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공청사 복합화의 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안현호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방자치시대가 도래하면서 우리나라의 공공청사는 그 모습이 눈에 띠게 변화하였다. 행정수요의 증가와 다양한 서비스의 복합화 및 고도화로 인해 더 나은 삶을 위한 시민들의 요구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단일 기능의 행정업무만 처리하는 공공청사가 아닌 시민들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 복합청사를 건축·계획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서비스의 복합화와 고도화의 요구를 반영한 공간과 공공청사 복합화의 유형과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 복합청사 건축계획안 제안을 목적으로 둔다. 공공청사 복합화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의 방법을 설정하였다. 선행연구들과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공공청사의 정의, 건축에서의 복합화, 공공청사 복합화의 필요성과 그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시대의 요구에 맞춰 변화한 공공청사의 변화양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후, 공공청사 복합화의 유형을 도출 할 수 있는 분석요소를 바탕으로 사례분석을 진행했다. 연구의 범위는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복합청사를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2000년대 이후 준공된 혹은 준공예정인 복합청사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지정하였다. 건물형태 분석, 출입구 형태 분석, 완충공간 형태 분석, 대민업무공간-완충공간-복합화공간 간의 연계성 분석을 통해 공공청사의 복합화에서 주로 나타나는 유형을 도출 할 수 있었다. 건물형태에 있어서는 대지 내 복합화 공간이 청사공간과 하나의 건물로 배치되는 집적형과 브릿지나 테라스를 통해 연결한 연결형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했다. 출입구 형태의 경우 복합화 공간과 청사 공간이 각각 분리되는 출입구를 가지고 있는 입구분리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완충공간 형태 분석의 경우 완충공간이 외부광장이나 중정형태를 띠고 있는 중정형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대민업무공간-완충공간-복합화공간 간의 연계성 분석의 경우 세 공간이 시각·동선적으로 모두 연계되는 유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두 번의 종합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건물 형태 유형은 출입구 형태 유형과 관계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완충공간 형태 유형은 대민업무공간-완충공간-복합화공간 간의 연계성 유형과 관계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복합화 된 공공청사는 여러 프로그램의 결합으로 인해 생기는 요인들의 영향을 받아서 건축 계획됨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도출된 유형들을 설계개념으로 한 복합청사 계획안을 계획하였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상이한 프로그램을 가진 복합청사의 운영효율을 높이기 위해 분동형 복합청사를 계획하였다. 이에 약화 될 수 있는 시설들 간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연결데크 공간을 추가하고, 내부순환동선을 조성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대공간·아트리움, 광장, 그린존을 계획하였다. 또한, 내부와 외부가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완충공간을 계획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청사가 지역 내에서 열린공간으로서 기능하게 하고, 소통의 장으로서 역할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공공청사의 복합화 유형을 바탕으로 한 복합청사 건축 계획안은 향후 복합청사를 계획함에 있어 방향을 제시했음에 의의를 가진다.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local autonomy, the appearance of public buildings in Korea has changed remarkably. Due to the increase in administrative demand and complexity of services and advancement of various services, the demand of citizens for a better life continues to increa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uild and plan a complex building including various functions that can meet the needs of citizens, not a public building that handles only a single function of administrative work.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public building complexes that reflect the demand for the complexity and advancement of various services, and to propose a complex building plan based on this. In order to grasp the type of complexity of public buildings,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 was set up.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definition of public buildings, complexity in architecture, the necessity and effect of complexity of public building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changes in public buildings that hav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the times were examined. After that,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factors that can derive the type of complexity of public buildings. As for the scope of the study, complex buildings with two or more different functions were selected, and complex buildings completed or scheduled to be completed after the 2000s were designated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building shape, entrance type analysis, buffer space type analysis, and linkage analysis between public work space-buffering space and complex space,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types that mainly appear in the complexity of public buildings. In terms of the building type, the number of integrated spaces in the site where the complex space is arranged as a single building and the connection type connected through a bridge or terrace occupied the largest number. In the case of the entrance type, it was found that the entrance separation type, which has an entrance to which the complex space and the building space are separated, was found to be the largest. In the case of the buffer space type analysis, the modulus type in which the buffer space takes the form of an external square or a modulus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In the case of the analysis of the linkage between the public work space, the buffer space, and the complex space, it was found that all three spaces were visually and dynamically conn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wo comprehensive analyses were conducted, and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type of building type was related to the type of entra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type of buffer space had a relationship with the type of linkage between the public work space, buffer space, and complex space.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complex public building was planned for construction under the influence of factors caused by the combination of various programs. A complex building plan based on the design concept of the types derived in this way was planned, an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In order to increas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complex buildings with different programs, a branch-type complex building was planned. Accordingly, in consideration of the linkage between facilities that can be weakened, a connection deck space was added and an internal circulation line was crea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a large space, atrium, square, and green zone were planned. In addition, a buffer space was planned so that the inside and the outside could be naturally connected. Through this, the public building was configured to function as an open space within the region and serve as a place of communication. The plan for the construction of complex buildings based on the complex type of public buildings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ed a direction for planning complex buildings in the future.

      • 임차가구의 전월세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가구의 경제적 특성과 보증금 대출의 효과를 중심으로-

        안현호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housing rental market in South Korea, where both jeonse (long-term lease with a lump-sum deposit) and monthly rent co-exist, renter households can choose their housing sub-tenure type. In this process, households decide whether to opt for jeonse or monthly rent based on their ec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income, assets, as well as macro-level market conditions such as housing prices and housing stock. However, since the 2010s, significant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South Korean rental market, with a decrease in the proportion of jeonse and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monthly rent households. This transformation is attributed to the financialization of jeonse, marked by the conversion of jeonse into monthly rent and the expansion of loans for jeonse deposits. Given that housing choices are influenced by the context of the housing market and changes in demographics, society, and the economy, recent fluctuations in the rental market are expected to have altered the mechanisms driving tenure choices for household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housing sub-tenrure choice for rental households from 2016 to 2021, reflecting the recent context of the rental market using microdata from Korea Housing Survey.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s on whether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such as income, assets, employment status, and the jeonse loan, have differential effects on the choice between jeonse and monthly rent. The study also investigates whether these effects vary over time. The analysis showed that household income, assets, employment status, and the presence of loans for jeonse deposits had varying impacts on the choice between jeonse and monthly rent. Notably, the influence of assets and the use of jeonse loans in the rental market increased over time. Higher-income households tended to prefer monthly rent, whereas those with greater assets were more inclined to choose jeonse, suggesting that affluent households use their capital to cover the high jeonse deposit. Additionally, households with moderate income levels opted for monthly rent within economic constraints to maximize housing utility. The wealthiest segment had the highest likelihood of choosing jeonse, while households with middle-income were more likely to choose monthly rent.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impact of income and assets on the choice between jeonse and monthly rent varied across different socioeconomic strata. Differences in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household head also led to variations in the housing tenure choice, with self-employed households having a higher probability of choosing monthly rent compared to regularly employed households. Lastly, the use of jeonse loan deposits emerged as a crucial factor influencing the choice of jeonse,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for the financialization of jeonse. Through these results, the study verifies the hypothesis that renter households differentially choose between jeonse and monthly rent based on their economic characteristics, even in the recent context of the housing market. It particularly emphasizes the continuously strengthening effect of household assets. Additionally, by analyzing the impact and trends of the existence of loans for jeonse deposits, the study empirically validates the growing trend of the financialization of jeonse. Finally, the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s variables that were not previously considered as major factors, incorporating the continuous spectrum of rental decisions existing in the housing market. This provides new insights into the housing choices of rental households. 전세와 월세가 공존하는 국내 주택임차시장의 고유한 특징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임차가구는 시장에서 주거의 점유형태를 선택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가구는 가구의 소득, 자산 등의 경제적 특성과 주택가격, 재고 등 거시적인 시장 상황에 맞춰 전세 혹은 월세로 본인의 점유형태를 결정한다. 그런데, 2010년대 이후 국내 전월세 시장에서 전세 가구의 비중이 낮아지고 월세 가구의 비중이 높아지는 전세의 월세화, 전월세 보증금 대출의 확대로 인한 전세의 금융화를 중심으로 크게 변화하고 있다. 가구의 주거 선택은 주택시장의 맥락과 인구, 사회, 경제적 변화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최근 전월세 시장의 변동은 가구의 주거 선택의 작동 기제를 변화시켰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의 전월세 시장의 맥락을 반영한 2016년부터 2021년까지의 주거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하여 임차가구의 점유형태 선택 요인을 분석한다. 특히, 가구의 소득, 자산, 고용 형태와 같은 경제적 특성과 보증금 대출 여부를 중심으로 해당 가구의 특성이 전월세 선택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그 효과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라지는지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임차가구의 소득, 자산, 고용 형태, 전월세 보증금 대출 여부는 전월세 선택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전월세 시장에서 자산, 전월세 보증금 대출 여부의 효과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인 결과를 살펴보자면, 가구는 소득이 높을수록 월세를 선택할 확률이 높았고, 자산이 높을수록 전세를 선택할 확률이 높았다. 이는 자산이 많- vi -은 경우 가구는 자기 자본을 활용해 전세 주택의 높은 보증금을 지불한다는 것이고, 자산 축적의 정도는 낮지만 평균적인 소득 수준이 높은 가구는 경제적 제약 내에서 최대의 주거 효용을 위해, 월세를 선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자산의 최상위 계층에서 전세를 선택할 확률이 가장 높았고, 중산층 정도의 소득 수준을 보이는 가구가 월세를 선택할 확률이 가장 높았으며, 소득 및 자산의 연속적인 차이와 더불어, 전월세 선택에 대한 소득 및 자산의 영향이 계층에 따라 서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구주의 고용 형태에 따라 전월세 선택에 차이가 발생하였는데, 특히 정규직 가구에 비해 자영업 가구는 월세를 선택할 확률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임차 보증금 대출 여부는 가구의 전세 선택에 주요한 영향 요인이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전세의 금융화’를 실증적으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임차가구가 경제적 특성에 맞춰 전세와 월세를 차별적으로 선택한다는 기존의 가설이 최근이 전월세 시장을 기반으로도 유의하다는 것을 입증하였으며, 특히 계속적으로 강화되는 가구 자산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가구의 전월세 보증금 대출 여부가 전월세 선택에 미치는 영향과 추세를 분석하여 최근 심화되는 전세의 금융화 현상을 실증적으로 검증했다. 마지막으로 기존에는 주요 요인으로 다뤄지지 않았던 변수들을 포괄적으로 검증하고, 실제 시장에 존재하는 임차 결정의 연속적인 스펙트럼을 모형에 반영하여 임차가구의 주거 선택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한다.

      • 학교 영양(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인간관계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안현호 수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suggest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measures to improve dietitians(nutrition teachers)' job satisfaction by researching th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stress index in accordance with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ype of school dietitians(nutrition teachers), understand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ype, and consid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in accordance with individuals' tendency. Randomly selecting elementary/middle/high schools focusing on schools in the capital area,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000 dietitians(nutrition teachers) currently working for schools. The collected 45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SPSS v.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process of the collected data. Fo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ype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working matters, the cross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see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index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orking matter,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ype, the one-way ANOVA was performed. As a post-test method, the Scheffé test was conducted. Lastly,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index,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are like below. In the results of analysis, regard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ype of dietitians(nutrition teachers), the 'open-type' was the highest, which was followed by 'self-assertive-type', 'isolated-type', and 'careful-type' in order.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group of ‘regular work’, ’contract work’, ’daily work’, and ‘nutrition teacher’, the 'self-assertive-type' was relatively a lot shown while the 'open-type' was relatively a lot shown in 'non-regular work' and 'dietitian(accountancy)'. Regarding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the highest, which was followed by 'job itself', 'working environment', and 'performance assessment & benefits package' in order. Also, dietitians(nutrition teachers) were old with much career experience. In case of regular nutrition teachers, their job satisfaction was relatively high. According to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ype, in case of the 'open-type' or 'careful-type', their job satisfaction was relatively high. Regarding the overall job stress, the 'job demand' was the highest, which was followed by ‘inappropriateness of reward', 'organizational system', 'interpersonal conflict', 'workplace culture', 'job instability', and 'absence of autonomy' in order. In case of the group in 45-year old or less, with career experience for 20 years or less, and indefinite-term contact work, relatively high stress indexes were shown in some areas. In accordance with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ype, the overall job stress index was high in the 'self-assertive-type' or 'careful-type'.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index, all the area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garding the job satisfac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realize the non-discriminatory wage system and also to improve the concrete system for the improvement of wage/promotion/benefits package. Also, regarding the job stress, it would be needed to have counter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job stress of young and non-regular dietitians with less career experience. In case of the self-assertive-type, there should be personal effort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to reduce job stress as well. For the purpose of the achievement of educational goals, the improvement of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factors of dietitians(nutrition teachers) should be preferentially handled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meal quality.

      • ScissionLite : IIoT 환경을 위한 분산 심층 신경망 추론 가속화 프레임워크

        안현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용 사물 인터넷(IIoT) 애플리케이션은 엣지 컴퓨팅을 활용하여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층 신경망(DNN) 모델을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은, IIoT 장치와 네트워크 엣지에 걸쳐 분할 및 배포되어 전반적인 추론 성능을 개선하고 산업용 입력 데이터의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IIoT 장치와 엣지 간의 낮은 네트워크 성능은 종종 병목 현상을 야기한다. 이 연구에서는 TL(Transfer Layer)을 사용하여 분산 DNN 추론을 가속화하기 위한 전체적인 프레임워크인 ScissionLite를 개발하였다. TL은 심각한 정확도 저하 없이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이기 위한 DNN 모델의 최적 분할 지점에 삽입되는 전송 레이어이다. TL의 경우 성능이 제한된 IIoT 장치를 위한 새로운 경량 다운/업샘플링 네트워크를 구현하였다. 또한, ScissionLite는 TL이 삽입된 상황에서 분할된 DNN을 배포하기 위한 ScissionTL, Prprocessor 및 Offloader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3가지 컴포넌트를 통해, DNN의 최적 분할 지점을 결정하고, TL을 포함하여 사전 훈련된 DNN 분할을 준비하고, IIoT 장치 및 엣지에서 DNN 분할을 실행한다. 분할된 DNN 모델에 TL을 사용하는 것은 무시할 수 있는 오버헤드가 든다. ScissionLite는 로컬 장치에서 실행하는 것과 기존의 최신 모델 분할 방식에 비해, 추론 수행 시간을 각각 최대 16배, 2.8배까지 향상시킨다. 또한, ScissionLite는 ImageNet 데이터 세트의 경우 0.7 – 1.0%, X-SSD 데이터 세트의 경우 0.0 – 0.4%의 정확도 하락으로, 허용 가능한 추론 정확도를 제공한다. Slicing deep neural networks (DNN) model and distributing across the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device and edge server can complement the lack of computing capacity of the IIoT devices. However, low network bandwidth between the IIoT device and the edge server often degrades the inference performance. To handle this issue, we propose ScissionLite, a framework for accelerating distributed DNN inference using Transfer Layer (TL).TL is embedded between the sliced DNN model to reduce the size of the transferred data. we apply a thin down/upsampling network in order to reduce the additional computational burden of the IIoT devices. ScissionLite is composed of three components, ScissionTL, the Preprocessor, and the Offloader. ScissionTL automatically detects the optimal slicing point of the DNN. The preprocessor prepares the pre-trained TL embedded DNN model and the offloader is a runtime platform for executing the distributed inference on the IIoT devices and the edge server. ScissionLite improves the execution of the inference by up to 16 times compared with the execution on the local device and 2.8 times compared with the latest model slicing approach. Additionally, ScissionLite presents only 0.7 – 1.0% of accuracy drop with the ImageNet dataset and 0.0 – 0.4% with the X-SSD dataset.

      • 지속가능한 친환경 타운하우스의 공간디자인 연구 : 부산 근교 단지형 타운하우스에 관한 계획 중심으로

        안현호 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급속한 산업발달로 경제가 성장하고 도시화로 인하여 좁은 국토에 많은 인구가 살 수 있는 고층집합주거인 아파트가 대표적인 주거문화로 자리 잡게 된다. 하지만 양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점을 둔 나머지 질적인 부분의 문제점이 점차 발생하게 된다. 이에 거주자들은 급속한 사회변화와 산업화 속에서 다시 여유를 찾고 건강을 중요시하는 생활양식에 주목하게 된다. 따라서 친환경성을 추구할 수 있는 생활방식과 자연친화적인 공간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주거환경을 추구하게 된다. 이 시점에 새로운 주거유형으로 친환경적인 저층집합주택 중 타운하우스와 같은 새로운 주거유형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거주자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더불어 친환경적이고 접근성이 용이한 쾌적한 주거공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생활공간을 영위하기 위해 반드시 친환경적인 공간디자인 연구는 오늘 날의 시점에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거주자를 위한 주거공간을 친환경적인 접근방법에 의한 새로운 대안으로 지속가능한 친환경타운하우스를 제시하고자한다. 더불어 나아가 본 연구는 아직까지 대부분 상류층을 위한 고급형으로만 계획되어지고 있는 한계성을 극복하고, 고가의 수입자재 사용보다 중상층을 대상으로 하며, 태양열 이용, 우수저장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개발이 가능한 친환경 타운하우스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과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제 1장에서는 지속가능한 친환경 타운하우스의 공간디자인 연구배경과 목적, 그리고 범위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제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지속가능한 친환경 타운하우스 공간디자인을 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적인 부분을 고찰한다. 친환경 타운하우스 공간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환경여건을 제시하기 위해 현재 국내주거유형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새로운 주거방향으로 타운하우스를 제시한다. 그리고 타운하우스의 현황 및 특성을 분석하여 기본적 개념과 특징을 파악하고, 친환경 건축의 개념과 동향을 통하여 디자인 특성을 파악하여 본 연구의 기본적 개념과 디자인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제 3장에서는 국내 타운하우스의 사례분석에 있어 앞에서 제시된 선정기준을 바탕으로 사례를 분류한다. 그리고 앞에서 분석된 10가지 친환경 요소를 통해 선정된 국내 타운하우스 사례의 친환경요소 및 특성을 분석하며, 또한 기본적인 개요와 단위세대의 공간형태 및 디자인특성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분석된 자료를 통하여 향 후 본 연구의 지속가능한 친환경 타운하우스 공간디자인의 기본적인 방향으로 활용하고자한다. 제 4장에서는 디자인 제안 과정으로 앞서 조사 및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하여 21세기 우리나라의 주거유형에 보다 더 쾌적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이 가능한 친환경 타운하우스를 제안하고자한다. 제 5장에서는 결론으로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인간, 자연, 공간이 조화가 될 수 있는 시스템을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되며, 앞으로 지속가능하면서 다양성을 가질 수 있는 친환경적 타운하우스를 통하여 국내 주거환경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더불어 나아가 수도권에 인접되어 개발되고 있는 현 시점에 보다 더 활발한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게 지속적으로 다양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축소모형실험을 통한 근접터널의 거동에 관한 연구

        안현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로터널은 우리나라에서 대부분 근접터널의 형태로 건설되고 있다. 근접터널은 터널 간 이격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지 않으면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용지 확보의 어려움과 선형문제, 환경파괴 우려 등으로 터널 간 이격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근접터널의 이격거리에 대하여 지반이 완전탄성체일 경우에는 터널 간 중심 간격이 굴착폭(D)의 2배, 지반이 연약지층인 경우 5배 이상으로 하면 터널 상호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접터널에서 터널 간 이격거리와 측압계수(K)의 변화에 따른 굴착단계별 터널 상호간의 거동을 축소모형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Lots of roadway tunnel have been almost constructed in forms of closely-spaced tunnel in korea. If closely-spaced tunnel is not constructed at a sufficient distance between tunnels, the problem of stability can occur. However, the case that can not secure a sufficient distance between tunnels can occure due to a difficulty in buying a lot and an issue of popular complaint and environmental disruption. Generally, tunnels are not influenced by each other when a center distance between tunnels is two times longer than tunnel diameter under the complete elastic ground and five times under the soft ground. In this study, the scaled model tests of closely-spaced tunnel by using homogeneous material were performed and induced displacements were measured around the tunnel openings during excavation. The influence of distance between tunnels and coefficient of earth pressure(K) on the behavior of closely-spaced tunnel were investigated.

      • 한국프로야구 선수들의 경기력 측정을 위한 통계기법에 관한 연구

        안현호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statistical methods for the measurement of performance of the Korea Baseball Orgnization (KBO) players Ahn, Hyun-Ho Major in Statistics Dept. of Statistics Graduate School, Daejeon University (Directed by Prof. Yoon, Young Joo, Ph. D.)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ability of the batters in KBO. In sabermetrics to measure offensive ability of the batters a lot of indices are calculated such as OPS, XR, RC and so on. In this thesis, we analyse the records of the batt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rds and offensive ability using the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rom factor analysis, we categorize the abilities of batters into five factors : getting on base, hitting power, playing time, base running and patience. Using these five factors, the k-means clustering is conducted and we cluster the batters into 4~6 groups. The results from cluster analysis show that the path for hitting ability of each batter can be described simply. We perform the various regression analysis methods to predict the offensive performance for the next year using 18 records of the batters as independent variables. M-estimation with 5 independent variables has a better result rather than OLS and MM-estimation. The common independent variables with positive effect to the offensive performance are the number of home runs, the number of sacrifice flies and on base percentage. Keywords : Cluster analysis, Factor analysis, Offensive ability of the batters, Regression analysis, Sabermetr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