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남공철(南公轍) 연행록(燕行錄) 소재(所載) 환술(幻術) 기록에 대한 연구

        안순태 ( An Soon-tae ) 한국한문학회 2019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4

        본고는 남공철의 연행록 『日記』에 수록되어 있는 그의 幻術 기록에 대해 소개하고 이 幻術 기록이 여타 연행록의 환술 기록과 변별되는 특징이 무엇인지 살핀 것이다. 남공철은 1807년 冬至使 正使로 燕行한 바 있다. 이때의 기록이 『日記』라는 제목의 연행록으로 전하는데, 본고는 남공철의 이 연행록 가운데 특히 그의 幻術 기록을 집중적으로 살피고 있다. 幻戱는 燕行에 참여하는 이들에게 꼭 보아야 할 구경거리로 여겨졌고, 대다수의 연행록에도 幻戱에 대한 기록이 남아 전한다. 남공철은 正使로서 주도적으로 환술사를 조선 사신의 관소인 玉河館으로 불러들여 幻戱를 공연하게 하고 그것을 관람했다. 그는 幻術이 사람의 눈을 속인다는 점에서 ‘不經한 일’이라고 하고는 있지만 북경의 기이한 볼거리들에 대한 그의 관심을 고려하면 이는 의례적인 언급일 뿐이다. 남공철은 총 22종의 환술에 대해 기록하고 있는데, 대개는 다른 연행록에서도 관찰되는 종목들이다. 남공철 환술 기록의 서술상 특징은 환술의 연행 장면 묘사에 치중하는 여느 환술 기록과 달리 자신이 관람한 상당수의 환술에 대해 비평을 덧붙이고 있다는 점이다. 남공철은 도구나 장치를 이용해 숙련된 몸놀림으로 관중의 눈을 속이는 ‘幻術’과, 동일한 동작을 반복 연습해 보통 사람들이 쉽게 할 수 없는 볼거리를 제공하는 ‘技藝’를 구분하고 있다. 대부분의 연행록에서 그 둘을 구분하지 않고 동일하게 ‘기이한 볼거리’로 취급하는 것과는 다른 면모다. 또 22종의 幻術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종목에 대해 幻術의 눈속임 방법에 천착하고 있다. 이는 애초부터 그가 幻術의 속임수를 간파하겠다는 마음가짐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이렇게 남공철이 환희를 관람하면서 한편으로는 技藝와 幻術을 구분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속임수의 방법을 집중적으로 탐구할 수 있었던 것은 幻戱와 幻術에 대한 충분한 사전 정보가 있었기 때문이다. 李德懋, 朴趾源, 朴齊家, 柳得恭이 사행단에 참여하여 北京에 다녀온 직후 남공철은 그들과 활발히 교유하고 있었는데, 그들로부터 幻術을 포함하여 연행 途程의 다양한 구경거리들에 대해 자세하게 들어 幻術에 대한 충분한 사전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또 燕行 전에 본 『三才圖會』 등에 수록된 그림 및 정보들이 그가 실제로 환희를 관람하며 감당할 충격을 크게 완화해주기도 했다. 이에 남공철은 幻戱를 처음 관람하면서도 그 현란함에 현혹되지 않고 幻術의 속임수를 집중적으로 탐구할 수 있었던 것이다. 또 그는 환술의 속임수를 파악하지 못하면 사행단으로 하여금 환술을 재연해 보게 하는 등 의문을 해소하고자 하는 적극성을 보이기도 했다. 기이하고 믿을 수 없는 볼거리로 여겨지던 幻術은, 연행 경험과 연행 기록이 축적되면서 그것이 속임수에 의한 것임이 밝혀지지만 그 속임수의 방법을 알아낸 경우는 흔치 않다. 技藝와 幻術을 구분하고, 幻術의 눈속임 방법을 집중적으로 고찰한 남공철의 幻術 기록은 기이한 볼거리에 대한 남공철의 관심과 함께 환술에 대한 그의 진일보한 시각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paper introduces the record of magic written by Nam Gongcheol南公轍(1760-1840) who had visited Beijing北京 in 1807, and will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records of magic. In 1807, Nam Gongcheol visited Beijing as a Dongjisa冬至使(envoy). This record is reported as a diary entitled "Diary日記." This unknown diary has recently been introduced to academia, and this article focuses specifically on the record of magic in the "Diary." The magic was considered a must-see for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visiting Beijing group, and most of the travel records still contain a record of magic. As a envoy, Nam Gongcheol led the magicians to the embassy of the Joseon Dynasty in Beijing, and brought them to magic show. He basically says that 'magic' is a 'bad thing' in that it deceives a person's eyes, but it is just a ritual reference. Rather, he had great interest in the wonderful attractions of Beijing including magic. He records 22 magics, most of which are also observed in other people's travel records. The characteristic of Nam Gongcheol's magic record is that he adds criticism to the many magic he has seen. This criticism, however, focuses more on how a magician uses a trick than going beyond a simple feeling. Nam Gongcheol distinguished between 'craft', which uses the tools and devices to practice the same movements as 'magic', which deceives the eyes of the audience with skilled movements, and provides the things that ordinary people can not easily do. This is not the same as treating most of the rituals as 'oddities' without distinguishing them.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Nam Gongcheol’s magic record is that he studying the trick for half of 22 magics. It was impossible from the beginning unless he had the attitude of trying to catch the trick of magic. The reason why Nam Gongcheol was able to distinguish magic from simple crafts and able to reveal the tricks was that he had advance information about magic. He could get these information from Park Jiwon 朴趾源, Yi Deokmu李德懋, Park Jega朴齊家 and Yu Deukgong柳得恭 who already had visited Beijing and had seen magic in advance. Additionaly, the pictures an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amjaedohoe三才圖會" etc, which were presumed to have seen before the real magic show, greatly alleviated the shock that he would have to observe the magic. So, while Nam Gongcheol was watching magic for the first time, he was able to concentrate on the tricks of magic without hitting from glitz. The magic, which is considered odd and unbelievable, turns out to be a trick by accumulating experience and record, but it is not uncommon to find out how it play a trick on people’s eyes. It is significant that Nam Gongcheol's magic record focused on how the magic play a trick on people’s eyes, shows his advanced view of magic of Nam Gongcheol.

      • KCI등재

        연행시(燕行詩)에 대한 반성적 검토

        안순태 ( An¸ Soon-tae ) 한국한시학회 2021 韓國漢詩硏究 Vol.29 No.-

        본고는 연행시(燕行詩)의 개념과 명칭, 범주 등에 대해 재검토하고 연행시 연구의 경향성을 살핀 후 연행시가 갖추어야 할 요건, 그리고 인구에 회자된 연행시들이 그 요건을 어떻게 충족하고 있는가를 살핀 것이다. 연행록의 일종인 연행시는 ‘우리나라 사행원이 북경에 다녀오는 과정에서 지은 시’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선 전기에 명조(明朝)에 다녀오는 과정에서의 기록은 ‘조천록’, 조선 후기에 청조(淸朝)에 다녀오는 과정에서의 기록은 ‘연행록’이라 한다. 조천록과 연행록을 포괄하여 ‘사행록’이라 칭할 수도 있으나 현전하는 문헌들 대부분은 청조에 다녀오는 과정에서의 기록인 점, 1421년 명의 연경 천도 이전부터 조선 사행단이 연경으로 향했던 점, 애초에 조천록이라 했던 것을 조선 후기 이래 연행록으로 통칭했다는 점, 사행록은 일본 사신단의 기록을 칭하기도 한다는 점 등으로 조선조 중국 사행기록을 ‘연행록’이라 통칭하여도 좋지 않을까 한다. 또 한시만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시를 포함하고 있는 일록 등에도 ‘연행록’이라 칭하였으므로 연행시도 연행가사, 연행일기 등과 함께 연행록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목만중은 연행시가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자료적 가치와 시적 성취를 든 바 있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행시 연구는 주로 연행시의 자료적 가치에만 주안하여 온 것으로 보인다. 이는 연행록에 대한 연구에서도 마찬가지다. 반면 시인의 시적 개성 내지 성취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향후 연행시 연구에서는 연행시의 ‘자료적 가치’와 함께 ‘시적 성취’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s a reflective review of the concept and category of Yeonhaengshi, and the name of 'Yeonhaengshi',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it was attempted to examine the tendencies of research on Yeonhaengshi, the nature of various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for exemplary Yeonhaengshi. Yeonhaengshi is a type of Yeonhaengnok. Yeonhaengshi can be said to be 'a poem written by Korean envoys while they were visiting Beijing'. Poems written by Korean envoys during their visit to Beijing are also called 'Sahaengshi'(使行詩). However, the meandering poem emphasizes the 'mission' of the envoys, so it is not appropriate as a name for a poem written by people who went to China without an official miss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Sahaengshi also refers to the poems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envoys for Japan. Therefore, as a term to refer to a poem written during a trip to Beijing, China as a member of an envoy, 'Yeonhaengshi' is more appropriate than 'Sahaengshi'. The research on Yeonhaengshi so far has been focused on 'the joy of leaving far away', 'reminiscence of history', 'exchanging poetry with Chinese writers', 'awareness of China', and 'difficulties on the road,' regardless of who the author of Yeonhaengshi is, and 'longing for hometown'. However, Yeonhaengshi, which was highly regarded in China, was thanks to the poet's poetic talent. So far, Yeonhaengshi's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the 'data value' of the content of poetry, and lacks consideration for the poet's poetic personality or achievement. In future research on Yeonhaengshi,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oetic achievement' as well as 'data value' of poetry.

      • KCI등재

        남공철 연행시 연구

        안순태 ( An Soon-tae ) 한국한시학회 2020 韓國漢詩硏究 Vol.28 No.-

        본고는 1807년(순조7) 동지사(冬至使) 정사(正使)로 연행한 남공철이 북경에 머물 때 지은 시들을 중심으로 남공철 연행시의 창작 양상을 살핀 것이다. 본고에서는 당시의 보다 구체적인 정황을 기록한 그의 일기체 연행록을 참조, 그가 북경에 머물 때 어떤 상황에서 시작에 임하였으며 그 시들은 어떤 양상을 보이고 있는가를 살피고 있다. 남공철이 북경에서 지은 시는 크게 승경(勝景)이나 고적(古跡)을 보고 느낀 감회나 객수(客愁)를 읊은 것, 그리고 청조(淸朝) 인사들과 교유하는 과정에서 수창(酬唱)한 것으로 대별(大別)할 수 있다. 그의 산문에서 회화적인 묘사에 장처(長處)가 있었듯이 남공철은 그의 연행시, 특히 북경의 승경을 두고 읊은 시에서도 이러한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고적을 답사하거나 객수(客愁)가 짙을 때에도 시를 지었는데, 이는 주관적 서정을 함축적으로 표출하는 데에 산문보다 시 양식이 적합하였기 때문이다. 한편 남공철은 북경에서 청조 인사들과의 교유에도 힘을 기울였는데, 저유인 등 직접 관소에서 만나 필담을 나눈 이들과 수창한 시가 여러 편 전한다. 이들 시는 주로 교유 인물에 대한 평이나 교유 과정에서 있었던 일을 소재로 하고 있다. 남공철의 연행시는 모두 41제 50수로 그 수가 아주 적다고 할 수는 없다. 그런데 그중 절반 이상이 북경 가는 길에 지은 것이고, 이후 여정에서는 갈수록 그 수가 줄어들고 있다. 근래 남공철의 연행록이 학계에 소개되면서 남공철 연행시가 이런 창작 양상을 보이는 이유를 추정할 수 있게 되었다. 즉 그는 일기로 연행을 자세하게 기록하는 데 힘을 기울였고 시는 부득이한 상황, 즉 흥취나 감회를 함축적으로 표현할 때나 청조 인사와 수창할 때에만 지었던 것이다. 일기체 연행록 서술에 심혈을 기울이면서도 산문으로 온전히 감당하기 어려운 때에 시를 지어, 남공철에게는 산문과 시가 연행을 기록하는 데 서로 보완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ms written in Beijing by Nam Gong-cheol, who went to Beijing in 1807 as an envoy, Dongjisa Jeongsa 冬至正使. In addition to official events, there were many restrictions on outside access, so he had so much leisure time. Nevertheless, while staying in Beijing for more than a month, Nam Gong-cheol wrote 17 poems, which cannot be said to be that many.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look at Nam Gong-cheol's poems by referring to his Yeonhaengnok, which described more specific situations at the time. Nam Gong-cheol's poems can be largely distinguished by reciting the impressions felt by seeing the wonderful scenery, old ruins, and reciting in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the people of the Qing Dyna sty. Just as Nam Gong-cheol was good at pictorial depiction in his prose, this characteristic is confirmed in his poems, especially in poems written about the wonderful scenery of Beijing. In addition, works that express the feelings of visiting the old ruins and the homesickness of a traveler are also noticeable. On the other hand, Nam Gong-cheol also worked hard to communicate with the people of the Qing Dynasty in Beijing. In particular, many poems exchanged with those who met in person, such as Chu Yu-ren褚裕仁. These poems are mainly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people in them or what happened in the process of meeting. There are 50 poems created during the traveling Beijing, which cannot be said to be few. However, more than half of them were written on the way to Beijing, and since then, the number became fewer and fewer. In recent years, as Nam Gong-cheol's Yeonhaengnok was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it is now possible to estimate the reason why Nam Gong-cheol's poems show such a pattern. In other words, he devoted himself to recording experiences in detail in prose, and poems were created only in unavoidable situations, that is, implicit expressions of emotion or having companionships with Qing Dynasty people.

      • KCI등재

        천수사(天壽寺)와 <대인(待人)> 화운시 연구

        안순태 ( An Soon-tae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6 고전문학과 교육 Vol.33 No.-

        천수사(天壽寺)는 고려조에 개성(開城) 동쪽에 있었던 사찰로 왕조 교체기에 폐사(廢寺)되었다. 천수사가 있던 자리는 교통의 요충지였기 때문에 영송(迎送)하는 사람들이 많아 조선 초 그 터에 역원(驛院) 천수원(天壽院)이 설치되었다. 이후 1476년 개성부 유수 이예(李芮)가 천수원 곁에 천수정(天水亭)을 건립하면서 천수사의 자취를 이었다. 조선 전기까지 오가는 사람들로 번화하던 천수원과 천수정은 17세기경에 사라지고, 이후 그곳은 황량한 들판으로 변했다. 고려 말에 여러 시인들이 천수사에 들러 시를 남겼거니와, 그 가운데 특히 최사립(崔斯立)의 <대인(待人)>이 인구에 회자되었다. 조선조에도 천수 사에서 지어진 시들이 많았는데 대부분 최사립의 <대인(待人)>에 화운한 것들이었다. 천수사는 왕조 교체기에 사라졌지만 19세기까지도 그 이름이 전할 수 있었던 것은 최사립의 시 덕분이었다. 이 시는 벗을 기다리는 이의 설렘과 초조함, 실망감 등 기다림이 내포할 수 있는 다양한 심경을 회화적 이면서도 역동적으로 그려 후세에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것을 표현하였다’는 등의 절찬을 받기도 했다. <대인(待人)>에 화운한 시들은 스무 편이 넘는다. 이 화운시들은 대체로 시기별로 조금씩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조선 초에는 정영위(丁令威)의 요동학(遼東鶴) 고사를 차용한 화운시들이 자주 눈에 띈다. 선술(仙術)을 닦아 학으로 화(化)해 천년 만에 고향에 돌아온 정영위가 읊조린 시변(時變)의 무상함을 옮겨와, 천수사의 풍경은 전조(前朝)와 다름이 없는데 그 풍경을 구성하는 사람들이 바뀌었음을 읊은 것이다. 이후 중종(中宗)이 이곳에 행차하면서 중종을 비롯한 여러 신하들이 일련의 차운시를 지었는데 이 시들은 대체로 왕조의 흥망을 심상(尋常)한 것으로 읊고 있다. 이는 어제시와 응제시의 특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다. 17세기에 천수원과 천수정이 사라지면서 이곳은 인적 드문 황량한 곳으로 변했다. 그러한 광경을 목도하고 쓴 화운시에는 쓸쓸한 정조가 깃들어 있음을 살폈다. 화운시는 원운(原韻)을 염두에 두고 지은 시로, 형식은 물론 의경(意境)까지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대인(待人)> 화운시들은 화운시 일반과는 구별되는 특징이 보인다. <대인(待人)>이 이루어진 공간이 ‘천수사’이고 <대인>에 대한 화운한 시인들은 원운과 특정 공간(천수사)을 모두 염두에 두고 시를 제작해야 했다. 그 결과 형식과 의경 모두 원운을 따른 시작이 산생되기도 하였고 형식은 원운을 따르되 의경은 원운과 달라진 것도 나타나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the history of the Cheonsu-Temple天壽寺 and to describe the echo verse poem trend with regard to 'Waiting'待人 and why it is beautiful. The Cheonsu-Temple was located in the outskirts of Gaesung開城, the capital city during the Corea高麗 Dynasty. However, the temple was destroyed when the dynasty collapsed. Cheonsu-Station天壽院 was built amidst the temple ruins, as the temple was an important traffic point. The Cheonsu-Pavilion天水亭 was built in 1476 by Yi-Ye李芮 in the station’s neighborhood. The station and the pavilion were completely ruined during the 17th century. Many poets visited the Cheonsu-Temple and composed poems in the latter part of the Corea Dynasty. 'Waiting'待人, written by Choi-Sarip崔斯立, -is the most famous work. Following this work, many poets composed echo verse poems 'Waiting' work that represented the anxiety of waiting for an old friend in front of the Cheonsu-Temple. The following is a highlighted verse: So many people who look like the old friend come to me, but it turned out no one was the man. This work is very picturesque. Over twenty echo verse poems 'Waiting' are categorized in three periods. They compared the “present” to the past by using the Zhenglingwei丁令威 origin from the former Joseon朝鮮 period. In the middle of Joseon period, Jungjong中宗 visited Cheonsu-Station and composed an echo verse poem 'Waiting'. The official literaries also composed poems there. In their works, they presented the collapse of the Corea Dynasty as inevitable and the construction of Joseon Dynasty as something reasonable. Cheonsu-Station was ruined in 17th century, followed after by the ruin of the Cheonsu-Pavilion. It appears that the echo verse poems to 'Waiting' in the latter Joseon period represented the ruin of the Cheonsu-Temple, the Cheonsu-Station, and the Cheonsu-Pavilion.

      • KCI등재
      • KCI등재

        영조조(英祖朝) 동촌파(東村派)의 교유양상(交遊樣相)과 교유시(交遊詩) -오원(吳瑗),남유용(南有容),이천보(李天輔),황경원(黃景源)을 중심으로

        안순태 ( Soon Tae An ) 한국한시학회 2013 韓國漢詩硏究 Vol.21 No.-

        본고는 英祖朝 ‘東村派’의 실체를 究明하고 그 핵심 구성원들의 교유 양상과 교유시에 대해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東村派’는 李圭象에 의해 붙여진 이름으로 영조조에 吳瑗·南有容·李天輔·黃景源 등을 중심으로 東村에 거주하면서 함께 어울리던 일군의 문사들을 가리킨다. ‘東村派’는 문학 유파라기보다는 교유집단의 성격이 두드러진 칭호다. 그리고 이 교유집단의 모임은 吳瑗·南有容·李天輔·黃景源 등 이른바 ‘英祖朝 四家’라 불리는 핵심 구성원들을 중심으로 지속되기는 했지만 거기에 참여한 인물들은 그보다 훨씬 많았다. 또한 이들은 주로 吳瑗의 鐘巖 東亭에 모여 시주회를 가졌다. 따라서 ‘東村派’는 東村에 거주하던 吳瑗·南有容·李天輔·黃景源을 핵심 구성원으로 하며 1724년 내지 1773년경까지 鐘巖 東亭을 중심으로 모임을 가졌던 교유 집단이라 할 수 있다. 필자는 동촌파 모임을 형성 및 정착기, 전성기, 침체기의 세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 이 그룹의 動態와 모임에서 이루어진 詩作들을 살펴보았다. 동촌파가 고정된 멤버와 빈번한 모임 횟수를 갖춘 교유집단이 된 것은 1724년 吳瑗과 南有常이 만나면서부터였다. 남유상의 아우 남유용도 이때부터 함께 어울렸고, 이윽고 이천보도 모임에 동참하였다. 그들은 빈번하게 종암 동정에 모여 文酒會를 가졌다. 이후 1728년 봄, 남유상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모임은 한때 활기를 잃게 된다. 1732년이 되어 황경원이 모임에 가담하면서 吳瑗·南有容·李天輔·黃景源을 핵심 구성원으로 한 이 모임은 1740년, 오원이 죽을 때까지 전성기를 누리게 된다. 이 시기에 모임의 핵심 구성원들은 여러 차례 四郡을 함께 유람하기도 하고 北漢山, 貞陵, 冠岳山 등 한양의 승경지를 찾아다니며 文酒會를 가졌다. 吳瑗·南有容·李天輔 세 사람은 특히 자주 東亭에 모여 시를 지었으며 그때 지은 시를 시집으로 엮기도 하고 唐 이전의 시를 선발하여 시선집을 엮기도 했다. 1740년, 오원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모임은 침체기에 접어든다. 오원은 이 그룹의 중심 인물이었고 그의 종암 동정은 이 그룹의 주 모임 장소였기에 오원의 죽음과 함께 모임은 침체일로를 걷게 된다. 그리고 이들은 예전과 같은 종암 동정에서의 성대한 문주회를 재현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전성기 시절에도 함께 어울리던 吳瓚(吳瑗의 弟)이나 南公弼(南有常의 子)이 모임을 이어 나갔으며, 오원의 손자인 吳熙常이나 吳淵常에 이르는 19세기 초반까지 그 모임이 지속되었다. 앞서 말한 것처럼 ‘東村派’는 문학 유파로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공통의 문학적 구호나 특질을 선명하게 보여주지는 않는다. 다만 그들이 대체로 공감하던 바를 범박하게나마 정리하자면, 애써 꾸며서 시를 짓지 말고 天機를 그대로 드러내는 자연스러운 시를 짓자는 것이었다. 의도한 것은 아니었을지라도 결과적으로 그들 시의 대부분은 대체로 唐風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東村派’는 이처럼 ‘天機’를 중시하던 조선 후기 한시의 흐름을 비교적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교유 집단이면서, 文酒會(雅會)를 통해 시를 지으며 고상한 취향을 지향하던 흐름이 이미 18세기 초부터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는 집단이기도 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Dongchonpa [東村派], a literary community in Joseon Dynasty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The core members of this group were O Won [吳瑗], Nam Yuyong [南有容], Yi Cheonbo [李天輔], and Hwang Gyungwon [黃景源]. They resided in Dongchon [東村] in the eastern part of Hanyang [漢陽], the capital of the Joseon Dynasty, so Yi Gyusang [李圭象] named the group ‘Dongchonpa’, or “the Dongchon Faction”. The time during which Dongchonpa was active can be divided into three distinct periods. The first period was the formative years of 1724-1732 AD. During this period, O Won and Nam Yusang [南有常] were the key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frequently came together at Jongam Dongjeong [鐘巖東亭], O Won`s country home, and wrote poems. However, during this period the group had not a large number of members and they gathered together only infrequently. The second period is considered to be Dongchonpa`s golden age, which lasted from 1732 AD to 1740 AD. During that time, O Won, Nam Yuyong, Yi Cheonbo, and Hwang Gyungwon were the key members of the group. They often came together at Jongam as before, but they also traveled throughout Hanyang [漢陽] and occasionally visited Sagun [四郡] together. The third period, the decline of Dongchonpa, spanned the years of 1741-1773 AD. After having played a key role in the group since its inception, in 1740 AD, O Won`s death was a great shock to the Dongchonpa community; without O Won, the whole of the community did not come together as before. A younger generation of writers that originated from Dongchonpa, though, gathered ontheir own, counting among their members Nam Gongbo [南公輔] and O Chan [吳瓚]. Quite a few of the members of this younger generation were the sons or brothers of the core members of Dongchonpa during its golden age. For example, NamGongpil[南公弼] was the son of Nam Yuyong, and O Chan was the younger brother of O Won. These gatherings of the younger generations of writers continued through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leading figures of the succeeding generations were the descendants of O Won, and they continued to primarily meet at Jongam Dongjeong. The members of Dongchonpa did not concern themselves with proper technique or propriety when writing poems. They usually wrote poems in the Tang Style [唐風], and several members of Dongchonpa, including O Won, Nam Yuyong, Yi Cheonbo, and Hwang Gyungwon, were the most famous writers during the reign of King Youngjo. They gathered with one another and wrote poems, commented on current topics and enjoyed collecting classical works. The primary figure in Dongchonpa was O Won and their most important place of meeting was Jongam Dongjeong throughout the group`s entire existence. Dongchonpa was the one of important literary groups during the latter Joseon Dynasty because the members of this group played a key role in the literary world of that era, and because they regarded the Dongchonpa gatherings as crucial to the development of their writing.

      • KCI등재

        투고논문 : 남공철(南公轍) 문학관(文學觀)의 변이(變移) 양상(樣相)에 대한 연구(硏究)

        안순태 ( Soon Tae A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9 한문교육논집 Vol.33 No.-

        본고는 南公轍(1760~1840)의 문학관이 轉變의 과정을 거쳤다는 전제 아래 어떠한 변이 양상을 보이는가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남공철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 관각 문인으로, 정조조에는 정조의 近臣으로 활동했고 순조조에는 정국 운영의 핵심 인물로 활동하였으며 벼슬은 영의정에 이르렀다. 남공철은 생애의 대부분을 관각문인으로 활동하기는 했지만, 실용성이 강한 관각문자보다 순문예적인 작품에 더 심혈을 기울였다. 뿐만 아니라 그는 문학에 대한 견해를 표명한 글도 적지 않게 남겼다. 그런데 그의 문학관은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파악하기에 용이하지 않다. 왜냐하면 서로 모순되는 견해들이 함께 보이기 때문이다. 서로 모순되어 보이는 남공철의 문학에 대한 언급을 두고 어떤 연구자들은 그것들을 병치하여 제시하기도 하고, 혹은 모순되는 어느 한 쪽의 입장에 서서 그의 문학관을 체계화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서로 모순되어 보이는 문학관을 타당하게 설명하고자 한 시도는 찾아볼 수 없었으니 이를 타당하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먼저 남공철의 문학관이 轉變했을 가능성을 전제해야 한다. 남공철이 자신의 문학관을 비교적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글은 ① 「與成校理大中論文章書」, ② 「與金國器載璉論文書」, ③ 「與沈穉敎象奎書」, ④ 「與朴山如南壽」, ⑤ 「答金國器載璉」 등이다. 필자는 먼저 이 글들이 지어진 시기를 고증하여 이 글들이 ①→②→④→③→⑤의 순서로 쓰여졌고 이 가운데 1784년, 남공철의 나이 25세에 지어진 ③이 그의 문학관 전변의 결정적 단서가 되는 글임을 밝혔다. 그리고 ③을 기준으로 ①과 ②는 문학관 전변 이전의 관점을 내세운 것이고 ④는 문학관 전변 도정에서 쓰여진 것이며 ③과 ⑤는 문학관 전변 이후에 쓰여졌음을 살폈다. 문학관 전변 이전 남공철은 다분히 보수적인 문학관을 드러내고 있는데, 이러한 보수적 문학관은 가학의 영향 및 수학기 스승인 金純澤의 영향으로 인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수학기의 남공철은, 문장에 구현해야 할 道가 仁義를 기반으로 한 성인의 도이며, 文은 시대를 내려올수록 쇠미해진다는 貴古賤今의 보수적 문학관을 갖고 있었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문장에서의 법도의 유연성을 인식하여 通變을 강조하기도 했는데 이 점이 그의 문학관 전변의 내재적인 동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수학기에 활발히 교유하던 박지원과 이덕무의 문학관, 특히 `古今에 대한 상대적 인식`에서도 상당한 영향을 받은 것이 확인되는데, 이것이 곧 남공철 문학관 전변의 외재적 동인이라 할 수 있다. 문학관 변화 이후 남공철은, 道가 절대적이고 고정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시대마다, 그리고 사람마다 道에 대해 다른 견해를 가질 수 있다고 하고 지금의 道를 지금의 말[辭]로 충실히 재현하는 글을 지향하면서 時文의 가치를 제고하고 있다. 이렇게 전변한 문학관은 이후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실제 그의 산문 창작 과정에도 문학관의 변화 양상이 반영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changing aspect of Nam Gongchoel`s viewpoint of literature. Nam Gongchoel is a representing person of distinguished family in the Latter-Joseon period. He worked in Joeongjo[正祖] period as a personal attendant of Jeongjo, and took up a prime minister in Soonjo[純祖] period. Even though he worked as a literary officials, he concerned about pure literature more than official literature. So he widely concerned about literature theory. However, as his viewpoint of literature includes contradictory aspect to each other, we can`t grasp his viewpoint of literature systematically. And Researchers have not settled the problem. Some have put it side by side, and others have studied Nam`s viewpoint of literature on the only one side. I think it is because they have regarded the Nam`s viewpoint of literature as a something fixed. But we should be more flexible for one`s viewpoint of literature since that can be changed through one`s life. There are some letters that he made clear about his viewpoint of literature as following: ① `A letter to Sung Daejoong commenting on writing theory`[與成校理大中論文章書], ② `A letter to Kim Jaeryun commenting on writing theory`[與金國器載璉論文書], ③ `A letter to Bak Sanyeo`[與朴山如南壽], ④ `A letter to Sim Sangkyu`[與沈穉敎象奎書], ⑤ `A letter to Kim Jaeryun`[答金國器載璉]. Since there is no record of writing times, we need to define the time when these letters were written above all. As for the time of these letters were written, it can be refered to as following: ① was written in 1781~1783, ② was written in 1781~1784, ③, ④ and ⑤ were written in 1784. 1784 was the year Nam`s viewpoint of literature was changed. He took a serious view with do[道] meaning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仁義], the core value of Confucian culture. But after the time when the viewpoint of literature had changed, he regarded the do[道] as the thing which everyone has, not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It means that he regarded the do[道] as something relative. There are Bak Jiwon[朴趾源] and Yi Deokmoo[李德懋] in the background that changed his viewpoint of literature. And before the changing, he already perceived the pliability of managing the rule when he wrote writings. It also influenced the changing. In this study, it is premised that the viewpoint of literature of Nam could be changed. And I researched the aspect and the background of the changing viewpoint of literature. When we research one`s viewpoint of literature, we need the view that some writers` viewpoints of literature could be changed.

      • KCI등재

        도봉산(道峯山) 한시(漢詩) 연구(硏究)

        안순태 ( Soon Tae An ) 한국한시학회 2012 韓國漢詩硏究 Vol.20 No.-

        근대 이전 도봉산은 서울의 산이 아니었다. 도성에서 가깝지도 않았을뿐더러 金剛山과 같은 名山처럼 일부러 찾아 나설 만큼 볼거리가 많지도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지 않은 문인들이 도봉산을 찾아 시문을 남겼는데, 본고에서는 도봉산을 두고 지은 名篇을 중심으로 한시에 드러나는 도봉산의 공간적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도봉산이 지니는 다양한 공간적 함의를 살피기에 앞서 劉希慶과 朴世堂이 도봉산과 각별한 인연을 맺고 도봉산을 두고 지은 시들을 살폈다. 유희경은 어린 시절 부친을 여의고 도봉산에서 시묘살이를 하면서 도봉산과 인연을 맺었고 南彦經을 도와 도봉서원을 건립했으며 만년에 도봉산에 깃들어 살다가 죽어 도봉산에 묻혔다. 한편 박세당은 수학기에 도봉산과 인연을 맺은 이후 수락산 西溪에 머물면서 도봉산 밖에서 도봉산을 애호하였다. 고려 시대부터 도봉산은 여러 佛刹들이 들어서 있던 佛家의 道場이었다. 도성에서 제법 거리가 있었기 때문에 超俗의 분위기가 조성되어 간간이 寧國寺 등의 사찰을 찾아 讀書를 하는 이들이 있었다. 金守溫이나 徐居正의 시를 통해 조선 전기 도봉산의 분위기를 엿볼 수 있는바, 參禪하는 禪僧들을 형상화하거나 탈속적인 면모를 부각시키는 등 佛家의 道場으로서의 도봉산의 공간적 함의를 확인할 수 있다. 도봉산이 세상에 더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573년경 趙光祖의 位牌를 봉안한 도봉서원이 들어서면서였다. 이후 1696년에 宋時烈의 위패까지 봉안되면서 도봉서원은 道脈 계승의 산실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그러한 양상을 李廷龜나 宋時烈, 李敏求 등의 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 成汝學이나 金昌協은 도봉산의 아름다운 景槪를 읊거나 도봉서원에서 독서한 경험을 두고두고 떠올리며 시를 짓기도 해서 도봉서원을 두고 지은 시의 또 다른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양과 동북쪽 교외를 잇는 곳에 위치한 도봉산은 여러 시인들의 시에서 한양의 지표로서의 의미를 띠면서 때로는 이별의 장소로 형상화되기도 하였다. 李安訥, 丁若鏞, 魚有鳳, 金尙憲 등의 시를 통해 이 점을 살폈다. Dobong Mountain did not consider as a mountain in Seoul before the modern time. It was not a mountain near the capital, and, unlike other famous mountains,there were not many spectacles to visit. However, not a few literary men visited Dobong Mountain and wrote poems about it. So I studied spatial meanings of Dobong Mountain in these poems and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ere were many poets who wrote Dobong Mountain as a daily space during thier lifetime. Yu Hee-kyung[劉希慶] had deep connection with the mountain during his lifetime. Park Se-dang[朴世堂] got a grave site to see Dobong Mountain as well. They liked Dobong Mountain as a daily space as we can find in their poems. Dobong Mountain was a spiritual place of Buddhism where several temples placed. Because the mountain was quite far from the capital, it had a supermundane atmosphere. So there were some people who studied in temples like Youngkuksa[寧國寺]. Through poems of Kim Su-on[金守溫] and Seo Geo-jeong[徐居正], we can see the atmosphere of Dobong Mountain in the Former-Joseon period. We can identity the mountain as a spiritual place of Buddhism as the poets met Buddhist monks in their poems. Dobong Mountain became more generally known in 1573 as Dobong Seowon[道 峯書院] in which enshrined Cho Kwang-jo[趙光祖]`s tablet constructed. Enshrining Song Si-yeol[宋時烈]`s tablet in Dobong Seowon in 1696, Dobong Seowon became a cradle of inheriting moral doctrine. We can see this aspect through Song Si yeol and Yi Min-ku[李敏求]`s poems. In this regard, we can see Dobong Mounatain had a meaning of memorial place of learning time at Dobong Seowon through Kim Changhyup[金昌協]`s poem. Dobong Mountain was a sign of Seoul and a place of farewell at the same time because of its location in between capital Hanyang[漢陽] and northeast suburb. This aspect was in poems of Yi An-nul[李安訥], Uh Yu-bong[魚有鳳], and Kim Sang-hun[金尙憲].

      • KCI등재

        남공철(南公轍) 문학(文學)의 연원(淵源)에 대하여 -그 가학적(家學的) 성격을 중심으로-

        안순태 ( Soon Tae An ) 한국고전문학회 2010 古典文學硏究 Vol.37 No.-

        본고는 조선후기 正祖·純祖 연간의 관각문인 南公轍(1760∼1840)의 문학이 배태된 여러 배경들 가운데 그 家學의 성격을 살핀 것이다. 그동안 가학이라는 용어는 모호하나마 先代로부터 이어받은 학문적?문학적 전통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조선시대 문집에서는 집안에서의 학문·문학적 전통 이외의 것도 家學으로 인식하고 있었던바, 필자는 이를 `생활 양식`으로서 가학의 범주로 볼 수 있다고 파악하였다. 그리고 가학의 개념과 범주를 `한 집안에서 2대 이상에 걸쳐 유형화된 학문?문학적 전통과 생활 양식의 전통`으로 보고 이러한 개념과 범주 아래에서 남공철가의 가학의 성격을 살폈다. 남공철의 집안은 조선 후기에 남용익, 남유용 등 걸출한 인물을 낸 명문이다. 남공철 집안의 학문·문학적 전통으로서의 가학은 첫째, 經書나 詩文 등 어떠한 자료를 해석할 때 혹은 작문에 임할 때 諸家의 견해나 모범으로 설정한 시문보다 자기 자신의 주체적 견해와 자신으로부터 나온 글을 가장 중시했다는 점, 둘째, 王世貞이나 歐陽修와 같은 중국 문인과 중국 詩史에 대해 유사한 견해를 갖고 있었다는 점, 셋째, 문장 학습 및 작문 과정에서 氣와 六經을 중시했다는 점, 넷째, 성리학에 대해 거리를 두는 반대급부로 문학에 관심을 가졌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생활 양식의 전통으로서의 가학은 첫째, 以友輔仁과 廉簡自守의 교유관, 둘째, 公平無私한 관직 수행 태도, 셋째, 고동서화에 대한 취미 등을 들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상과 같은 보다 구체적인 내용의 家學이 어떠한 양상으로 남공철 집안에서 계승되고 있는가에 대해 살폈다. 이러한 남공철가의 가학의 성격에 대한 고찰은 남공철 문학의 특징을 면밀히 살피기 위한 예비적 작업으로서의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oncept and category of `Family Tradition`[家學]. The concept and category of family traditon has been used obscurely, so I attempted to make it more clear from this study. Many reserchers have treated family tradition mainly within limits of the tradition of learning[學問] or literature. However I found many cases that represent not only the tradition of learning or literature but also the tradition of life style. So I resettled the concept and category of family tradition as: typed tradition in a family extending more than two generations and that contains not only the tradition of learning or literature but also the tradition of life style. With this concept and category, I reserched the family tradition of Nam Gongcheol[南公轍, 1760-1840], who was a representative person of distinguished family in the Latter-Joseon period. At first, the tradition of learning or literature could be pointed out as following: A. Independent attitude in interpreting and writing. B. Similar view point about the Chinese literary and the history of Chinese poem. C. Taking a serious view with Qi[氣] and Six Classics[六經] when they wrote a writings. D. Not have a concern in Neo-Confucianism[性理學]. Secondly, the tradition of life style is as following: A. View point of self sufficient social intercourse. B. Impartial executing of their official duties. C. Enjoying collecting classical works. Family Tradition can be regarded as the whole of a family`s custom, and it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can influence on one`s attitude to study or write. It seems that we need more detailed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one`s family tradition to one`s study or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