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여성작가 친일소설 연구

        심진경 배달말학회 2003 배달말 Vol.32 No.-

        본고에서는 여성작가의 친일소설을 대상으로 성별화된(gendered) 친일의 논리와 그것이 구체적으로 형상화되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친일문학의 논의에 젠더의 관점을 첨부하는 일은 단순히 여성작가의 친일 여부를 가늠하거나 친일의 내용을 고발하는 것과는 다른 차원에 있다. 식민화된 남성 주체에 의해 배제되었던 여성이 비록 일본의 대동아공영을 강조하는 정책에 포섭되는 과정에서이긴 하지만 국민으로 호명되고 주체로 선택되는 경험을 했다는 사실은, 여성작가의 친일이 일제 정책의 단순한 추수의 결과가 아니라 일정 정도 내적 자발성에 기인한 것이 아니었을까 하는 의문을 갖게 한다. 이는 결국 여성이 일본 신체제를 어떻게 받아들였으며, 얼마만큼 내면화했는가의 문제와 결부될 것이다. 그러나 여성작가의 친일소설에서 논의되고 있는 친일의 논리를 정리해보면, 대개 기존의 가부장제적이고 봉건적인 여성상에 기초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최정희의 「야국초」에서 그려지는 '군국의 어머니'가 그것의 모성파괴적인 성격 때문에 기존의 전근대적인 가부장제 논리와 습합되어서야 비로소 내면화되는 양상을 보여주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그리고 군국주의체제 속에서 여성에게 강조되던 애국부인의 역할 또한 가부장제 하에서 여성에게 강요되던 가정주부의 역할을 확대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이렇게 볼 때 군국주의 체제하에서 여성이 공적 진출에 대한 환상을 부추겼던 친일 담론이 아이러니하게도 여전히 여성을 사적인 가정의 영역 안에 붙들어놓는 기만적인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조선 여성과 일본 국가의 비대칭적 관계는 심층적인 차원에서 성별의 위계화를 통해 민족의 위계화를 강화하는 수단으로까지 활용되었다. 그 결과 친일소설에서 그려지고 있는 여성의 역할은 여전히 가부장제 내에서 부여받은 어머니와 아내의 역할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 여성 작가의 친일소설에서 발견되는 대표적인 체제 순응의 논리가 바로 모성적 윤리라는 사실은, 민족이나 계급 문제와 결합되지 않은 여성성의 원리가 그 자체만으로는 지배담론에 의해 쉽게 전유될 수 있는 허약하고 유동적인 것일 수 있음을 암시한다. 모성의 작가이자 여성성을 소설의 구성 원리로까지 밀고 나갔던 최정희가 여성작가 중에서 가장 많은 친일소설을 남겼다는 것은, 그런 점에서 의미심장하다. This article aims at researching women writers' pro-Japanese short story in 1940's. I set new standards for pro-Japanese literature in this article. First, if works by Japanese don't have pro-Japanese contents, I will not include these in the list of pro-Japanese works. Second, I will analyze women writer's short story except poems and essays. As a result, I deal with Jang duk-jo's "A road" and Choi jung-hee's "A phantom of soldier", "In the night of fifteenth February", "The house of roses", "Dawn", "A wild camomile". Though I don't want, this article becomes A study of Choi jung-hee's pro-Japanese short story. In this article, I examine how to represent a theory of East Asian mutual prosperity in women writers' pro-Japanese short story in 1940's. Seemingly, Japan interpellate Korean women in the nation but in fact, they demand conventional feminine role from Korean women. Therefor, the roles of nationalized Korean women are limited to traditional mother or prostitute for soldiers and women play roles of old-fashioned mother and wife in women writers' pro-Japanese short story. Indeed, Korean intellectual women don't realize deceptive gesture of Japan, for they accept Japan only as imaginary and fictional national community. So Japan makes ill use of Korean intellectual women as instrument to rationalize colonization of Korea through the theory to nationalize Korean women. I can realize that the principle of feminity not connected with social problems like nationality and class so on. Ironically, Choi jung-hee who has treated motherhood and feminity as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of her works, leave behind the most many pro-Japanese works among women writers.

      • KCI등재

        렌티큘러 렌즈 활용 수업 개발과 적용을 통해 바라본 미술교육의 가치 탐구

        심진경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1 미술과 교육 Vol.22 No.2

        This case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and math (STEAM) education that uses lenticular lenses as convergence media. To that end, this study develops and analyzes a class using lenticular lenses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t general high schools to examine the effect of STEAM class using teaching media. The classes were conducted with 22 sophomores who chose the Art Appreciation and Critic class at A High School in S-si. The program consisted of 12 class hours consisting of three four-hour block time classes. The classes were taught by a team of instructors to ensure collection of data from more diverse perspectives, and the case study method was employed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students’ works in progress and finished works, research reports for each lesson, class reviews, and interview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identifies the changes experienced by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lenticular lens class in three aspects: interaction, figuration, and internalization. Firstly, a medium is a key to students’ imagination that ushers them into a world of infinite possibilities with no pre-defined answer. Vague and obscure conversations inspired by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help students create new stories that break existing boundaries. Secondly, in terms of figuration, the visualization of metaphors and inferences through the media brings out deeper meanings, and a sense of personal achievement can be expected from the process. Thirdly, internalization leads to self-reflection on beings that remain and beings that are left behind. 이 연구는 융합의 매체로서 렌티큘러를 활용한 STEAM 교육의 효과를 중점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일반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렌티큘러 렌즈 활용 수업을 개발ㆍ적용하여 분석한 사례연구이다. 수업은 S시 A고등학교 2학년 교육과정 중 미술 감상과 비평과목을 선택한 학생 22명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 4일∼11월 18일 사이에 실시되었으며 4시간 블록타임 수업을 3회 구성하여 총 12차시로 진행되었다. 보다 다양한 시점의 자료 수집을 위해서 매회 팀티칭 강사와 함께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질적연구 방법 중 하나인 사례연구를 적용하여 학생 과정 작품, 완성 작품, 차시별 연구보고서, 소감지, 인터뷰 등을 분석하였다. 질적 사례 분석 결과, 렌티큘러 렌즈 활용 수업 상황 속에서 연구 참여자들의 상호작용, 형상화, 내면화 순으로 변화 과정을 도출하였다. 첫째, 상호작용에서 매체는 상상을 불러일으키는 열쇠와 같은 것으로 정해진 답이 없는 무한의 세계로 인도하는 것, 매체 그 자체의 감각적 특성을 활용한 애매모호한 대화는 기존의 한계를 깨뜨리는 새로운 스토리를 창안하도록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형상화에서 매체를 활용한 유추와 은유의 시각화는 보다 깊이 있는 의미를 이끌어내고, 나타냄을 통한 개인적 성취감을 기대할 수 있었다. 셋째, 내면화에서는 남겨진, 남아있는 존재에 대한 성찰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문단의 ‘여류’와 ‘여류문단’ - 식민지 시대 여성작가의 형성과정

        심진경 상허학회 2004 상허학보 Vol.13 No.-

        This paper intends to investigate forming course of lady of letters in the colonial Korea. Here are three questions for research of this problem. First, what woman was called as lady of letters? The name of ‘Lady of letters’ was limited to woman author writing literary works, which was a wide concept concluding women from studying Tokyo, alumnae or the students of Ewha Woman’s Collage, and woman journalists of newspaper or magazine. In result, ‘mute writers without literary works’ were also named name ‘lady of letters.’ As it were, the substance of conceptual and real of ‘lady of letters’ relied upon the material of literary external like educational course, social position, and appearance as so as creating literary works. It is followed by second question, which is related with critic standards of literary works of women in that times. Literary works by women was often ignored as the non-literary or the girlish literary. Standards of this critics were generally made of references to private lives of lady of letters, by male critics or writers. If literariness were founded in works of several literary women, it could be also possible only satisfying masculine standards. ‘Literature of girl’ was a concept revealing ultimate hierarchical consciousness of gender. Considering such aspects. word of ‘the literary lady world’ proves, which come into use the second-term woman writers since 1932, that such mechanism of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imposed on entire woman writers. However, grouping the literary women mean their becoming powerful and institutional. That is this paper‘ third question. ‘The literary lady world’ was formed centering around proletarian-writers like Park Wha-sung, Kang Kyoung-ae and Song Kye-wol in the early 1930s, which couldn’t show their real ability to the entire literary lady world because of dissolution of KAPF. The very fact demonstrates that discourse of masculine centralism hold sway their destiny. In the later 1930s, the literary lady world of woman writers like Choi Jung-hee, Mo Yun-sook, No Choen-myoung, was grouped by ‘feminine lady writers’ owning in common features of the maternal, the domestic and the spiritual, which, in fact, was feminine values imposed on woman by nation and society. Therefore, both pro-writers and feminine writers was not different entirely in this respect of making form through internalizing the value system of masculine central. 문학은 한편으로는 언어와 상상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비사회적인 관념의 산물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규범, 관행, 관습, 법률과 같은 사회적 차원에서 형성된 구성물이다. 따라서 문학적 가치란 사람들의 관념 속에 존재하는 불변의 실체라기보다는 문학 외적인 기준에 의해 좌우될 수 있는 유동적인 일련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식민지 시대 ‘여류작가’의 형성 과정은 바로 이러한 문학적 가치의 유동성과 비문학성을 드러내는 전형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세 가지 차원의 문제 설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여류문인’의 결정 조건, 두 번째는 ‘여류문학’의 평가 기준, 세 번째는 ‘여류문단’의 형성 과정이다. 식민지 시대 여성작가의 범주를 설정하는 문제는 단순하지 않다. 그 당시에 ‘여류문사’라는 호칭은 문학작품 창작을 직업으로 삼는 전문적인 여성작가에게만 한정되지 않은 매우 폭넓은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특히 동경 유학생 출신이거나 이전 출신의 여성, 신문이나 잡지사 기자 출신 여성은 대부분 여류문사로 분류되었다. 그 결과 “작품 없는 벙어리 작가”도 ‘여류문사’로 언급될 수 있었다. 그만큼 창작 활동 여부가 ‘여류작가’ 혹은 ‘여류문사’를 판단하는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었던 것이다. 이는 ‘여류문인’에 대한 평가가 전적으로 문학 내적 기준에 근거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문학 외적인 다양한 조건들, 특히 학력, 사회적 지위, 외모 등에 의해서도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여성작가들에 대한 끊임없는 스캔들과 그들의 외모에 대한 끝없는 관심은 특히 ‘여류문인’의 경우 이러한 문학 외적인 조건이 훨씬 더 지배적인 결정 요소였음을 암시한다. ‘여류문인’ 여부를 판단하는 이러한 문학 외적 기준들은 그대로 그들의 작품에도 적용된다. 특히 그 당시 여성작가의 신체적, 외적 인상은 물론 그들의 사생활이 여성작품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었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문학 외적 기준들은 그대로 여성문학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반복 재생산된다. 그리하여 ‘여류작가’의 사생활과 ‘여류문학’은 서로가 서로를 평가의 기준점으로 삼는 거울상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여류문학’의 평가 기준은 크게 두 가지로 논리화될 수 있다. 하나는 문학 외적인 평가 기준의 적용으로 ‘여류문학’을 비문학적인 것으로 가르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여류문학’의 문학성을 평가하더라도 대개 ‘남성성’을 표준 혹은 기준점으로 삼아 그것과의 관계 속에서 부차적인 것으로 주변화하는 것이다. 이는 ‘여류문학’을 문학 아닌 것으로 ‘배제’하고 남성작가의 작품과는 다르다고 ‘차별화’하는 논리에 다름 아니다. ‘여류문학’은 바로 이러한 남성중심적인 배제와 차별화의 논리에 의해 문학 아닌 것으로, 혹은 남성작가의 작품보다 미성숙한 것으로 규정된다. ‘소녀문학’이라는 개념은 바로 이러한 위계화된 젠더 의식의 극단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1932년부터 제2기 여성작가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기 시작한 ‘여류문단’이라는 용어는 분명 이러한 배제와 차별화 논리가 여성작가 전체를 겨냥한 것임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여성작가의 집단화는 여성작가의 세력화와 제도화를 의미하기도 한다. 여성작가가 그룹화되기 시작한 때는 1930년대 초반인데, 그 당시 ‘여류문단’은 박화성, 강경...

      • 오정희의 「옛우물」 다시 읽기

        심진경 시학과언어학회 2015 시학과 언어학 Vol.0 No.29

        The thesis is an attempt at re-reading the text of An Old Well by Oh Jung-Hee. Existing interpretation of 'the old well' in the text remains unbearably stereotypical. The wide-spread view is that 'the old well' manifests the maternal life force. However, the issue with this interpretation is that the maternal in Oh Jung-Hee's work remains largely indistinct and hazy at best. Rather the maternal in her work is rarely accepted as a positive sign. The problem is that serious conflicts, contradictions and fissures are present internally within the maternal. The maternal simply defies a singular interpretation. In the background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old well' as a source of the maternal life force lies the stereotypical conception or equation of 'serious women's literature as affirmation of maternity'. The thesis raises the question by starting off from this vantage point. The sequence of events in An Old Well from the disappearance of 'Yoendang house', decision to sell the 'small house', 'his death', smashing of the mirror and then finally filling of the well, forms a close interconnection with dissolution and death in terms of their significance and moreover are intertwined with the sense of loss felt by the present 'I'. The meaning of the old well in Oh Jung-Hee's work should be understood within the context of the symbolic space and also within the space that defines the beginning and end of existence. The legend of the golden carp that appears at the end of The Old Well can be seen as compensation for the loss of "I" and a narrative to make up for the power of life that is ebbing away. However, to view this immediately as signifying the principle of the maternal life force and its approval in a singular, simplified manner is problematic. 'The old well' that is described in the novel holds its significance within the overall context of those that are in the process of dissolution or already expired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Yeongdang house', 'small house' and 'him'. The most fundamental point is that as is the case with Oh Jung-Hee's other work, the significance of the text remains volatile and insurgent. As with the process of writing on parchment, multiple versions of writing remain defiant against an ultimate fixed position of interpretation to offer a multifaceted narrative. This is the case with Oh Jung-Hee's An Old Well. 'The old well' is a world that is covered up voluntarily after having reached a sympathetic rapport on the part of "I" with the blessings offered by the customary order symbolized by family and at the same time, is the root of the primordial feminine narrative that makes up for the principal loss of existence that cannot be cast off.

      • KCI등재

        ‘김명순’이라는 텍스트와 유전(流轉)하는 여성 주체

        심진경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여성문학연구 Vol.47 No.-

        Although Kim Myung-soon was one of the greatest writers in the modern Korean literary formation, the Scandalus was due to several biographical facts: the origin of a concubine's child,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premarital cohabitation, conversion to movie stars, Japanese exile, and tragic death. It was consumed only as an incident and story, and was not evaluated for literary works. That is why Kim Myung Soon has not been treated well in Korean literature for a long time. However, Kim Myung Soon is now regarded as the first woman writer in Korea and the most active artist in the 1920s. This paper first summarizes these existing discussions about Kim Myung-soon, and based on this, I suggest that Kim Myung-soon's literary research should be centered around the text, Kim Myung-soon's literary works and discourses on the history of life. And as a case study of 'text named Kim Myung Soon', I analyzed Kim Myong Sun's novel as a whole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Kim Myung Sun literature. One theme that penetrates Kim Myung Sun novels is the impossibility of love, romance, and marriage. This theme is primarily a way of resisting the norms of the world that define itself as a "sexually promising new woman," but in the process, he creates a character called a bullet that overlaps fiction and reality. To this end, Kim Myung-soon, by arranging and reconstructing scandals about herself produced and distributed outside the narrative in a novel, intersecting and attaching female characters in the novel with the artist himself outside of the novel, breaks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fiction, reality and narrative. Blurry In particular, Kim Myung Sun's novel "Tansil-I and JuYong-I" is a work that shows the intersection, ambiguity and liquidity of Kim Myung Sun's novel. In this novel, Kim Myong-sun analyzes his life in depth by analyzing his life and also resists the reality of honor killing himself as a victim of sexual violence. In the process, Kim Myeong-soon or Chan-sil is a woman who has personality unique to her identity beyond the gender identity granted by the contemporary society through the variation of various subject positions. 김명순은 한국 근대문학 형성기에 뛰어난 작가 중 한 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전기적 사실-첩의 자식이라는 출신성분, 성폭력 피해 경험, 혼전동거, 영화배우로의 전향, 일본 망명, 비극적 죽음- 때문에 스캔들러스한 사건과 이야깃거리로만 소비되어 문학 작품에 대한 평가를 받지 못했다. 김명순이 한국문학사에서 오랫동안 제대로 다뤄지지 못한 것은 그 때문이다. 그러나 여성연구자들에 의해 1980년대부터 시작된 김명순 문학연구를 통해 이제 김명순은 한국 근대 최초의 여성작가이자 1920년대 가장 활발하게 작품 활동을 한 작가로 평가받고 있다. 이 논문은 일차적으로 김명순에 대한 이러한 기존논의들을 정리한 뒤, 이에 기반해 김명순 문학 연구가 김명순이라는 텍스트, 즉 김명순의 문학작품과 삶의 이력에 관한 담론들 모두를 포함한 형태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김명순이라는 텍스트’ 연구의 한 사례로 김명순의 소설 전체를 분석 대상으로 김명순 문학의 특징을 정리했다. 김명순 소설을 관통하는 하나의 주제는 바로 사랑과 연애, 결혼의 불가능성이다. 이러한 주제는 일차적으로는 자신을 ‘성적으로 문란한 신여성’으로 규정하는 세상의 규범에 저항하는 방식이지만 그 과정에서 허구와 실제가 겹쳐진 탄실이라는 인물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이를 위해 김명순은 서사 바깥에서 생산되고 유통되는 자신에 관한 스캔들을 소설 속에 기습적으로 배치하고 재구성하고, 소설 속 여성인물들을 소설 바깥의 작가 자신과 교차시키고 착종시킴으로써 실제와 허구, 현실과 서사의 경계를 모호하게 흐린다. 특히 김명순의 자전소설 「탄실이와 주영이」는 김명순의 소설이 가진 이러한 교차성과 모호성, 유동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김명순은 이 소설을 통해 자신의 삶을 서사화함으로써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동시에, 성폭력 피해자인 자신을 명예살인하는 현실에 저항하기도 한다. 그 과정에서 김명순 혹은 탄실은 다양한 주체 위치의 변이를 통해 당대 사회가 부여한 성 정체성을 넘어 자기만의 고유성을 개성을 갖춘 여성인물이 된다.

      • KCI등재

        성공의 신화와 비난받는 여자들:『위대한 개츠비』 다시 읽기

        심진경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22 젠더와 문화 Vol.15 No.2

        이 글은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소설 『위대한 개츠비』에서 그려지는 속물적 성공 신화의 전개과정에서 여성이 어떤 방식으로 비난받고 타자화되는가를 살펴본다. 그 자체로는 결코 위대하다고 볼 수 없는 ‘평범한’ 욕망의 소유자인 그는 소설의 윤리적 중심축인 닉과 긍정적으로 연대하고 세계의 도덕적 타락을 대표하는 여성 인물 데이지와는 부정적으로 단절하여 비로소 ‘위대한’ 존재로 거듭난다. 이 소설에서 작동하는 젠더화의 기제는 방종한 신여성에 대한 경멸과 동성애(적인 것)에 대한 억압이다. 결국 이 소설에서 나타나는 여성에 대한 혐오와 경멸은 죽은 개츠비를 중심으로 한 느슨한 연민과 공감, 그리고 불안의 남성 연대로 나아간다.

      • KCI등재후보

        최정희 문학의 여성성-여성작가로 산다는 것

        심진경 한국근대문학회 2006 한국근대문학연구 Vol.7 No.1

        This essay aims to consider what feminity is by a study of Choi, Jung-Hi's works in colonial period. Choi Jung-hi has risen in literary critic's estimation by her feminity. But in her literary early stage, her works including her first work, A fair spy were under a bias towards proletarian literature. For this, her early works were judged to be literature of masculinity. The proletarian characteristic of her early works fade away after she had a prison life during 8 months in connection with a wholesale roundup of all KAPF members. This literary change revealed itself in Piteous autumn's flowers, A haunted house which were published directly after the incident. After that, Choi, Jung-Hi was estimated by a writer of feminity and this feminine characteristic was continued to a through-written story of Vein By following up Choi, Jung-Hi's literary changes from masculinity to feminity, I try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feminity in her works, which was constructed in complex psychological and social interconnections. As a result I know that female characters has self-consciousness of mask Choi, Jung-Hi's works. They repeatedly put on their mask and put off it and by it let know publicly their real appearance behind their mask. Showing a real face has been understood to be connected with essential feminity. But this way to reveal covert and private self becomes the strategy woman doubly hide her real face from the world. Then,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mask(false face) and real face. Therefore feminity in Choi, Jung-Hi's works, prove to be a social construct with a result that disguise herself as a woman. In this perspective, it is not clear that feminity is said to be inherent in women. 이 논문은 식민지 시대 여성작가인 최정희 소설의 변화를 통해 여성성의 정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정희는 한국문학사에 ‘가장 여류다운 여류’로 평가받으면서 여성성을 대표하는 작가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실제로 최정희의 데뷔작인 정당한 스파이를 비롯한 초기작들은 프로문학적 경향이 농후하다. 그 때문에 초창기 최정희 소설은 ‘남성성의 문학’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이러한 최정희 문학의 경향성은 1934년 카프 검거 사건과 관련하여 감옥에 갔다 온 뒤에 급격하게 탈색되는데, 출옥 직후에 발표한 수필 애려한 가을화초와 단편 흉가는 이러한 문학적 변화를 잘 보여준다. 그리고 이후 최정희는 본격적으로 여성성의 작가로 급부상하게 되고 이러한 특성은 맥 연작 소설에까지 이어진다. 이 논문은 이렇게 ‘남성성의 작가’와 ‘여성성의 작가’라는 상반된 평가를 받은 최정희 소설의 문학적 경력을 추적함으로써, 최정희 소설에서 여성성의 문제가 매우 복잡한 심리적, 사회적 맥락 속에서 구성된 것임을 밝히고자 했다. 그 결과 최정희 소설에는 가면에 대한 자의식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했는데, 최정희 소설에서 여성인물들은 가면 쓰기와 가면 벗기를 반복하면서 가면 뒤에 감추어진 맨얼굴을 ‘표박’하고 있음을 공공연하게 드러낸다. 이러한 가면의 자의식은 그동안 ‘맨 얼굴 드러내기’로 평가받았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맨 얼굴의 이미지는 여성성의 본질과 관련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최정희 소설에서 은밀하고 사적인 자아를 드러내는 이러한 방식은 오히려 이중으로 자기를 은폐시키는 전략으로 활용된다. 가면과 맨얼굴의 구별은 이제 불가능한 것이 되었다. 즉 최정희 소설의 여성성이란 사실 맨얼굴이라는 ‘가장(假裝)’을 수행함으로써 구성되는 사회적 결과물이었던 것이다.

      • KCI등재

        『자유부인』의 젠더 정치-성적 가면과 정치적 욕망을 중심으로

        심진경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0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46 No.-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methodologies of the gender politics that represents and condemns a time of turmoil by means of the gender and body of women, based on the reading of LadyLibertine by Bi-sukJung. The analysis is carried out on the two levels: first, I examine the makeup techniques of the main character, Sun-young Oh. ‘Make-up as freedom’ is self-masquerading of the phallic woman wanting to get involved in the male socio-economy rather than mere seducing of men. Namely, it can be called the politics of masks. With respect to this, what is condemned in the novel is in truth the phallic or socioeconomic desire that the make-up tries to conceal although it seems to be the abandon of the lady libertine. Second, the genderization of plot is discussed in this research. Lady Libertine is narrativized with the impetus of plotting propelled by the social, sexual desire of Sun-young. However, when her husband, Tae-yon Chang, holds back his sexual desire towards another woman, Eun-mi Park, the impetus goes away and the plot is terminated. What we can grasp here is that the sexual, bodily adventures of the women create popularity of the novel where as the male authority and claims vindicate its moral standards. Furthermore, the novelist feminizes the upheavals of his day and masculinizes the will to improve the reality. The way for improvement depending on the patriarchal authority of men is nothing more than the restoration of the traditional or antiqu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