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외측 반월상 연골에서 발생한 외상성 완전 방사상 파열 자가 치유의 자연 경과: 증례 보고

        심재앙 ( Jae Ang Sim ),윤용철 ( Yong Cheol Yoon ),이신우 ( Sheen Woo Lee ),이범구 ( Beom Koo Lee ) 대한외상학회 2015 大韓外傷學會誌 Vol.28 No.1

        Complete radial tears of the lateral meniscus are relatively rare. Once torn, the injury can be debilitating due to disruption of the circumferential fibers of the meniscus. We experienced a case of a lateral meniscus with a complete radial tear at the midbody, where the two torn ends were displaced more than 1 cm and could not be approximated during arthroscopy. Thirteen months after surgery, follow-up MRI and second-look arthroscopic findings showed that the complete radial tear has healed spontaneously. However, twenty nine months after the second-look arthroscopy, the patient complained of severe knee pain during exercise. On follow-up MRI, increased sclerosis and newly developed bone marrow edema were observed in the lateral femoral condyle, compared with previous MR images. Finally, we performed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due to the defective properties of the completely healed lateral meniscus. [ J Trauma Inj 2015; 28: 21-26 ]

      • KCI등재
      • KCI등재

        Locking Compression Plate<SUP>®</SUP>를 이용한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 단기 추시 결과

        심재앙(Jae Ang Sim),이범구(Beom Koo Lee),김동구(Dong K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1

        목적: Locking Compression Plate<SUP>®</SUP> (LCP<SUP>®</SUP>)를 이용한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의 유용성과 수술 술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5년 1월까지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을 시행한 11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17.87월이었다. 임상적으로 슬관절 점수, 기능 접수, 합병증을, 방사선학적으로 내반 변형 정도, 관절 간격, 경골 후방 경사도, 내측 불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슬관절 점수와 기능 점수는 각각 54.8점과 57.3점에서 95.9점, 88.2점으로 호전되었다. 대퇴-경골각은 내반 4.1도에서 외반 9.9도로 교정되었고, 경골 후방 경사도는 9.0도에서 8.2도로 의의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관절 간격은 3.3 ㎜에서 4.3 ㎜로 증가하였다. 내측 불안정성을 보이진 않았다. 결론: LCP<SUP>®</SUP>를 이용한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은 만족할 만한 교정각, 적은 교정각 소설, 향상된 슬관절 기능을 얻었고, 수술 술기의 조정으로 경골 후방 경사도각 증가를 방지할 수 있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value of an open wedge high tibial osteotomy (HTO) using a Locking Compression Plate<SUP>®</SUP> (LCP<SUP>®</SUP>) as a surgical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2003 to January, 2005, eleven open wedge HTO using LCP<SUP>®</SUP> were performed an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7.8 months. The knee score and function score for the clinical results, and the degree of varus deformity, the size of the joint space, the posterior tibial slope and the medial instability for radiography results were evaluated. Results: The knee score improved from 54.8 points to 95.9 points, and the function score improved from 57.3 points to 88.2 points. The femorotibial angle was corrected from 4.10 varus to 9.90 valgus. The posterior tibial slop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The size of the joint space increased from 3.3 ㎜ to 4.3 ㎜. No medial instability was observed. Conclusion: An open wedge HTO using LCP<SUP>®</SUP> achieved a corrected angle, reduced loss of the corrected angle, and an improved knee function. The surgical technique prevented the posterior tibial slope from increasing.

      • KCI등재

        잔여 인대를 보존한 단일 다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경골 터널 형성 시 후내측 접근법과 후방 경격막 접근법의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 비교

        심재앙(Jae Ang Sim),윤용철(Yong Cheol Yoon),김태원(Tae Won Kim),김병각(Byung Kag Kim),이범구(Beom Koo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2

        목적: 잔여 인대를 보존한 단일 다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경골 터널 형성 시 후내측 접근법과 후방 경격막 접근법의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단일 다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경골 터널 형성 시 후내측 접근법을 이용한 33예와 후방 경격막 접근법을 이용한 35예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기능 및 안정성과 같은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경골 터널의 위치를 컴퓨터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임상적 결과는 양 군 모두 수술 전에 비해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양 군 간의 비교에서는 기능적 검사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안정성 검사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경골 터널의 중심은 후내측 접근법이 후방 경격막 접근법에 비해 좀더 내측, 근위부에 위치하였다. 결론: 잔여 인대를 보존한 단일 다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에서 양 군 모두 수술 전에 비해 기능과 안정성을 회복시킬 수 있는 좋은 술식으로 생각된다. 양 군 간의 임상적 결과는 차이가 없었으나, 경골 터널의 위치는 후내측 접근법이 좀더 내측, 근위부에 형성되는 경향이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between posteromedial portal technique and posterior transseptal portal technique in making a tibial tunnel in single bundl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reconstruction with remnant preserv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hree cases of posteromedial portal technique and 35 cases of posterior transseptal portal technique in making a tibial tunnel in single bundle PCL reconstruction with remnant preservation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The clinical evaluation, including function and stability, was assessed. The tibial tunnel placement was measured using computed tomography. Results: At final follow-up, the clinical resul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preoperation in both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results including function and stability in both groups. The centers of tibial tunnels by posteromedial portal technique were placed more medially and proximally than those of the posterior transseptal portal technique. Conclusion: Remnant preserved single bundle PCL reconstructions by posteromedial portal technique and posterior transseptal portal technique were good methods for restoring function and stability compared to preoper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results in both groups. However, the tibial tunnels by posteromedial portal technique tended to be more medial and proximal placements than those of the posterior transseptal portal technique.

      • KCI등재

        이중 다발 전방 십자 재건술 후 이식건-골간 접촉면의 평가와 임상적 관계

        심재앙 ( Jae Ang Sim ),곽지훈 ( Ji Hoon Kwak ),이신우 ( Shin Woo Lee ),김동환 ( Dong Hwan Kim ),이범구 ( Beom Koo Lee ) 대한슬관절학회 2010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2 No.3

        목적: 이중 다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이식건과 골간 접촉면의 평가를 할 수 있는 조영제 삽입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이식건과 골간 접촉면의 평가 및 임상적 결과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2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이중 다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중 조영제를 삽입한 추시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실시한 15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20개월이었다. 이식건과 골간 접촉면의 평가는 조영제의 유출 여부로 평가하였으며, 유출이 없는 군, 국소(focal) 유출이 있는 군, 반월형(crescent) 유출이 있는 군, 환상(circumferential) 유출이 있는 군으로 분류하였다. 기능적 평가는 Lysholm 점수, IKDC 점수, 슬개골 상부 10 cm 근위부에서 대퇴부 둘레 측정, Hop 검사를 시행하였고, 합병증을 평가하였다. 안정성 평가는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 KT-2000 관절계 검사, 30도 슬관절 굴곡 상태에서 Telos?를 이용하여 건측과 비교한 전방 전위 긴장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자기공명영상에서 15예 중 10예에서 조영제의 유출 소견을 보이지 않았고, 5예에서 국소 유출 소견을 보였으며, 반월형 유출이나 환상 유출 소견을 보인 예는 없었다. 유출 소견을 보이지 않은 군과 국소 유출 소견을 보인 군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기능적 평가에서 Lysholm 점수, IKDC 점수, 슬개골 상부 10 cm 근위부에서 대퇴부 둘레 측정, Hop 검사 모두 조영제의 유출이 없는 군과 국소 유출 소견을 보인 군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안정성 평가의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 KT-2000 관절계 검사, 30o슬관절 굴곡 상태에서 Telos?를 이용하여 건측과 비교한 전방 전위 긴장 방사선 검사에서도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이중 다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조영제를 이용한 추시 자기공명영상상 조영제 유출 소견을 보이지 않은 군과 국소 유출 소견을 보인 군 모두 이식건과 골간의 고정은 만족스러운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 evaluation of the graft-bone interface using magnetic resonance (MR) arthrography and the clinical results after double 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December 2005 to October 2007, 15 cases that underwent double bundle ACL reconstruction and that were evaluated by MR arthrography were reviewe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0 months. The graft-bone interface was assessed by the leakage of contrast medium seen on MR arthrography. Four group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rast media leakage: no contrast media leakage, the focal type, the crescent type and the circumferential type. A functional evaluation was made using the Lysholm score, the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score, the difference in the midthigh circumference and the Hop test. The stability was evaluated using a Lachmann test, a pivot shift test, a KT-2000 arthrometer and an anterior drawer stress radiograph using Telos(R) with the knee in 30o flexion. Results: Ten cases showed no leakage of contrast media, five cases showed focal leakage and there was no case of crescent and circumferential leakage. The clinical results of the no leakage and focal leakage groups were compared. The functional evaluation such as the Lysholm score, the IKDC score, the difference in the midthigh circumference and the Hop tes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stability evaluation, such as the Lachmann test, the pivot shift test, the KT-2000 arthrometer and anterior drawer stress radiograph,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On MR arthrography after double bundle ACL reconstruction, adequate osteointegration and satisfactory clinical results could be obtained in the no leakage and focal leakage groups.

      • KCI등재

        경골 근위부 분쇄 골절 시 최소 침습적 방법을 이용한 내측 금속판 고정술

        심재앙(Jae-Ang Sim),김광희(Kwang-Hui Kim),이용석(Yong-Seuk Lee),이상진(Sang-Jin Lee),이범구(Beom-Koo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4

        목적: 경골 근위부 분쇄 골절 시 최소 침습적 방법을 이용한 내측 금속판 고정술의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와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2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최소 침습적 방법을 이용한 내측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받고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4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AO/OTA 분류 41A3가 30예, 41C2가 13예였고, 폐쇄성 골절 36예, 개방성 골절 7예였다.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 수술 후 합병증을 평가하였다. 결과: 불유합을 제외한 40예의 골 유합 시기는 평균 18.3주였다. Schatzker와 Lambert 평가에서 우수 22예, 양호 21예였다. 경골 고 평부각은 평균 89.1도, 경골 후방 경사각은 평균 10.5도, 대퇴-경골각은 평균 175.1도, 기계적 축 변위는 평균 46.5%였다. 합병증으로는 개방성 골절 중 3예에서 불유합 소견을 보였으나, 추후 자가 골 이식을 시행하여 골 유합을 얻었고, 7예에서 고정물로 인한 피부 자극의 증상이 있었으나 이로 인한 피부 괴사, 감염, 관절 운동 제한 등은 없었다. 결론: 최소 침습적 방법을 이용한 내측 금속판 고정술은 경골 근위부 분쇄 골절 치료에 있어서 만족할 만한 임상 결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방사선적 정렬 면에서도 우수한 수술 술기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goal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proximal tibial comminuted fractures treated with medial minimally invasive percutaneous plate osteosynthesis (MIPPO).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43 patients who underwent medial MIPPO from February 2008 to February 2012 and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one year. According to the AO/OTA classification, there were 30 patients of 41-A3 and 13 patients of 41-C2. Thirty-six patients had closed fractures and seven patients had open fractures. We assessed clinical outcomes, radiologic results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All fractures were united at an average of 18.3±8.1 weeks except three patients with nonunion. According to Schatzker and Lambert assessment, excellent results were achieved for 22 patients and good results were achieved for 21 patients. The average tibial plateau angle was 89.1o±2.7o and the average posterior tibial slope angle was 10.5o±4.6o. In assessment of lower limb alignment, the average femorotibial angle was 175.1o±2.9o and the mean deviation of mechanical axis was 46.5%±12.7%. In terms of complications, three patients had nonunion, but complete bony union was achieved by autogenous cancellous bone grafting. Seven patients complained of skin irritation around the plate. However, there was no skin necrosis, infection, or limited range of motion in seven patients with skin irritation. Conclusion: Medial MIPPO for proximal tibial comminuted fractures provides favorable clinical outcomes and good radiological alignments.

      • KCI등재

        이중 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이차 관절경 소견과 임상적 결과와의 관계

        심재앙 ( Jae Ang Sim ),곽지훈 ( Ji Hoon Kwak ),김광희 ( Kwang Hee Kim ),이범구 ( Beom Koo Lee ) 대한슬관절학회 2011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3 No.2

        목적: 슬근건과 Ligament Plate(R)을 이용한 이중 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이차 관절경 검사를 통해 이식건을 평가하고 임상적 결과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이중 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지 1년 이상 경과되었으며 이차 관절경 검사를 이용한 추시가 가능하였던 2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0.6개월(범위: 12-34개월)이었다. 이차 관절경 검사를 통하여 전내측 다발과 후외측 다발 이식건의 긴장도, 파열 여부, 활액막 형성 정도를 평가하고, 임상적으로는 Lysholm 점수,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점수, Hop 검사,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 KT 2000 관절계 검사, 건측과 비교한 30˚ 전방 전위 방사선 검사를 평가하였다. 이식건의 관절경 소견과 불안정성 검사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결과: 이식건의 긴장도는 전내측 다발이 긴장 89.3%, 이완 10.7%였고, 후외측 다발이 긴장 71.4%, 이완 28.6%였다. 파열 정도는 전내측 다발이 정상 78.6%, 부분 파열 21.4%였고, 후외측 다발이 정상 78.6%, 부분 파열 21.4%였고, 두 다발 모두 완전 파열을 보인 예는 없었다. 활액막 형성 정도는 전내측 다발이 양호 53.6%, 보통 35.7%, 불량 10.7%였고, 후외측 다발이 양호 50.0%, 보통 28.6%, 불량 21.4%였다. Lachman 검사와 전내측 다발 이식건의 긴장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ρ=0.743, p<0.001), 파열 여부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ρ=0.438, p=0.020). 또한 pivot shift 검사와 후외측 다발 이식건의 긴장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ρ=0.548, p=0.003), 파열 여부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ρ=0.663, p<0.001). 결론: 슬근건을 이용한 이중 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생물학적 측면의 이차적 관절경 추시와 임상적 결과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안정성 면에서는 이식건의 긴장도와 파열 정도가 이식건의 활액막 형성정도보다 좀더 관련이 있었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ndings of a second-look arthroscopy and clinical results in double 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using hamstring tendons fixed with a Ligament Plate(R).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eight cases of a double bundle ACL reconstruction using hamstring tendon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follow-up period was more than 1 year and all cases were reviewed by second-look arthroscopy.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20.6 months (range: 12-34 months). In second-look arthroscopy, the anteromedial (AM) bundle and posterolateral (PL) bundle of the graft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tension, rupture and synovial coverage. Clinical evaluation was assessed using the Lysholm score,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score, Hop test,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KT-2000 arthrometer and anterior drawer stress radiograph using Telos(R) in 30˚ knee flex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rthroscopic findings of the grafts and the instability tests was evaluated. Results: The AM graft was evaluated as being taut in 89.3% and lax in 10.7%, and the PL graft was assessed as being taut in 71.4% and lax in 28.6% according to the tension. The AM and PL grafts were evaluated as ``no rupture`` in 78.6% and ``partial rupture`` in 21.4%. There was no ``complete rupture`` in any graft. The AM grafts were found to be good in 53.6%, fair in 35.7% and poor in 10.7%; the PL grafts were assessed as good in 50.0%, fair in 28.6% and poor in 21.4% according to the synovial coverage. The AM graft tens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regarding both the Lachman test (ρ=0.743, p<0.001) and degree of rupture (ρ=0.438, p=0.020). The PL graft tens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regarding both the pivot shift test (ρ=0.548, p=0.003) and the degree of rupture (ρ=0.663, p<0.001). Conclusion: Double bundle ACL reconstructions using hamstring tendons show good b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The graft tension and the degree of rupture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to the stability of the reconstructed joint. On the other hand, the synovial coverage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sult.

      • KCI등재

        내반 변형의 슬관절 전치환술시 내측 상과 절골술의 단기 추시 결과

        심재앙 ( Jae Ang Sim ),곽지훈 ( Ji Hoon Kwak ),양상훈 ( Sang Hoon Yang ),김준엽 ( Joon Yub Kim ),이범구 ( Beom Koo Lee ) 대한슬관절학회 2009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1 No.3

        목적: 내반슬의 슬관절 전치환술에 있어서 내측 측부 인대 이완술시 내측 상과 절골술의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2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시행한 내측 상과 절골술 32예를 분석하였으며, 평균 나이는 71.0세, 추시 기간은 23.5개월이었다. 임상적 평가는 슬관절 점수, 기능 점수 및 관절 운동 범위를 평가하였고, 방사선학적 평가는 전후방 사진으로 유합 상태를, 긴장 방사선 사진으로 불안정성을, 하지 전장 방사선 사진으로 대퇴-경골 각, 기계적 축 각, 정렬을 평가하였다. 결과: 슬관절 점수, 기능 점수는 각각 수술 전 46.5±7.6점, 39.5±9.2점에서 최종 추시 시 89.1±5.9점, 84.2±8.5점으로 호전되었으며(p<0.001), 관절 운동 범위는 수술 전 101.5±28.2°에서 최종 추시 시 116.0±10.8°로 증가하였다(p=0.006). 유합 상태는 골성 유합이 22예, 섬유성 유합이 10예였다. 대퇴-경골 각은 수술 전 내반 8.2±5.0°에서 최종 추시 시 외반 5.6±1.5°로 교정되었고(p<0.001), 기계적 축 각은 수술 전 내반 13.9±4.5˚에서 최종 추시 시 내반 0.7±1.6°로 교정되었다(p<0.001). 정렬은 중립 정렬 27예, 내반 정렬 4예, 외반 정렬 1예였다. 반대편과 비교한 외반 긴장 방사선 사진상 최종 추시 시 1.0±0.6°의 차이를 보였고, 골성 유합된 군과 섬유성 유합된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75). 결론: 내반슬의 슬관절 전치환술시 내측 상과 절골술은 내측 안정성을 줄 수 있는 유용한 연부 조직균형 술식으로 사료된다.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results of medial epicondylar osteotomy for the varus knee when performing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32 cases of medial epicondylar osteotomy for treating varus deformity, and these cases underwent operation from December 2004 to December 2007.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71.0-years-old an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23.5 months. The clinical outcomes were measured, including the Knee Society score (KSS), the function score (FS) and the range of the motion (ROM). The radiological outcomes were measured by anteroposterior simple radiographs for assessing the union state of the osteotomy site, and the valgus stress radiographs and the whole extremity radiographs were used for assessing the femorotibial angle, the mechanical axis angle and the alignment. Results: The KSS improved from 46.5±7.6 to 89.1±5.9 points (p<0.001) and the FS increased from 39.5±9.2 to 84.2±8.5 points (p<0.001). The range of motion increased from 101.5±28.2° to 116.0±10.8° (p=0.006). Bony union occurred in 22 knees and fibrous union occurred in 10 knees. The femorotibial angle was corrected from varus 8.2±5.0° to valgus 5.6±1.5° (p<0.001) and the mechanical axis angle was revised from varus 13.9±4.5° to varus 0.7±1.6°(p<0.001). There were 27 neutral, 4 varus and 1 valgus alignment. On the valgus stress radiographs, the difference compared with the opposite side was 1.0±0.6°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ony union group and the fibrous union group (p=0.175). Conclusion: Medial epicondylar osteotomy for the varus knee when performing total knee arthroplasty could be a useful ligament balancing technique for achieving medial stability of the knee.

      • KCI등재

        경골 근위부 골절의 내측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 -수술 술기 보고-

        심재앙 ( Jae Ang Sim ),이범구 ( Beom Koo Lee ),김광희 ( Kwang Hui Kim ),이용석 ( Yong Seuk Lee ) 대한골절학회 2013 대한골절학회지 Vol.26 No.4

        경골 근위부 골절은 고에너지 손상에 의한 경우가 많아 연부조직 절개를 최소화하면서 골절부의 혈액 순환을 유지할 수 있는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이 유리하다. 대부분의 경골 근위부 골절의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은 주로 외측 금속판 고정술로 발달되어 왔다. 저자들은 경골 근위부 골절 치료의 다른 한 가지 방법으로 내측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최소 침습적 금속판고정술의 수술술기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MIPO) is beneficial for proximal tibial fractures since these injuries are mostly caused by high energy traumas. The advantages of MIPO are minimization of soft tissue dissection and preservation of periosteal vascularization. Lateral plating has mostly developed as MIPO for proximal tibial fractures. We introduce minimal invasive percutaneous plate stabilization using a medial locking plate as alternative treatment for proximal tibial frac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