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濊國古城”과 아리미쓰 교이치(有光敎一)의 調査

        심재연(Sim, Jae-Yoa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 Vol.0 No.50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통치과정에서 생산된 문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의 대부분은 문서의 대략적인 사항이나 지역적인 양상을 살펴보는 연구에 그치고 있다. 최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일제강점기 문서가 공개됨에 따라 강릉지역의 “전예국고성”과 관련된 문서를 확인하였다. 확인한 문서는 아리미쓰 교이치의 「출장복명서」와 「지정관련 강릉토성」에 관한 것으로 이에 대한 검토와 일제강점기 「조선국유철도 12개년 계획」에 따른 동해선의 건설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리미쓰 교이치의 “전예국고성”의 조사는 「조선국유철도 12개년 계획」에 의하여 수립된 동해선의 건설과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일제강점기에 동해선의 건설을 위하여 강릉지역 주민들의 정서 속에 있는 “전예국고성”과 “강릉읍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실제 철도건설에 있어 “전예국고성”의 서벽과 북벽을 훼손하지 않는 방법으로 진행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 해방 이후에 완성된 강릉 구간의 철도 건설은 “전예국고성”의 훼손을 가져오지 않았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문화재수탈은 극심하였다는 사실을 상쇄할 수는 없다. It is well known that there has been various research on the documents written during the rul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However, most of the research simply stood at stating the overall contents of documents. After the National Museum recently released documents from Japanese colonial era, documents on the former earthen fortification, Ye-Guk were checked. The documents viewed were ‘a trip report of Arimith Gyoichi and a script on ‘the earthen fortification Gang-neung and its designation’. These documents were examined as well as the process of building East-sea railway in the 12-year-long Josun state-owned railway project. The result showed the survey of Arimith Gyoichi on the former Ye-Guk fortress was closely related to the building process of East-sea railway. In shor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for the establishment of East-sea railway,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former Ye-Guk fortress and Gang-neung fortress in the memory of people in Gang-neung. Following the survey, a construction method seems to have been devised not to damage the western and northern walls of the former Ye-Guk fortress. As a result of this effort, the construction of railway after liberation of Korea did not cause damage to the former Ye-Guk fortress.

      • KCI등재

        강릉(江陵) “전예국고성(傳濊國古城)”의 시론적(試論的) 검토

        심재연(Sim Jae yoau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6 No.4

        “강릉 예국설”은 문헌 연구자들이 처음 제기하였지만 구체적인 고고학적 검토나 사서(史書)에 기록된 “전예국고성(傳濊國古城)”에 대한 논의는 진행되지 않았다. “전예국고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김흥술이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지적도의 분석을 통하여 강릉읍성과 “전예국고성”의 위치를 비정한 것이다. 이 연구는 그동안 암묵적으로 “강릉 예국설”을 뒷받침하던 토성의 위치를 구체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이후 진전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가 2013년 “전예국고성”의 축조시기에 대한 새로운 견해들이 제기되었다. 이 제견해들은 적어도 “전예국고성”의 축조시기는 삼국시대 이전으로 소급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최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미공개 문서들이 공개되어 “전예국고성”의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하고 서벽이 강릉 읍성과 공유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철도부지 일부가 “전예국고성”의 서벽이 아님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전예국고성” 서쪽지역에서 이루어진 발굴조사 내용의 검토와 “전예국고성” 내부 사찰유적의 분포를 통하여 “전예국고성”의 축조시기는 삼국시대 이전으로 소급할 수 없다는 점을 재확인하였다. The Gangreung Ye-guk hypothesis was first proposed by historians of historical documents. However, there has been no specific discussion on the existence of Jeonye-guk earthen fortifications. In regards to this, Kim Heung-sul first speculated the location of Gangreung eup-seong castle and Jeonye-guk earthen fortifications based on his analysis of the land survey map creat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era. It produced the specific location of the earthen fortifications that had implicitly supported Gangreung Ye-guk hypothesis. However, since then, the research did not progress further and the discussion remained stagnant. However, in 2013, new interpretations on the time of building Jeonye-guk earthen fortifications were proposed. According to these interpretations, the time of building Jeonye-guk earthen fortifications cannot go back earlier than the Three Kingdom period. Then, National Museum of Korea released unidentified drawings and field trip reports through prints and web sit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se documents showed that the guideline to Gangreung eup-seong castle and Jeonyeguk earthen fortifications proposed by Arimitsu Kyoichi were in fact valid. In addition, it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researches done by Kim Heung-sul. Meanwhile, the review of archeological researches done around the old city area of Gangreung in the outskirt of Jeonye-guk earthen fortifications and the distribution of temple-related relics around it were confirmed to be traceable to before the Three Kingdom period and the Unified Shilla period.

      • KCI등재

        춘천 천전리유적의 “반구상경작유구” 재고

        심재연(Sim, Jaeyoaun) 중부고고학회 2021 고고학 Vol.20 No.1

        춘천 천전리유적 조사 결과, “구상경작유구(溝狀耕作遺構)”, “반구상경작유구(半球狀耕作遺構)”, “소혈수혈군”으로 명명된 경작유구가 보고된 바 있다. 이번 글에서는 “반구상경작유구”의 진위(眞僞)에 대하여 재검토를 하였다. “반구상경작유구”와 유사한 현상이 초원지역 중에 인간의 간섭이 없는 하천변에서 확인되는 것을 소개하였다. 아울러 일본 열도에서 확인되는 「うね田」와 일제강점기에 관찰·보고된 평안북도 철산군 일원의 두둑재배법·휴립재배법(畦立栽培法)을 재검토한 결과, 춘천 천전리유적 “반구상경작유구”와는 평면 형태와 농법이 다른 것임을 확인하였다. 초원지역 하천변에서 확인되는 현상과 민족지 자료를 종합한 결과, 춘천 천전리유적에서 확인된 “반구상경작유구”는 경작 행위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 향후, 경작유구의 진위는 다양한 고고학적 조사 방법과 자연과학적 분석을 통하여 교차검증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so-called‘ hemispherical cultivation features’ that were identified at the site of Cheonjeon-ri in Chuncheon. Such‘ hemispheric cultivation features’ were confirmed to be similar in nature to the phenomena found distributed in grassland areas which are found nearby rivers in the absence of human intervention. In addition, the re-examination of the‘ うね田’ identified on the Japanese archipelago and the duduk cultivation method and resting cultivation method of Cheolsan-gun, in Pyonganbuk-do Province (observation and reports of which had been mad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ade it possible to establish that the ‘hemispheric cultivation features’ of Cheonjeon-ri were different in terms of cross-section and planar form. As a result of synthesizing the phenomena and ethnographic data identified in prairie river contexts, it was suggested that the‘ hemispheric cultivation features’ of Cheonjeon-ri could not be regarded as the remains of farming. It was also proposed that, in the future, the cross-validation of the authenticity of ‘cultivation features’ should take place by adopting various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methods and natural scientific analysis.

      • KCI등재
      • KCI등재

        경질무문토기의 기원

        심재연(Sim, Jae yoaun) 중부고고학회 2011 고고학 Vol.10 No.1

        명동·영서지역의 철기시대는 가히 ‘경질무문토기시대’ 라고 할 만큼 이를 공반하는 유적이 다수 발굴 조사되어 왔다. 그런데 경질무문토기의 기원에 대해서는 현재 서북지방 영향설과 동북지방 영향설이 병존 하고 있는 상황이다. 서북지방의 명사리평토기에서 전파되었다는 관점은 영동·영서지역의 삼각형점토대토기가 부재하는 현상을 극복할 대안이 없으며, 동북지방 영향설은 주민의 移佳로만 설명하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강릉 방동리유적과 춘천 현암리유적에서 외반구연호의 형태를 띤 토기가 확인된 것으로 보아 점토대토기문화에서 그 祖形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 경질무문토기의 정형화 과정을 보여주는 표지유적은 현재 확인되지 않았지만, 영동지역은 紀元을 전후한 시기에 발생한 海水面의 微變動과 관련 되었다고 판단되며, 영서지역의 경우는 발굴을 통하여 자료가 증가되기를 기대하여 본다. 한편 영동·영서지역에 있어서 촐기문화의 전개과정은 타날문토기로 대표되는 서북지역의 문화의 내만구연호, 파수부토가 등으로 대표되는 동북지역의 문화가 복합적으로 어울려 형성 되어 갔다고 추정된다. Many remains have been excavated and researched in the regions as much as the Iron Age of Youngdong and Youngseo regions is called the era of Hard-plain Pottery. However, the origin of Hard-plain Pottery has a mix of Northwestern influence theory and Northeastern influence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diffusion theory about Myongsari pottery in Northeastern regions, there is no countermeasure to overcome the lack of Triangle Attached-rim Vessel in Youngdong and Youngseo regions. In addition, Northeastern influence theory has some difficulties in explaining residents' migration. However, pottery with outward mouths and gourd bottles in Gangneung Bangdongri site and Chuncheon Hyunamri site are excavated, so that its formation seems to be found from the culture of Attached-rim Vessel. The remarkable site showlng the formation process of Attached-rim Vessel is not confirmed now. However, it seems to be related to no-fluctuations of the sea level in pre and post B.C. and more data in Youngseo regions will be expected. On the other h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Iron Age of Youngdong and Youngseo regions is probably made by combining Northwestern culture represented by pottery with stamped design and Northeastern culture represented by pots with inward mouths and Pasubu pottery.

      • KCI등재

        철기~삼국시대 강원 영동지방의 철기 제작 공정 전통 - 강릉지역을 중심으로

        심재연 ( Sim¸ Jae-yoau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48

        철기시대 강원 영동지방에 분포하는 마을의 자체적인 철기 제작 증거는 기원후 2세기경부터 확인된다. 그리고 중심 마을은 동해 송정동유적, 강릉 병산동유적이다. 이후, 영동지방은 4세기 중·후반경부터 신라화가 진행되었지만, 물질문화의 변동은 급격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특히, 주거 형태는 전통적인 주거 형태와 방형 신라 주거가 공존하였다. 철기 제작 기술도 강릉 병산동유적에서 (반)환원괴를 정련하여 철 소재와 철기를 만드는 정련단야와 단련단야 공정이 지속되고 있어 획기적인 변화가 진행되었다고 볼 수 없다. 그리고 선철은 주조용해공정의 존재를 논의할 수도 있지만, 제철 복원 실험 결과, 괴련철 생산 체계에서 우연히 생성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철기시대부터 병산동 마을은 강릉지역 철기 생산 중심지였는데 신라진출 이후에도 한시적으로 지속되었다. 병산동 마을에 거주하던 단야 장인이 초당·강문동, 송정동, 안인리 마을을 순회하면서 철기 제작 및 수리를 담당하였다. 이후, 신라화에 따라 조성된 고분 중에 일상용 철기를 제작하는 단야 장인의 존재가 확인된다. 이처럼 삼국시대 강릉지역은 신라화 이후에도 철기 제작에 필요한 철 소재 수요는 급격하게 변화하지 않았기 때문에 (반)환원괴의 반입은 유지되었다. 왜냐하면 자체적으로 철 생산을 하는 비용 보다, 외부에서 반입하는 것이 부가가치가 더 높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철 생산 장인의 분묘가 확인되지 않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강릉지역은 신라의 영역화에도 불구하고 철기 제작 기술은 철기시대 전통이 지속되었다. Iron Age, The existence of ironware manufacturing technology in Gangwon- Yeongdong Region is confirmed from around the 2nd century AD. Traces of iron making are found in most villages, but the main villages are the Songjeong-dong site in the Donghae city and the Byeongsan-dong site in Gangneung city. It was thought that the ironware manufacturing technology in Gangneung area would change according to the Silla Dynasty from the middle and late 4th century,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ironware manufacturing technology was maintained. On the other hand, in the Iron Age, Yeo·Cheol-Shaped(여·철자형) dwellings and square-shaped Silla dwellings coexisted. In terms of ironware manufacturing technology, it cannot be said that a revolutionary change has occurred as the process of refining and danrying iron materials and iron tools by refining (semi)reduced ingots at the Byeongsan-dong Village in Gangneung continues. And pig iron may discuss the existence of a casting and melting process, but as a result of the iron making restoration experiment,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it were produced during a bloomery smelt. Byeongsan-dong Village has been the base for making ironware in the Gangneung area since the Iron Age, and its function wa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during the Shilla process. At that time, itinerant blacksmith living in Byeongsan-dong village would have been in charge of making and repairing ironware in Chodang·Gangmun-dong, Songjeong-dong, and Anin-ri villages. Even after Silla’s effective control over the Gangneung area was complete, the demand for raw materials for iron making did not change rapidly. For this reason, iron was not produced in the Yeongdong region, and the import of (semi) reduced ingots(≒ wrought iron) produced outside, that is, in the Yeongnam region, was maintained. This is because importing of externally produced products was more economically effective than in-house iron production. For this reason, it is presumed that iron production-related relics are not found in Silla tombs, and the existence of black smiths is confirmed in a small number.

      • KCI등재

        강원지역 청동유물의 출토 맥락 검토

        심재연(Sim, Jaeyoaun) 중부고고학회 2020 고고학 Vol.19 No.2

        강원지역 청동기시대 유적 조사 사례의 증가로 그 필요성이 대두되어 기존 발견매장문화재신고품, 기증품의 출토 맥락에 대한 재검토를 진행한 결과, 맥락적으로 출토지를 인정할 수 있는 사례와 없는 사례로 구분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발굴품 중 유물의 용도를 재해석하기도 하였다. 이에, 청동제 유물의 조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에 무비판적으로 인용되었던 발견매장문화재신고된 유물의 출토 맥락을 검토하는 작업의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강원지역 발견매장문화재신고품에 대한 재검토가 청동기시대 유물만이 아니라 모든 시대와 지역, 모든 유물이 해당한다는 점도 강조하였다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Bronze Age sites discovered in the Gangwon region has illuminated the need to re-examine the contexts in which bronze artifacts reported by the public or donated to museums had originally been found. A re-examination has revealed cases in which the believed-to-be discovery contexts were in fact wrong. A re-examination of the function of bronze artifacts was also attempted. This attempt has demonstrated that a critical re-evaluation of the finds contexts of artifacts not discovered through excavation is needed. In addition. it may be argued that such a re-evaluation is required for all artifacts reported by the public or donated to museums, regardless of type, period, or region.

      • KCI등재

        고고학적 조사로 본 “晋率善穢伯長” 銅印의 출토지 신빙성 검토

        심재연(Sim, Jae-yoau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9 한국고대사탐구 Vol.31 No.-

        이 글은 ‘濊’의 남쪽 경역을 설명하는데 주로 인용되는 “晋率善穢伯長” 동인에 대한 출토 맥락에 대한 검토이다. 銅印은 기원 3세기 후반경 중국 중원세력의 동아시아 통치 체계를 설명하는 중요한 기재로 사용되어 왔다. 그리고 이 동인에 대한 해석에 따라 “濊”의 분포범위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제기되어 왔다. 고고학계에서는 “동인”이 사민 등으로 이동 되었을 가능성이 언급되기도 하였고 포항지역까지 진출한 “예”의 쇠퇴를 증명하는 유물로 설명하기도 하였다. 한편, 문헌학 일부 견해는 “예” 종족의 분포 범위를 특정할 수 있는 자료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동인 출토지로 알려진 주변 지역에 대한 최신 발굴 조사 성과와 출토지로 알려진 흥곡리 614-4번지에 대한 현지 조사 결과, 동인이 출토된 지역으로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물론, 이 동인의 傳世, 移動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지만 고고학적 정황으로 보면 기원후 3세기 후반경의 포항 일원의 정치체를 설명하는 물질자료로 보는 것에는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article is a review of the context of the excavation of the “Jinsolsunyebaekjang(晋率善穢伯長)” seal, which is quoted mainly to explain the south side of ‘Ye(濊)’. The bronze mark has been used as an important reference to explain the East Asian governance system of the Chinese middle powers after the third century CE. And,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this driver, various opinions about the distribution range of “Ye(濊)” have been raised. In archaeological excavations, it was mentioned that “Dong - in” was moved to civilians, etc. And it was described as an artifact proving the decline of “Ye(濊)” to Pohang region. On the other hand, some aspects of literary science have been used as data that can specify the distribution range of “Ye(濊)” people. However, as a result of the recent excavation survey on the surrounding area known as the excavation site of Dongjin(東晋), and the field survey on the 614-4 area of Heunggok-ri(흥곡리) which is known as the excavated sit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limit to view it as an excavated area. Of course, it can be explained by the propagation and movement of this dynasty. However, in archaeological context,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review it as material data explaining the political status of the Pohang-region in the late 3rd century AD.

      • KCI등재

        ‘원삼국시대’ 한강유역의 제문제

        심재연(Sim Jaeyoaun) 백산학회 2017 白山學報 Vol.- No.107

        이 글은 ‘원삼국시대’ 한강유역에서 보이는 토기와 철ㆍ철기의 생산에 대한 재검토이다. 토기는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낙랑계토기를 검토하였다. 경질무문토기의 출현은 외부 기원설과는 달리 청동기시대 환동해선사문화권역 안에서 이루어진 상호작용 속에서 출현한 것으로 보았다. 타날문토기의 출현은 원주 반곡동유적 출토품 통하여 낙랑군 설치 이전인 전국계에 토기가 국지적으로 출현 또는 반입되었다고 보았다. 그리고 낙랑군 설치 이후 한강유역에 출현하는 낙랑계 토기의 제작 집단은 유이민일 가능성을 재확인하였다. 경질무문토기 제작 전통은 신라가 한강유역에 진출한 다음에도 북한강유역에서는 지속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철기는 한강유역에 분포하는 마을에서 철을 생산하는 제련유구가 확인되지 않는 상황에서 철기의 형식학적 분류를 통하여 외부로 부터의 반입을 이야기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적어도 철 생산 유적의 확인과 철기의 금속공학적 분석이 병행되어야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철기 생산 유적은 한강 상류지역에서 주로 확인되고 완제품과 철소재를 생산하던 거점 마을은 가평 대성리유적, 춘천 우두동유적, 연천 삼곶리유적으로 보았다. 그리고 거점 마을에서 유통된 완제품과 철소재는 하위마을에서 간단한 철기를 제작하거나 수리를 한 것으로 보았다. 아울러 단야구나 소구경송풍관만 동반되는 주거는 단야 장인이 거주하는 공간으로 보았다. 지금까지 관행적으로 ‘원삼국시대’ 철 생산은 변진한(弁辰韓)지역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았지만 평택 가곡리유적이 확인되어 지금의 경기 남서부지역일 가능성을 검토하여 보았다. 한편, 이조돌대철부의 형식 분류는 인부의 가공으로 인한 변별의 어려움과 중앙의 엄격한 통제 속에서 철부가 생산되었음을 증명하지 않는 한 동아시아 지역의 철부를 일관되게 분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보았다. This study has reviewed the production of potteries and iron ware in the Han River basin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When it comes to reviewing potteries, the study has covered hard-plain pottery, Tanalmun (paddled/beaten pattern) pottery and lelang style pottery. The advent of hard-plain pottery is considered to have been associated with interactions within the Korean East Sea Prehistoric Cultural District of the Bronze Age, unlike the external theories of origin. The appearance of Tanalmun(paddled/beaten pattern) potteries is considered to have been locally discovered or brought in before the installation of Lelang Commandery based on the fact that they were excavated at Bangok-dong remains in Wonju-si. The discovery of Lelang potteries in the Han River basin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Lelang Commandery reaffirmed the possibility that they were made by wandering people. In addition, the tradition of making hard-plain potteries has confirmed that they existed in the north Han River basin even until Silla expanded its presence to the Han River basin. The investigation has been made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iron ware brought in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form-based classification under the circumstance where blacksmithing tools designed to produce iron are not found in the villages scattered around the Han River basin. To say the least, discovery of iron production remains combined with metal engineering analysis will be required to be able to obtain meaningful results. Iron ware production remains have been discovered mainly in the upper region of the Han River and key villages that produced ironware and complete products include Gapyeong Daeseongri Historic Site, Chuncheon Udu-dong Historic Site, and Yeoncheon Samgot-ri Historic Site. The complete products and iron materials distributed in those key villages indicate that simple ironware were manufactured or repaired in subsidiary villages. In addition, the dwelling houses accompanied by blacksmithing tools and small caliber tuyeres only are considered to have been occupied by blacksmiths. Byeonhan(弁韓) and Jinhan(辰韓) have been customarily seen as the iron production areas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but the discovery of Pyeongtaek Jinwi Remains led to a possibility that the southwestern region of Gyeonggi might be one of those iron production sites. Meanwhile, the form-based classification of the Cast Iron Ax with Double Protruding Bands may not be able to set classification of iron axes in the East Asian region in a consistent manner unless the difficulty of discrimination caused by the manual processing by workers and the production of iron axes under the rigorous central control are prov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