기에 적극적으로 자녀를 양육하는 연구참여자들만 참여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 김병호류 가야금산조의 짧은 산조 비교연구 : 김병호. 강문득. 양연섭의 연주를 중심으로

        양경선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compares the original Kim Byung Ho's complete kayagum sanjo with the short version sanjos of Kim Byung Ho's, Kang Mun Dug's, and Yang Youn Seob's. Those sanjos are written as a score and their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Sanjo generally shows some variation according to faction and player. Especially, Kim Byung Ho's sanjo shows so great variation in sigimsae, the number of jangdan, garak, and nonghyun accoridng to players. There were some studies on Kim Byung Ho's sanjo for thewhole musical composition, melody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rhythm, a grace note, and jangdan. This study focuses on how differently Kim Byung Ho's short sanjo was played by three Gayagum players, Kim Byung Ho, Kang Mun Dug, and Yang Youn Seob . Although the composition of three player's version has same composition jinyangjo-joongmori-joongjoongmori-jajinmori-huimori-danmori, the number of jangdan is different. Kim Byung Ho played 301 jangdan, Kang Mun Dug played 291 jangdan, and Yang Youn Seob played 260 jangdan. For the analysis of composition, melody and sigimsae, three short sanjos are compared with the complete Kim Byung Ho's sanjo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classified into four parts. First is 'exactly same part'. Second is 'partially same part', which shows similar composition but variant sigimsae, rhythm, and interval. Third part haswhat is reduced or increased in specific melody. Fourth part includes the invented garak. Fifth is 'partial invented melody part' that is based on the garak ofthe original. Three short sanjos that are remade from Kim Byung Ho's complete sanjo by three players have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the ways such as changing the number of jangdan, making variation on sigimsae, rhythm, interval in compilation of melody, changing the position of a singular garak, duplicating the specific melody part, inventing new melody part. Three players' distinguishing marks on short sanjo are studied. Kim Byung Ho showed simple sigimsae and rhythm comparing with his complete version. In many times,he played the specific melody tuned high over 3 degrees and added invented 15 jangdan melody. In the ending melody of danmori, he played some huimori part from his complete version. Kang Mun Dug showed his own sigimsae in almost part and played many part with irregular beat, which made big difference. In joongjoongmori jangdan, more than half part is the invented melody, where the note of hachung G(chung)~d(ddang) is mainlyused. In ending huimori jangdan, he organized some jangdan that are reduced and varied from jajinmori jangdan. Thus, among three short sanjos, his one shows biggest difference from the original complete sanjo. Yang Youn Seob minimized his own sigimsae and varied rhythm instead. In his performance, some invented melody part appears, where the note of sangchung c(jing)~d'(jjaeng) is mainly used, which is different from Kang Mun Dug. As the result of comparison and analysis, three players' short Kim Byung Ho gayagum sanjos can be accepted as the creative work since they are not just reduced version but interpreted singularly based on each player'sstyle. That characteristic is also found in comparision between Kim Byung Ho's complete sanjo and Kim Byung Ho's short sanjo. Kang Mun Dug showed singular melody composition, sigimsae, and rhythm expression such as it is his own work. Yang Youn Seob accomplished personal style by minimizing sigimsae and varied rhythm in fast jangdan. 본 연구는 김병호류 가야금산조의 원곡인 긴 산조와 김병호·강문득·양연섭의 짧은 산조 연주를 채보하고 비교하여 각 연주자의 산조 구성 및 연주 특징을 분석한 연구이다. 산조는 음악 특성 상 유파별, 연주자별로 부분적인 차이가 있고, 또 동일한 연주가의 연주라 하더라도 계기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특히 김병호류 가야금산조는 연주자마다 장단의 수와 가락, 농현 등의 시김새 차이의 변화의 폭이 크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김병호류 가야금산조에 대한 연구에서는 해당 산조의 전체적인 악곡 구성 및 선율구조와 선율, 리듬의 변화, 장식음, 장단구성의 특징을 논의한 바 있지만 연주자에 따라 짧은 산조의 구성과 선율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같은 유파의 가야금산조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다른 유파처럼 느껴질 만큼 차이가 큰 김병호·강문득·양연섭 세 주자의 김병호류 가야금산조의 짧은 산조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른지를 여러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짧은 산조의 전체구성은 전체적으로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휘모리-단모리의 진행으로 같았고, 장단 수는 김병호의 경우 301장단, 강문득의 경우 291장단, 양연섭의 경우 260장단으로 차이를 보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전체 구성 외에 선율구성 및 시김새 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각 연주자의 짧은 산조를 김병호류 가야금 긴 산조와 비교한 결과 첫째, ‘완전히 동일한 부분’, 둘째, 전체적인 구조는 같되 시김새, 리듬, 음정이 변화한 ‘부분적으로 동일한 부분’, 셋째, 긴 산조의 특정 선율을 축소하거나 확대한 부분, 넷째, 긴 산조에 없는 새로운 가락을 창작한 선율, 다섯째, 긴 산조의 가락에 부분적인 선율을 첨가한 ‘부분 창작선율’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김병호류 가야금산조 긴 산조를 짧게 구성한 세 연주자의 짧은 산조는 전체적인 윤곽은 같되 장단 수를 달리하고, 선율의 취사 선택에서 시김새, 리듬, 음정 등에 변화를 주며 특정 가락의 경우 출현 위치를 바꾸거나 동일 선율의 2회 이상 반복을 시도하는 한편, 새로운 창작선율을 더하는 방법을 통해 각각 특징 있는 짧은 산조를 구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김병호류 가야금 산조의 연주자별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김병호는 시김새와 리듬이 긴 산조에 비해 간결하게 처리 하고 특정 선율형에서 음정 변화의 폭을 3도 이상 높여 연주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 긴 산조에 나오지 않은 창작 선율을 15장단이나 첨가하고, 단모리의 마지막 맺는 선율에서는 긴 산조의 휘모리부분을 발췌 연주하는 등의 변화를 줌으로써 긴 산조와 다른 특징을 보여주었다. 둘째, 강문득은 거의 모든 음 처리에서 강문득 특유의 시김새를 구사하는 한편, 선율을 엇박자 리듬으로 처리한 부분이 많아 전체적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또 중중모리 장단에서는 긴 산조 연주에서 볼 수 없었던 완전 창작선율을 전체의 반 이상이나 새로 짜 넣었는데 이 부분에서는 주로 하청 G(청)~d(땅)음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또 휘모리의 맺는 장단에서는 자진모리장단의 선율을 축소하여 변화 있게 구성하는 등 세 연주자의 짧은 산조 중 원곡과 가장 많은 차이를 보여주었다. 셋째, 양연섭은 시김새에 의한 표현은 절제하고, 리듬의 변화를 줌으로써 다른 연주자와 다른 특징을 보였다. 양연섭의 짧은 산조에서도 완전 창작선율이 일부 출현하는데 이 부분에서는 상청c(징)~d'(쨍)음을 사용하여 하청을 주로 쓴 강문득과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비교·연구 결과는 세 연주자의 김병호류 가야금산조 짧은 산조는 동일한 산조에 바탕을 두되 긴 산조의 축소 복제가 아니라 연주자의 독자적인 스타일에 의해 재해석된 창작품적인 성격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특히 김병호의 긴 산조와 짧은 산조비교에서 이 점을 뚜렷이 확인할 수 있었다. 또 강문득은 선율구성 및 시김새, 리듬의 표현에서 ‘자기화(自己化)’된 면을 강하게 보여주었으며, 양연섭은 시김새를 절제하고 빠른 장단에서 리듬의 변화를 시도함으로써 또 하나의 개성적인 스타일을 완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 Si-FDOM 물질수지모델을 이용한 연안환경에서 해저지하수 유출에 의한 영양염류 플럭스 연구

        양경선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연안에 유출되는 해저 지하수에 의한 영양염류의 유입이 연안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영양염 플럭스를 정량화하였다. 연구 지역으로는 제주도 북부에 위치한 이호테우 해변과 제주도 동부에 위치한 신양 해변으로, 신양 해변의 경우 구멍갈파래에 의한 녹조현상이 문제가 되고 있는 지역이다. 연구 지역 모두 강이나 하천의 영향이 없고, 만의 환경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외해의 영향이 적다. 연구 시기는 해저 지하수의 유출과 영양염의 계절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2019년 11월, 2020년 3월, 2020년 5월, 2020년 7월 네 차례에 걸쳐 수행하였다. 하지만 계절별 변화는 미비했고, 해저지하수의 유출은 조석에 큰 영향을 받았다. 해저 지하수 유출을 추정하기 위해 간접적 지표인 용존규산염을 이용하였으며, 염분에 따른 영양염의 구배를 살피기 위해 용존무기질소, 인산염, 규산염와 용존유기탄소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용존무기질소는 대체적으로 염분에 따라 보존적인 거동을 보였으나, 2020년 5월 신양에서는 제거기작이 더 우세하였으나 2020년 7월은 추가기작이 더 우세하였다. 인산염은 염분에 비보존적이긴 하였으나, 특정 염분구간에서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질소와 인은 생물제한원소로 작용하나, 같은 거동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생물이외에도 다른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해저지하수 유출을 추정하기 위한 추적자로 형광 용존 유기 물질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용존유기물질 중 형광의 특징을 갖는 형광 용존 유기 물질은 형광분광광도계로 정성적 분석이 가능하다. 형광 용존 유기 물질을 여타 추적자들처럼 사용하기 위해 가장 먼저 염분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좋은 음의 상관관계(r2 > 0.5)를 갖는 2020년 5월 이호테우와 신양에서 앞서 용존규산염을 통해 구한 해저지하수 유출과 형광 용존 유기 물질을 이용해서 구한 해저지하수 유출을 비교하였는데, 이호테우에서는 각각 5.74×105 m3 day-1, 5.66×105 m3 day-1로, 신양에서는 3.50×105 m3 day-1, 2.30×105 m3 day-1로 비슷한 값을 구할 수 있었다. 해저지하수에 의해 연안으로 유입되는 영양염류 플럭스를 구하였을 때, 해저지하수의 유출이 가장 높았던 2020년 5월 이호테우에서 가장 높았다. 이호테우와 신양을 비교하였을 때, 구멍갈파래의 영향은 동부에 위치한 신양에서 더 큰 문제가 되고 있는데, 영양염류의 플럭스를 비교하였을 때는 이호테우에서 더 우세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멍갈파래가 신양에서 더 번성하고 있는 이유로는 이호테우에 비해 더 폐쇄된 신양의 지역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신양이 있는 제주 동부에는 넙치 양식장이 다수 존재하고, 이 곳에서 배출되는 양식장 배출수가 다시 해저지하수로 순환되고, 주변 해역에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Green Tide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제주도는 우기를 제외하면 연안으로 유입되는 영양염류의 공급원으로는 해저지하수가 가장 우세하기 때문에 계절별 특성을 보기 위해서는 조차가 일정한 시기에 중·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해저 지하수를 통해 연안으로 수송되는 영양염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저지하수 유출을 정확하게 정량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In this study, the nutrient flux was quantified to identify the effect of nutrient input on coastal environment caused by submarine groundwater flowing off the coast of Jeju Island. The research areas are Iho Tewoo Beach in the northern part of Jeju Island and Sinyang Beach in the eastern part of Jeju Island. In the case of Sinyang Beach is an area where green tide caused by Ulva are becoming a problem. All of the research areas are not affected by rivers or streams, and are made up of bay environments, so the effect of open ocean is small. The study period was conducted four times in November 2019, March 2020, May 2020, and July 2020 to identify seasonal changes of nutrients and output of submarine groundwater. However, seasonal changes were negligible, and output of submarine groundwater was greatly influenced by tidal. An indirect indicator, dissolved silicate, was used to estimate the output of submarine groundwater.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phosphate, silicate and dissolved organic carbon was measured to determine the gradient of nutrients according to salinity.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generally showed conservative behavior with salinity. In May 2020, the removal mechanism was more dominant in Sinyang, but in July 2020, the additional mechanism was more dominant. Phosphate were non-conservative with salinity, but it showed a rapidly decline in certain salinity sections. Nitrogen and phosphorus act as bio-limited element, but since they do not show the same behavior, it is presumed to be affected by other than organisms. Furthermore, we evaluate the possibility of Fluorescent Dissolved Organic Matter as a tracer to estimate output of submarine groundwater. Fluorescent Dissolved Organic Matter with fluorescence characteristics among dissolved organic matters can be qualitatively analyzed with fluorescence spectrophotometers. We first looked at the salinity correlation to use Fluorescent Dissolved Organic Matte like any other tracer. In May 2020, Ihotewoo and Sinyang, which had a good negative correlation (r2 > 0.5), compared output of submarine groundwater obtained using dissolved silicate and the output of submarine groundwater obtained using fluorescent dissolved organic materials. Similar values were obtained in Iho Tewoo as 5.74×105 m3 day-1 and 5.66×105 m3 day-1, and in Sinyang 3.50×105 m3 day-1 and 2.30×105 m3 day-1, respectively. When the nutrient flux was obtained by output of submarine groundwater into the coast, it was the highest in Iho Tewoo in May 2020, when the output of submarine groundwater was the highest. When comparing Iho Tewoo and Sinyang, the influence of the Ulva is a bigger problem in the eastern region of Sinyang, when the nutrient fluxes were compared, it was more dominant in Iho Tewoo. Nevertheless, the reason for the more prosperous Ulva in Sinyang seems to be due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inyang, which is more closed than Iho Tewoo. In addition, there are many flatfish farms in the eastern part of Jeju where Sinyang is located, and it is presumed that the Green Tide occurred as the wastewater from the farms circulates back to submarine groundwater and affects the surrounding waters. Jeju Island is the most dominant source of nutrients flowing into the coast, except for the rainy season, so even mid- and long-term monitoring is expected to be needed at a period of time in which tidal is constant to see season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nutrients transported to the coast through submarine groundwater, it is important to quantify the output of submarine groundwater accurately.

      • 부모의 공감과 청소년의 공감이 청소년의 또래괴롭힘피해자 방어행동에 미치는 영향

        양경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부모는 개인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일차적 환경이며, 특히 부모의 공감은 청소년으로 하여금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여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맺게 하고, 친사회적 행동 혹은 이타행동을 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특히 청소년기는 사회적 관계가 확장되는 시기로, 건강한 또래관계를 형성하고 또래관계에서의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한 시기이다. 그러나 최근 청소년들 사이에서는 또래괴롭힘이 일상화 되어 하나의 문화처럼 자리잡아 가고 있으며, 또래괴롭힘을 목격하더라도 이를 못본 척 하는 학생이 대다수이다. 청소년의 또래괴롭힘은 주변 또래가 피해자를 지지하거나 방어하는 행동을 할 때 중단될 수 있기 때문에 또래괴롭힘을 목격한 주변 또래가 피해자 방어행동이라는 친사회적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이러한 또래괴롭힘피해자 방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청소년의 공감능력에 집중하고 있고, 부모의 영향력을 밝힌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공감이 남녀 청소년의 또래괴롭힘피해자 방어행동에 어떤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가를 청소년의 공감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중학교에 재학중인 남학생 209명, 여학생 230명, 총 439명의 설문지 응답을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t-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경로를 규명하기 위해 남학생과 여학생으로 나누어 측정모형 검증과 구조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공감은 청소년의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피해자 방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청소년의 인지적/정서적 공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이 남녀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아버지와 어머니의 공감은 남학생의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 모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반면, 여학생의 경우에는 아버지의 공감은 인지적 공감에 영향을 미치고 어머니의 공감은 정서적 공감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 중 정서적 공감만이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남녀청소년의 피해자 방어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또래괴롭힘피해자 방어행동이라는 적극적인 친사회적 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상황과 정서를 이해하는 것보다 함께 공유하는 것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넷째, 본 연구의 최종모형 경로중에서 남녀 모두 어머니의 공감이 정서적 공감을 통하여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친사회적행동으로 가는 경로만 유의한 매개경로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지역에 재학중인 중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다른 지역에서는 다른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는 모두 청소년의 자기보고를 통해 얻은 응답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실제 부모의 공감능력과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참여행동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부모의 공감이 청소년의 또래괴롭힘피해자 방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를 검증하여, 어머니의 공감과 청소년의 정서적 공감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청소년들의 또래관계에서 일어나는 일에도 부모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혀, 주로 학교맥락에서 일어나는 청소년들의 또래괴롭힘이지만 이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뿐만 아니라 부모의 역할도 중요함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A study on union soft q-ideals

        양경선 동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lay a foundation for providing a soft algebraic tool in considering many problems that contain uncertainties. In order to provide these soft algebraic structures, the notion of union soft q-ideals are introduced, and related properties are investigated. In Preliminaries, we introduce some defnitions and properties about ideal and q-ideal in BCI-algebras. In section 3, we discuss applications of the union soft set in q-ideals of BCI-algebras. We introduce the notion of union soft q-ideals, and investigated related properties. Also, we provide conditions for a union soft ideal to be a union soft q-ideal, and establish characterizations of a union soft q-ideal. 이 논문의 목적은 불확실성을 내포한 많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soft algebraic tool을 제시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soft algebraic structure를 제시하기 위하여 union soft q-ideal의 개념을 소개하고 이와 관련된 성질을 연구하였다. 2장에서는 BCI-대수의 ideal과 q-ideal의 정의와 성질들을 소개하고 있다. 3장에서는 BCI-대수에서 q-ideal의 union soft set에서의 응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Union soft q-ideal의 개념을 소개하고, 관련된 성질을 조사하였다. 또한 union soft ideal이 union soft q-ideal이 됨을 밝혔으며, union soft q-ideal의 특성을 정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