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광역시 명지주거단지 완충녹지가 거주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양건석,Yang, Geon-Seok 한국조경학회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5

        주거지역의 완충녹지는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하나의 메커니즘인 동시에 거주생활 만족에도 중요하고 다양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거환경의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치하는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거주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계획적으로 완충녹지가 설치되어 있는 명지주거단지의 거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완충녹지가 가지고 있는 요인을 파악하고, 거주생활 만족도와의 인과관계를 분석했다. 분석은 사회과학 통계 패기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1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명지주거단지 완충녹지의 역할은 주거쾌적성, 방재성, 녹지 이용성, 환경 생태성의 네 가지 요인으로 결정되었으며, 전체 누적 요인 기여율은 62.48% 중 주거쾌적성 기여율이 40.54%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거주생활 만족도와는 주거 쾌적성과 녹지 이용성이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방재성과 환경 생태성은 유의확률이 각각 0.725와 0.898로 다중회귀분석의 선호요인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주거 쾌적성과 녹지 이용성을 높이기 위한 완충녹지 조성이 거주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Buffer green space in the residential area is a mechanism for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also significant for residential life satisfaction and its various social roles.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the effect of the buffer green space, which was established to minimize environmental influence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n residential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residents in Myeongji Residential Area where the buffer green space was installed, to examine the factors of the buffer green space and to analyze its causal relation with residential life satisfaction.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1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and factori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xecuted. As a result, the roles of the buffer green space in Myeong-ji Residential Area included residential comfort, disaster protection, green space usability and environmental ecological property. In the overall accrued factorial contribution rate, residential comfort was very high with 40.54% out of total 62.48%. In addition, the residential comfort and green area usability had a higher correlation with residential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significant level of disaster protection and environmental ecological property were 0.725 and 0.898, respectively, which were not significant as a preference factor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ly, the buffer green space for improving residential comfort and green space usability was confirmed to enhance residential life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모네 지베르니 정원의 정원문화 관광자원 특성 고찰

        양건석(Geon Seok Yang) 융합관광콘텐츠학회 2021 융합관광콘텐츠연구 (JCTC) Vol.7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랑스 인상파 화가 클로드 모네(Claude Monet, 1840-1926)가 캔버스에 그림을 그리기 위해 노르망디 지베르니에 예술적으로 조성한 정원을 공간구성과 식물구성을 고찰하여 정원의 지역관광자원화에 대한 특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방법: 모네의 지베르니 정원에 대한 연구논문과 모네재단에서 발간한 자료 등의 문헌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19세기에 모네의 정원에 심겨진 정원의 도면과 꽃과 수종 목록을 조사·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모네의 정원은 클로노르망의 기하학적 화단과 유선형의 물의 정원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두 정원은 서로 대립되고 보완하는 유기적인 공간으로 모네에게 다양한 색채의 그림을 그릴 수 있는 모티브를 제공하였다. 둘째, 모네는 당시 인상파 화가들이 영향을 받은 일본 판화 <우키요에> 양식으로 정원을 만들었다. 특히 그는 일본식 ‘물의 정원’과 ‘일본다리’를 조성하였으며 또한 동양산 정원식물을 심었다. 셋째, 모네는 자신의 정원을 구현하기 위한 식재 디자인으로 다양한 색채의 초화류와 수종을 선택하였다. 즉, 동양정원의 주요 수종(대나무, 흑대나무, 벚나무, 일본사과, 버드나무, 단풍나무, 모란, 철쭉, 수련 등)이었다. 모네를 이러한 식물들의 개화시기를 조절하여 정원에 배치하여 자신이 그릴 풍경을 창조한 것이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클로드 모네가 창출한 지베르니 정원의 공간구성은 서양과 동양 정원의 특별한 풍경을 구현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고찰이 정원디자이너에게 주는 창의적인 영감과 농촌지역의 정원테마관광에 주는 시사점 등으로 결론 지었다. Purpose: This article aims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and plants composition about the garden at Giverny in France, created by the impressionist painter Claude Monet (1840-1926). And to examine the local tourism resources about the famous garden. Methods: Study Method was conducted a literature studies such as research papers on Monet s Giverny Gardens and materials published by the Monet Foundation. And the garden’s drawings and the list of flowers and tree species planted in Monet s garden in the 19th century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Results: First, Monet s garden was composed of two parts: the geometric flower bed of 「Clos Normand」 and the streamlined 「water garden」. These two gardens are organic spaces that oppose and complement each other, providing Monet with a motif for painting in various colors. Second, Monet created the garden in the style of Japanese print 「Ukiyo-e」, which was influenced by Impressionist painters at the time. In particular, he created a Japanese-style 「water garden」 and 「Japanese bridge」, and also planted oriental garden plants. Third, Monet selected various colored plants and trees as a planting design for realizing his garden. That is, they were the main tree species in the oriental garden (bamboo, black bamboo, cherry tree, Japanese apple, willow, maple, peony, azalea, water lily, etc.). Monet adjusted the flowering time of these plants and placed them in the garden to create the landscape he would painting. Conclusion: The composition of the Monet’s Giverny garden realized the special landscape of Western and Eastern gardens. It was concluded that this study on these results gave creative inspiration to garden designers and implications for garden-themed tourism in local areas.

      • KCI등재

        파리 폐철도부지 공원화 사례분석을 통한 산업유산 공원조성에 대한 시사점 고찰

        양건석(YANG Geon-seok)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5 프랑스문화연구 Vol.31 No.-

        Cet article a pour objectif de faire le lien entre la réalisation des parcs publics et le patrimoine ferroviaire dans l’ensemble de la ville de Paris. Ce projet pour la régénération de la ville alliant les réseaux des chemins de fer à divers parcs et jardins publics nous a donné des solutions pour promouvoir la ville au niveau culturel, économique et écologique. Tout d’abord, le dessin des infrastructures des transports ferroviaires dans la ville a été utilisé pour créer un “réseau vert” afin de relier les différentes zones urbaines. Ce réseau permet d'améliorer la circulation des citoyens et de réorganiser la structure urbaine en infrastructure écologique. Ainsi, le gouvernement français et la SNCF ont decidé de la création de ce réseau écologique basé sur l’héritage de l’industrie ferroviaire dans l’intérêt des habitants. Ces parcs publics sont considérés comme un renouvellement d’espaces verts pour les citoyens qui peuvent desormais profiter de nouveaux lieux abritant les diverses activités culturelles de la ville. Dès lors, le projet de la régénération urbaine a permis de préserver le patrimoine industriel ferroviaire parisien tout en concevant des lieux pour les citoyens. Dans le cas de la Corée du sud, le gouvernement coréen, manque d’expérience dans la régénération urbaine utilisant le réseau ferroviaire existant. Le succès français dans ce genre de régénération urbaine nous a demontré qu’il etait possible de sauvegarder le patrimoine industriel et l’identité historique tout en développant une structure durable et en créant une ville pour les citoyens

      • KCI우수등재

        조경관점의 녹색건축 인증기준에 대한 방향 정립

        차욱진,남정칠,양건석,Cha, Uk Jin,Nam, Jung Chil,Yang, Geon Seok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4

        본 연구는 현재 시행 중인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의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평가 기준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아울러 2012년 11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3년간 녹색건축통합운영시스템(G-SEED)에서 인증 받은 총 78개의 건축물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이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현재 시행 중인 녹색건축 인증제도에 대해 네 가지의 논점을 도출하였다. 논점 1, 조경분야의 평가항목인 생태분야는 이산화탄소 저감에 확실한 성과를 보이는 항목이다. 이에 생태분야는 8개의 건축물에서 필수평가 항목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논점 2, 조경분야는 전문성이 매우 뛰어난 분야이다. 타 분야에서 조경분야를 평가한다는 것은 올바른 평가를 저해하는 요소이다. 그러므로 생태분야의 평가는 조경전문가에 의한 평가를 하여야 한다. 그리고 타 항목 중 "기존대지의 생태학적 가치"의 평가와 같은 조경분야와 밀접한 항목의 평가는 조경분야에서도 평가에 참여하여야 한다. 논점 3, 조경 식재에 의한 에너지 저감 및 온도저감의 우수성은 많은 선행연구에서 밝혀졌다. 이에 조경 식재의 에너지 저감에 대한 평가항목이 추가되어야 한다. 논점 4, 유지 관리분야에 수목관리항목이 신설되어야 한다. 2013년 "녹색건축조성지원법"이 제정 시행된 녹색건축인증제도는 건축물의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실효적인 제도임에 틀림없다. 이 법은 특별법의 성격으로 건축법의 우위에 있어, 건축물을 건축하기 위해서는 꼭 지켜야 하는 법이다. 이러한 법 체제 아래 건축분야에서는 이 법과 관련된 많은 연구 및 다양한 제품의 생산으로 건축의 또 다른 먹거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조경 분야에서는 "녹색건축조성지원법"에 대해 건축 분야에 비해 관심이 저조하였던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 녹색건축인증제도에 대한 조경분야의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조경 산업계에서도 더욱 큰 관심을 가져 이와 관련된 제품의 생산 등으로 조경의 업역 확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an analysis has been conduct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current G-SEED(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and on the 78 buildings, certified by G-SEED, for 3 years from November, 2012 to November, 2015.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four issues are driven and proposed hereinafter. Issue 1 : Nowadays, the psychological propor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building is getting greater than ever so that it shows reliable reduction of carbon dioxide. Therefore, so far as the eight kinds of buildings are concerned, the evaluation items of G-SEED must include those of landscape architecture mandatorily through its enlargement. Issue 2 : It is undesirable factor that inhibits precise evaluation on landscaping area to let other areas appraise landscape architecture because it requires outstanding professionalism. So, G-SEED should not only ensure landscaping professionalism for the correct evaluation but also let landscape area participate in assessing other areas. Issue 3 : Many previous researches turned out that landscape planting technique has excellent effect on saving energy and reducing temperature of buildings. Thus, landscape planting technique of landscape area is required to be one of the evaluation items of energy sector. Issue 4 : Tree management also has to be newly included as one of the evaluation factor for the maintenance relating to the landscape architecture. G-SEED, enacted and enforced by the Green Building Creation Support Act in 2013, surely is effective system to reduce carbon dioxide in buildings. This is a special Act in its nature that is superior to Construction Law and must be observed by all means to construct buildings. Under the umbrella of this legal system, various of researches and products are contributing to creating new jobs in construction area. However, it is a well-known fact that landscape architecture area has shown less interest on this Act than that of construction area.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hat landscape industry should conduct continuous researches on G-SEED and pay more attention to the Act enough to harvest related products and enlarge its work area.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