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보통신융합법의 이행평가와 개선과제

        심우민 ( Shim Woo Min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17 과학기술법연구 Vol.23 No.1

        현 정부는 2013년 출범 직후부터 창조경제 활성화라는 정책 기조 하에 ICT 융합 산업 진흥을 위해 노력해 왔다. 입법적 측면에서, 2013년 8월 13일 제정된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 은정부의 ICT 융합을 주축으로 하는 신산업을 육성 정책 등을 뒷받침하기 위한 취지를 가지는 법률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에 이 논문은 동법의 이행상황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하여, 향후 현행 ICT 융합 법제의 개선 방향과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데 초점을 둔다. 이 법은 현행 ICT 산업 영역의 정책 및 규제 조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궁극적으로는 국가적 차원의 현행 ICT 규제가 융합 신산업 진흥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인식에 기반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이 법은 ICT 신성장 산업 육성이라는 실제 법안의 본래 취지와 내용에 기반하기보다는 다분히 임시방편적인 소관 부처의 이해관계를 반영한 결과에서 비롯된 것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이상과 같은 문제 지점을 명확히 하고, 규제개선 업무 수행에 있어 부처간 실질적 협력을 추구하는 거버넌스 정립을 주축으로 한 동법의 실무적 차원의 개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government has been striving to promote the ICT convergence industry right after its launch in 2013 under the policy of revitalizing the creative economy. In the legislative point of view, “The Special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italization of Convergence(Special Act on ICT)“, enacted on August 13, 2013, functions as a law to foster new industries based on the government`s ICT convergence. And this article focuses on evaluating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this act and tries to find future solutions and possibilities of the current ICT convergence legislation. This act focuses on the policy and regulatory coordination of the current ICT industry sector, and ultimately it i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current ICT regulations at the national level are obstacles to the promotion of new industries. However, this act can be actually interpreted that its main contents concentrates on the result of reflecting the interest of the department in charge rather than on the original purpose and content of legislation. In conclusion, this article clarifies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suggests the practical revision of this act, which is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governance that seeks practical cooperation among the departments of government.

      • 지능정보사회 입법 동향과 과제

        심우민 ( Shim Woo Min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공공거버넌스와 법센터 2017 연세 공공거버넌스와 법 Vol.8 No.1

        최근 들어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향후 인간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것으로도 보인다. 그 이유는 인공지능은 인간과는 독립된 자율적 학습 및 의사결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사결정 능력은 과거인간의 판단과를 다른 결과들을 산출해 냄으로써, 다양한 사회적 부작용들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로 인한 사회변화의 요체는 자동화라고 할 수 있다. 자동화는 결국 인간의 저숙련 노동 감축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노동시장은 물론이고 복지 및 분배 체계에 대해서도 상당한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인공지능 기술이 주축이 되는 지능정보사회에서는 이러한 기술에 대한 공적 관리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EU 등 주요 국가들은 인공지능 시대에 대비하기 위한 입법적 조치들에 대해 진지하게 검토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아직까지 본격적인 대비에 나서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물론 아직까지 인공지능의 발전이 본격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다양한 실체적 입법판단을 내리는 데에는 무리가 있다. 다만 최근 EU 등에서 논의되고 있는 바와 같은 입법 요청들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최소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절차와 거버넌스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이 논문은 최근 우리나라에서 발의된 「지능정보사회 기본법」의 주요내용들을 검토하였다. Recently,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is increasing. The technology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expected to improve human convenience in the future. However, it seems that various negative effects will occur as well. The reason i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is capable of autonomous learning and decision-making which is independent of human beings. These decision-making abilities are likely to generate a variety of social adverse effects by producing different outcomes from traditional human judgment. In addition, “automation” can be described as the key to social change cau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utomation is predicted to eventually lead to a reduction of low-skilled human labor. This will ultimately have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welfare and distribution systems as well as the labor market. Therefore,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where the technology of artificial intelligence becomes the main axis, public management about these technologies is important. In this context, major countries such as the EU have started to seriously consider legislative measures to prepare for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However, the case of Korea is still far from full-fledged. Of course, it is impossible to make various “substantive” legislative judgments in a situation where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not yet started. However, social consensus is needed to accommodate legislative requests such as discussed in recent EU discuss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rocedures” and “governance” to derive at least social consensu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article reviewed the main contents of the Framework Act o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recently proposed in Korea.

      •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체계간 정합성 제고방안

        심우민 ( Woo Min Shim ) 영산대학교 법률연구소 2015 영산법률논총 Vol.12 No.1

        우리나라의 경우 법규범적 차원에서는 매우 엄격한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보장을 위한 법적 체계를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법현실은 이에 훨씬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개인정보 유출 위험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증대와 더불어 국가-사회적 차원에서 개인정보 보호 수준의 제고를 목적으로 개인정보 보호법 이 제정되어 있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별반 나아진 바가 없는 것으로 느껴진다. 입법기술적인 측면에서 현재의 부처별로 분산된 소관 법률 체계는 개인정보 유출사고에 대한 효과적 대응을 저해하는 대표적인 원인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크게 법령간 개인정보 보호체계 또는 법제 통합을 주장함과 아울러, 위험 관리적 관점을 도입하여 관련 정책적 방향을 개선해야 한다는 대안을 제시한다. Although Korea has very strict normative or legal regulation system to guarantee the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right, reality of law isn``t much better than that. Especially, Personal Data Protection Act has been made in order to rase up the data protection level in the perspective of whole society. The situations however rock along as ever. On the analysis of legislative technique, the scattered current regulation systems of data protection are contributing to ineffective actions of related government ministries. In this, this article suggests the integration of legislative(and administrative) systems and the introduction of risk-management perspective as policy alternatives.

      • KCI등재

        인터넷 본인확인의 쟁점과 대응방향: 본인확인 방식과 수단에 대한 아키텍처 규제론적 분석

        심우민 ( Woo Min Shim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4 법과 사회 Vol.0 No.47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decided that the provisons relating to the internet bulletin board identification of private sector(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Law) were unconstitutional. However, it is still estimated that Korean internet is characterized as strict identification system because there are many laws which provides internet identification directly or indirectly. This article analyzes the strong identification paradigm with the theories of architectural regulation and searches for alternatives about this situations. Network was designed on the E-to-E principle. On account of this, Internet network has the architecture of openness and connectivity. This architecture perform a role for regulating human behavior cooperating with legal regul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 promote free communications with individuals, while making the internet regulation more easy. The laws or provisions of internet identification have inten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regulation through intervention in technical architecture. However, regulatory intervention in the architecture which is based on the E-to-E or openness and connectivity principle can easily cut off interlacing network and it may go to extremes. This article suggested two kinds of alternatives which can help to improve the situations on existing actual internet identification system. First, it needs to pay a considerable attention to the Institutions for Identification which play a less roles after the unconstitutional decision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Law. Second, it needs to reduce the range of legal permission to collect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because that is intensely broad.

      • 일반논문 : 국내 입법학 연구동향과 교육방안

        심우민 ( Woo Min Shim ) 영산대학교 법률연구소 2014 영산법률논총 Vol.11 No.2

        입법학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국내에서도 상당기간 동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입법학은 확고하게 정립되었다기보다는 지속적인 발전과정을 거듭하고 있는 새로운 학문분야라고 할 수 있다. 한국사회의 민주화 및 의회정치의 정상화는 사회 구성원들로 하여금 입법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그 결과 입법학 연구 및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과 관련하여 이 논문은 이제까지 한국의 입법학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입법학 교육을 위한 대응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2013년부터 덕성여자대학교에서 개설 및 운영되어 온 “입법전문가 양성 특성화 사업” 참여 경험을 토대로 입법학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현실적인 차원에서 입법학 교육을 위한 교육기관을 새롭게 개설하는 논의에 앞서 입법학 콘텐츠의확보와 기존 교육기관에서의 입법학 교육을 선행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주장하였다. Although discourses that “legislative studies” as an academic field are necessary have taken a long time, it is still accepted that legislative studies are not the firmly established academic field but continuously developing one in Korea. democratization and normalization of parliamentary politics make the society take a profound interest in legislative studies. In this respect, this article examines the research trends of legislative studies till now, and suggests alternatives for the legislative education. Especially, detailed methods and modules are explained on the basis of experiences from Duksung Women’s University’s educational project for legislative experts. Additionally, this article insists that it should be preliminarily considered to prepare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normalize the legislative education in existing educational system rather than to establish new institutions for legislative education.

      • KCI등재

        입법학 연구와 입법평가 - 법학과 사회과학 접목의 한계지점 -

        심우민 ( Woo Min Shim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2 法學硏究 Vol.22 No.2

        In spite of increasing attention on legislative studies, the legislative scholars have not presented the practical meaning of this academic field. In recent years, legislative evaluation is said to be an alternative which can overcome this situation. Legislative studies have both aspects of norms and facts. Aspects of facts can be explained as applications of social scientific methodologies. One of the branch in legislative studies which puts these scientific methodologies together into all of the legislative procedure is legislative evaluation. This article examines what the conditions for development of legislative studies is, especially relating to the researches of legislative evaluation.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the traditional definitions of legislative studies have a few problems. Some disagreeable values can be excluded in the traditional one, because it stresses scientificity and objectivity excessively. However, this article insists that each disagreement should be respected in the legislative procedure, and the definition of legislative studies need to be changed in this respect. Accordingly, It will be identified whether this new definition is appropriate through the analysis on the decision making style of legislation.

      • KCI등재

        EU의 뉴스 저작물 보호 입법 : DSM 저작권 지침의 입법학적 함의를 중심으로

        심우민(SHIM, Woo Min) 유럽헌법학회 2020 유럽헌법연구 Vol.0 No.34

        현재 EU DSM 저작권 지침의 내용으로는 향후 개별 회원국에서 이루어질 입법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EU 회원국들이 지침에 관한 내용을 국가 입법적으로 수용해 나가는 과정 또한 우리 현실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예견된다. 특히 지침상으로 모호하게 제시되어 있는 개념과 권리 및 의무 설정 방식은 향후 구체적인 요건과 규정 형태로 제시될 것이며, 이는 우리에게 있어 입법적 판단의 지침 중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우리가 현재 DSM 저작권 지침과 관련하여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뉴스 저작물 보호의 문제를 일의적인 입법으로 규율하는 데 있어, 현재 수준과 상황을 고려해볼 때 그 한계가 분명하다는 점이다. 저작권은 기본적으로 저작권자 등의 권리를 보장하고자 하는 취지를 가지지만, 이는 역으로 정보와 데이터의 원활한 소통을 저해할 수 있는 성격을 가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DSM 지침의 경우에도 판단의 여지가 많은 모호한 개념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현재 동향에서 보자면, 뉴스 저작물의 보호가 디지털 경제와 관련하여 중요 쟁점으로 등장하고 있지만, 국내외적으로 아직까지 구체적인 입법정책적 대안이 정립된 것은 아니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의 경우에도 해외 입법동향에 관한 분석을 넘어서서, 자체적으로 바람직한 입법 및 정책 방향을 강구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해 나가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플랫폼 사업이 가지는 영향력을 보다 실증적이고 분석적인 시각에서 체계화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 The contents of the current EU DSM copyright directive can confirm the legislative direction to be implemented in individual member states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process by which EU member states will adopt the contents of the directive in a national level will also have great implications for Korean Society. In particular, the concept and method of setting rights and obligations that are vaguely presented in the directive will be presented in the form of positivistic requirements and regulations in the future, which can be used as one of the guidelines for legislative judgment for Korean society. Nevertheless, what should be noted regarding the current DSM copyright directive is that, given the current level and situation of legal discourse, the limitations are evident in governing the issue of protection of news copyright with legislation. Copyright basically has the purpose of guaranteeing the rights of copyright holders, but this is because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can hinder the fre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and data.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DSM directive, an ambiguous concept with a lot of room for judgment is used. In conclusion, from the current trend, the protection of news copyright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in relation to the digital economy, but it can be confirmed that no specific legislative policy alternative has been established at any country. Therefore, even in Korean society, it is necessary to go beyond the analysis of overseas legislative trends and conduct an analysis to devise a desirable legislative and policy direction on its own. To this end, efforts should be made to make out the influence of the platform business from a more empirical and analytical perspective.

      • KCI등재

        사물인터넷 개인정보보호의 입법정책

        심우민(Woo min SHIM) 한국헌법학회 2015 憲法學硏究 Vol.21 No.2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은 최근 ICT분야의 핵심 화두 중 하나다. 사물인터넷은 사람을 넘어서서 사물들까지도 자율적이고 지능적인 통신을 통해 상호 연결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의미한다. 최근 사물인터넷이 일상에서 자주 회자되고 있는 것은 주로 산업적 차원에서의 유용성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이고, 이러한 시각에서 프라이버시 및 개인정보 보호의 문제는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논의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사물인터넷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하여 입법적 차원에서 어떠한 입법사실들(legislative facts)을 고려해야 하고, 또한 이에 바탕 하여 어떠한 규범적 내용들을 입법에 반영하는 것이 타당할 것인지에 대해 논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위하여 입법정책 결정을 위한 규제모델들을 검토해 본 연후, 이를 전제로 사물인터넷 개인정보 보호입법의 방향성과 쟁점들을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이 논문은 사물인터넷의 기술적 전문성과 현장성을 고려한 아키텍처 규제론을 전제로 하는 연성법적 접근방식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장에서의 규제요구와 기술 전문성을 입법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사물인터넷 개인정보 보호에 있어 대표적인 입법쟁점으로 설계시 프라이버시 고려(Privacy by Design) 및 프로파일링(Profiling) 금지 규정의 도입 문제를 제시하였다. 이는 모든 것의 연결이 중요시 되는 사물인터넷 통신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Internet of Things(IoT) is one of the main topics in the field of ICT. IoT is the concept to connect even things or objects beyond humans on the basis of autonomous and intelligent (internet) telecommunications. The main reason of recently increasing discourses on IoT is mainly not for the problems of privacy or personal data protection but for the benefits in the perspective of ICT industries. This article, therefore, analyzes what legislative facts should be considered and what normative contents should be accepted in the personal data protection legislation of IoT. For those analyses, regulatory models for legislative decision-making are examined, and legislative directions and issues are suggested. In conclusion, this article insists the importance of Soft-Law approaches on the architectural regulation theories which consider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realities of IoT. Thorough these approaches, appropriate legislative contents can be achieved. Regulations for “Privacy by Design” and “Prohibiting Profiling” are suggested as representative legislative issues for the concrete law-making of IoT personal data protection. These regulation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in the connectivity of IoT network.

      • KCI등재

        발표논문 : 한국사회 입법환경의 변화 맥락

        심우민 ( Woo Min Shim ) 연세법학회(구 연세법학연구회) 2013 연세법학 Vol.22 No.-

        이 논문은 한국의 입법상황 변화와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한국의 입법은 1987년 민주화 이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의원발의 입법의 증가는 상당히 주목할 만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의 민주주의가 정상화되어가고 있는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최근 들어 한국의 입법은 또 다른 상황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그것은 개별적인 사 회 내 주체들의 입법의지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하여 사회적 차원의 입법 갈등 또는 불일치가 과거와는 다르게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제도적 차 원에서 한국사회의 현실은 이러한 변화를 수용하기에는 아직 역부족이라고 할 수 있 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입법학 이라는 학문분야에 대한 새로운 모색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한국사회 입법의 구조적 쟁점으로, 소수적 가치와 개인적 주체성을 제도적으로 수용해 낼 수 있는 민주주의 모색, 가치간 갈등을 조화시키고 공 존을 모색할 수 있는 입법의 추구, 그리고 이러한 입법을 전문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차원의 입법전문성 제고를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is concentrated on the transformation and evolutive direction of legislation in Korea. Legislation in Korea has been increased drastically. Especially, the growth of private member``s bill in number is noticeable. This phenomenon shows the aspect that Korean democracy has been normalized. Recently, legislation in Korea is confronted with another transition. It is mainly linked to the fact that legislative will of individual subjects in a society has been increased. In this respect, legislative conflict or disagreement causes many social issues. In spite of this situation, it is beyond capacity of current legislative institutional arrangement. This requests the new consideration on legislative studies or legisprudence. In conclusion, this article suggests three kinds of controversial issue about Korean legislative structure. These are exploration of (i) new conceptions of democracy which is able to embrace values of minorities or individual subjectivities, (ii) legislative procedure for harmony and coexistence, and (iii) improvement of professionality supporting legislation institutionally.

      • KCI등재

        제헌의회 시기 입법의 사회사

        심우민 ( Woo Min Shim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홍익법학 Vol.15 No.4

        This article focuses on the legislative activities around the formation period of Constituent Assembly. Especially, newspapers and parliamentary records at that time are examined in the perspective of social history because legislations reflect the environment of political discourses and its procedure. After liberation, official and unofficial institutional procedures of legislative activities are connected from “Representative Democratic Council(RDC)” and “Provisional Legislative Council(PLC)” to “Constituent Assembly”. In this process, Korean society has raised the necessity of independent and democratic legislation. Despite of this expectation, reality of politics at that time presented many difficulties to achieve those kinds of legislation. This situations continues after the establishment of Constituent Assembly. This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working process of codification. On these analyses, some implications can be reasoned out. First, US Army Military Government Ordinance No. 21 permits the reten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statutes. This law took some roles to restrict the effort for independent legislative activities. Second, the experiences from RDC and PLC could affect operating practices of Constituent Assembly. Third, the parliamentary decision making procedures have no choice but to be felt inefficient like contemporary practices of parliament. Fourth, the leading role taken by judicial elites make the codification work to stay at the level on partial amendment of Japanese colonial statutes. Conclusionally, parliamentary activities around the formation period of Constituent Assembly concentrated on the constitute of political hegemonic structure rather than the substantial debate about independent and democratic legis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