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천시 예산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 인천대학교 특별회계를 중심으로

        정형섭 仁川大學校 行政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인천시예산결정과정을 인천대학교의 예산결정과정을 중심으로 연구한 것이다. 대학의 자율성 확대와 교육수요의 증대에 따른 재원배 분의 합리성 추구, 예산제도 및 운영의 현실화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 논문은 인천광역시 예산결정에 관한 첫 번째 심층적 사례 분석으로서 여타 특별회계뿐 아니라 인천광역시 일반회계 예산결정 과정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아울러 이 논문은 공공기관의 예산결정과정의 합리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우선적으로 본 연구를 위해 인천대학교의 재정현황과 실태에 대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인천시로부터 지원되는 전입금의 결정과 특별회계제도에 대한 개선점을 도출하기 위해 분석 틀을 정립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대학교 예산의 일반현황과 조직 및 기구, 대학의 의사결정의 특징과 3개 년도에 걸친 예산결정과정을 기초로 분석하였다. 인천대학교의 예산결정과정은 우리나라의 다른 공공기관 예산결정과정과 같이 점증주의적 특성을 보인다 할 수 있다. 대학의 의사결정은 하향적인 의사결정의 형태로 우선 행정자치부의 지침이 인천시, 인천대학교를 통해 전달되는 과정과 예산요구에 대한 사정의 과정 속에 나타났다. 상향적 의사결정 형태로서의 예산결정과정은 단과대학 및 행정부서의 요구가 기획 예산과에서 조정되어 인천시에 전달되고 있음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인천대학교의 재정규모는 특별회계의 비중이 67%, 기성회계의 비중이 33%로 특별회계 예산이 대학 재정의 2/3를 점하고 있다. 특이할 사항은 특별회계 예산 중 시로부터 지원되는 전입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대학교의 예산중 전입금의 결정은 곧바로 특별회계 예산의 편성 및 결정으로 이어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입금의 결정은 대학의 자율성과 총장의 재량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제도적으로 인천대학교의 특별회계는 대학 예산운영의 자율성 확보와 재원확보 면에서 타 국·공립 대학과 같이 일반회계로의 운영으로의 검토가 필요한 시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인천대학교의 예산은 예측이 가능한 예산으로 편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대학의 경쟁력 신장을 위해 시의 관심과 대학의 자구노력이 필요한 점과 대학예산 구조의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며 대학내부의 의사결정 구조를 정비하여야 함도 아울러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로서 분석의 결과를 일반화시키는 데는 제약이 있으며 자료수집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오류가 있음을 밝혀둔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인천대학교 예산결정과정에 관한 최초의 체계적 연구라는 데 큰 의의를 찾고자 한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udgetary process of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with a case study on the special account of the University of Incheon, which is an affiliate of the city. With its expanding autonomy and an increasing demand for college education in the region, the university is required to rationalize its resource allocation process and to improve both the system and operation of its budget-making. In this context, the current study is an attempt to find a right direction to that end and to address policy implications. This is perhaps the first in-depth research on the city's budgetary process and is expected to shed light on the complicated process of budget formulation not only in special accounts but also in the general account of the city. Also, it will serve as a basic data source for those who are interested in rationalizing the budgetary process of public organizations.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a frame of analysis which mainly comprises: a) current financial status of the University of Incheon, the organizations involved in budget preparation, and the many weaknesses and problems therein; b)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city's transfer to the university; and c) the need for and the method of changing the budget account type.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 data analysis, and interviews. Financial data were collected for the past three years, from 1999 to 2001, and a series of interviews were designed to provide qualitative information. The major characteristic of the university's budget is its incremental nature, which can be found in almost all public organizations in this country. Budgetary decision-making process has both downward and upward aspects. The downward features are found in delivering the guidelines of budget-preparation issued by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nd in the examination of the submitted budget by the city's budget officials. On the other hand, the demands of colleges and administrative agencies usually move in an upward fashion from lower echelons of the university all the way to the city council. Another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the university's budget is that the proportion of the special account has steadily grown in recent years, and the ratio of special account to the own-source account is approximately two to one as of 2001.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proportion of the city's. transfer out of the total size of the University of Incheon Special Account has become substantially large. Indeed, over the years, the decision of transfer amount has constituted the core of the university's budget preparation. The way how the transfer is determined, in turn, has implied enormous effects on the degree of the university's autonomy as well as on the president's discretionary power. The most important policy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erefore, a shift from a special account into the general account as is now adopted by other public universities in the nation; the alteration of the account type is believed to strengthen the university's autonomy, the possibility of securing 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and particularly, the predictability of the city's transfer amount. This study also addresses a few additional policy implications: a> the city's attention and care should be echoed by the university's revenue-raising efforts in order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university; b) the structure of the university budget should be modified; and c> the process of the internal decision-making is to be improved in such a direction as to expand economic rationality.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such as, for being a case study, a possible lack of external validity or some methodological errors i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Despite these possible constraints, the study has generated a number of important findings which could be very useful to researchers as well as to practitioners.

      • 지식기반 확대를 위한 인천광역시 및 지역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서상호 仁川大學校 行政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71

        오늘날 세계경제는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즉 지식의 축적이 개인이나 국가적 차원에서 부의 원천이 되고 있다는 말이다. 기존 노동 · 자본이 중심의 경쟁력과 양적 가치 중심으로 대표되는 아날로그 시대의 패러다임에서 급속한 변화와 지식 · 기술중심의 경쟁력 질적 가치 중심의 기술혁신으로 대표되는 디지털시대의 도래라는 환경변화와 과학기술 발달에 따른 공간구조의 변화는 지역이라는 개념을 희석시키고 세계가 하나의 공간이라는 개념이 필요한 의식의 변화를 요구하는 것이다. 특히 경제구조의 변화는 기업활동의 국경을 넘어 인프라 및 기술혁신 여건이 가장 잘 완비된 지역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이게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천지역의 지식기반 확대를 위해서 인천시와 지역대학이 어떠한 역할을 하여야 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이라고 하겠다. 우선적으로 본 연구를 위해 인천지역의 지식기반산업화에 따른 문제점과 인천시와 지역대학이 지역 지식기반 산업 및 경제에 미치는 역할에 대해 지역산업의 특징, 자료분석, 통계분석, 문헌연구 등을 통하여 인천지역 지식기반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지식기반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인천시와 지역대학들이 어떠한 역할을 해야되는지 분석하였다. 인천지역 산업의 특징은 수도권의 공업을 분담해 주는 생산도시 및 제조업중심의 산업지역으로 지식기반산업의 경쟁력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 원인은 인천지역 지식기반 인프라의 미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인천지역의 경우 잘 발달된 산업기반 시설에 비해 4년제 대학, 국공립 시험연구기관이 매우 부족하며, 다른 지역보다 적은 졸업생을 배출하는 등 양적으로는 부족한 인력을 공급하고 있으며, 아울러 대학원생 등 석·박사급의 고급 연구인력 양성에 있어서는 매우 미흡한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인천지역 산업 및 지역대학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연구의 결론으로 인천지역 지식기반 확대를 위해서는 인천시 및 지역대학이 역할이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지식기반시대에 인천지역은 전자정보기기, 메카트로닉스, 생물, 신소재, 환경, 물류산업을 인천산업정책의 새로운 기본방향으로 설정하고 이를 핵심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특히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따른 송도 지식정보단지 조성에 필요한 지역대학의 IT·BT등 첨단산업 육성에 필요한 전문인력 인재양성과 지역산업 수요에 맞은 맞춤형 인력양성, 그리고 인천시의 지식기반사회로 전환하기 위한 첨단 전략산업 육성 계획의 실현과 연구개발 예산의 확대 지원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하겠다. 따라서 이러한 노력들이 인천의 전형적인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지식기반산업 구조로의 변환이 가능하며, 경제자유구역내 첨단정보 산업단지의 육성 및 발전을 가속화하여 인천진역 산업을 첨단지식산업 중심으로의 경쟁력을 키워줄 것이다. Contemporary global economy is charactedzed as a knowledge-based one. In other words, the accumulation of tnowledge becomes the most critical source of individual and national wealth. Rapid paradigm shift from the analogue age represented by emphasis on the competitiveness around labor and capital and the quantitative values to the digital age accentuating the competitiveness around knowledge and technology and the qualitative values. and the changes in spatial structures in accordance with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dilute or blur the term of regional boundary as well as require us to rethink the space in the broader, global sense.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changes in economic structure will lead and accelerate the movement of business activities beyond the national boundary in a traditional sense into those regions that establish infrastructure and provide advantageous business environment for technical innovation. Thus, the pu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and local universities for the expansion of regional knowledge base. First of all, 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s in relation to the shift of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into knowledge-based one and the influences of city government and local universities on regional knowledge-based industries and economy, and proposes the roles of city government and local universities to enhance the competitive power of regional knowledge-based industries and to lead their incremental development. For this analytical purpose, this study carries out th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industy, data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and literature study. Incheon Metropolitan City area plays a role of industrial base for Seoul Metropolitan Area, a base that can be marked by both the preponderance of manufacture industries and the weak competitiveness of knowledge-based industries. These industrial characteristics of Incheon areas are primarily caused by the insufficiency of the regions infrastructure. In additiort Incheon area undergoes shortage of four-year universities and the national or local testing and research institutions, compared to the relatively well-established industrial infrastructures in that region. The shortage of advanced educational and research institutions results in the shortage of industrial manpower due to the quantitatively ingueicient supplr of university graduates and the feilure to foster the advanced research manpower such as doctoral or masters degree holders. To solve these problems of the irtdustries and local universities in Incheon region, this study proposes following measures on the basis of analis result that the expansion of regional knowledge base and the role of city government and local universities are positively correlated: (1) To keep pace with the pogression toward knowledge-based economy, city government is required to set its fundamental industrial policy direction forusing on industries such as IT equipment, meckatronics, biology, new materials, environment and logistics and to foster these industries strategically: (2) In pareicular, the establishment of Songdo knowledge and Information Industrial Complex according to the designation as Free Economic Zone is expected to create a vast demands on advanred manpower. Thus, local universities should to equipped with the sufficient capabilities to supply advanced manpower that the state-of-the-are industries induding IT and BT requires and should mate every effort to foster the customized manpower in accordance to the demands of regional industries; and (3) Incheon city government should formulate and implement the strategic plans for fostering the state-of-the-art industries required in shifting regional economy to knowledge-based one. In addition, the expansion of city budget for supporting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in the region should be not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expansion of regional knowledge base. These efforts is expected to lead the changes in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from manufacture-centered to knowledge-based one and the acceleration of the fostering and development of state-of-the-art information industries within the free Economic Zone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Incheon region as a hub of state-of-the-art industries.

      • 인천지역 교육시설의 건축환경과 실내공기질의 상관성 분석

        강승아 인천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71

        Students spend an average of 4 to 14 hours a day in Educational Facilities. Therefore, their health is greatly affected by the Indoor Air Quality of Educational Facilities. The quality of air in Educational Facilities has been deteriorated in recent years due to diversification of construction materials, increased application of chemical substances, and the lack of ventilation systems incorporated in Educational Facilities. As a result, students who spend great deal of their time in newly constructed Educational Facilities suffer from "Sick School Syndrome", a phenomenon similar to the "Sick House Syndrome". This has a potential of becoming a serious health concern, especially among young students who have not fully developed strong immune systems. Currently, the rules and regulations on the Indoor Air Quality as enfor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less strict than that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n top of this, there are only few studies conducted on the Air Quality of classrooms, not to mention the complete absence of study done o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Educational Facilities air quality and the building construction condition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background, this study presents some primary data based on the survey of classroom construction conditions and the measurements taken on the Air Quality of Educational Facilities. Relationships between the year of construction, the designs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the density of pollutants are also analyzed and are included in this study. To summarize, there i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year of classroom construction and the density of harmful chemicals present in Educational Facilities. 2008년 현재 전국의 교육시설(유치원,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대학교)은 19441개로, 신도시건설과 교육시설 개선사업으로 교육시설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한편, 최근 건물에서는 건축자재의 화학물질 사용증대, 고기밀화 및 환기부족 등의 원인으로 실내공기질 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교육시설에 있어서도 학생들은 장시간(4h~14h/1day) 실내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교실의 실내공기질은 학생들의 건강 및 쾌적성 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신체적으로 미성숙하고 면역기능이 발달되지 않은 학생들은 실내공기오염으로 심각한 피해를 볼 수 있다. 한편, 교육시설은 면적당 재실자 수가 일반 사무실보다 4배 이상이고, 교실에서 다양한 교과목의 교육으로 인해 여러 종류의 오염물질이 존재할 수 있는데 교육과학기술부의 「학교보건법」은 환경부의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에 비해서 내용이 다소 미비한 상황이며, 교육시설의 실내공기환경에 관련된 연구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교육시설의 실내공기질에 관한 기존의 연구로는, 학교 실내공기질 현장측정 및 성능평가, 친환경 자재, 환기시스템) 등에 관한 연구가 있으나 교육시설의 건축환경과 실내공기질의 상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시설의 건축환경과 실내공기질의 상관성 분석을 목적으로 인천지역 교육시설을 대상으로 신개축년도와 실내마감재 및 가구 등의 건축조건에 대한 조사와 실내온열환경,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₂), 미세먼지(PM10), 포름알데히드(HCHO),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각종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에 대한 측정 및 결과를 바탕으로 그들의 상관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 IPA 기법을 활용한 인천항 국제여객부두 항만물류서비스 중요도-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남상효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Currently, 10 out of 16 ferries operated in Korea are operated at Incheon Port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and the volume of ferries between Korea and China is gradually increasing. As of 2021, 494,666 TEUs were processed, increasing by 14.0% compared to 433,907 TEUs in 2017. Prior to June 2020, Incheon Port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was divided into Terminal 1 (Inna Port) and Terminal 2 (Yanan Port). Incheon Port Corporation invested an astronomical amount of money to open the current Incheon Port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in June to improve efficiency by minimizing passenger inconvenience, revitalizing cruise docks, and integrating and operating the Korea-China ferry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There was a study predict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future operating factors before the integrated opening of Incheon Port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but there was no research on the importance satisfaction survey of port logistics service users, providers, and indirect stakeholders during the terminal operation.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factors by collecting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data related to Korean-Chinese Car-ferry. The major factors were network, facility, cost, operation, service, and marketing. Port accessibility, ship frequency, route diversity, feeder port proximity, equipment area, maximum water depth and safety wall length, rear logistics complex activation, rent level, loading cost, storage cost, various incentives, port labor productivity, port operation professionalism, port accessibility, port and reliability, were selected as detail factors. This study used an appropriate IPA technique to survey the importance-satisfaction of port logistics service at Incheon Port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As for the analysis method, a research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case of quadrant I (maintenance strengthening area - KEEP UP THE GOOD WORK), 'port accessibility', 'ship port frequency', 'maximum water depth and wall length', 'labor stability', 'productivity', 'process', 'property', 'complex linked transportation convenience', 'safety and security' and 'service factors were calculated. In the case of quadrant II (preferably corrective effort - CONCENTRATE HERE), factors such as 'device area', 'loading equipment input number', 'background complex activation', 'rent', 'loading cost', 'storage cost', 'incentive', 'free device period', and 'relevant agency cooperation' were calculated. In the case of the quadrant Ⅲ (gradual improvement area - LOW PRIORITY), factors such as 'feeder port proximity', 'port awareness', and 'sales' were calculated. In the case of the quadrant Ⅳ (present-day maintenance area - POSSIBLE OVERKILL), 'path diversity' and 'information provision' factors were calculat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first quadrant (maintenance strengthening area), factors such as "port accessibility", "ship port frequency", "maximum water depth and safety wall length", "productivity", "process", "manpower expertise", "reliability", "complex linked transportation convenience", "safety and security service", and "information service" were calculated. Incheon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including pre-ship/shipper, loading station, and indirect stakeholders, has been newly opened, but since the terminal operators' old work and abundant KNOW-HOW are now provided, the shipping /shipper, and indirect stakeholders have been able to safely load the mile service.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econd quadrant (first of all corrective efforts), factors such as 'device area', 'loading equipment input number', 'background complex activation', 'rent', 'loading cost', 'storage cost', 'incentive', 'free device period', and 'relevant agency cooperation' were calculated. It suggests that factors such as shipping/shippers, stevedoring company/indirect stakeholders, etc. have been calculated and distributed similarly, but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in each sit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hipping/shippers, shipping/shippers have become large in terms of port service users in the past, and shipping/shippers have preoccupied an advantageous position in rate negotiations. However, as port logistics service providers have a relative advantage in determining loading rates, it is believed that it has been reflected as an improvement in terms of service users.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it emphasized the need for cooperation from related agencies such as the Port Authority and the Regional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Agency, such as expanding the provision of incentives and motivation to attract port volume. On the other hand, it is judged that the improvement in cost factors such as unloading costs and storage costs is the realization of unloading rates and the calculation of conflicting results that want to receive high-quality unloading services at appropriate cost, not low-cost high-quality unloading services. Third, in the third quadrant (gradual improvement area), factors such as 'feeder port proximity', 'port awareness', and 'sales' were calculated. In the case of shipping/shippers and indirect stakeholder groups, the Incheon Port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was newly opened after June 20, but 135 years have passed since the port was opened in 1893. As it has faithfully played a role as a logistics center in Northeast Asia since its opening, it is believed that the operation and external recognition of adjacent ports are recognized as the second highest port in Korea after Busan Por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tevedoring company group it is believed that aggressive marketing and sales were emphasized to increase transshipment cargo through active exchanges with neighboring ports and to prevent the distribution of goods to surrounding ports such as Pyeongtaek and Dangjin ports. Fourth, in the fourth quadrant (the current maintenance area), the factors of 'route diversity' and 'information provision' were calculated. There are 16 ferries in Korea and China, and they are operated with 10 routes to Incheon Port, 5 ports to Pyeongtaek and Dangjin Port, and 1 route to Gunsan Port. In light of the operational status of other ports, it is judged that it shows high satisfaction in terms of users as it provides wide information to shipping companies/shippers by applying IT technology with relatively much route d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by being limited to Korea-China ferry container cargo. Passenger transportation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due to the nature of the ferry, so I think it is a limitation that research to measur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using the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from the perspective of external customers. In addition, this study is limited to Incheon Port among Korea-China ferries, and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presen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port industry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s it is not possible to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ports operating Korea-China ferries such as Pyeongtaek, Dangjin, and Gunsan ports.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영되고 있는 한·중 카페리 항로는 전체 16개 중 10개 항로가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한·중 카페리 물동량도 점차 증가 추세에 있다. 2021년 기준 494,666TEU를 처리하여 2017년 433,907TEU 대비 14.0% 증가하였다. 2020년 6월 이전까지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은 1터미널(내항), 2터미널(연안항)으로 이원화되어 나뉘어져 운영이 되었다. 여객터미널 이용객 불편 최소화, 크루즈부두 활성화, 한·중 카페리 국제여객터미널의 통합 일원화 운영 등 효율성 제고를 위해 인천항만공사에서는 천문학적인 금액을 투자하여 현재의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을 2020년 6월 개장하였다.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 통합 개장 이전 추후 통합 운영될 경우 향후 운영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예측하는 연구는 있었으나 실제 개장 이후 터미널 운영 중 항만물류서비스 이용자, 제공자, 간접적 이해관계자의 중요도-만족도 조사 연구는 거의 없었다. 최근 개장된 컨테이너터미널인 만큼 타 항만 대비 높은 하역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문제점을 발굴하고 향상시켜 물동량 증대 및 터미널 활성화 방안 수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더 나아가 고부가가치 창출 및 신규 컨테이너 물동량 확보를 통한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중 카페리 관련 선행연구와 관련 자료들을 취합하여 요인들을 선정하였다. 대요인으로는 네트워크, 시설, 비용, 운영, 서비스, 마케팅 6개로 구성하였다. 세부요인으로는 항만접근성, 선박기항빈도, 항로다양성, 피더항 근접성, 장치장 면적, 하역장비 투입대수, 최대수심 및 안벽길이, 배후물류단지 활성화 여부, 임대료 수준, 하역비용, 보관비용,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 항만노동의 안정성, 하역장비 생산성, 화물처리 프로세스, 항만운영인력의 전문성, 선박 접안 스케쥴의 신뢰성, 무료장치기간, 복합연계운송의 편리, 항만안전 및 보안서비스, 항만정보시스템 활용수준, 항만인지도 및 평판, 항만세일즈, 홈페이지 정보제공 서비스, 항만관련 유관기관의 협력 및 조화 총 25개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 항만물류서비스 중요도-만족도 조사를 위해 적합한 IPA 기법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를 이용하여 연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Ⅰ사분면(유지 강화 영역 - KEEP UP THE GOOD WORK)의 경우에는 ‘항만접근성’, ‘선박기항빈도’, ‘최대수심 및 안벽길이’, ‘노동안정성’, ‘생산성’, ‘프로세스’, ‘인력전문성’, ‘신뢰성’, ‘복합연계운송편리’, ‘안전 및 보안서비스’, ‘정보서비스’ 요인들이 산출되었다. Ⅱ사분면(우선 시정노력 - CONCENTRATE HERE)의 경우에는 ‘장치장 면적’, ‘하역장비 투입대수’, ‘배후단지 활성화’, ‘임대료’, ‘하역비’, ‘보관비’, ‘인센티브’, ‘무료장치기간’, ‘유관기관협력’ 요인들이 산출되었다. Ⅲ사분면(점진적 개선 영역 - LOW PRIORITY)의 경우에는 ‘피더항 근접성’, ‘항만인지도’, ‘세일즈’ 요인들이 산출되었다. Ⅳ사분면(현상 유지 영역 - POSSIBLE OVERKILL)의 경우에는 ‘항로다양성’, ‘정보제공’ 요인들이 산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사분면(유지 강화 영역) 분석결과 ‘항만접근성’, ‘선박기항빈도’, ‘최대수심 및 안벽길이’, ‘노동안정성’, ‘생산성’, ‘프로세스’, ‘인력전문성’, ‘신뢰성’, ‘복합연계운송편리’, ‘안전 및 보안서비스’, ‘정보서비스’ 요인들이 산출되었다. 이는 선사/화주, 하역사, 기타 직·간접적 이해관계자 등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이 신규 개장하였지만 과거부터 현재까지 터미널 운영사들의 오래된 업력과 풍부한 KNOW-HOW가 현재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을 이용하는 선사/화주, 직·간접적 이해관계자 등이 하역서비스를 제공받음에 있어 선박이 부두에 안정적으로 접안하는 순간부터 정시성을 가지고 숙련노동자에 의해 안정적인 작업이 완료되고 있으며, 하역서비스의 완료 이후 라스트마일(Last mile) 서비스가 안전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2사분면(우선 시정노력) 분석결과 ‘장치장 면적’, ‘하역장비 투입대수’, ‘배후단지 활성화’, ‘임대료’, ‘하역비’, ‘보관비’, ‘인센티브’, ‘무료장치기간’, ‘유관기관협력’ 요인들이 산출되었다. 선사/화주, 하역사, 직·간접적 이해관계자 등 대동소이하게 요인들이 산출되어 분포되었지만 각자의 상황에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선사/화주 입장에선 과거 항만서비스 이용자 측면에서 선사/화주의 대형화가 되어 요율 협상에서 선사/화주들은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였다. 하지만 하역요율 요금 결정에서 항만물류서비스 공급자가 상대적 우위를 점유함에 따라 이에 대한 서비스 이용자 측면에서 개선 사항으로 반영되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항만공사 및 지방해양수산청 등 관계기관들의 인센티브 제공 확대, 항만물동량 유치를 위한 동기부여 등 유관기관의 협조가 필요함을 강조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하역사 입장에서는 하역비, 보관비 등 비용측면 요인의 개선사항은 하역요율의 현실화, 저비용 고품질 하역서비스가 아닌 적정한 비용의 지불에 따른 고품질 하역서비스를 제공받기 원하는 상호 상반된 결과의 요인 산출이라고 판단된다. 셋째, 3사분면(점진적 개선영역)은 ‘피더항 근접성’, ‘항만인지도’, ‘세일즈’ 요인들이 산출되었다. 선사/화주, 간접적 이해관계자 그룹의 경우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이 2020년 6월 이후 신규 개장하였지만, 인천항은 1883년 개항 이후 135년의 세월이 지났다. 개항 후 그동안 동북아 물류 중심지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온 만큼 주변 인접 항만의 환적항으로의 운영, 대외 인지도는 우리나라에서 부산항 다음으로 높은 항만으로 인식된다고 판단된다. 반면, 하역사 그룹의 경우 물동량 창출을 위해 인접항과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환적화물을 늘리고, 평택·당진항 등 주변 항으로의 물동량 분산을 막기 위해 공격적인 마케팅과 세일즈를 강조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4사분면(현상 유지 영역)은 ‘항로다양성’, ‘정보제공’ 요인들이 산출되었다. 우리나라의 한·중 카페리 16개 항로가 개설되어 있으며, 인천항 10개, 평택·당진항 5개, 군산항 1개 항로로 운영되고 있다. 다른 항만에 운영현황을 비추어 봤을 때 비교적 많은 항로다양성을 가지고 IT 기술을 접목하여 선사/화주에게 폭 넓은 정보제공을 하고 있어 이용자 측면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인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한·중 카페리 컨테이너 물동량 화물에 국한되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카페리 특성상 여객수송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여객을 이용하는 외부고객 입장에서 국제여객터미널을 이용함에 있어 중요도 및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연구가 별도로 진행되지 못한 점은 한계점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한·중 카페리 중 인천항에만 국한되어 평택·당진항, 군산항 등 한·중 카페리를 운영하는 타 항만과의 비교 분석도 진행되지 못해 추후 비교 분석을 통한 항만산업 발전방향의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인천 북항 잡화부두 운영사 통합 고려요인 평가에 관한 연구

        류승범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Recently, inflation has continued amid slowing consumption and unstable international conditions at home and abroad. Additionally, domestic production activities and consumption markets have also frozen due to liquidity deterrence policies, indicating no signs of reviving the economy. Among these, it seems unlikely that the bulk volume of Incheon Por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economic activity, will increase or recover. In particular, most of the port operators at Incheon North Port have been faced chronic deficit structures and management difficulties as the utilization rate of Incheon North Port has not improved and has faced a decline in cargo volume without meeting its annual stevedoring capacity since 2012. In addition, from a mid- to long-term perspective, it is difficult to predict an increase in the volume of goods at Incheon North Port. Also, a decrease in the port utilization rate is expected, and there are no further expansion or development plans for pier facilities in the future. In the end, discussions on the integration of the six operators of the North Port began in earnest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efficiency of the pier and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port. However, there are subtle differences in viewpoints due to different interests in the view of the integration of Incheon North Port, where private and rental docks coexist.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integration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Incheon North Port operators and existing port integration cases, and empirically analyzing the importance of factors considered when integrating Incheon North Port operators through AHP empirical analysis for port stakeholders. After reviewing existing studies and discussions with experts, three major criteria were selected as the final evaluation factors: "improving profit structure," "improving productivity," and "increasing volume of goods." Based on this, four sub-criteria were selected to construct a hierarchy, then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survey and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consideration factors in the major criteria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improving profit structure', 'increasing volume of goods', and 'improving productivity'. Secondly, after conduct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priorities of all sub-criteria using composite weights, the importance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stabilizing the stevedoring rate," "strengthening the negotiating power against the shipping and lines company," and "optimizing the number of people and facilities."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iorities reflecting the composite weight for each integrated scenario using the Likert scale (5 points), the complete integration form of the six operators at Incheon North Port was evaluated as the most important scenario, and the rest of the scenarios were evaluated to be important in the order of the larger units of integration.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the profit structure by suppressing waste factors through negotiations with shipping companies based on strengthened bargaining power when integrating bulk ports at Incheon North port. With references to the integration problem of Incheon North Bulk, the port authority has limitations in conducting intervention and arbitration due to the different environment of port management system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ion can be achieved if appropriate incentive policies from the perspective of profit structure are presented by referring to existing port integration cases so that the opportunities of the integration period are not missed. For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need for and influence of the government'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in relation to the incentives for port integration, and to expand further research on market concentration, shifting effect of cargo, and port efficiency compared with other adjacent bulk ports as expected effects of integration. Lastly, it is hoped that Incheon North Port will be reborn as a competitive port enable to attract bulk cargo throughout establishing specialized strategies after the integration process. 최근 국내·외 소비 둔화와 불안정한 국제 정세 속에 물가 상승이 지속 되고 유동성 억제 정책 등으로 말미암아 국내 생산활동과 소비시장이 얼어붙어 좀처럼 경기가 되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경제활동과 밀접한 인천항의 벌크 물동량이 증가 되거나 회복될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특히, 2012년도 이후 현재까지 인천 북항의 가동률이 제고되지 않고 연간 하역능력을 충족하지 못한 채 물동량 감소세를 직면하게 되면서 인천 북항의 부두 운영사들은 만성적인 적자구조 및 경영난에 봉착하게 되었다. 또한, 중장기적 관점에서도 인천 북항의 물동량 증가를 예측하기 어렵고 항만의 가동률 저하와 채산성 악화가 예상될 뿐 아니라 장래 부두시설의 추가 확장이나 개발계획도 부재한 상태이다. 결국, 부두 효율성 제고와 항만의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북항 6개 운영사에 대한 통합 논의가 본격 착수 되었다. 하지만 민자부두와 임대부두가 공존하는 인천 북항의 통합을 바라보는 시각에는 당사자간 이해관계가 상이하여 다소의 온도차가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천 북항의 운영사들에 대한 현황, 기존 항만 통합 사례 등을 살펴보고, 항만의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AHP 실증분석을 통해 인천 북항의 운영사 통합 시 고려하는 요인에 대한 중요도를 실증 분석함으로써 통합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 선행연구 및 전문가와의 논의를 거쳐 최종 평가요소로 ‘수익구조 개선’, ‘생산성 향상’, ‘물동량 증대’ 3가지 대분류 항목을 선정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4가지의 소분류를 선정하여 계층화를 구성 후 중요도를 조사 하였다. 설문을 통한 AHP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분류 항목에서 통합 고려요인에 대한 중요도는 ‘수익구조 개선’, ‘물동량 증대’, ‘생산성 향상’ 순으로 중요도가 분석 되었다. 둘째, 복합 가중치를 활용한 전체 소분류 항목의 우선순위를 종합 분석한 결과 ‘하역요율 안정화’, ‘선사 협상력 강화’, ‘인원 및 설비보유 최적화’ 순으로 중요도가 분석 되었다. 셋째, Likert 척도 (5점)를 사용하여 통합 시나리오별 복합 가중치를 반영한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인천 북항 6개 운영사의 완전 통합형태가 가장 중요하다고 조사 되었고 나머지 통합 시나리오들도 통합의 단위가 큰 순서로 평가 되었다. 이를 종합해보면, 인천 북항의 벌크 항만 통합시 강화된 교섭력을 바탕으로 선사와의 협상을 통해 하역요율의 안정화가 요구되고 최적화된 인원 및 설비보유를 통해 비용 낭비 요인을 억제시켜 수익구조가 개선되도록 함이 통합의 고려요인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인천 북항 부두의 통합 문제는 상이한 항만 관리체계로 인해 항만당국의 개입과 중재에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인천 북항의 통합시기를 실기 (失期)하지 않도록 타 항만통합 사례를 참고하여 수익구조 관점에서의 적절한 인센티브 정책이 제시된다면 통합의 실효성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과제로서 항만 통합의 유인 요인과 관련하여 정부의 행정적· 재정적 지원의 필요성과 영향력에 관한 관계 규명과 인천 북항의 통합시 기대효과로서 인접한 벌크화물 취급 항만과의 시장의 집중도와 물량의 전이 정도, 항만의 효율성 등의 추가적인 확장 연구가 필요하다. 끝으로, 통합 이후의 벌크화물 유치를 위한 특성화 전략 수립을 통해 항만 경쟁력을 갖춘 인천 북항으로 거듭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인천, 상해의 지역 산업구조에 관한 비교분석

        차애령 인천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문요약 인천, 상해 지역의 산업구조에 관한 비교분석 세계화가 진점됨에 따라 국가보다는 지역이 보다 중요한 경제단위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에 지역에 실효성이 있는 경제정책을 수립하자면 우선 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분석이 가장 먼저 선행 되어야 한다. 산업연관은 한나라 혹은 지역경제에서 각 산업사이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복잡한 기술경제연계라고 할 수 있다. 산업연관표는 장래의 경제계획 및 경제예측이라던가 특정 시책 등 이 갖는 경제에 대한 파급효과의 계측 등에 있어서 분석 수단으로도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발전에 있어서 유용하게 활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 논문에서 인천, 상해의 경제현황에 대해 짚어보고 인천의 2005년 산업연관표와 상해의 2005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검토하고, 한국에서 가장 역동적인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인천과 중국에서 가장 빠른 경제를 자랑하고 있는 상해시를 대상으로 인천과 상해 두 항구도시이자 공업도시의 각 1차, 2차, 3차 산업이 두 도시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하여 각 산업이 또한 두 도시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는 것이고 또 상해는 오래전부터 3차 산업을 추진하는 많은 정책들이 제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여 왜 2차 산업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도 알아본다. 비교분석한 결과 인천과 상해는 전부 아직도 2차 산업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고 특히 상해는 인천보다 더 부가가치가 낮은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상해가 건국초기부터 시행된 중공업화의 발전전략의 영향을 받아 3차 산업의 정상적인 발전을 저해하였기 때문에 각종 정책이 제시되어 시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2차 산업이 더 큰 영향을 준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차 산업이 고부가가치를 유발함으로써 그러므로 인천과 상해는 3차 산업을 추진하고 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한 정책이 제시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인천지하철 역세권 TOD 영향요인 분석을 통한 역별 통행수요 예측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정소연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55

        역세권 TOD환경 관련 연구를 보면 토지이용계획 뿐만 아니라 녹색교통수단을 포함한 대중교통 활성화에 주목하고 있지만, 중심생활권 측면에서 바라본 역세권 TOD환경과 통행수요 영향요인을 고려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그리고 인구밀도 와 산업 집적도가 높은 인천시는 대규모 신도시와 기존도심의 상대적 격차심화로 인한 불균형 발전과 원도심의 인구정체 및 고령화 등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역 세권 TOD환경요인을 고려하여‘도시철도역 중심 생활권’으로 재구성 할 필요성이 있고 실질적으로 역세권의 대중교통 통행수요를 증진시키기 위한 비교와 통행수요 예측이 가능한 모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도시철도 1호선의 역별 평균 수송실적을 설명하기 위해 다 중회귀분석 예측모형을 개발하였으며, 독립변수 선정 결과 타수단(버스) 환승통행과 관련이 있는 버스정류장수, 버스노선수, 버스평균 배차간격, 정류장 출구거리 등의 변수와 직접 이용수요에 관련이 있는 역세권 주변 현황 변수로 인구수, 직장인수,유동인구수, 상업수, 학교유무 등의 변수를 선정하였다. 이외에 인천도시철도 1호선 과 다른 노선과의 환승에 영향 변수로 환승역 유무에 대한 변수를 선정 하였다. 모형식 구축결과, 전진선택법과 단계적 선택법은 동일한 모형식이 구축 되었으 며, 이때의 조정된 결정계수(Adj. R2)는 0.655, D-W검정(Durbin-Watson Test) 결과 2.156으로 나타났다. 후진제거법(backward elimination method)을 이용한 다중회귀분 석 모형식을 구축한 결과에서는 조정된 결정계수(Adj. R2)는 0.747로 전진선택법(forward selection method)과 단계적 선택법에 비해 모형의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으 며, D-W검정(Durbin-Watson Test) 결과는 2.175로 나타남에 따라 후진제거법으로 구축된 모형식을 최종 예측모형식으로 선정하였다. 후진제거법에 의한 모형식 구축결과를 살펴보면, 주요 독립변수로는 직장인수, 유동인구수, 인구수, 환승역유무, 버스평균배차간격 등 당초 인천지하철 1호선 이용특성으로 선정된 직접이용수요, 간접이용수요 등이 모두 고려되었다. 또한 독립변수 의 다중공선성(VIF) 검토결과, 독립변수마다 일부 차이는 있으나 약 1.20~1.96 수준으로 다중공선성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모형 검증 결과에서는 상관계수는 약 0.792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역별로 살펴보면, 관측치와의 오차에서 계양역, 갈산역, 부평시장역, 부평삼거리역, 간석오거리 역, 인천시청역, 예술회관역, 인천터미널역, 선학역, 인천대입구역 등에서 오차율이 약 ±15% 이내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