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데이케어센터의 인지ㆍ감각 융합 노인미술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성 검증

        심영옥(Sim Young Ok),조미경(Cho Mi Kyung),김현희(Kim Hyun H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18 美術敎育論叢 Vol.32 No.4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데이케어센터를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삶의질 개선과 복지수를 높일 수 있도록 인지력과 감각력을 융합하는 미술프로그램을개발ㆍ적용한 후 그 효과성을 검증한 것이다. 본 연구의 미술 활동은 데이케어센터를이용하는 노인들이 대부분 장기요양 등급판정 기준에 따라 등급을 판정받은 노인이지만, 이들을 병리적 치료의 목적이 아닌 유년시절을 기억하고, 생활에서 흥미를느낄 수 있도록 구안한 것이다. 더불어 기억력을 회생시키고 양손 활용을 통해 좌, 우뇌 발달을 도모할 수도 있다. 미술프로그램은 실생활 중심과 순수미술 중심의미술 활동인데 실시한 결과 사회복지사, 노인참여자, 수업진행 교사들 모두 만족도높았다. 특히 노인참여자들의 만족도는 상당했다. 다만 이러한 미술활동이 많은데이케어센터의 주요 활동이 되길 기대한다. The present study aimed at verifying the effects after developing and applying an art program which fuses perceptivity and sensibility in order to develop the quality of life and to boost the happiness index with the subjects of the senior citizens who use senior citizens’ day and night care centers located in the city of Seoul. The art activities of the present study were designed not for their pathological treatment, but for letting the elderly to remember their childhood and feel interests in their daily life, although most of them have senile dementia. Moreover, it can revive their memory and the development of both left and right side of brain can be planned through the use of both hands. The art program has real life- oriented and pure art-oriented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activities showed that the social workers, the elderly participants, and the teachers who proceeded the classes were highly satisfied. Especially, it was revealed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articipants were quite significant. It is expected that this kind of art program would become the major activities of many senior citizens’ day and night care centers.

      • 고구려 고분벽화의 인물풍속도에 나타난 인물화 연구

        심영옥 ( Young Ok Sim ) 한국동양예술학회 2007 동양예술 Vol.12 No.-

        본 연구는 고구려 고분벽화의 회화사적 연구에 의미를 크게 두고 고구려 고분벽화에 표현된 인물풍속도의 의미와 고대 한국인의 인물 특징을 규명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고구려의 고분벽화에 나타난 얼굴형은 대체로 턱선이 둥근 얼굴형이 남녀 모두 많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삼실총은 폭이 좁은 얼굴이다. 눈썹은 남자의 경우는 굵고 둥근형이 많고, 여자는 굵고 일자형이 많다. 눈썹은 전체적으로는 굵고 둥근형이 많은 편이었다. 눈은 남녀 모두 긴 눈을 많이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무용총, 장천1호분, 삼실총에서는 둥근 눈도 많이 나타났다. 코는 안악3호분이나 덕흥리 등 평양지역은 짧고 콧망울이 둥근 형이 많은 반면, 무용총이나 삼실총 등 집안지역은 길고 뾰족한 형이 많았다. 입은 공통적으로 모두 작게 표현되어 있어 작은 입모양이 당시 미의 기준이었음을 알 수 있다. 총체적으로 고구려 고분벽화는 평양지역과 집안지역의 얼굴이 다소 차이가 있다. 평양지역에서는 얼굴이 크고 부드러운 이미지의 턱과 둥근 얼굴이 많이 나타났고, 집안지역 고분벽화에서는 성숙하고 세련된 인상의 폭이 좁은 얼굴이 많이 나타났다. 턱선이 둥글고 폭이 좁으며, 하악이 강조된 형으로 우직하고 굳세며 신뢰감이 가는 형을 한 고구려인의 특징은 활동적이고 강인한 이미지를 뒷받침해준다. 그러나 고분벽화에 나타난 얼굴형이나 이목구비가 반드시 한국 고유의 생김새라고 단정 짓기 어려운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그것은 여러 차례 등장하는 서역계 인물이나 평양지역과 집안지역에서 보이는 조형적 차이점 등에서 그이유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몇 가지 문제점은 있으나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인물상은 한국인의 얼굴 특징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이다. This thesis tries the study of to the figure paintings through the figure genre paintings the ancient Tomb mural paintings of Kogury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s, Pyongyang tombs show large round faces, round noses, small lips, Giban tombs show long oval faces, think and straight eyebrows, round eyes, long pointed noses and small lips. All figure paintings have a globular line of the jaw taken altogether through the figure genre paintings the ancient Tomb mural paintings of Koguryo. But, Samsil tumb``s figure paintings have narrow line of the jaw. The face of Pyongyang area and the Giban area is a difference. The face of the Pyongyang area is big and round in shape. But the face of the Giban is narrow and refine. Koguryo persons were active and were a sturdy lot. But we must not jump to a conclusion. There is a possibility without being the Korean specific face in the figure genre paintings the mural paintings in a tumulus of Koguryo

      • KCI등재

        신라토우 인물상에 나타난 상징성과 조형미감 연구

        심영옥 ( Young Ok Sim ) 한국동양예술학회 2006 동양예술 Vol.11 No.-

        본 연구는 신라토우의 인물상에 나타난 상징성과 조형미감을 규명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신라토우가 발생하게 된 배경과 신라시대 인물상 토우의 특징을 살펴본 후 그 형상에 나타난 상징성과 조형미감을 차례로 고찰하였다. 신라토우는 내용적 측면에서 삶에 대한 다산과 풍요, 죽음에 대한 생의 영속성을 상징하였다. 인간의 모습은 생식기를 과장하여 표현한 인물상, 성애상, 주악상 등으로 표현하였다. 이와 같은 형상은 생산력을 상징하는 사물의 이미지를 통해서 다산과 풍요를 상징하거나 진혼 신탁하기도 하고, 생산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신라토우 인물상에 나타난 조형미감은 세부적인 것을 생략하거나 왜곡된 형태로 표현하여 즉흥적인 해학미를 나타내기도 하고, 입체적 조형물로서 생동적인 운동감을 느끼게 할 뿐 아니라 무기교적인 고졸미를 표현하였다. 이상과 같이 신라토우 인물상에 나타난 상징성과 조형미감은 우리 민족 고유의 미의식이 잘 반영된 한국적 조형물이라 하겠다. 신라토우를 보면 약간 서툴거나 단순해 보여도 우리 민족에게 기본적으로 깔려 있는 정서를 느낄 수 있다. 그것은 즉흥적이고 직접적이면서 소박하고 익살스런 모습에 생명력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성격은 훗날 고려청자와 조선백자로 이어져 독자적이고 생명력 있는 한국도자기의 고귀한 역사를 일궈낸 원천이 된다. The Clay doll of Silla dynasty represents the figures of various animals, utensils, houses as well as that human beings. The Clay doll of Silla dynasty reflects the primitive folk religion the existed befor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to the dynasty. The Clay doll of Silla dynasty are characterized by superstitious nature in the sense that they represent the human desire to accomplish various wishes, which also include the aspiration for the immortality. The Clay doll symbolizes the fertility and abundance through the image of things that symbolize the productivity. Considering plastic form, the Clay doll of Silla dynasty takes distorted form in order to emphasize the symbolism by omitting the details in the representation of space, volume, dynamism, matiere, Through these distorted forms, the primitive feeling about life is vividly expressed in the Clay dolls of Silla dynasty.

      • KCI등재

        혜원 신윤복 풍속화의 성 풍류적 특징 연구 -에로티시즘을 중심으로-

        심영옥 ( Young Ok Sim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2 동양예술 Vol.19 No.-

        본 연구는 신윤복의 작품에서 표현된 그 시대의 유흥 문화와 에로티시즘과 관련된 표현 방법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신윤복의 풍속화에서 性에 관한 문제를 분석해 보면, 당시 사회의 갈등문제와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신윤복의 풍속화는 단순한 남녀관계를 표현한 것이 아니라 인간 내면의 애정문제와 신분의 갈등 문제를 담고 있다. 신윤복 그림의 특징은 남녀들이 보여주는 본능적인 인간성의 아름다움과 한국적인 멋을 표현한 점이다. 특히 그림 속 남녀들의 표정이나 행동은 매우 자연스럽다. 또 여인들의 아름다움을 사회상에 비추어 적당히 순화시켰다. 신윤복의 성 풍속 그림의 의도는 네 가지 주제로 살펴볼 수 있었다. 첫째. 여인생활상을 통한 은유적 에로티시즘, 둘째, 남녀의 애정행각과 도시적 생활을 통한 성희적 에로티시즘, 셋째, 화류계, 뱃놀이, 투호 등 놀이문화로서의 에로티시즘 등을 다룬 점이다. 그리고 그가 그려낸 유흥이미지는 도시의 유흥적인 모습뿐만 아니라 色情을 포함하는 감각적인 에로티시즘을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이처럼 신윤복의 풍속화가 성문화 개방에 진일보한 점은 우리나라 회화사적 위업이 아닐 수 없다. 거기다가 그러한 그림에 낙관을 분명히 한 점도 그의 예술적 소신과 고집스런 작가정신을 보여주는 면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ose look at expression methods related to nightlife and eroticism of his time expressed through artist Shin yun-bok``s works. When analyzing sexual matters in his genre painting, we realize facts that his works were connected to social issue at the time His works are not expres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but contain love affairs and conflicts of a status system. The characteristic of his works is that he expressed beauty of human nature and a Korean look. Especially, facial expressions and behaviors of men and women in his works are very natural. Also he rarified women``s beauty in the light of the society. The intention of his sexual genre paintings consists of four themes. First, it is about metaphorical eroticism. Secondly, it is about physically affectionate and eroticism of city life. Thirdly, it is about eroticism as recreation cultures. Finally, it is about expression of eroticism. Shin Yun-bok``s genre paintings were ahead of sexual cultures opening, it isan impressive achievement in Korean art history. And that he stamped his seal on his works of art shows his artistic views and tenacious spirit.

      • KCI등재

        추상화가 유영국 작품의 시기별 특징 및 예술적 의의

        심영옥 ( Youn Gok Sim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5 동양예술 Vol.27 No.-

        유영국은 우리나라 추상회화의 선구가로 그의 화력(畵歷)과 예술세계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한국 추상회화의 실마리를 풀어주는 좋은 계기가 된다. 그의 작품은 우리나라 현대미술의 초기 수용 과정에서 새로운 발상의 전환점을 만들어주었으며 오늘날 예술창조에도 바람직한 지표가 되고 있다. 유영국의 작품 경향은 자유로운 창작의지로 매우 독창적이고 다양하여 시기별로 그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유영국은 출발에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그만의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하나의 일관된 추상세계를 지향하며 독자적인 예술세계를 정착시킨 화가이다. 유영국의 작품은 기하학적 형태와 색면구성이 기본을 이루기 때문에 간결하면서도 강렬한 인상을 준다. 원형과 삼각형, 그리고 일정한 직선들이 교차하면서 여러 기하학적 면 분할을 하고 있다. 특히 그의 작품은 우리나라의 산수를 소재로 한 추상성을 나타냈기 때문에 매우 한국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원색적인 색면구성으로 전통 오방색을 연상케 하는 전통성과 한국적 서정성도 내포하고 있다. Yu, Yeong-Guk tried abstract art, which is the most experimental art in that time, established the footing of abstract art in our modern artistic history. And he had continued to deepen his world based on abstract formative arts. He used natural motif such as mountains, clouds, and lakes based on a question : He organized his modernism by bring natural elements into his painting to diagram them into abstract forms, and reorganizing them into constructive forms. The composition in his painting is naturally made up of lines, planes and interactive relations between colors. In his abstract world, colors have superiority to forms. When colors are considered as representative, it indicates liberating of colors in two meanings. The first, as every expressionist painting will do, indicates liberation of colors from a reproductive function, and the second indicates liberation of colors from a reproductive function, and the second indicates complete liberation of colors from restraint of forms. He reaches to abstract by action of all the factors which are abstract. His painting is geometrical abstract made by several figures made of simple and straight lines that spread like flashes rather than abundant use of diverse colors. He recreated a natural emergency using his own method. Yu, Yeong-Guk occupied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introduction of Korean early abstract arts. Through this process, he opened the possibilities of describing the inner and spirit of things with abstract pictures. In other words, he opened a new world to abstract of Korean nature through his quest for natural subject matter.

      • KCI등재

        공자의 문질빈빈 심미관과 조선시대 문인화론의 관계성 연구

        심영옥 ( Young Ok Sim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4 동양예술 Vol.25 No.-

        조선시대는 유교를 국교로 한 만큼 공자에 대한 경외심과 사상적 의미가 회화전반에 걸쳐 존재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조선시대의 문인화는 화풍이나 조형성에 있어서는 중국의 남종화나 그 맥을 잇고 있는 오파계 문인화의 영향을 받고, 사상적으로는 유교, 불교, 도가사상이 고루 영향을 받았지만, 특히 유교적 의미가 내재된 독자적인 화풍을 만들어내었다. 그 근간을 살펴보면 바로 공자의 문질빈빈 심미관을 들 수 있다. 공자는 미에 대해, “질(質), 회화 내용 혹은 이론적 바탕이 문(文), 즉 문채(文彩) 혹은 표현보다 앞서면 거칠어지고, 문(文)이 질(質)보다 앞서면 겉치레가 된다. 문과 질이 다 같이 함께 조화를 이루고 난 후에 군자라고 할 수 있다(質勝文則也文勝質則史文質彬彬然後君子).” 이는 회화에 있어서 화려한 색채와 회화의 내용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을 유교에서 중용 또는 중화라고 하는데, 그래서 유교의 회화사상은 중용사상과도 관련이 있다. 공자의 회화관은 그림을 좋아하면 반드시 그 속에 있는 진의를 알고 즐거워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화가는 감상자로 하여금 희열을 느끼게 하고, 그 희열은 깊은 세계를 깨닫게 하는 감정을 주어야 한다. 이런 의미로 공자는 화가가 미질(美質)과 문채(文彩)가 잘 융화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문인화가들은 기본적으로 선비 정신과 고아한 품격을 기표로 삼아 형사(形似)보다 신운(神韻)을 강조하고 필묵의 정취를 강구하면서, 수묵, 사의(寫意) 등의 기법을 통하여 그림 속에 의경(意境)을 표현하는 데 주목하였지만, 결국 화중의경(畵中意境)은 그림을 통해서 그 뜻을 전달하기 때문에 문과 질이 어느 곳으로도 치우치면 안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공자의 문질빈빈에 대한 회화관은 회사후소(繪事後素)와도 그 뜻을 같이 하는데, 조선시대 문인화의 특징과 관계가 깊다고 본다. 조선시대 문인화는 비록 직업화가들이 아닌 문인 사대부들이 여기(餘技)로 그려 기교면에서는 비록 숙달되지 못했지만 학문을 통해 익힌 다양한 지식과 높은 교양 수준으로 격조면에서는 오히려직업화가들보다 더 높은 경지에 이르고 있다. 특히 조선 후기 문인화를 보면 시, 서, 화로써 작가의 뜻과 마음을 표현한 그림이 많은데, 요컨대 문과 질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그 뜻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림 속에는 공자의 문질빈빈 사상이 스며들 수밖에 없었다. 이렇듯 공자의 문질빈빈 심미관은 조선시대의 문인화론과 관련이 깊으며, 이러한 영향은 현대 우리나라 미술교육 이론과도 그 관련성을 찾아볼 정도로 영향이 크다 하겠다. During the Joseon Dynasty era, it was not an overstatement that awe for Confucius and the philosophical meanings prevailed all across paintings, as Confucianism was the national religion. In particular, though the literary painting in the Joseon era had been influenced from the Southern School Painting in China or related Wupai literary painting in terms of style and formativeness and also influenced evenly from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terms of thoughts, it created its unique painting style in which Confucian ideas were inherent. When we look into the base of it, we find out first the “Mun-Jil-Bin-Bin(文質彬彬)” aesthetics. According to Confucius, “When “Jil(質)” that is a content or a theoretical base of a picture comes before “Mun(文)” that is a style or an expression of a picture, the picture becomes rough. When “Mun” comes before “Jil”, it becomes vanity. Only when Mun and Jil become harmonized together, you may be called a Gunja(a noble man).” It meant that contents and splendid colors must be harmonized each other in a picture. It may be referred to Jung-Yong or Jung-Hwa in Confucianism. Therefore, thought of painting in Confucianism is also related with Jung-Yong. According to Confucius’ thought about picture, when you like a picture, you must know the true meaning of the picture and be pleased with it. For that purpose, a painter should make an appreciator feel pleasure, and the pleasure should give the appreciator an emotion to lead him to understanding of a deep world. From that point of view, Confucius told that a painter should reach a proper harmonization of Mi-Jil(美質) and Mun-Chae(文彩).The literary painters in the Joseon era kept basically in their mind Sunbi Spirit(Classical Scholar’s Spirit) and elegant dignity as their sig- nifiers, placed Sin-Un(神韻) ahead of Hyung-Sa(形似), sought sentiment of Pil-Muk(pen and ink), and gave attention to expression of Ui-Kyung (意境) by means of Su-Muk(水墨) or Sa-Ui(寫意) in a picture. However, because Hwa-Jung-Ui-Kyung(畵中意境) could be finally delivered through the picture, Mun and Jil must not lose the balance, leaning to neither of them. This Confucius’ thought of painting around Mun-Jil-Bin-Bin(文質彬彬) seem to be in line with Hoe-Sa-Hu-So(繪事後素) which is considered in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painting in the Joseon era. The literary painters in the Joseon era often didn’t reach skillfulness in terms of technic because the literary person, or the Sadaebu(the noble men), often enjoyed painting pictures as a hobby for spare time. However, thanks to their diverse knowledge learned by study and high level of refinement, they reached higher level in terms of dignity rather than professional painters. Especially, when it comes to the literary pictures in the late Joseon era, there were many pictures to express a painter’s mind and sentiment using poet(詩), calligraphy(書), and painting( 畵). In short, it was natural that Confucian thought of Mun-Jil-Bin-Bin permeated their pictures, because they could express the meanings only when Mun and Jil were harmonized each other. To sum up, Confucius’aesthetics of Mun-Jil-Bin-Bin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literary painting theory in the Joseon era, and it has had great influence as much as we can find its relationship with the art education theory in Korea in the modern time.

      • KCI등재

        엘리자베스 키스의 시각으로 본 한국인의 모습과 풍속의 특징 분석

        심영옥 ( Young Ok Sim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3 동양예술 Vol.21 No.-

        엘리자베스 키스는 영국 출신의 여성화가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여러 나라의 특성을 표현한 작품을 많이 남겼다. 키스는 유럽과 분위기가 다른 아시아의 생활 모습을 일본 전통 목판화 양식을 토대로 독특한 작품 세계를 구축하였다. 그 중 가장 많이 표현했던 나라가 바로 한국이다. 이에 본 논문은 키스가 한국의 인물과 풍속을 어떻게 바라보았는지, 또 어떤 의미를 가지고 그림을 그렸는지, 그러한 키스의 작품이 한국 미술사에 있어서 어떤 의의가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키스의 작품에서 주목할 것은 우리나라의 곳곳을 직접 답사하거나 한국 사람들과 교유하면서 그렸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제강점기였던 당시의 시대상이 그림에 잘 배여 있고, 인물의 사실감과 풍속의 실재감이 돋보인다. 특히 한국 어린이를 대상으로한 그림이 많고, 어린이를 위해 크리스마스 실 제작에 동참한 사실은 키스의 짙은 인류애까지 느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ope for the possibility the figures of Korean and the customs of Korea from the Viewpoint of Elizabeth Keith. In Korean traditional arts history, the best time of accomplishing Korean traditional art was Elizabeth Keith. Particularly, Elizabeth Keith``s Painting is important to express the reality at that time, there are many expressional arts for genre painting and traditional originals Korea. Elizabeth Keith``s Painting was described about kingdom at that time, but that is because authors can not express freely, I think the makes us not burden on seeing the art that is express about the common people.

      • KCI등재

        1970년대 한국 모노크롬 회화에 나타난 한국미적 특징 분석

        심영옥 ( Young Ok Sim ),박명선 ( Myung Sun Park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3 동양예술 Vol.22 No.-

        한국 모노크롬 회화는 서구 모노크롬의 영향을 무시할 수는 없다. 하지만 작품에 표현된 양식적 특징과 작가들의 정신성을 비추어 볼 때, 한국 모노크롬 회화는 서구미술의 모방이나 아류에서 벗어나 한국의 독자적인 미술 분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 현대 미술사에 있어서 1970년대의 흐름을 주도했던 모노크롬 회화에 대한 연구로써, 한국 모노크롬이 한국 미술사에서 가지는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한국 모노크롬 회화의 한국미적 특징을 모색하였다. 한국 모노크롬 회화가 갖는 독자성과 방법적 특성은 물성으로서의 색이 아닌 정신화된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한국성 정립에 공헌한 미술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1970년대 한국 모노크롬 회화에 나타난 한국성으로서의 한국미감에는 백색 모노톤에 나타난 백색미감, 물성으로서가 아닌 정신성으로 나타낸 자연미감, 그리고 인위적이거나 목적을 두지 않은 무작위미감 등이 내재되어 있다. 어떤 미술 장르든 미술사의 흐름을 배제할 수는 없지만, 1970년대 우리 작가들은 한국적인 미의식으로 표현하는 데 주저함이 없었고, 그에 따라 표현된 한국 모노크롬 회화는 한국적인 독자성과 정체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다 하겠다. Korea Monochrome painting can not ignore Western Monochrome. But when the format shown in the work of painters and look at spirituality, Deviate from the imitation of Western art, Korea has became a unique genre of art.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sought aesthetic of Korea of Korea Monochrome painting for Korea Research Monochrome painting 1970s, which led to art history in Korea, Sought Korea Aesthetic characteristic of Korea Monochrome painting. Identity and way of Korea Monochrome painting Korea has contributed to mak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or of the non-localized properties that mental. Especially, The aesthetic of the 1970s, Korea was represented by out aesthetic, Aesthetic in Korea are white aesthetic by white monotone, Appeared in the spirit of nature aesthetic, Aesthetic rather than artificially random. What genre of art all of art history, the flow can not be ignored. for that reason Korea Monochrome painting uniqueness and identity that is high in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