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요인과 부모의 중재 행위, 아동의 이용조절 인식간의 상관관계

        안정임 ( Jung Im Ahn ),서윤경 ( Youn Kyung Seo ),김성미 ( Sung Mi Kim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3 언론과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리터러시의 다양한 구성요인들이 각각 어떠한 외부변인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특히 가정에서 부모들의 미디어 이용 중재행위와 아동들의 미디어 이용조절 인식이 아동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초등학생과 중학생 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의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과 부모의 중재행위와의 상관관계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구성요인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부모자녀 간 대화 중심의 중재행위가 유의미한 상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조절 인식도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요인별로 상관관계의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규범 준수 요인과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아동의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어떠한 측면을 고려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교육적,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t is important to approach media literacy not as a single concept but as a set of diverse sub-constructs.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how media literacy constructs were being related to family communication context where parental mediation behavior seemed to play a significant role.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ree main variables including media literacy, parental mediation, and self-awareness of media use control,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som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enhancing children`s media literacy competence.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al mediation were related in a various pattern according to the types of media literacy constructs, in which the role of parent-child con versation seemed noteworthy. Self-awareness of media use control appeared as an significant variable as well, suggesting that children with higher self-awareness tend to comply more with the norms and ethics of media us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mediation and self-awareness was discovered, albeit limi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possibility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n family settings differentiated from school-centered education. The weaknesses of the study and proposal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in conclusion.

      • 연령집단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수준 비교 연구

        안정임(Ahn, Jung-Im)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3 학습과학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와 같은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이 연령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실증적 데이터를 통해 분석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를 기회, 능력, 시민성이라는 세 가지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어린이, 청소년, 성인집단 2,1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각 연령집단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세부영역별로 다양한 차별성을 보여주었다. 즉 어린이, 청소년,성인들은 미디어의 활용과 비판적 이해, 표현과 공유, 규범준수, 관용성, 참여성, 공공성 등 세부요인별로 서로 다른 수준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각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과 정책 수립에 대한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concept of digital media literacy needs to be regarded as a complex set of multiple sub-factors, not as a single construct. In social media environment, media users are required to equip diverse literacy competences to lead a life successfully, in that users are to access, understand, create, participate, and communicate with others through the media. On a basis of digital media literacy as a "skill of life", this study explores how the extentㄴ of these literacy competences are varied according to the age variable. A wide range of survey(N=2,139)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ub-factors of digital media literacy among three age groups, that is,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some meaningful findings. The levels of digital media literacy appeared to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age and the types of literacy. Children showed relatively high level of norm observance of media use, whereas seemed weak in critical understanding of media. The group of adolescents was good at expressing and sharing their opinions and thoughts, while low in communicating with others from the perspective of citizenship. It was an interesting finding that adults tended not to comply with ethical norms of internet use, although strong in critical understanding and participatory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ongly suggest the need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suitable for each age group considering their media use patterns and literacy competences.

      • KCI등재

        디지털 격차와 디지털 리터러시

        안정임(Jung-Im Ahn) 한국언론정보학회 200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6 No.-

        이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주요 이슈인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를 수용자 복지정책의 관점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문제와 함께 고찰하였다. 매체 폭발, 수용자 선택권 무한확대로 특징지어지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의 과연 수용자 복지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가라는 문제제기를 기반으로, 수용자 복지의 대척점이라 할 수 있는 디지털 격치에 대한 논의들을 검토하고, 이것이 수용자의 미디어 활용 능력, 즉 디지털 리터러시와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향후 디지털 격차 연구의 방향성 및 수용자 복지의 정책적 방향성을 점검해 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를 비롯한 각국의 디지털 격차 해소정책은 물리적 접근 확대와 기초기술 교육에 머물러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디지털 격차는 사회구조적 제반 요인과 개인의 심리적 속성, 디지털 미디어 평가태도 및 활용능력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관련된 중층개념으로 분석되어야 한다. 특히 활용능력인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은 디지털 격차의 학술적 연구 및 정책에서 제대로 주목받지 못했다. 이 연구에서는 2단계 과정의 디지털 격차 해소 방안을 제시한다. 1단계에서는 기기보급과 기초기술 교육을, 2단계에서는 정보추구와 삶의 질 향상을 연계시킬 수 있는 능력 교육으로서의 리터러시 교육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gital divide, one of the main issues in digital media environment, in relation with the digital literacy on the perspective of audience welfare. The study explores the current state of audience welfare policy with regard to the issue of digital divide which can be seen as the dark side of this flourishing digital technology society. The barriers and enablers of the digital divide are discussed with the question of how these factors are related with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e of audience. It has been criticized that both the research efforts and the policy implementations on the digital divide had been set within the limitation of physical access to the digital equipment and technology. Recent studies suggested that the digital divide should be viewed in dynamic interaction of a variety of factors such as psychological dispositions, inner attitudes toward digital media, competence and ability of audiences as well as socio-economic status of individuals. Despite the recent inclusive discussion, however, the role of digital literacy in the digital divide remains unexplor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question of access is not just to do with equipment, but with skills and knowledge that are required to use equipment. This notion suggests an important implication for the digital divide policy establishment. This study proposes a two-stage solution for reducing the digital divide, in which the first stage focuses on physical access and technology education and the second stage on the digital literacy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디지털 시민성에 관한 연구: 미디어 리터러시와 교육경험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안정임 ( Jung Im Ahn ),서윤경 ( Youn Kyung Seo ),김성미 ( Sung Mi Kim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3 시민교육연구 Vol.4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디지털 시민성이 어떠한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파악하고, 디지털 시민성의 하위 요인에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미디어 교육 경험,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 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색하는데 있다. 청소년의 디지털 시민성은 소셜 미디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해당 미디어 환경에서 공공의 목적을 위하여 사회적 이슈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고, 타인의 입장을 고려하여 활동하며, 공익을 위한 행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성향을 의미한다. 초/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0대 청소년 89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청소년의 디지털 시민성은 참여성, 관용성, 공공성으로 명명될 수 있는 하위 요인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시민성을 구성하는 각각의 하위 요인별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참여성에는 기술적 활용, 자아표현, 학교급, 학교 미디어교육 경험 등의 순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용성에는 비판적 이해, 학교급, 자아표현, 학교 미디어교육 경험 등의 순서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공공성에는 자아표현, 기술적 활용, 부모 미디어교육 경험, 성별 등의 순서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전반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 중 자아표현 능력은 정적으로 디지털 시민성 하위 요인에 영향을 미쳤고, 기술적 활용 능력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학교급 변인도 디지털 시민성에 다양한 영향력을 미쳤는데,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참여성은 높아졌지만 관용성은 저하되고 공공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고려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디지털 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반드시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가정과 사회 전반에서 균형 있게 디지털 시민성을 계발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perception of digital citizenship among adolescents in relation with the effects of their media literacy competence and the experience of edu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899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on the perception of digital citizenship revealed 3 constructs, named ``participation``, ``tolerance``, and ``publicness``. Regression analyses of the effects of two independent variables on each of 3 constructs showed some variations. The construct of participation was explained by the order of technical use, self-expression, grade, education in school, while tolerance was affected mostly by critical understanding of media and age. The publicness of digital citizenship was significantly explained by self-expression, technical use, parental education, and sex. In general, media literacy competence seemed to exert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adolescents`` perception of digital citizenship, which led to a suggestion that itnecessary to extend and enforce media literacy education across schools and family settings to cultivate digital citizenship among adolescen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