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티베트 사회

        심혁주(Sim, Hyuk-Joo)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과학연구 Vol.0 No.52

        근대 이전 서구인들에게 중국안의 티베트는 어떤 이미지와 형상들로 다가왔을까? 누구에 의해서 소개되고 전파되었을까? 살펴보면 18세기까지 저마다의 목적과 소신으로 무장한 상인, 지리학자, 식물학자, 동양학자, 탐험가, 선교사, 심지어 첩자들에 의해서 티베트는 알려졌다. 하지만 그들이 남긴 여행기, 일기, 스케치, 도록, 그림 등에 표현된 티베트의 기록들은 제한적이었다. 이런 면을 주지할 때, 19세기 프랑스의 천주교 신부 윅의 출현은 매우 의미 있는 사건으로 볼 수 있다. 윅은 조셉 가벳(Jopseph Gabet, 1808-1853) 신부와 함께 선교를 목적으로 1844년 8월 3일, 중국여행을 시작한 이후 무려 18개월의 여정 끝에 1846년 1월 29일 티베트의 심장 라싸에 도착했다. 짧은 체류 기간에도 불구하고 윅 신부는 당시 라싸의 풍속과 사람들에게 매료됐다. 라싸는 생각 밖으로 외부와 왕성한 교류를 진행했던 무역도시였고 부녀자들의 희귀한 얼굴화장(赭面), 수많은 라마승과 불교사원의 거대함, 계층화된 사회적 분위기, 시신을 개에게 먹이로 주는 위구(餵狗)의 풍속과 문화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본문은 윅 신부의 라싸 관찰과 기록을 통하여 당시 티베트 사회의 특수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근대 이후 우리가 인식하고 있는 티베트에 관한 전통적인 인식과는 어떤 이동(異同)이 있는지를 알고자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text is to trace the society and customs of Lhasa (拉薩) in Tibet,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Évariste Régis Huc (1813-1860), a 19th-century French Catholic priest, to reveal the diversity and real circumstances of Tibet that were overlooked by preceding Western missionaries, botanists, geologists, merchants, and Eastern explorers who succeeded in entering Tibet. On August 3, 1844, Father Huc set out for China with Joseph Gabet (1808-1853) on a mission trip, finally arriving in Lhasa, Tibet, on January 29, 1846, after an extraordinary 18 months of travel. Two months after his arrival, Father Huc was deported to Tasienlu (打箭爐) of Sichuan (四川) by Quishan (琦善), the resident minister of Tibet at the time. Despite his short stay, Father Huc was fascinated by the people of Lhasa and their customs in that time. Lhasa was a trading metropolis that unexpectedly had considerable exchanges with the outside world; the rare makeup of the women (赭面), numerous lamaseries, the immensity of the Buddhist temples, the hierarchical social atmosphere, and the custom and culture of feeding corpses to dogs made a profound impression on him. This text relates the state of affairs before the appearance of Father Huc, and the reality of Tibetan society established before the modern era, based on the observations and experiences of Father Huc. Through such information, we seek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Tibetan society and to recognize how they differ from the post-modern perception of them.

      • KCI등재

        중국 윈난성(雲南省) 디칭(迪慶) 티베트자치주 중디엔(中甸)의 개명과 이미지의 관계

        심혁주 ( Hyuk Joo Sim )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5 No.1

        인간의 의식은 일차적으로 눈에 들어온 이미지로 만들어지고 고정화된다. 이미지는 앎의 대상이 아니라 느낌과 감각의 대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이미지의 각인과 규정화는 사람들에게 일상에 대한 과도한 기대를 낳고 사물의 본질이 아닌 사물의 허상 즉, 이미지의 환상을 좇게 만들 수 있다. 즉 이미지로 인하여 재구성된 현실이 새로운 가치관, 규범, 질서, 문화를 만드는 것이다. 이것은 이미지 사용의 목적과 활용이 뚜렷할수록 두드러진다. 중국 윈난(雲南) ``중디엔``(中甸)현이 ``샹그릴라``(香格里拉)현으로 개명한 사례가 그러하다. 2001년 12월 17일 중국 윈난의 ``중디엔``지역은 정부의 적극적인 추진으로 ``샹그릴라``현으로 개명되었다. 중디엔은 샹그릴라로 개명한 후, 토착민들의 삶의 형태와 지향점, 정체성, 문화, 가치관 등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어떤 집단이나 사회가 새로운 개념이나 이미지의 파장에 들어갔다는 가장 분명한 신호 중의 하나는 기존의 그들의 시공간을 지탱해주던 객관적 정체성과 정신적 토대들을 포기하거나 애써 잊어버리고 그것들에 상응하는 새로운 물적 토대와 문화를 만들어내고 그것을 함께 공유한다는 것이다. 개명된 샹그릴라 지역의 토착민들은 지금 그러한 경험을 하고 있다. 본 글의 목적은 18세기 서구의 다양한 계층(식물학자, 탐험가, 선교사, 고고학자)들의 개인적 도전과 국가차원의 지원 속에서 추진된 아시아의 탐험, 요컨대 그들의 목숨을 건 경험과 고찰 속에서 발견된 중국 윈난지역이 어떻게 중국 안에서 새롭게 ``샹그릴라``라는 개념과 이미지로 탄생했는지? 또한 개명된 샹그릴라는 어떤 이미지를 계승하고 개념화하고 있는지를 추적하면서, 그 출발점을 19세기에서 20세기 초 서구사회에서 ``샹그릴라``라는 키워드가 대중적으로 각인된 사회적 배경과 그로 인한 상징의미가 무엇인지를 입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샹그릴라의 이미지와 개념이 전통적인 중디엔 지역에서 어떤 파급효과와 새로운 이미지를 파생하고 있는지도 살펴볼 것이다. Human consciousness is primarily created and fixed by an image of an object through visual information because an image is commonly considered as an object of sensation rather than object of knowing. Accordingly, the imprinting and the aftermath of a certain image bring about people`s excessive expectations of everyday life and they make people pursue the illusions of an image, namely the phantoms of an object, instead of its nature. In other words, (the created reality) ->(the intentionally designed reality) establishes new values, norms, order, and cultures. The more the purpose of use of an image is obvious, the more this phenomenon clearly appears. Its representative case is the renaming of Zhongdian, Yunnan in China to China Shangri-La. On December 17, 2001, Zhongdian of Yunnan was renamed Shangri-La, which was actively led by the Chinese government. The renaming of the traditional place m/ight bring about new concepts and images in the area. The renaming of Zhongdian to Shangri-La has changed natives` life, aims, identity, culture, and values. One of the most apparent signs that a group or society is influenced by the aftermath of a new concept or image is that its members give up or forget their objective identity and spirit and then they create and share new material foundations and culture. Natives of Shangri-La have been going through these experiences since renaming of the reg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western people from various backgrounds (botanists, explorers, missionaries, and archaeologists) explored and challenged Asia with governmental support (including governments and botanical gardens) at the risk of their life and they discovered Yunnan of China.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how the concept and the images of Yunnan changed through its renaming to Shangri-La. In addition, I attempt to trace the social backgrounds stamped on public and symbolic meanings of Shangri-La i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y western society through investigating what kind of image Shangri-La inherits and conceptualizes. Lastly, I analyze the aftermath and new images of Shangri-La caused by its renaming.

      • KCI등재

        티베트 생사관(生死觀)의 형성배경

        심혁주(Sim, Hyuk-Joo)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7

        중국의 55개 소수민족 가운데 티베트민족(藏族)은 매우 이질적이고도 독특한 사유세계와 상장례(喪葬禮)의식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그들의 상장의식과 생사관은 어떤 배경 속에서 태동하고 형성된 것일까, 티베트의 자연환경과 그 공간적 특수성 그리고 사상적 뿌리인 종교는 티베트인들의 생사관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그리고 그러한 제반조건은 티베트의 역사적 시간과 공간을 개념화 하는데 있어서 어떤 위치를 차지해야 하는가? 본 연구는 이러한 의문에 대한 근원적 탐구이다. 오늘날 티베트라는 지역의 상장의식과 문화는 매우 독특하다. 예를 들어 전통적으로 네 가지의 장법(葬法), 즉 토장(土葬), 화장(火葬), 천장(天葬), 탑장(塔葬) 등이 오늘날까지 전승되고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데 그 내용과 의식의 절차는 매우 원시적이며 종교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장법에는 그 나름대로의 기원과 역사가 담겨져 있으며 티베트민족의 정신적 유산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 살펴보면 티베트의 상장의식에는 환생과 윤회라는 불교적 생사관이 매우 중요한 가치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죽음이 곧 삶 또는 환생이라는 불교적 관념이 뿌리 깊게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티베트만의 장법과 그 가치관의 배경을 오늘날 올바로 이해하려면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이는 다시 말해서 티베트의 정신세계를 엿볼 수 있는 본질적이고도 근원적인 사고의 틀은 과연 어디서 시작해야 하는가의 문제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의문을 제기하면서 티베트인들의 죽음에 관한 가치관 형성에 있어서 그들이 살아왔던 자연환경과 공간 그리고 그 속에서 동행하는 자연과 인간의 상호관계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던 자연환경 외에 본문에서는 또 다른 중요한 축을 종교에 두었다. 티베트는 종교민족이다. 여기에는 티베트 종교의 특색이 존재하며 그 특색중의 핵심 요소(윤회와 환생사상)가 티베트인들의 생사관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티베트의 환경과 생존조건 그리고 정신적 토대인 종교가 티베트인들의 사유체계, 본문에서는 구체적으로 상장의식과 생사관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한 분석이다. Among the 55 minority ethnic groups in China, Tibetan theology and funeral ceremonies are known to be the most unique and distinctive. One must then wonder: 1) how did the Tibetan people develop their distinctive funeral ceremonies and their unique perspective on life and death? 2) What influences did their unique geographical condition and religion have on this perspective? 3) What role does their condition take when one conceptualizes their history? This study focuses on the above questions and suggests the following. The Tibetan funeral ceremony and culture are very unique. As an example, they continue to practice four traditional funeral methods; interment, cremation, water burial, and notably, sky burial (feeding the deceased to birds) along with pagoda burial. Each are distinctive in their ceremonies and procedures. Each of these methods have their own origins and history, and hold the essence of the spiritual heritage of Tibet. The Tibetan perspective on life and death is a key value in forming these funerary rituals and is, from a spiritual perspective, very much steeped in Buddhism, wherein death leads to an another life (reincarnation). How then, should one begin research if one wishes to properly understand these unique funeral rites, their origins, and their backgrounds? Where does one discover the roots of the Tibetan perspective on life and death that inspired such unique funerary rituals? Put frankly, the real issue at hand is in uncovering the essential and fundamental tools for taking a proper look at Tibetan spiritual values. With the above in mind, this study focuses on the influences made forming the Tibetan perspective on life and death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atural environment of Tibet and its people. In addition to the environment (which is an absolute factor), are there any other influencing factors? The study examines religion as an another important factor. The People of Tibet are very religious. There is a unique characteristic to their religion, the belief in reincarnation, which also impacts their perspective. In conclusion, this is critical research concerning how the geographic conditions of Tibet and its religion have influenced the forming of the Tibetan perspective on life and death.

      • KCI등재

        일반논문: 역사학 : 티베트의 죽음 이해 -천장(天葬)을 중심으로-

        심혁주 ( Hyuk Joo Sim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0 No.47

        고대로부터 티베트인들은 생명체의 태어남을(生) 자유로이 주관할 수는 없지만, 죽음은 스스로의 노력 혹은 법력이 있는 타인의 능력을 빌어 생명의 종결을 의미 있게 연장 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는 인간의 죽음은 단순한 생명의 종결만을 의미하지 않고 모든 존재는 영혼을 갖고 있으며 그 영혼은 죽음에 따라 소멸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세상으로 순환된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념은 죽음에 이르러서는 현생의 업(業)을 정화할 수 있고 심지어 내생(來生)까지도 설계(환생)할 수 있다는 영혼의 전세(轉世)사상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이는 티베트인들이 신뢰하는 윤회(輪廻)와 환생(還生)의 기본구도이기도 하며 이러한 영혼불사의 사상은 결국 티베트 상장(喪葬)관습의 기원과 발전의 영향을 주었다. 본문은 티베트의 이러한 사유(思惟)와 전통을 이해하면서 오늘날까지 티베트인들이 보편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천장(天葬)이라는 장법(葬法)을 이해하고자한다. 천장(天葬)은 망자(亡者)의 시체를 천장사(天葬師)라는 특정한 라마승(수행승)이 칼과 도끼로 해부하고 다듬어서 천국의 사자(使者)인 독수리에게 모두 보시하는 장법(葬法)이다. 본문은 이러한 천장의식의 탐구를 통하여 티베트만의 독특한 죽음인식과 의례 그리고 삶을 추적하였다. The Tibet ethnic group, among the 55 minority groups in China, is known to have maintained a very different and unique world of thoughts and a bier funeral ceremony. For example, four traditional funeral methods, which are sea burial, cremation, sky burial, and tower burial, have been inherited, continuing to this day, and the contents and ceremony procedures are extremely primeval and religious. Tibetan people have formed a very unique thought system regarding ``death`` from the ancient times. They focused on the invisible mental sector called ``immortal spi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irit and physical body of human. Thus, they believed that once a human ceases to breath, a professional sorcerer should separate the spirit and the corpse in its entirety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so that the spirit may ``transfer`` to another living being. This belief is also the basic composition of reincarnation acknowledged by Tibetan people. By taking into mind such thought methods of Tibetan people, this Research seeks to understand the Tibetan people``s perception of death through the sky burial ceremony that is universally conducted to this day. The funeral culture of sky burial is a traditional behavioral ceremony explicitly showing the Tibetan people``s view on life and death and perception on spirit. Tibetan people trim the corpse of a human, that is merely a shell, with a knife and elaborately dissect the corpse, and freely provides it to eagles, which are the envoys of heaven. Such primeval religious ceremony is held by a lama of a temple, who is the sky burial master. The more surprising fact is that, despite the temporal and spacial restrictions of approximately a thousand years, this traditional behavioral ceremony continues to this day. The author has studied the sky burial ceremony of Tibet every year at the field from 2005 to 2013 (a total of ten times) and conducted interviews.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visits and studies on the sky burial ceremony conducted at the Jeul-Gung Temple at the Tibet Autonomous Region in 2005.

      • KCI등재

        일반 논문 : 티베트 문제와 미국의 역할 변화

        심혁주 ( Hyuk Joo Sim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인문학연구 Vol.0 No.41

        1978년 덩샤오핑(鄧小平)의 복권이후 14대 달라이 라마의 망명정부와 중국 정부는 티베트의 건설적인 미래에 관하여 접촉과 담판을 시작했다. 그 후로 30여년간 양자는 지속적으로 담판의 내용과 수위를 조절해가며 접촉을 계속해오고 있다. 중국정부의 입장과 태도는 시기와 사안에 따라 탄력성을 추구하지만 근본적인 관점은 변함이 없다. 즉 티베트가 ``독립``만 원하지 않는다면 어떤 장소 어디에서든 담판의 문은 열려있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달라이 라마 측의 협상 조건과 내용은 시기적으로 변화를 가져왔다. 처음 ``티베트의 독립``(藏獨)에서 ``고도의 자치``(高度的自治)로 그리고 홍콩과 대만의 경우처럼 ``일국양제``(一國兩制)의 시스템을 요구하였다. 그런데 이 양자의 관계에서 주목해야 하는 점은 양자 담판의 배경과 쟁점의 배후에는 미국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1940년대부터 시작된 미국의 개입은 양자의 협상과 관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쳐왔다. 본 논문은 티베트 문제에 관한 미국 역할의 변화 과정을 시기적으로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또한 시기별로(냉전 시기와 탈냉전시기) 미국의 ``티베트 카드`` 활용의 전개방식과 역할의 변화를 살펴 보았다. 이를 통해 미국이 티베트를 어떻게 대(對)중국 ``전략적 자산``으로 운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Since Deng Xiaoping`s return to power in 1978, the 14th Dalai Lama`s Government in exile and the Chinese Government began contacts and negotiations on the "constructive future of Tibet." For 30 years since then, both parties have continued the negotiation by regulating the contents and level thereof. The position and attitude of the Chinese Government have been consistent. That is, as long as the other party does not demand Tibetan independence, the door to negotiation is always open. In contrast, the conditions and contents of negotiation on the part of Dalai Lama have changed depending on the times. At first they demanded the independence of Tibet, then high level autonomy, and then a "one state, two systems" model like Hong Kong or Taiwan. Also, amongst this environment and the issues of bilateral negotiations, there is always the USA. America`s involvement which began in the 1940s has played no small influence and role, in the negotiations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parties. Thus, this article has paid attention to the diplomacy and role of America on the Tibet issues This article has also reviewed the intention and effect of America`s use of the "Tibet car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t exerts actual influence on the diplomacy and political relations between the US and China. Lastly, this article has made a forecast about how long the negotiations between the Chinese Government and the Dalai Lama will be effective and what form of change America`s diplomatic moves and roles will pursue. Since Deng Xiaoping`s return to power in 1978, the 14th Dalai Lama`s Government in exile and the Chinese Government began contacts and negotiations on the "constructive future of Tibet." For 30 years since then, both parties have continued the negotiation by regulating the contents and level thereof. The position and attitude of the Chinese Government have been consistent. That is, as long as the other party does not demand Tibetan independence, the door to negotiation is always open. In contrast, the conditions and contents of negotiation on the part of Dalai Lama have changed depending on the times. At first they demanded the independence of Tibet, then high level autonomy, and then a "one state, two systems" model like Hong Kong or Taiwan. Also, amongst this environment and the issues of bilateral negotiations, there is always the USA. America`s involvement which began in the 1940s has played no small influence and role, in the negotiations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parties. Thus, this article has paid attention to the diplomacy and role of America on the Tibet issues This article has also reviewed the intention and effect of America`s use of the "Tibet car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t exerts actual influence on the diplomacy and political relations between the US and China. Lastly, this article has made a forecast about how long the negotiations between the Chinese Government and the Dalai Lama will be effective and what form of change America`s diplomatic moves and roles will pursue.

      • KCI등재

        윅(Evariste-Regis Huc, 1813-1860)신부가 바라본 1846년 겨울의 티베트 라싸(拉薩)

        심혁주(Sim Hyuk Joo)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서강인문논총 Vol.0 No.48

        본 글의 목적은 19세기 프랑스의 천주교 신부 윅(Evariste-Regis Huc, 1813-1860)이 본 티베트 라싸(拉薩)의 사회와 풍속을 추적하는데 있다. 이유는 그를 통해 그보다 앞서 티베트 진입에 성공했던 서구의 선교사, 식물학자, 지리학자, 여행가들이 간과했던 티베트의 다양성과 실상을 밝히고자 함이다. 윅 신부는 조셉 가벳(Jopseph Gabet, 1808-1853)신부와함께선교를목적으로1844년8월3일, 중국여행을시작한이후, 18개월의 여정 끝에 1846년1월 29일 티베트의 심장 라싸에 도착했다. 그리고 2달후, 당시 티베트의 주장대신(駐藏大臣) 기선(琦善)으로부터 추방당해 사천(四川)의 타전로 (打箭爐)로 이동해야했다. 짧은 체류 기간에도 불구하고 윅 신부는 당시 라싸의 풍속과 사람들에게 매료됐다. 라싸는 생각 밖으로 외부와 왕성한 교류를 진행했던 무역도시였고 부녀자들의 희귀한 얼굴화장(赭面), 수많은 라마승과 불교사원의 거대함, 계층화된 사회적 분위기, 시신을 개에게 먹이로 주는 위구(餵狗)의 풍속과 문화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본 글은 윅 신부가 출현하기 이전까지의 상황을 주지하면서 윅 신부의 관찰과 경험을 근거로 근대 이전 티베트 사회의 실상을 엿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전통시대 티베트 사회의 특수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근대이후 우리가 인식하고 있는 티베트에 관한 보편적인 이미지와는 어떤 이동(異同)이 있는지를 알고자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text is to trace the society and customs of Lhasa (拉薩) in Tibet,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Évariste Régis Huc (1813-1860), a 19th-century French Catholic priest, to reveal the diversity and real circumstances of Tibet that were overlooked by preceding Western missionaries, botanists, geologists, merchants, and Eastern explorers who succeeded in entering Tibet. On August 3, 1844, Father Huc set out for China with Joseph Gabet (1808-1853) on a mission trip, finally arriving in Lhasa, Tibet, on January 29, 1846, after an extraordinary 18 months of travel. Two months after his arrival, Father Huc was deported to Tasienlu (打箭爐) of Sichuan (四川) by Quishan (琦善), the resident minister of Tibet at the time. Despite his short stay, Father Huc was fascinated by the people of Lhasa and their customs in that time. Lhasa was a trading metropolis that unexpectedly had considerable exchanges with the outside world; the rare makeup of the women (赭面), numerous lamaseries, the immensity of the Buddhist temples, the hierarchical social atmosphere, and the custom and culture of feeding corpses to dogs made a profound impression on him. This text relates the state of affairs before the appearance of Father Huc, and the reality of Tibetan society established before the modern era, based on the observations and experiences of Father Huc. Through such information, we seek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Tibetan society and to recognize how they differ from the post-modern perception of them.

      • KCI등재후보

        티베트 ‘황금귀족(黃金貴族)’의 출현과 실체

        심혁주(Sim Hyuk-joo)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0 아시아문화연구 Vol.18 No.-

        This study held on two main objectives while underlining some historical situation in detail. First, it attempts to trace documents in order to arrive at an accurate data as to when and why the noble groups came about. Hence, the possibility of analyzing historical meanings and roles of the Tibetan nobles are explored throughout the process. Second, it intends to present the reality behind the influencing power of the nobles in the Tibetan society. With an in-depth analysis of the Tibetan nobility, the substantial effects on the society and its foundation is explored in the same way the universal extension of the concept of a living Buddha for hundreds of years are presented.. The study is mainly concerned with the 'Yab-Gzhis(亞谿)' noble group, which is also called 'the golden noble' group. Yab-gzhis reigns superior among Tibetan aristocracies, which encompasses Dalai Lama's family circle. The existence and the legacy, as well as the origin of these golden nobles which started from the seventh Dalai Lama are closely examined. Such observation explains the movement from the social status and positions of other noble groups and why they were referred to as 'the golden nobles.' In addition, it also studies the implications and dilemma caused by these golden nobles.

      • KCI등재후보

        티베트 본교(本敎)의 역사와 문화에 관한 고찰

        심혁주(Sim. Hyuk-Joo)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4 No.2

        Ancient Tibetan royal families and Bon (or Bon) were leading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rites by interacting with each others. The stabilization of the Tibetan Empire was implemented through the theocracy of Bon based on afterlife and religious expectations of commoners, Chenpo (the title of Tibetan kings) leading the people, and divinized royal authorities and its purpose and role can be found in ancestral and funeral rites of Bon's doctrines and scriptures. The ideology pursed through funeral rites is to pray for soul's eternity as a primitive religion and to show divine and supernatural powers of Bon priests(巫師). Based on these ideologic purposes of rite, funeral rites of Bon functioned as commemorative roles that living people are responsible and religiously revitalized Bon as a realistic purpose. This study analyze the role of Bon priests(巫師) based the background of Bon in the ancient Tibetan society. In addition, ancient Tibetan people's lifestyle and view of death are studied through funeral rites of Bon. Even if Tibetan religious doctrines, ideas, scriptures, and beliefs are important study objects, this study focused on funeral rites to understand the world of mind of ancient Tibetan people because their rites, especially funeral rites are significant when taking the meaning of Tibetan reality, where religious rites show what the religion is to their lives, into conside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고대 토번(吐藩)시대 정교(政敎)의 주도권을 장악하고 법왕(贊普)의 국정과 일반 민중들의 상장(喪葬)의례에 이르기까지 절대적 영향력을 행사했던 티베트 본교(本敎)의 기능과 역할을 역사의 관점에서 추적하는 것이다. 고대 티베트 사회에서 인간의 죽음은 단순한 생명의 종결만을 의미하지 않았다. 인간은 모두 영혼을 갖고 있으며 그 영혼은 육신의 죽음에 따라 소멸 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세상으로 순환된다고 여겼다. 따라서 당시 인간의 죽음에 대한 가치관과 처리하는 상장의례는 매우 중요시되었다. 상장의례는 죽은 자의 영혼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산 자를 위한 애도의 시간이기도 하다. 토번의 왕실과 토착종교인 본교는 정교(政敎)에 있어서 서로간의 밀월적 상호작용을 통해 국정과 의례를 이끌어가는 주체들이었다. 당시 본교의 상장의례에서 추구하는 이념은 원시종교로서의 생명체가 가지는 영혼의 연속성을 기원하고 본교의 제사장인 무사(巫師)의 신적능력과 법력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러한 의례의 관념적 목적을 토대로 하여 살아있는 자들에게 당면한 상례기능과 본교의 종교적 활성화라는 현실적 목적이 내재된 것이 당시 본교가 상장의례를 추구하는 기본 구도였다. 이러한 특수한 역사적 사실을 주지하면서 본문에서는 본교의 기원과 역할 및 상장의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도 본교 무사(巫師)의 역할과 상장의례의 내용 및 특정 등을 추적하였다. 그러한 이유는 본교에서 무사는 원시적인 종교의례의 실천을 통해 신도 및 경제적 기반을 확충함으로써 본교사원의 존립과 권위의 완성에 결정적 역할을 담당했던 인물로 파악됐기 때문이다. 또한 그 속에서 본교가 주관한 상장의례를 통하여 고대 티베트인들의 삶의 방식과 생사관을 감지하였다. 이는 물론 티베트에서 종교교리와 사상, 경전, 신념체계 등을 무시 할 수 없고 그러한 것들이 중요한 연구의 대상이 되어야 하지만, 종교의례가 종교인의 삶에서 종교가 무엇인지를 드러내는 잣대가 되고 있는 티베트의 현실을 고려한다면 고대 티베트인들의 의례연구 특히나 상장의례의 중요성은 더욱 중요시되기 때문이다.

      • KCI등재

        선교사의 눈에 비친 티베트 -아폴리토 데시데리(IppoIito Desideri, 1684-1733)의 선교활동과 티베트불교에 대한 인식

        심혁주 ( Hyuk-joo Sim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人文論叢 Vol.73 No.2

        본 글의 목적은 1716년 티베트에 진입한 서양의 예수회 선교사 아폴리토 데시데리(Ippolito Desideri, 1684-1733)의 현지 경험과 기록을 추적하여, 오늘날 우리가 인식하고 있는 티베트의 단편적인 지식과 이미지들에 다른 시각과 견해를 주기 위함이다. 18세기는 서구인들에게 중국 안의 티베트가 본격적으로 소개되고 전파되던 시기로 볼 수 있다. 그 전파의 주역들은 상인, 선교사, 동양학자, 지리학자, 식물학자들인데 저마다 사명과 목적을 가지고 티베트에 진입하였다. 이 중 천주교 선교사들의 활약은 티베트를 유럽에 알리는데 있어서 큰 공헌을 했다고 할수 있다. 데시데리는 이탈리아 최초로 티베트 라싸에서 선교활동을 펼친 예수회 선교사다. 그는 1712년 9월 27일, 로마를 떠나 1716년 3월18일 티베트의 수도 라싸(拉薩)에 도착했다. 그리고 그곳에서 5년 동안 선교활동을 펼쳤는데 이때 몽골 준가르(准格爾)의 침입(1717년)과 전쟁을 경험하기도 했다. 때문에 그의 선교 활동은 어려움을 겼었으나 오히려 그는 현지에서 티베트 문화와 종교를 철저히 연구했다. 그의 기록은 당시 티베트 최대 불교종파인 황교(겔룩파, 黃敎)사원 써라스(色拉寺)에 거주하면서 티베트어와 불교경전을 라마승들과 같이 학습한 덕분에 역대 서양 선교사들 중에서 최고의 수준을 보여주었다. 본문은 티베트에 대한 그의 경험과 관찰 그리고 현지 고위인사(왕과 고승활불)들과의 접촉을 통해서 드러난 18세기 티베트의 초기형태를 살펴볼 것이다. 즉 당시 구축하고 있었던 티베트의 전반적인 인문학적 풍토와 대외적인 관계를 엿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본 주제가 목적으로 하는 18세기 서양인의 눈에 비친 티베트의 실상을 추적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local experiences and track records of a western Jesuit missionary, Ippolito Desideri (1684-1733), who opened the Tibetan mission in 1716, and to provide different perspectives and opinions to the fragmentary knowledge and images of today’s Tibet we are aware of. It was around 17th to 18th century when Tibetans in China had been introduced and propagated in earnest to the Westerners. Protagonists of the propagation were merchants, missionaries, oriental scholars, geographers and botanists, and each one had their own missions and objectives when entered Tibet. Amongst them, it can be said that an active part played by Catholic missionaries had a significant contribution of introducing Tibet to European society. Desideri is the first Italian Jesuit missionary who expanded the mission in Lhasa, Tibet. He left Rome on September 27, 1712 and arrived in Lhasa, capital of Tibet, on March 18, 1716. In Lhasa, he practiced his missionary activity for five years, and during this time he witnessed the invasion of the Dzungar Mongols and wars in 1717. This conflict placed Desideri under difficult circumstances for expanding his missionary activity; yet, he exhaustively studied the Tibetan culture and religion in there. His extensive notes on Tibet showed one of the best accounts of Tibetan culture and religion among the former Western missionaries, owing to his study of Tibetan language and Buddhist scriptures with Tibetan monks while living in the largest Buddhist sects, Sera monastery near Lhasa, Tibet. The body of this article examines the initial form of Tibet in the 18th century revealed through his multifaceted experiences, observation and contacts with local dignitaries, King and living Buddha, in Tibet. In other words, this study oversees humanistic culture of Tibet and its external relations built at the time. By doing so, this study estimates and traces the real Tibetan society that reflected in the eyes of a westerner in the 18th century, as in the proposed subject.

      • KCI등재후보

        티베트 莊園의 특색

        심혁주(Hyuk-Joo Sim)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29 No.-

        10세기부터 티베트에서는 封建農奴制가 시작되었고 13세기부터는 전 지역에 보편화되었다. 티베트 봉건농노제의 특징은 莊園의 소유, 즉 귀족이 토지의 장악과 농노의 소유가 그 핵심 내용이다. 1951년 이전, 舊티베트 사회는 官家, 세속 貴族, 불교 사원의 고위라마승 등으로 형성된 3대 영주가 정치, 종교, 경제의 핵심 축을 이루고 있었다. 이들은 티베트 전체 인구의 5%에 밖에 안 되는 소수였지만 티베트의 방대한 토지, 목장, 산림, 산천과 주요 목축을 장악하고 있었다. 그 외에 95%에 해당되는 티베트의 농노는 사실상 3대영주의 관리 속에서 생활을 유지하고 있었다. 티베트의 농노는 크게 '差巴', '堆穷', '朗生'으로 구분되는데 이들은 티베트 전체인구의 90%를 초과하고 있었으며 이중 노예 등급으로 다시 분류되는 낭생은 5%의 인구비율을 보였다. 이들에게는 토지의 소유권이 없었으며 인신의 자유와 혼인의 문제 또한 자율권이 허락되지 않았다. 또한 이들의 이러한 처지와 신분은 대대로 세습되었다. 본문은 상술의 역사적 사실을 주지하면서 전통시대 티베트 경제와 사회 체제의 근간을 이루고 있었던 3대 영주와 장원과의 관계, 장원의 규모와 역할, 장원의 실체를 파악하는데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는 舊티베트 사회의 토지 제도, 즉 장원의 운영 체계와 그 내부적 규율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이 사실상 티베트 봉건농노제도의 실체를 가늠하는 핵심 내용 중에 하나라고 인식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티베트 장원과 농노제의 특성을 포괄적으로 설명하고 분석하기에는 티베트 각 지역과 특성의 차이가 현저히 존재하기에 연구의 집중도와 밀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티베트 后藏의 江孜(장쯔)지역에서 가장 큰 장원을 형성하며 티베트 귀족 세계에서 인정받았던 帕覺拉康(파줴라캉)가문의 莊園을 그 전형적인 사례로 들어 설명하였다. In Tibet, the feudalistic serf system began around the 10th century and dominated all over the country after the 13th century.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system is that the nobility possesses land as well as serfs. Before 1951, the former Tibetan society had seen fundamental three lord classes of government officials, secular aristocrats and high-ranking Lamaist monks who played a core role in politics, religion and economy in the country. Although they were less than 5% of the total population, they had many of the lands forests farms. mountains and rivers along with livestock farming. Besides, serfs, about 95% of the population, had to live their life under the control of those high classes. The Tibetan serf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Chapa', 'Toiyong' and 'Nangsaeng', all accounting for more than 90% of the whole Tibetan population. Especially Nangsaeng, called the slavery class, took 5% of the population and they had no ownership of land and were not allowed for freedom of personal behavior and even marriage and their status tended to pas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main part of the paper, based on such historical facts above, is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three lord classes and manor, the role and size of manor and the truth of it. It is because to understand primarily the heart of the operation system of manor and its internal rules at that time could be actually led to more access to the comprehensive grasp of their feudalistic serf system.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re are a great deal of differences among each region across the country in order to generally explain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f system, which could not satisfy a full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Hence, in this paper, the Pha-jo-Iha-khang family, which had had the largest manor in the region of Zangzi, was referred to as a typical exam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