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중과 공동체 - 파평윤씨 노종파 종족 운동의 재검토

        김문용 동양고전학회 2015 東洋古典硏究 Vol.0 No.59

        막스 베버는 중국의 宗族 조직을 자급자족의 자기완결적인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의 관점은 유사한 종법적 친족 조직인 조선시대 문중에도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구성원들의 삶에서 종족 조직 외부를 想定하지 않는 그의 관점은 종족에 대한 이해를 지나치게 단순화했다는 혐의를 벗기 어렵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17세기 조선에 출현한 坡坪尹氏 魯宗派의 종족 운동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문중의 공동체적 성격에 대해 논한다. 이 글의 주요 논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종파는 奉祀와 종법적 규범, 자제교육, 물적 토대로서의 族産을 포함하는 체계적인 미래 기획을 수립하였다. 이 기획은 송대의 선례들을 전범으로 표방하였지만 실제로 양자 사이에는 적지 않은 차이가 있었다. 그들은 종족 운동을 人道와 人倫의 實踐으로 간주하고 매진함으로써 그 간격을 극복하고 종족의 결집을 유도해 낼 수 있었다. 둘째, 노종파의 종족 기획에서 가장 특징적인 족산 부문(義田·義穀)은 祭田의 기능 이외에 자제교육 지원에 중점을 둔 반면, 飢寒者 구제 등 구성원의 생활 지원 기능에서는 취약하였다. 노종파 전체의 의전과 의곡은 결국 40년 만에 폐지되고 소종 단위의 義倉이 대안으로 모색되었다. 이는 종족의 영속이라는 그들의 기대와 문중의 낮은 물적 토대 수준 사이의 거리를 함축하는 것이었다. 셋째, 문중은 다양한 지역공동체와의 병존·경쟁을 통해 수립되었지만, 가족의 同居共財 속성을 구현하는 데는 의지도 여건도 충분하지 않았고, 결국 구성원의 삶의 재생산에 전반적으로 관여하는 생활공동체로서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문중은 자급자족의 자기완결적인 조직이 아니라, 향촌 또는 국가와 긴밀히 교통하면서 존재할 수밖에 없는 불완전한 조직이었다. Max Weber claimed that the clans as a self-sufficient community in traditional China had limited market development. His statement can be applied to the lineage groups of Chosŏn dynasty, however, it also could be criticized as an example of oversimplifying clans. Starting from this question,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lineage movement of the P’ap’yong Yun’s Nojongp’a branch. Through this research, I tried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the lineage group communities of Chosŏn. My issues are following. First, the Nojongp’a clan promoted the solidarity movement of their lineage in the name of practicing human morality, which belonged to their family learning. Second, the Nojongp’a clan made preparations for their own ‘righteous rice fields and grains’, through which they tried to establish the base structure for the clan activities. This, however, had its own limitations in aiding the starved suffering from famines and did not last long. Third, the lineage could not function as a community for living that was actively involved in the reproduction of life, and was not an exclusive self-sufficient community, either.

      • KCI등재

        18세기 北學論의 문명론적 함의에 대한 검토

        김문용 翰林大學校 泰東古典硏究所 2003 泰東古典硏究 Vol.19 No.-

        Chosun's scholars, who proposed Bukhakron(北學論) in 18th century, argued that Chosun had to accept the developed civilization of Quing China. What was remarkable in Quning civilization was various production tools and living things. The scholars of Bukhakron(北學論) not only tried to make people's living condition more efficient and convenient by improvement of production tools and living things, but also pursued to establish a totally new culture or civilization. In that sense, Bukhakron(北學論) had an aspect to theory of civilization reconstruction. In Bukhakron(北學論), we can find the vestiges of toadism to chinese culture as well as deconstructing phase of that toadism. We can find also at a time the viewpoint that distinguishes between fact and value, and the viewpoint that does not in Bukhakron(北學論). The scholars of Bukhakron(北學論) seemed to think the newer the better, since they believe that there is a progress in history. They did not any more keep the viewpoint that there was a center(China) and the peripheral(Chosun), instead they started to compare the east(Asia) to the west(Europe). In a word, Bukhakron(北學論) was a landmark to show that the scholar's viewpoint on civilization had been changed to the modern one in 18th century.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문화 분류를 위한 <주제·양태 결합 분류체계> 연구

        김문용,이정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3 民族文化硏究 Vol.38 No.-

        본 논문은 조선시대의 문화 현상을 논리적으로 범주화하고 그 개념적 거리와 계층을 정의함으로써, 원하는 정보에 대해 정확하고 빠른 접근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의 산물이다. 기존의 문화분류체계들은 문화의 주제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방식과 문화 요소의 양태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방식, 그리고 이 두 방식을 혼용하는 방식의 세 종류로 나누어볼 수 있다. 문화의 주제에 따른 분류는 그동안의 학문적인 관용에 기초하는 바가 많아 연구자들이 쉽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반면 양태 분류는 항목의 논리적인 분할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에서, 통시대적, 범세계적 보편성에로의 가능성을 많이 함축하고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는 새로운 분류체계를 설계하면서, 이 두 방식의 장점을 모두 수용하였다. 그러면서 종래와 같은 무원칙, 무규칙적인 혼용을 피하기 위하여 주제 영역별 분류와 문화요소의 양태별 분류를 병행하고, 이를 각각 분류체계의 XY축에 매치하였다. 즉 하나의 문화현상을 영역과 양태에 따라 각각 분류하고, 이 두 분류값을 결합하여 최종 분류값으로 정하는 방식의 분류체계인 것이다. 이러한 원칙에 의하여 조선시대의 문화현상을 12개의 양태 항목과 75개의 주제 항목으로 구분하여, 종합 899개의 분류항으로 구성된 분류체계를 설계할 수 있었다. 이 새로운 분류체계는 앞으로 여러 차례의 시험 운용 과정을 거쳐 계속 확대, 보완해 갈 예정이다. This proposal aims at creating of a new classification system, which logically classifics cultural phenomena of Chosun Dynasty and defines the conceptual distances among and the stratum of the phenomena. This new system will help scholars to access to the necessary informations casily and swiftly. There have been existed three styles of classification systems: the stile based on the difference of the cultural subject, the style based on the ontological mode of cultural elements, and the mixture of the two. The first one has strength in convenience. Therefore many scholars, relying on the academic habit, used this system. The second, however, has other strengths. Since it is based on the logical classification among the items, it has potentials to be utilized synchronically and in the end world widely. The new system suggested in this proposal utilized the strengths from both systems explained above. Nevertheless, this system separates the result from the two systems and allocated each of them to the axis X and Y respectively in order to avoid the disorder caused by the lacks of principle and regulation in combining the two systems. As it were, certain cultural phenomena are classified base on their values in their subjects as well as modes, and combined into the final values. In this way the cultural phenomena of Chosun dynasty have been classified into the 12 mode items and 75 subject items, and 899 items are created in this system. This new system will be expanded and amended through the experimental uses.

      • KCI등재
      • KCI등재

        동국의식과 세계 인식 ― 조선시대 집단적 자아의식의 한 단면

        김문용 한국국학진흥원 2009 국학연구 Vol.14 No.-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a few aspects of Dongguk self-consciousness in Chosun Korea. It argues the following. First, though in the margins in relation to the center of the world, Dongguk was fully confident. Second, that Korean Sino-centrism is fundamentally no different since the late 17th century. Third, Korean Sino-centrism as a consequence became fundamentally extremely focused on morals. Fourth, Dongguk self consciousness developed into universalism and relativism. 이 글은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동국의식을 검토함으로써 당시인들의 집단적 자아의식의 일단을 해명하는 데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하여 먼저, ‘동국’의 지리적‧문화적 의미 연관을 그 역사적 추이 속에서 개관한다. 다음으로, 소중화의식의 조선후기적 형태인 중화계승의식을 그 문화사적 함의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세계지도를 매개로, 세계의 크기와 중심 문제를 둘러싸고 진행된 지리인식과 문화의식의 상호작용 양상을 검토한다. 이 글에서 주장하는 것 가운데 중요한 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 동국의식은 스스로 변방임을 자처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긍정적 문화의식의 성격이 강하다. 둘째, 명‧청 교체 이후의 중화계승의식은 종래의 소중화의식과 병행하는 것으로서, ‘조선중화주의론’에서 말하는 바처럼 그것과 근본적으로 다른 논의라고 보기 어렵다. 셋째, 중화계승의식은 결국 극도의 도덕중심주의적 강박으로 귀결되었다. 넷째, 동국의식은 문화보편주의와 문화상대주의라는 두 길을 따라 전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