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읽기학습장애 연구의 진단방법 분석

        안정애 ( Jeong Ae A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7 No.1

        본 연구는 국내 읽기학습장애 관련 연구문헌에 나타난 읽기장애의 개념 정의 문제, 읽기장애의 선별·진단 절차 및 진단도구의 경향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읽기장애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국회도서관과 한국교육 학술정보원(RISS4U)DB에서 추출한 1994년 이후의 논문 44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30편(68.2%)의 논문에서 읽기성취불일치(86.7%), 지능(76.7%), 제외(53.1%), 학습장애선별척도(13.3%), 읽기문제(13.3%), 기타(10.01%), 준거 중 1가지 이상을 바탕으로 읽기장애의 조작적인 정의를 제시하였다. 읽기성취, 지능, 제외준거의 3가지 항목을 적용하여 읽기장애를 정의한 논문이 15(50%)편이었다. 둘째, 선별정보가 제시된 논문은 41편(93.18%)이었다. 국어과학업성취도, 독해 및 단어재인 준거요소를 바탕으로 1단계(68.3%)를 적용하여 선별하였으며, 선별주체는 담임(67.7%)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셋째, 진단절차는 모든 논문에서 제시되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된 준거는 읽기성취(95.5%), 지능(93.2%), 제외(50%)준거였다. 23편(52.3)%의 논문에서 3단계 진단절차를 적용하였다. 지능검사(97.7%)와, 기초학습기능검사(90.9%)는 가장 많이 사용된 진단도구이다. 이러한 결과 읽기장애의 진단 시 읽기영역만의 특정성을 반영하는 좀 더 객관적인 판별절차 및 진단도구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review the definitions and concepts adapted by the different investigators and the criteria and instruments used for identifying the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y in reading in the Korean research articles. The 44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94 and 2006 were obtained through the data bank of the Korean Congress Library and the RISS-4U of the Korea Academic Research and Information Center and analys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30(68.2%) among the total 44 articles, the investigators used more than one of the following criteria, reading achievement test score(86.7%), IQ(76.7%), the exclusion criteria(53.1%), the selection rating scale(13.3), reading test(13.3%), and the special education criteria(3.1%) to operationally define learning disability in reading. The most frequently used criteria was the agreement among the 3 areas, the reading achievement test score, IQ, and the exclusion criteria(53%). 2. The 41(93.18%) studies provided informations regarding what kinds of criteria they used for identifying the children. And both the Korean language achievement test and the comprehension-word recognition test among other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as the primary selection tools(68.3%) and the tests were mainly administered by the classroom teachers(67.7%). 3. All of the studies reviewed in the present study provided informations on their diagnostic processes and the areas they searched were, the reading ability(95.5%), intellectual functioning 93.2%), and the exclusion criteria(50%). It was also, found that 52.3% of the studies applied the 3-step diagnostic method. In the diagnostic processes IQ test(97.7%) and the primary academic skill test(90.9%) were the most frequently adapted tools.

      • KCI등재
      • 학교기반 중재반응모형에 의해 진단된 학습장애 학생의 읽기 수행 특성

        안정애(An, Jeong Ae)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

        본 연구는 학교기반 중재반응모형으로 진단한 학습장애 학생의 읽기 수행 특성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문제는 첫째, 학습장애 학생은 집중적 읽기중재기간 동안 어떠한 수행수준과 진전도를 나타내는가? 둘째, 학습장애 학생은 음운인식, 단어인지, 명명속도, 독해과제를 어떠한 수준과 방식으로 수행하는가?로 설정하였다. 6개월 간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2단계 중재반응모형을 수행하였다. 단계 1에서는 1학년163명을 대상으로 1개월간 학급담임이 일반학급 교수를 제공하여 비반응자 12명을 선별하였다. 단계 2의 집중적 읽기중재는 2개월간 주 4회, 회기당 40분씩 총 32회기 동안 수행되었다. 수행수준과 진전도의 이중불일치 준거를 적용하여 비반응 학생 3명을 선정하 였다. 이들에게 K-WISC-Ⅲ 지능검사와 제외준거를 적용하여 최종 3명의 학습장애아를 진단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습장애 학생의 수행수준과 진전도는 또래에 비해 낮은 이중불일치를 나타내었다. 즉 수행수준은 하위 5%에 속하였으며, 매우 낮은 읽기 진전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학습장애 학생은 저성취 학생에 비하여 음운인식과제, 단어인지과제, 독 해과제 수행률이 낮고 명명속도가 느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who were identified to have reading disabilities while implementing the RTI in the school. Two questions were raised as follows: (1)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the achievement level and progress speed between the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slow learners during the period of intensive training; (2)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the achievement level and progress speed in the areas of phonological awareness, word recognition, naming speed, and comprehension task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tudy conducted a research on 163 first grade children and was carried out for 6 months. The two-tier response-to-intervention program was carried out with the following procedure: In the Tier 1, 163 children who entered the primary school received regular classroom instruction in reading for one month by their regular classroom teachers. 12 children who met the criteria for the at-risk children were selected for the next Tier 2 intervention program. These 12 children received intensive reading instructions for 40minute-32 sessions, 4 times a week. The 3 children who did not respond to the intervention. To confirm whether these 3 children have reading disabilities, the K-WISC-III were additionally administered. The following two major conclusions were present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3 non-responders to the Tier 2 intervention: 1.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identified by the school-based response-to-intervention approach showed very low in areas of both achievement level and reading progress speed. 2.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showed significant deficiencies in reading performance in sub-areas such as phonological awareness, word recognition, comprehension, and word naming, as comparing to those children who were slow in learning.

      • KCI등재

        치매 환자에 대한 신체건강척도의 한국판 표준화

        정성수(Seong-Su Jeong),신용재(Yong-Jae Shin),안정애(Jung-Ae Ahn),여경희(Kyoung-Hee Yeo),신석철(Suk-Chul Shin) 대한노인정신의학회 2000 노인정신의학 Vol.4 No.2

        치매 환자에 대한 동반질환 및 예후에 대한 평가는 적절한 환자관리를 위해 필요하나 그동안 만족할 만한 평가도구가 없었다. 최근에 치매 환자에 대해 동반질환 및 예후에 대해 신뢰도가 높은 평가도구인 GMHR이 계발되어 본 저자들은 이를 신체건강척도로 번안하여 표준화하였다. 연구대상은 치매 환자 35명으로 내과의사 1명, 간호사 2명에 의해 평가되었다. 신체건강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kappa 값이 0.001 이하로 매우 신뢰도가 높았다(reliability coefficient α=0.9121). 복용중인 약물의 수 및 불안정 질환의 수와의 상관은 각각 r=-0.487(p<0.01), r=-0.542(p<0.01)로 만족스러웠다. 3점 이하로 측정된 환자는 71.5%이었고 40%의 환자에서 불안정 질환이 동반되어 동반질환의 중요성을 인식 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신체건강척도는 치매 환자에 대해 쉽게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평가자 사이의 신뢰도가 높고 불 안정 질환의 수와 투여 약물의 수와도 상관성이 높은 평가도구이었다. 향후 이 신체건강척도의 신뢰도 및 예후적 가치가 검증되기 위해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평가 및 장기간의 추적관찰이 요구된다. Concurrent medical problem is common in dementia patients and critical to their care. Despite its importance, there was no bedside global rating scale for the seriousness of medical comorbidity. Lykestos et al. newly developed a reliable bedside scale, the General Medical Health Rating(GMH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tandardize the GMHR in form of Korean version(KGMHR).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35 dementia patients in nursing home. Rating was performed by 1 physician and 2 nurses. Forty percent(14/35) of patients had one or more unstable medical illnesses. KGMHR ratings no more than 3 were 71.5%(25/35) of patients. The value of interrater reliability coefficient αwas 0.9121. Correlations between KGMHR ratings and number of unstable medi-cal illnesses were high(r=-0.487, p<0.01). KGMHR ratings were also correlated with number of medications being taken for comorbid conditions(r=-0.542, p<0.01). In conclusion, KGMHR is a very reliable and simple rating scale for medical comorbidity in dementia patients. So the KGMHR could be a useful tool for evaluation of comorbidity in dementia patients. To verify the prognostic value of KGMHR, further large sized long-term study are needed.

      • KCI등재

        중재반응(RTI) 연구의 읽기 중재 요소 고찰

        김용욱 ( Young Wook Kim ),우정한 ( Jeong Han Woo ),안정애 ( Jeong Ae An ),이성환 ( Seong Hwan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2

        본 연구는 학교기반 중재반응(RTI) 모델에 기초한 연구의 경향과 읽기 중재 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국외 학술데이터베이스에서 연구조건에 맞는 대상 논문 11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관련 논문을 분석한 결과 RTI 연구의 경향은 읽기 중재의 효과, 이중불일치 준거의 타당성, 학습장애 판별체계의 타당성, 읽기 중재에 반응하지 않는 학생의 특징 등을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관련 중재요소를 분석한 결과 중재대상자는 주로 초등학교 저학년(1 ~2학년)이었고 교사 외에 다양한 전문가들이 연구 수행에 공동으로 참여하였다. 중재유형은 여러 가지였으나 조기문식성교수를 적용한 연구가 많았고 중재관련 읽기구성요소는 음운인식, 단어인지, 읽기 유창성, 어휘, 이해의 5가지였고 읽기 유창성 검사를 가장 많이 사용하여 반응을 측정하였다. 중재는 주로 회기당 30 ~ 45분씩 소집단을 구성하여 주당 2 ~ 3회 또는 매일 수행하였다. 논의에서는 초등학교 읽기 위험군 학생을 위한 중재반응 모델 수행에 필요한 연구과제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review and analyze research articles to investigate the reading intervention factors of RTI researches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y. For this study the total of 11 research articles were selected from the major journals of special education and were reviewed on subjects such as intervener, subjects, type, and procedure of intervention, instruments for response measurement, and research result. The major conclusions are as followings: First, most of research were implemented by general and special teachers and experts such as clinician and graduate students. And the subjects of research reviewed in this study were mostly first and secondgrade elementary students. Second, the types of intervention were diverse but mostly applied earlyliteracy program. The major factors in reading intervention included phonic awareness, word recognition, fluency, and understanding. Instruments for response measurement were mainly used for fluency testing which the most non-response students showed problems. Third, intervention were implemented in a small group with 2 or 3 times in a week or 30 to 45 minutes in every day. In discussion, this study suggest further research works for implementing RTI model for at-risk elementary students with reading problems.

      • KCI등재

        수학 영역에 있어 중재반응모델의 중재 요소에 대한 고찰

        김용욱 ( Yong Wook Kim ),우정한 ( Jeong Han Woo ),이성환 ( Seong Hwan Lee ),안정애 ( Jung Ae Ah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1

        본 연구는 수학 영역에 있어 중재반응모델을 적용하기에 앞서 해결되어야 할 1) 중재반응 모델의 적용 시기와 대상 2) 단(tier)의 수와 단의 성격 3) 비반응의 측정 4) 학습장애 판별방식 등에 관련한 문제들에 대해 합의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관련한 미국의 실험연구들을 분석하였다. 2007년까지의 해당 연구들을 수집한 결과 총 6편에 달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재반응모델은 주로 전학급 또는 전학년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1, 2학년 시기에 적용하고 있었다. 둘째, 2-3개의 단을 많이 채택하고 있었으며, 1단은 위험군 아동을 선별하고, 2단과 3단에서 교수의 강도를 증가시켜 나가고 있었다. 셋째, 측정도구는 주로 CBM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위험군 아동의 선별은 하위 16% 준거를 많이 사용하고, 비반응에 대한 준거는 다양했다. 넷째, 1편의 연구에서 중재반응모델을 통한 학습장애 판별이 출현율을 줄여주는 엄격한 기준이 될 수 있음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수학 영역에 있어 중재반응모델의 적용에 따른 얼마간의 방법적.절차적 문제에 대하여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나, 완전한 해결점을 도출하기에는 계속된 이론적.실험적인 검증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6 experimental studies, which applied the response-to-intervention (RTI) to the at-risk children on mathematics, were analyzed to draw a solution on the main problematic issues before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in Korea. 6 studies which have been reported from 1982 to 2007, were reviewed on issues such as: 1) appropriate time and target population for effective applying RTI; 2) numbers and types of tier 3) measurement ways to nonresponse 4) effectiveness on identifying of learning difficulties. The major conclu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ponse-to-intervention model was mainly applied to the 1st and 2nd grade students with class-wide or school-wide. Second, 2 or 3 tiers were mainly adopted and the 1st tier were used for selecting at-risk children, then the 2nd and 3rd tier were each used for increasing intensive teaching. Third, the CBM was mainly used as a measurement tool, and low-ranking 16% criteria was applied in selecting at-risk children, but criteria in nonresponse were various. Forth, it is suggested that response-to-intervention model could be a strict standard which might decrease a prevalence in identifying learning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are, though, some implications in measurement and procedural issues in applying response-to-intervention to mathematics field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however, it seems to be still needed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s to find out perfect agreement on these iss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