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자 유아교육전공자의 삶

        안우철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살아온 생애, 살아가는 삶을 심층적이고도 다양하게 조명해보고, 탐색함으로써 그 안에서 드러나는 이야기, 변화와 발달을 구체적이고도 상세하게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어떠한 삶을 형성해 가는가? 2.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 과정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한 연구 참여자는 연령별, 학력별, 경력별 분포를 고려하여 남자 유아교육전공자 8명을 선정 하였으며 본 연구는 2012년 7월 19일부터 11월 30일까지 총 16주에 걸쳐 사전면담 1회와 심층면담 4회, 연구 참여자별로 심층면담, 전화면담, 인터넷면담(E-mail, Messenger)등을 수시로 병행하였다. 전사된 자료는 영역분석과 분류분석 방법을 혼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 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어떠한 삶을 형성해 가는가?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교사가 되기 위해 대학입학이전과 교사양성기관인 대학에서 다양한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의 대학입학이전 유아교육에 관련된 경험은 자신들이 살아온 환경에서 영향을 받기도 하고,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은 채 살아온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관련 경험은 교사 역할에 대해 매력과 소망을 갖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의 유아교육과 지원 동기는 모두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장래성이나 유아에 대한 관심, 적성 등 공통적으로 자의로 유아교육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에서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은 경우가 있는 반면 반대에 부딪히기도 하였다. 셋째,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이 학부시절을 회상하였을 때, 긍정적인 경험보다는 부정적인 경험을 많이 하였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인 경험으로는 부담스러운 시선, 인간관계 형성의 어려움, 학업의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다. 시간이 지나면서 학과에 적응이 되고 성장의 발판으로 삼은 경우도 있었다. 교육실습을 통하여 교사의 역할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기 시작하였다. 교사직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교사직에 대한 자신의 마음을 조금씩 확고히 하기 시작하였다.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초임교사시절 개인적인 삶, 동료교사와의 관계, 기관장과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다양한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자신의 초임교사시절 개인적인 삶은 없었으며, 이에 대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고 나타났다. 일정하지 않은 출퇴근 시간, 과도한 업무, 잔업 등 스트레스를 받았다. 그러나 어려움 속에서도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교사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며 성실히 근무하는 자세를 보여주었다. 둘째,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초임교사시절 동료교사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낀 반면,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위해 본인이 노력한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도 있었다. 동료교사와의 어려움은 자신을 보는 시선의 의식, 무시, 편견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한 경험은 특별하게 생각하지 않는 시선, 배려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관장과의 관계는 배려와 관심을 받으며 순탄한 교사 생활을 시작하였으나 남자교사에 대한 지나친 기대감으로 불화가 생긴 사례도 있었다. 기관장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후원자로 교사를 지지해주었으며 교사는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넷째, 학부모와의 관계는 초임교사시절, 의구심, 낯섦, 어색함, 불편함으로 시작하여 오해를 부르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시간이 흐른 뒤, 교사로서 인정을 받게 되고 학부모와의 신뢰감을 형성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남자라서 힘든 점, 여자 유아교육전공자와의 차이점, 역할과 업무, 교육철학과 신념, 남자 유아교육전공자의 필요성, 비전,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를 위한 지원방안, 특별한 이야기의 요소들을 찾아내었다. 첫째, 남자라서 힘든 시기가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성추행과 같은 사회적인 문제가 나타났을 때의 걱정스런 시선을 느꼈다. 신체적 접촉은 외부의 시선으로 인해 나름의 기준과 원칙을 정하고 있었다. 기관 시설 환경의 불편함을 느낀 경우도 있었다. 또 여자교사와의 갈등 상황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자 유아교육전공자와의 차이는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 정서, 성향, 관심의 차이로 보는 관점과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는 의견도 나타났다. 차이점을 인지하고 있거나 수용, 거부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들은 현재 교사, 원장, 강사의 역할과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역할에서 오는 책임감, 보람, 가치관 등을 이야기하며 자신의 일에 만족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넷째, 유아교육전공자로서 본인만의 교육철학을 이야기 하였다. 교육의 기준점에 대한 고민, 철학의 변화에 대한 다양한 견해로 나타났다. 다섯째, 남자 유아교육전공자로서 남성 역할 부재, 아버지의 부재로 인한 문제점을 제기하며 This study examined various aspects of life of male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to learn their in-depth life story as well as changes and developments they have experienced during that life from student life to teaching career life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The objec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kind of life do male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form? 2. How do male students shape their professional identity? For the research, eight male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were selected after considering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experience that they have had. The study was carried out for a period of sixteen weeks (July 19 to November 30, 2012). The subjects had a preliminary interview as well as four in-depth interviews. In addition to that, each subject was interviewed through phone interviews, in-depth interviews, and internet interviews (via e-mail and/or messenger) on occasion.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both domain and classification analysis t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life do male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for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tudents had various experience before and after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rst, some students were influenced by their experience in choosing the major while some were not. Those who were affected by their experience displayed greater interest and desire in becoming a early childhood teacher. Second, although all students said that it was their own decision, they had different reasons as to why they have decided to study early childhood education. Some said they considered future prospect of the major, while others reflected their talent and their interest in children. Also, some families supported student’s decision to study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some were opposed to it. Third, when students were asked about their undergraduate memories, students gave more negative recollections than positive. These negative remembrance include people’s negative perception of students’ major, difficulties in their personal relationships and academics. However, some turned those difficulties into a stepping-stone for future growth. Many students took their field training experience seriously in considering their career as a teacher. During the field training, many students were able to experience first hand the work and made up their minds about whether to pursue a teaching career. Throughout the study, the students illustrated a variety of experiences they had at their first teaching post ranging from personal life to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high officers, and parents. First, most of the students said they did not have much time for personal life which caused a great deal of struggle. Many of them complained about stress from unstable working hours, excessive tasks, and extra working hours. However, even with the anxiety, most of them enjoyed and respected their profession. Second, while most of the students had difficulties with personal relationships, there was a case where a student tried to improve the situation by himself. The difficulties that the students had encountered usually associated with people’s biased perception and disrespect for the profession. For those who were able to attain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colleagues, they were able to do so by overcoming those challenges. Third, as for the relationships with high officials such as a director or staff teachers there was a case where he received firm support in the beginning of his career but it got complicated over time due to exceeding expectation. Teachers with high status usually supported male teachers without revealing themselves while the teachers strived to meet the expectancy. Fourth, the study showed indicated that many male teachers were often misunderstood by parents during their first year as a teacher, because many parents found male teachers to be strange, discomforting, and doubtful. Therefore, male teachers had to put extra additional efforts to improve the relationships with parents which they were able to achieve over time. Finally, the study also examined difficulties that male students had to confront due to their gender as well as th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addition to that, the study also looked into things like student’s educational philosophy, thoughts on the need for male students, support measures, and any other special insight they have learned from being a male stud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First, the study showed the male students had to undergo extra hardship due to their gender. For example, when sexual molestation was a hot social issue, male students felt extra pressure. The students said that there were certain principles they were to set and follow in order to avoid problems like sexual molestation. There were other complaints regarding working environment. Also, some male teachers complained about conflicts with female colleagues. Related to the second issue of whether they were being treated differently due to their gender, some responded that they were treated differently as to how parents or other colleagues perceived them while others responded that they were not treated any differently from their female colleagues. Some recognized these differences while others either accepted or denied such disparities. Third, the study discovered that male students were now involved in different professions such as teachers, principals, and instructors. Many of them showed great satisfaction and pride about what they were doing. Fourth, in their interviews, many of them discussed about their educational philosophies although it varied widely. Fifth, all students pointed out lack of mal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urged for more male involvement. There were some cases where the unique advantage of male teac

      • 영유아기 자녀와 어머니의 놀이 상호작용에서의 스마트폰간섭 척도 개발 : 자유놀이 상황을 중심으로

        안우철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와 어머니의 놀이 상호작용에서의 스마트폰간섭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스마트폰간섭 척도의 문항구성은 어떠한가? 2. 스마트폰간섭 척도의 타당도는 어떠한가? 3. 스마트폰간섭 척도의 신뢰도는 어떠한가? 영유아기 자녀와 어머니의 놀이 상호작용에서의 스마트폰간섭 척도의 문항은 문헌연구, 심층면담, 스크린타임 분석, 참여관찰 및 비참여관찰을 토대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문항은 총 60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문항에 대한 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서울, 경기, 부산, 경남 지역의 만 1세∼만 5세 자녀의 어머니 총 71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영유아기 자녀와 어머니의 놀이 상호작용에서의 스마트폰간섭 척도의 타당도는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공인타당도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영유아기 자녀와 어머니의 놀이 상호작용에서의 스마트폰간섭 척도와 김교헌 외(2016)의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와의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스마트폰간섭 척도의 신뢰도는 문항 간 내적 합치도인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여 확인하였다. 연구문제 순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스마트폰간섭 척도의 문항은 3개 하위요인과 총 2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요인명과 문항은 ‘자유놀이에 대한 반응성 저해’ 9문항, ‘자유놀이에 대한 민감성 저해’ 6문항, ‘자유놀이에 대한 자발성 저해’ 6문항이다. 둘째, 어머니의 스마트폰간섭 척도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하위요인과 총 21문항이 전체변량의 65.53%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별 설명력은 요인1(자유놀이에 대한 반응성 저해) 24.99%, 요인2(자유놀이에 대한 민감성 저해) 21.83%, 요인3(자유놀이에 대한 자발성 저해) 18.70%이다.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유아기 자녀와 어머니의 놀이 상호작용에서의 스마트폰간섭의 전체 총점과 각 하위요인 간에 .81-.90의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각 하위요인 간에서 .43-.68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에 의한 결과는 =39.865(df=11), TLI=.986, CFI=.993, NFI=.990, RMSEA=.060(.041-.081)으로 나타나 모든 지수가 권장 부합도 수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인타당도 검증결과는 본 연구의 척도와 김교헌 외(2016)의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총점 간에 .59의 상관이 있으며, 하위요인들 간에도 .28-.64 사이의 정적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영유아기 자녀와 어머니의 놀이 상호작용에서의 스마트폰간섭 척도는 타당한 도구임이 밝혀졌다. 셋째, 영유아기 자녀와 어머니의 놀이 상호작용에서의 스마트폰간섭 척도의 신뢰도는 전체 신뢰도가 .94이며 각 하위요인의 신뢰도는 .87-.92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최종 개발된 영유아기 자녀와 어머니의 놀이 상호작용에서의 스마트폰간섭 척도는 신뢰로운 도구임이 입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to evaluate smartphone Interruption in play interactions between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How should the questions on the Smartphone Interruption Scale be composed? 2. Does the Smartphone Interruption Scale retain validity? 3. Does the Smartphone Interruption Scale retain reliability? The questions of the smartphone Interruption scale in the play interactions between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s, screen-time analysis,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non-participatory observation. Validity analysis on the contents of the developed questions was conducted by a total of 60 professionals. To verify the factor structure of the questions, research was conducted on a total of 719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ged 1 through 5 years in Seoul, Gyeonggi, Busan and Gyeongnam regions. In order to verify construct validity in scale validity of smart phone Interruption in play interaction between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Concurrent validity was verified by calculating the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smartphone Interruption scale in the play interaction between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developed by study and the adult smartphone addiction scale of Kyo-Hun Kim et al. (2016).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the smartphone Interruption scale was verified by calculating the Cronbach's α coefficient, which is the internal consistency among the questions.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order of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questions for mother's smartphone Interruption scale were composed of 3 sub-factors and a total of 21 questions. Questions and factor names were 9 questions for 'hampered responsiveness to free play', 6 questions for 'hampered sensitivity to free play' and 6 questions for 'hampered spontaneity for free play'. Second, as a result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mother's smartphone Interruption scale, 3 sub-factors and 21 questions accounted for 65.53% of the total variate. Explanatory powers were 24.99% for factor 1 (hampered responsiveness to free play), 21.83% for factor 2 (hampered sensitivity to free play) and 18.70% for factor 3 (hampered spontaneity for free play).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of .81-.90 between the total score of smartphone intervention and each sub-factor in the play interactions between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of .43-.68 among each sub-factors.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 39.865 (df = 11), TLI = .986, CFI = .993, NFI = .990, RMSEA = .060 (.041-.081), demonstrating that all the indexes satisfy the recommended fit level. As a result of concurrent validity test, there was a correlation of .59 between the scale of this study and the total score of adult smartphone addiction scale by Kyo-Hun Kim et al. (2016) and a positive correlation of .28-.64 among sub-factors. Therefore, it was verified that the smartphone Interruption scale in play interactions between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developed by this study is a valid tool. Third,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smartphone Interruption scale in the play interactions between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was .94 and the reliability of each sub-factor ranged between .87-.92. Therefore, the smartphone Interruption scale in play interactions between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developed by this study was verified to be a reliable tool.

      • 한국과 일본의 물류산업 시장구조 비교 분석 연구

        안우철 仁川大學校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지금까지 한국의 물류산업은 지난 10년간 급격한 성장을 이뤄왔으며, 이러한 변화 속에 한국의 물류기업도 글로벌화 추세에 발맞추어 글로벌종합물류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물류업계 및 전문가들 사이에서 대기업의 물류자회사 설립, 인수합병 등의 2자 물류기업의 확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으며, 한국물류산업의 경쟁력 저하와 3자 물류기업의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시각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문을 해소할 만한 관련 연구나 2자 물류와 3자 물류기업의 특성의 차이에 초점을 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2자 물류기업을 가지고 있는 한국과 일본의 물류산업을 대상으로 하위 업종별로 구분하여 지난 10년간 시장구조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2자 물류와 3자 물류시장간 규모와 성장을 중심으로 평균 차이와 상관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분석하여 과연 2자 물류기업의 확대가 물류산업과 3자 물류기업의 규모 및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함으로써 최근 2자 물류시장의 확대로 인해 물류산업 내 경쟁력 저하와 3자 물류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의문을 해소하였다. 또한 한국 물류산업의 2자 물류의 확대와 3자 물류기업간 성과 차이를 원인을 규명하고자 산업조직론에서 한 산업의 수준을 설명하는 구조-행동-성과(structure-conduct-performance) 패러다임을 기업수준으로 전환한 전략-성과(strategy-performance) 가설을 적용하여 기업의 행동 즉, 기업의 전략수립과 이행과정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을 도출하고 이들 요인을 인식하는 주체를 대상으로 두 물류기업간 전략수립 및 이행과정에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물류산업은 2자 물류기업의 급격한 확대에도 불구하고 시장구조가 저(低) 집중도의 경쟁적시장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며, 일본의 물류산업은 2000년대 이후 큰 변화 없이 이미 시장구조가 완전경쟁시장에 진입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원배치분산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2자 물류와 3자 물류기업을 정의하여 구분하고 지난 10년 동안 이들 물류기업간 규모와 성장의 평균 차이와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한국 물류산업에 있어서 지난 10년 동안 2자 물류기업의 확대와 동시에 3자 물류기업의 규모(매출, 수익), 성장(매출성장률)도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2자 물류기업의 급격히 확대로 3자 물류기업의 성장기회가 상실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2자 물류와 3자 물류기업간 전략수립 주체의 인식차이를 발견하고, 전략수립 및 이행과정에서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차이가 2자 물류기업의 확대와 3자 물류기업과의 성장 차이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기독교교육에 있어서의 종교적 동기형성에 관한 연구

        안우철 삼육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if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and extrinsic religious motivation religious concept. In general psychology, motivation is defined as the interaction between insticvtive desire ans mental consciousness. In religious psychology, religious motivation is defined as the religious desires, the intricsic powers and the spiritual values shich complete the integration the personality and which tend toward the Absolute. For Christians who have intrinsic motivation, the relationship with God becomes the supreme value and they purely devote their lives to God. On the contrary, for the Christians who have extrinsic motivation, the desire toward God has a tendency to satisfy their instinctive needs and they abuse religion as one way to fulfill their needs. Religious motivation is built up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gnition of religion, and instinctive desir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llectual concept and the intrinsic and extrinsic religious motivation,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371 Hangook and Seoul Samyook High School students that were over 18years ol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tests, F-tests and x2(chi-square) with the help of the SPSS computer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 1. Students who recognize the concepts of the Scripture in a positive way have intrinsic religious motivation. 2. Students who recognize the concepts of the Scripture in a way have extrinsic religious motivation. 3. students who graduated from Sahyook Middle Schools have a greater tendency to demonstrate extrinsic religious motivation who graduated from other Middle Schools. 4. Students born to Christian parents are more likely to have intrinsic religious motivation than those who have lived as Christians less than five years. These result suggest that there is an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intrinsic and extrinsic religious motivation and the Biblical perception. Mature religious motivation may be built up by change of one's cognition through religious motivation education. This study recommends that the changes toward mature religious motivation be as follows: 1. Religious motivation is built up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gnition of religion, and instinctive desires. This study describes describes the former as " Intellectual motivation" and the later as "Internal motivation" 2. In religious motivation education, the teaching method that builds up intellectual motivation help one to think by oneself. This may be achieved through structural learning which step by step enlarges and deepens the basic concepts about the Scripture, byt not through a fragmentary way and learning through cramming. 3. The method of the religious motivation education for intricsic motivation should be efficient and practical education providing the learner with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repentance or religious desire to apply his intellectual cognition in real religious life, and to study the religious life by himself.When one realizes the fact that concepts from the Scriptures fit into life, he naturally begins to desire the Words from the Scriptures and the religious life. Religious motivation education is then reconciled with intellectual and practic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