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호학적 관점에서의 모바일 형태와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심소이 ( Shen Xiaoyi ),김진성 ( Kim Jin S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6

        1973년 미국 모토로라 엔지니어인 마틴 쿠퍼(Martin Cooper)가 세계 최초의 상용화 모바일을 개발한 후부터 모바일은 단순한 기능만을 가진 통신기기에서 통신, SNS, 사진촬영, 오락, 학습 등 다양한 기능을 담은 멀티미디어 개인 단말기로 발전하였다. 인터넷 기술이 발전하면서 모바일 디자인은 간소화와 큰 사이즈의 스크린을 추구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모바일 디자인은 점점 단순화되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는 개성과 차별성에 대한 요구가 점차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기호학 이론을 바탕으로 우수한 제품의 기호 디자인 사례를 모바일 디자인에 접목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기호학 중에 디자인 기호학을 연구이론으로 삼아 연구를 진행하여 모바일 형태와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 기호의 구성 방식, 전달 방식, 표현 방식, 기호의 추출 방법 등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해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모바일 형태와 인터페이스를 단위 기호로 분해하였다. 형태와 인터페이스 기호들에 담고 있는 내적인 의미와 외적인 의미를 분석하여 정보 전달 과정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상품을 사례로 삼아 사례 분석을 이용하여 시장에 출시된 대표적인 모바일 상품을 분석하여 내적인 의미와 외적인 의미에 따른 디자인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소비 시장 변화에 따른 모바일 형태 디자인 기호의 변화, 기술 발전에 따른 모바일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의 기호 표현, 모바일 디자인에 있어 기호의 추출 세 가지 측면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기호학적 관점에서 모바일 디자인에 존재하는 문제점과 모바일 디자인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Since the invention of the world’s first commercial mobile phone by Motorola engineer Martin Cooper in 1973, the mobile phone has developed from a single-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into a multimedia personal terminal, which integrates communication, social networking, photography, entertainment, learning and other functions. With the advancement of network technology, the development of mobile phone design has been trapped in a vicious cycle: blindly pursuing minimalism and large screens. This will lead to increasingly featureless design of mobile phones while consumers’ pursuit of personalized and diversified design is increasing. Therefore, based on the theory of semiotics, this study aims to incorporate examples of symbolic design of superior products into mobile phone designs. With the design semiotics as the theoretical guide, the forms, communication, expressions, and extraction of symbols in mobile phone forms and interface is analyzed in this paper. The mobile phone forms and interface are deconstructed into unit symbols by means of deconstruction and analysis. The connotations and denotations of the forms and interfaces of mobile phones are extracted and analyzed, and the communication processes of the mobile phone models and the interface symbols are also deconstructed and analyzed. Specific mobile phone products have been taken as the objectives of study in this paper. By analyzing the representative mobile phone products in the consumer market, and based on the connotations and denotations of design expressions, this paper has discussed the symbols in mobile phone model design in the consumer market, the changes of symbolic expression in mobile phone interface design under technology development, and the extraction of symbols in mobile phone design. Aimed at solving the difficulties of expressing semiotics in mobile phone design and finding out ways to carry out mobile phone design and expression, the paper put forward its own suggestions and thus provide foundation and reference for new semiotic mobile phone design and expression.

      • KCI등재

        자율주행 기술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공간에 관한 연구 -공간 디자인을 중심으로-

        심소이 ( Shen Xiaoyi ),김진성 ( Kim Jin S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3

        1939년 세계 박람회에서 GM사가 처음으로 자율주행 콘셉트카라는 개념을 대중에게 공개한 이후로, 오늘날 자율주행 기술은 자동차 안에서 레저, 소비, 오피스 등 다양한 액티비티와 배송, 식사 등 사회적 서비스 기능이 가능한 모빌리티 서비스 공간으로 탈바꿈하였다. 최근 자동차 산업은 판매성적 부진, 친환경 정책으로 인한 제약, 과학기술의 발달이라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자율주행 기술은 안전성, 지능화, 인간친화성 등의 특성으로 자동차 산업을 새롭게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율주행 기술을 바탕으로 디자인 맥락(design context)의 변화에 따른 모빌리티 서비스 공간에 대한 연구 모빌리티 서비스 공간의 타겟 이용자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용자의 특징과 자율주행 기술의 특징에 적용하고 모빌리티 서비스 공간을 디자인할 때 주의해야할 방법과 중점을 제시하여 향후 자율주행기술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공간의 디자인을 위한 디자인 방법을 제공하였다.연구 방법으로는 데이터 분석을 통해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 잠재력과 가치를 분석하여 모빌리티 서비스 공간을 분류하였다. 또한 이용자의 활동과 경험을 중심으로 자율주행 기술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공간의 발전 상황을 밝혔다. 그리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율주행 기술 기반 타겟 이용자를 분석하여 이용자의 특징과 공간의 특징, 기술의 특징에 따른 디자인 방법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례 분석을 통해 자율주행 기술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공간의 디자인 원칙과 방법을 정리하여 향후 모빌리티 서비스 공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From 1939 when General Motors first spread the concept of autonomous driving to the public on a large scale at the World's Fair,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has now evolved the car into a mobile service space where passengers can complete leisure, consumption, work and other activities in the car, while also having social service functions such as delivery, catering and so on. The traditional automotive industry is facing multiple impacts from sluggish sales growth, pressure from environmental policies and the rise of new technological forces. With its safety, user-friendliness and intelligence,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can activate, reshape and revolutionize the automotive industry. In this study, the purpose is to make the overall research on the mobile space under the change of design context by using automatic driving technology. By analyzing and summarizing the target users of mobile service space and combining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and automatic driving technology, this paper puts forward the methods and key points that should be paid attention to, when designing mobile service space and provides design methods for the future design of mobile service space on the basis of on the automatic driving technology. In terms of the research methods, researchers analyzed the development potential and value of the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through data analysis and classified the mobile service space. Focusing on the user’s activities in this paper, the summary and development of the mobile service space is studied on the basis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Through the objective data analysis, the target users on the basis of the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re determined and the design methods are analyzed and summarized in combination with the user characteristic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In the end, the design, rules and methods of the mobile service space on the basis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re summarized through the examples and the suggestions are put forward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mobile service space.

      • 브랜드네임 유형이 확장된 신제품에 대한 소비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 : 기존 모 브랜드의 성패와 소비자 사전 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안현주,강보경,방진욱,심소이,,김문용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글로벌경영연구소 2013 글로벌경영연구 =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Vol.25 No.2

        The current research examines whether (1) the effectof the type of brand name (existing brand name vs. new brand name) on consumer evaluation of extended new products varies depending on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existing parent brand; and (2)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existing parent brand is stronger for experts than for no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