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로운 교육과정을 위한 초등 사회과 한국지리 단원의 학습 주제 및 내용 개발 - 한강을 따라 가는 우리나라 지리 여행 -

        심승희 ( Seung Hee Sh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초등 지리교육과정 한국지리 관련 단원에서 지역지리 학습이 사라짐에 따라 위치 및 지역학습이 약화되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새로운 교육과정에 적용할 초등 한국지리 단원의 학습주제와 내용 개발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한국지리 단원에 지역지리 중단원을 포함시키되 이전의 지역지리 단원과 달리 계통지리 학습내용과 지역지리 학습내용을 통합하여 지식의 전이가능성을 높이고 아동들의 학습가능성 등을 고려한 사례지역을 학습지역으로 선정한 새로운 지역지리 단원 구성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조건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학습지역으로 `강 유역권에 의해 정의되고 연결되는 지역`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면적이 넓어 다양한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을 포괄할 수 있고 수도권과 군사분계선까지 포함하고 있는 한강 유역을 사례로 <한강을 따라가는 우리나라 지리 여행>이라는 단원의 학습주제와 내용 구성안을 제시하였다. 후속 연구를 통해 이 제안의 유용성과 타당성을 검토하고 그 성과를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에 적용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ubjects and contents of the elementary Korean geography unit to be applied to the new curriculum. I assume that the location and the regional learning have weakened as the regional geography learning has disappeared in the elementary geography curriculum. New Korean geography unit includes regional geography unit that, unlike the former regional geography unit, integrates systematic geographical learning contents with regional geographical learning contents so as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knowledge transfer.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a region defined and connected by river basin` as a region for instruction, then develop the subjects and contents on “Korean Geography Traveling along Han River” as an example of Han River basin, which can cover various natural environments and human environments including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 KCI등재

        문학교육의 학제적 접근 : 지리학과 지리교육이 문학에 접근하는 방식

        심승희 ( Seung Hee Shim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2 문학교육학 Vol.37 No.-

        Geography and literature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writing about places. Because of this, geography have had interests in literatures. This study attempted to classify how literary geography to approach to literatures and looked into the various case studies. These attempts will contribute to the evolving relationship of literatures, geography and the education of geography. First, the types that literary geography has approached to the literatures can be divided in two. One type is that geography regards literary works as recording places, the other type is that geography regards literary works as making places. Secondly, one type as recording places in turn can be classified in three approaches, that is, positivistic, humanistic, structural. The other type as making places focuses on the phenomena that popular literary works become to have a power to change geographical worlds. The literary works having such a power can make the specific gazes on the place or, maybe and can change the physical characters of the places. Also the education of geography has come to use the literary works, because the literary works can enhance the sense of place and can be rich sources of learning material about regions. The literary works are utilized as learning materials to teach the topics of school geography lessons effectively and as models of geographical writing. But so far the education of geography could not take full advantage of the educational values of literary works. Therefore in future the education of geography seems to be necessary to introduce the rich research achievements of the literature and the education of literature.

      • KCI등재

        도서·벽지교육진흥법에 의해 지정된 도서·벽지 지역의 변화에 관한 연구

        심승희(Seung Hee Sh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9 문화 역사 지리 Vol.21 No.2

        본 연구는 두 가지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도서·벽지교육진흥법에 의해 지정된 도서·벽지라는 지표를 통해, 우리나라 도서·벽지 지역의 시기별 변화를 살펴보는 일종의 지역연구를 시도하였다. 1985년부터 2007년까지 도서·벽지 지역의 변화를 살펴보면, 도서·벽지 지역으로 지정된 리가 2,499곳에서 759곳으로 대폭 감소했다. 하지만 도서 지구, 벽지 지구, 접적 지구별 감소폭은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이 같은 도서·벽지 지역의 감소는 전반적인 지역 환경의 개선 때문이지만, 2000년 도서·벽지 지정 기준이 개정된 원인도 컸다. 둘째 도서·벽지교육진흥법에 의한 도서·벽지 학교의 지정이라는 교육행정 행위가 지역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도서·벽지 학교의 지정을 통해 교육 환경과 지역이 보완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사례지역인 충북 단양군의 경우 벽지 지역이 감소한 가장 큰 원인은 학교의 폐교였다. 이 같은 도서·벽지 학교의 폐교는 지역 및 교육 환경의 악화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도서·벽지교육진흥법의 제정 취지에 맞는 도서·벽지 학교의 지정 기준을 새롭게 정비하여 지정함으로써 교육소외지역이 없도록 해야 한다. The enactment of island & remote rural area education promotion law has been legislated in 1967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insufficient education environment for schools in remote areas. The one purposes of this study is the regional studies on the periodical change of the Korean remote areas designated by the enactment. From 1985 to 2007, the number of the island & remote rural areas has decreased. Such a decrease accounts for the improvement of the island & remote rural areas. Besides, the one of causes of the decrease is the changes of standard for designation of the island & remote rural areas. The second purpose is the studies on how the designations of the island & remote rural areas by the enactment have affected on the regions. The active closure of small schools in the island & remote rural areas since 1982 have a possibility of undermining the environments of the regions and their schools. Therefore the standard for designation that is independent of the school closure targeting on the economic efficiency should be established newly and prudently.

      • KCI등재

        제2종관 철도 중앙선과 주요 연결노선의 형성 과정 및 기능 변화

        심승희(Seung Hee Shim),한지은(Ji Eun Han),이미란(Mi Ran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6 문화 역사 지리 Vol.28 No.3

        본 연구는 중앙선과 주요 연결노선의 형성과정 및 기능변화를 통해 중앙선 연선지역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일제하에 건설된 중앙선은 자원수탈과 전략물자 확보를 위한 산업철도로서의 역할이 부여되었다. 해방 후에는 태백·소백산맥 지역에서 채굴된 자원을 수도권과 인구밀집지역으로 수송하기 위해 영동선, 태백선, 경북선, 충북선 등 동서방향 철도노선과 연결되었다. 이들 산업철도 노선을 따라 자원생산 및 수송기능이 강화되면서 연선지역의 인구도 성장하고 여객수송 기능도 확대되었다. 그러나 자원생산 및 화물수송이 양회 한 품목에 집중되고 농촌지역의 인구감소 현상이 커지면서 중앙선의 여객수송 기능은 현격히 줄었다. 더구나 전철화 복선화가 완료되지 못한 영주역 이남 지역의 여객수송은 자동차 교통과의 경쟁에 취약하다. 반면 2005년부터 개통된 수도권 광역전철 중앙선의 여객수송 기능은 크게 확대되고 있으며 연선지역의 인구 증가 역시 뚜렷하다. Jungang Line was built with the goal of colonial exploitation and secure strategic goods transportation, so it took a role as a industrial railroad. Up until 1970s, transporting resources into metropolitan areas and populated areas, it was connected by railroads running transverse like Yeongdong, Taebaek, Gyeongbuk and Chungbuk Lines. As it strengthened functions of resource production and transportation, the population grew in areas along a railroad. But resource production and freight traffic were gradually weakened, and the population in rural areas was rapidly decreased, consequently passenger traffic of Jungang Line remarkably shrunk. Especially, southern area of Yeongju are not yet finished electrification and double tracks, passenger traffic fell behind in the competition with vehicle. Henceforth Seoul Metropolitan Electrified Suburban Railway System is opened and electrified double tracks are completed, it is expected to change the functions of Jungang Line.

      • KCI등재

        우리나라 초등 지리교육과정의 변화: 환경확대법의 적용과 지역 기술 방식을 중심으로

        심승희 ( Seung Hee Sh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6 No.4

        오늘날 초등 지리교육과정에서 중요한 논의 중 하나는 환경확대법의 한계와 그에 대한 대안이며, 다른 하나는 지역을 어떻게 구분 또는 선정해야 하며, 초중등 간의 계열성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 이다. 이 논의를 진전시키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 지리교육과정의 변화를 환경확대법의 적용과 지역기술 방식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주요 변화 내용과 그러한 변화가 갖는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교수요목기부터 7차교육과정기까지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 고장-우리 지역-우리 나라-세계> 순으로 전개되는 현행 7차교육과정의 환경확대법과는 달리, 4차교육과정까지는 다른 나라의 고장, 다른 나라의 지역, 다른 나라의 사례가 지리 영역과 비지리영역을 망라하여 기술되어 왔다. 따라서 5차교육과정기부터 교육과정의 지역화가 강화되면서 `우리 공동체` 중심의 환경확대법이 보다 철저히 적용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지역 기술 방식의 변화로는, 6차교육과정기까지 다뤄져온 한국 지지 단원이 7차교육과정기에 없어진 것이 가장 큰 변화이다. 이 원인 중 하나가 4학년 `우리 지역` 스케일에서 편제된 한국 지지 단원이 5학년 `우리 나라` 스케일보다 난이도가 높아지는 환경확대법의 한계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 결과 기존에 3학년에 편제되었던 `도시-촌락` 단원이 5학년에 편제되고 내용도 심화되었다. 세계 지지의 경우, 6차교육과정기부터 대단원이 아닌 중단원으로 편제되고 그 내용이 많이 줄어 들었다. 이러한 변화의 원인 중 하나는 세계 여러 나라의 지역 구분 및 선정 기준이 과거의 대륙별, 지지적 접근에서 우리나라와의 관계를 기준으로 주제적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화했기 때문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of geography education in Korea elementary schools from Syllabus Curriculum to 7th Curriculum. These examination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wo issues. The one is the issue on the application of the widening horizons or moving beyond widening horizon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the other is the issue on the sequential framework from primary schools, to high schools focusing on regionalizing method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교 진로선택과목 「여행지리」의 개발과 관련 논의

        심승희 ( Seung Hee Shim ),김현주 ( Hyun Joo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6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고교 진로선택과목 중 지리과에서 개발한 「여행지리」의 개발 과정과 그 과정에서 도출된 주요 논의사항을 고찰하였다. 여행지리는 지리과의 핵심 개념을 반영할 수 있도록 내용 요소와 과목 목표, 성취기준을 진술하되, 여행이라는 주제와 틀로 유용성과 흥미, 공감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또한 진로선택과목중 하나로 신설된 만큼 미래사회의 변화와 진로탐색에 통찰력과 상상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접근하였다. 여행지리의 개발 과정에서 제기된 주요 논의사항으로는 여행의 의미와 공간적 범위 설정, 한국지리 및 세계지리 등 타 지리과목과의 관계 설정 및 차별성, 성취기준의 내용 및 서술 방식, 진로선택과목으로서의 정체성 등이었다. 교육과정 개발의 특성상, 개발 과정에서 도출된 이 같은 주요 문제에 대해서는 잠정적이고 절충적이나마 선택과 결단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여행지리 과목의 성공적인 정착과 지속적 발전을 위해 앞으로도 이와 관련된 논의와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ing the issues and curriculum development of ``Travel Geography`` as the career elective subject in high school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ravel Geography Curriculum comprises the contents elements, subject objectives and achievement standards which reflect the core concept of Geography. It utilizes travel as the topic and frame to raise the availability, interest and empathy in teaching and learning the geography concept. And Travel Geography newly established as one of the career elective subjects, is designed to provide insight and imagination in change and career exploration of the future society. The discussions and issues associated with Travel Geography Curriculum are the meaning and range of the travel, the differentiation from Korea Geography and World Geography, the narrative form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identity as the career elective subject, etc..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mote successful and sustanable development of Travel Geography through the serious reviews of these discussions.

      • KCI등재

        장항선의 기능 및 연선 지역의 변화 : 일제강점기부터 서해선과의 연결 시기까지

        심승희(Seung Hee Shim),한지은(Ji-Eun Ha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1 문화 역사 지리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장항선이 개통된 일제강점기부터 서해선과 연결중인 현재까지의 장항선의 기능 및 연선 지역의 변화를 주요 시기별로 탐색하는 것이다. 시기 구분은 장항선이 개통된 일제강점기, 그리고 광복 이후부터 수도권광역전철의 개통 및 군산선이 장항선에 통합되기 이전과 이후 시기이며, 각 시기별 장항선 철도의 인프라적 상황, 화물 및 여객 운송의 특징, 지역 변화와의 관련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일제강점기의 장항선은 간선철도의 배양선 역할을 담당한 사설철도로 건설·운영되었는데, 개통 초기 미곡 반출 등 화물 수송 기능이 우세했으나 점차 여객 수송 기능이 강화되었다. 광복 이후에는 국유철도로 통합되었으나 대도시나 큰 산업단지를 끼고 있지 않았던 장항선은 수도권 광역전철화 및 군산선 통합 전까지 단선비전철 상태가 지속되었고 이로 인해 수송 기능이 도로교통에 밀리게 되었다. 2008년부터 천안 및 아산 구간이 수도권 광역전철 노선에 포함되면서 장항선의 전철화·복선화가 본격화되었고 같은 해 군산선이 장항선에 통합되면서 장항선의 종점이 기존 장항에서 익산까지 연장되었다. 장항선은 조만간 서해선과의 연결을 통해 서해안 산업회랑에 대한 화물 수송 기능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중부권 동서횡단 철도의 건설 계획이 실현된다면 취약했던 동서축 철도망이 보완되고 지역균형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es of the Janghang Line’s function and the area along the line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Janghang Line was opened to the present day. This study found that the Janghang Lin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built and operated as a private railway that served as a feeder for the arterial railways. In the early days of opening, cargo (ex. rice) transportation functions were dominant, but passenger transportation functions gradually strengthened. After national independence, the Janghang Line was integrated as a state railway, until Gunsan Line were integrated, is continued in the status of a single line non-electric railway. Therefore the function of transporting cargo and passengers was lost to road traffic. Since 2008, as the Cheonan and Asan sections were included in the Metro lin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Janghang Line is being electrified and double tracked. As the Gunsan Line was incorporated into the Janghang Line in 2008, the end point of the Janghang Line was extended to Iksan. The Janghang Line is expected to reinforce the cargo transportation function for the industrial belt along the west coast through the connection with the Seohae Line.

      • KCI등재

        영국의 2014 개정 지리교육과정의 특징과 그 시사점

        심승희 ( Seung Hee Shim ),권정화 ( Jung Wha Kw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영국의 2014년 개정 지리교육과정의 주요 특징과 그 과정에서 도출된 주요 논쟁들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번 영국의 교육과정 개정은 지난 13년동안 노동당 정부 하에서 진행되어 온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 교과통합적이고 기능중심적인 교육과정이 ‘무엇을 배울 것인가’의 문제를 간과했다는 비판에서 출현했다. 그에 따라 이번 교육과정은 교과기반, 지식기반 교육과정을 추구하는데, 국가교육과정은 각 교과별로 ‘핵심 지식’을 제시하고 각 학교와 교사는 이 핵심 지식을 중심으로 자율적으로 가르칠 것을 표방한다. 지리교과가 선정한 핵심적 지식과 기능은 ‘위치 지식,’ ‘장소 지식’, ‘자연 및 인문지리’, ‘지리적 기능과 현장답사’로서, 이는 위치 및 지역지리 지식의 강조라는 전통적 지리교육의 강화, 그리고 지리 지식의 명료화, 권위화, 고정화라는 지향성을 뚜렷이 보여주고 있다. In this study I researched the characteristics of 2014 Revision of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 in UK and its implication. A 2014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derived from the Conservative Government`s criticism that the curriculum of UK during the past 13 years under the Labour government had pursued learner-centered, integrated subjects-centered, skill-centered national curriculum, therefore had ignored ‘what should the pupils learn?’. This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pursues the subjectbased, knowledge-based national curriculum. Thus each subject curriculum had to select ‘essential, core knowledge’ of the subject.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 selected 4 core knowledge; locational knowledge, place knowledge, physical and human geography, geographical skills and fieldwork. In consequence, this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 is oriented at the emphasis of traditional geography education and the clarification and authorization and fixation of geographical knowledges.

      • KCI등재
      • KCI등재

        지도 퍼즐을 활용한 초등 위치 학습에 관한 연구

        심승희 ( Seung Hee Sh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1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위치 인지력을 높이기 위한 위치 학습 방법 개발의 주안점으로 위치 학습에 대한 동기를 강화하고자 했다. 이에 따라 학습 동기 설계 모델중의 하나인 Keller의 ARCS 모델을 위치 학습 방법 개발에 적용했다. ARCS 모델은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이라는 동기 요인을 수업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위치학습 방법의 주요 특징은 첫째 위치 인지력과 학습자의 생활과의 관련성을 보여주는 문항을 개발하여 위치 학습 전에 동기 부여 단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지도 퍼즐을 활용함으로써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요인을 강화하는 것이다. 실제 초등 4학년 사회 수업에 적용된 위치 학습 방법은 동기 부여 문항 제시 여부에 따라, 그리고 지도 퍼즐의 활용 여부 및 방법에 따라 총 4개 유형으로 세분되어 4개 반에서 실시되었다. 이 4개 유형의 위치 학습 결과를 매력성(동기유발)과 효과성으로 나누어 분석해보면, 지도 퍼즐을 활용한 반의 학생들이 위치 학습에 대한 매력을 훨씬 많이 느꼈다. 하지만 위치 인지력 향상이라는 효과성 면에서는 지도 퍼즐을 활용하지 않은 위치 학습 방법이 더 높은 효과를 보였다. 반면 위치인지력과 학습자의 생활과의 관련성을 보여주는 문항을 통해 위치 학습에 대한 동기를 높이려는 시도는 별 효과가 없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methods of enhancing motivations for learning place location. Therefore Keller`s ARCS model, one of motivational design models for learning, is applied to develop the methods of learning place location. Keller`s ARCS model suggests that instruction design should stimulate the students` attention(A), relevance(R), cofidence(C), satisfaction(S). In order to enhance motivations for learning place location, this study concerns following two. One is making students think a relevance between place location cognitions and one`s own life just before learning place location. The other is using map puzzles to promote students`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The results of learning place location that were peformed in 4th grade classes in primary school are as follows; the learning place location using a map puzzle motivates students to learn significantly, but improve less the students` place location cognitions than the learning place location without a map puzzle. Also the learning place location reminding a relevance with place location cognitions scarcely motivates students to lear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