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두 가지 복합 이상원인 영향이 있는 공정에 대한 VSS$\bar{x}$관리도의 경제적 설계

        심성보,강창욱,강해운,Sim Seong-Bo,Kang Chang-Wook,Kang Hae-Woon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04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27 No.2

        In statistical process control applications, variable sample size (VSS) $\bar{X}$ chart is often used to detect the assignable cause quickly. However, it is usually assumed that only one assignable cause results in the out-of-control in the proces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algorithm to minimize the function of cost per unit time and compare the economic design and the statistical design by use of the value of cost per unit time. We consider double assignable causes to occur with compound in the process and adopt the Markov chain approach to investigate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VSS $\bar{X}$ chart. A procedure that can calculate the control chart's parameters is proposed by the economic design.

      • KCI등재후보

        인격교육과 인권교육의 영역 확장을 통한 홀리스틱 융합

        심성보(Sim, Seong Bo)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0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4 No.1

        그동안 전통적 인격교육은 자율성을 가진 민주적 인격보다는 순종적 성격을 갖게 하는데 관심을 두었으며, 이러한 순종적 성격은 인격교육의 정착을 어렵게 하였다 기존의 인격교육은 인권과 정의에 대한 가치나 민주주의보다는 개체적 인격을 강조하였기에 강제적 규율이나 순응 그리고 권위주의를 극복하지 못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기존의 인권교육은 권익의 요구나 권력의 부조리만을 지나치게 중시하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자신의 인격수양을 게을리한 나머지 언어나 행동에 있어 폭력적 태도를 보이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된다. 이렇게 인격교육을 중시하는 진영과 인권교육을 중시하는 진영은 서로 대립을 보이며 갈등을 보여 왔다 그런데 인권없는 인격교육이나 인격없는 인권교육은 모두 불완전한 개념으로서 편할성을 보일 수 있다 이렇게 편향성을 보이는 인격교육과 인권교육의 극단을 어떻게 융합할 수 있는가? 융합의 대안은 인간으로서 도덕적 자격을 갖추는 ‘인격’ 이나 인간으로서 침해 받지 않을 기본적 권리인 ‘인권’이 서로 대척점에 있을 개념은 아니고 공존이 가능한 개념으로 자리매김하는 것이다 나아가 인격교육과 인권교육의 영역 확장을 통해 인권적 인권교육이나 인격적 인권교육을 모색할 때 양자의 홀리스틱(포용적.포괄적) 융합이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amalgamation of character education and human-rights education through enlarging concept of character & human-rights education. Pro-character education camp and Pro-human right education camp have much conflict owing to controversial concept. But character without human right or human right without character is all a incomplete concept. Two contrary ideas as such go to the extreme of character education and human rights education. If it is so, how shall we blend the conflicting concept? The 'character' equipped with moral entitlement as humankind or the human rights with basic rights as humankind is not to sit at opposite pole. Therefore, the conflict of them results in a tendency of pro-character education or pro-human right education in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 We must require the association of new concept, for example, 'rights-duty'. It enables to blend this will form both human rights with character and character with human rights. Now, we ought to open the new horizon through holistic amalgam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정중한 예의와 정치적 예의의 공존을 통한 시민적 예의 교육

        심성보 ( Seong Bo Sim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4 교육철학연구 Vol.36 No.2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예의’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지만, 그것이 무엇을 뜻하는지 명쾌하게 개념화하기란 쉽지 않다. 일반적으로 예의는 ‘예의범절’ 정도의 정중한 행동이나 예의바름의 의미로 정의되는 것이 보통이다. 흔히 이것은 어른이나 직장 상사, 나아가 고객들에게 복종하고 봉사한다는 태도를 나타내는 매너나 에티켓으로 표현한다. 그런데 예의는 원래 정중한 예의와 정치적 예의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전자의 예의로 축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하여 정치적 예의가 결여된 정중한 예의는 예의의 정치적 본질을 포착할 수 없게 한다. 왜냐하면 정중한 예의가 정치적 예의보다 표현의 자유에 더 많은 제약을 받기 때문이다. 이렇게 예절바른 고상한 덕목인 정중한 예의는 정치적 입장 차이를 보일 때 갈등의 정도가 심하다. 왜냐하면 정치적 예의는 정중한 예의가 관심을 두지 않는 문제, 즉 시민들에게 극단적 폭력을 무례하게 행사하는 국가권력의 폭력 문제에 개입을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정치적 예의는 폭력과 불의의 문제에 개입하면서 사회정의를 위한 변화에 관심을 갖기도 한다. 시민적 예의는 정중한 예의와 정치적 예의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 인간적 차원의 개인 간의 정중한 예의만으로는 공동체의 정치적 예의를 표현하는 데 충분하지가 않다. 그것은 다른 사람을 평등하게 대우하는 문제와 분리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치적 예의는 단순히 정중한 예의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시민들의 현실과 관련된 공동체의 정치적 폭력과 착취 등의 문제에 관심을 둔다. 이에 개인 간의 정중한 예의와 시민 차원의 정치적 예의가 대립하는 것이 아닌 공존하는 ‘시민적 예의’를 필요로 한다. 시민적 예의의 함양은 인류가 갖추어야 할 시민성의 핵심적 요소로서 좋은 시민이 될 수 있는 주요한 기제이다. 따라서 ‘정직한 시민’뿐 아니라 ‘정의로운 시민’을 동시에 함양하는 ‘시민적 예의교육’을 더욱 필요로 한다. Civility is a complicated notion that requires more careful. Generally, civility is defined as courteous behaviour or politeness. But, civility is not simply or principally about manners or etiquette, polite behavior and also is more than just manners, politeness. While manners focus on the exchanges between and among individuals, civility also includes the exchanges between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Good manners and polite interactions with others foster a sense of community that strengthens the community as a whole. However, the concept of civility has sparked confusion. Civility interweaves humane/polite civility and political civility. Being polite is certainly not sufficient for political civility and may not even be necessary. Humane/Polite civility imposes much greater restrictions on freedom of expression than political civility. We must not commit the civility the reductionist mistake of restricting civility to polite behaviour or etiquette. Broadly understood, civility concerns communication about and within the political sphere. Political civility is a form of reciprocity and recognition between citizens regarding the kind of reasons and the standards used within argumentation on public issues and affairs. Political civility, considered as a democratic civic/public virtue goes beyond mere politeness to include decent respect and consideration as opposed to rudeness of behavior. Political civility could be the true of those who engage in ruthless acts of extreme violence against citizens of a polis. Political civility can be defined as a proclivity towards non-violence and respect for the principles of comprise, mutual respect, and power-sharing among different ways of life. Sometimes, uncivil actions should be tolerated, sometimes not. Political civility is not mere politeness but a matter of treating others as equals. Political civility plays a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 Therefore, we should activate civility education through co-exsistence of politeness and political civility to consolidate more civil society. Being “uncivil” is defined as “barbaric”, lacking in courtesy, and not conducive to civil harmony and welfare. However, granted that moral disagreement is a fact of any democratic society, we need a virtue that will enables us to bridge the disagreement politically. Political civility bridges disagreement by restraining our desire to maximize our conception of the good in the public spheres. Uncivil/critical consciousness-raising has a crucial role to play in securing a hearing for the disadvantaged and making a more just society. Incivility is not always wrong. In exploitative class hierarchies or unjust states that deny opportunities, dissent and individual rights, uncivil actions may be critical consciousness-raising and revolution justified. We require civility education for narrowing the gap of civility and incivility, polite civility and political civility. And we need it for coexisting both of civility, consisted of “just” citizen as well as “honest” citizen.

      • KCI등재

        아동기의 다중적 위기 양상과 그 해결을 위한 방안 모색

        심성보 ( Sim Seong-b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8 교육철학연구 Vol.40 No.3

        삶의 단계로서 아동기는 사회적 구성물이다. 고대의 아이들에 대한 광범위한 ‘잔인성’에서 시작하여 아이들은 ‘성인축소판’이라는 중세의 아동관을 거쳐, 그리고 근대 및 산업 사회의 등장과 함께 나타난 ‘아동기’ 개념의 탄생에 이르게 되었다. 아동기의 독립성, 발달의 한 단계, 어린이다움, 순결성에 대한 근대적 개념의 탄생은 문명화의 서막을 열었다. 아동기의 탄생은 개인의 능력에 따른 근대화의 물꼬를 튼 진보의 시작이기도 하지만, 아동기를 규제하고 통제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근대교육의 발달은 대중화 과정을 거치면서 아동의 삶을 분절화하고 유예화시키고, 훈육의 강화와 함께 점점 계층화, 성별화를 더욱 강화하는 상황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아동기의 굴절과 왜곡으로 인하여 아동기 자체가 파기되는 현상도 나타났다. 아이들이 어른으로부터 분리되고 아동기와 성인기가 절연화되면서 아동기가 사회변화를 따르지 못한 것이다. 그리고 청소년기가 출현하면서 아동기의 위치가 더욱 모호해졌다. 게다가 아동기가 상품화되고, 군사화되면서 아이들의 내재적 순수함이 훼손되어갔다. 이 모두 왜곡되고 굴절된 학교교육의 성격과 맞물려 있다. 이러한 다중적 위기를 보여주는 새로운 상황이 전개되면서 아이들의 위치를 재구성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다중적 위기에 처한 아동기의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해 첫째, 아동기와 성인기의 절연에 대한 방안으로 아동기의 주체화를 제안한다. 둘째, 아동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청소년기의 새로운 위치 설정을 위한 방안으로 시민으로서 청소년의 지위 인정을 제안한다. 셋째, 아동기의 상품화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간적이고 비판적인 숙의적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넷째, 아동기의 군사화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평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Childhood as a stage of life is a social construction. Starting from the widespread 'cruelty' of ancient children, through the medieval children's view of the ‘miniature of the adult', we have seen the birth of the concept of ‘discovery of children' and ‘childhood' with the emergence of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The birth of a modern concept of independence, a stage of development, childness, and purity in childhood opened the prelude to civilization. Today, however, children are in various crises. The birth of childhood is not only the beginning of the progress of modernization according to individual ability, but it also has become a time to regulate and control childhood. The development of modern education has brought about a situation in which children's life is fragmented and deferred through the process of popularization, gradually increasing stratification and sexualization with the reinforcement of discipline. Such refraction and distortion of childhood have led to the total destruction of childhood itself. Children have been separated from adults, but as the distinction between childhood and adulthood becomes blurred, childhood which must exist as a phase of life, faces a new vacuum due to social change. The emergence of adolescence/puberty shows the positional ambiguity of childhood. The flood of consumption culture is causing multiple crises in childhood, including commercialization of childhood and the destruction of the peaceful minds inherent in children by militarization of childhood. That is because it is conjoined with the insulation of childhood and adulthood, turning youth into second-class citizens, and combining the nature of school education with consumerism and militarism. As a result of this new situation that shows multiple crises being developed, children are forced to re-position themselves. Whereas in western academic societies, there is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developmental, cultural and political concepts of childhood that are understood as social constructs, our academic system is still in rudimentary stat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various aspects of childhood loss and finds a measure for solving it.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dilemma of childhood in the multi-crises situation, this study proposed the childhood's subjectification as a way to cope with the new vacuum. Second, as a way to set a new location for adolescents, one should recognize the status of youth as citizens. Third, we need a humane and critical deliberative education as a way to overcome the commercialization of childhood. Fourth, peace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re needed to overcome the militarization of childhood.

      • KCI등재

        사람다움과 시민다움의 조화를 통한 ‘민주적’ 시민교육의 모색 - 보이텔스바흐 합의와 크릭 보고서를 중심으로 -

        심성보 ( Sim Seong-bo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8 윤리교육연구 Vol.0 No.47

        독일의 보이텔스바흐 협약과 영국의 크릭 보고서는 진보와 보수의 소모적 이념 대립을 극복하는데 있어 하나의 시사점을 제공한다. 교화금지, 논쟁 재현, 학습자 이익 인지를 내용으로 하는 독일의 보이텔스바흐 합의와 도덕적 사회적 책임, 지역사회참여, 정치적 문해력을 내용으로 하는 영국의 크릭 보고서는 보수주의자들의 보수적 인성교육과 진보주의자들의 민주적 시민교육의 공존에 도움이 될 것이다. 시민다움은 사람다움의 연장선에서 형성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민주적’ 시민교육의 집은 인성교육의 토대 위해 건설되어야 한다는 시론적 논의를 한다. The Beutelsbacher Konsens in German and the Click Report in the UK provide one implication for overcoming the overt ideological confrontation of progressivism and conservatism. The Beutelsbacher Konsens(prohibition of indoctrination, representation of controversy, consideration of students' interest), and the Click Report(moral social responsibility, community involvement, and political literacy) will help to coexist in conservatist's character education and progressivist's citizenship education. Civility must be formed in the extension of humanity. Therefore, the hous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built on the foundation of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시민사회와 교양교육의 민주성 강화를 통한 비판적 교양교육의 구성

        심성보 ( Seong Bo S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연구 Vol.34 No.1

        오늘날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국면을 맞이하여 공리주의적 실용성과 시장주의적 효율성이 득세하면서 국가와 시장의 폭력을 감시하고 견제해야 할 교양교육의 비판적 기능이 약화되고 있다. 이를 방지하려면 새로운 민주적 시민사회에 조응하는 시민의 민주적 교양 능력을 고취하여야 한다. 시민의 교양 능력은 비판적 민주시민의 능력에 달려 있다. 국가와 시장에 대한 시민사회의 공정한 감시자로서 역할을 제대로 하려면 권력에 종속되지 않는, 비판적인 교양시민을 필요로 한다. 비판적 시민의 양성을 위해서는 ``비판적`` 교양교육을 필요로 한다. 비판적 교양교육을 위해서는 시민사회의 ``civil``의 개념과 교양교육의 ``liberal`` 개념의 민주성을 강화시켜야 한다. 즉, 시민성에서 시민권으로 강화된 ``civil``의 민주성과 교양교육의 ``liberal``의미를 동시에 강화하여야 한다. 그렇게 해야 ``비판적 교양교육``의 구성이 가능할 것이며 나아가 민주적 시민사회의 구성 또한 가능할 것이다. 만약 양자의 조응이 잘 되지 않는다면 민주적 시민사회의 공고화는 더욱 위태롭게 될 것이다. Nowadays, entering on the phase of neoliberal globalization, liberal arts education which influenced the communitarian life of citizen has eroded by prevalence of utilitarian pragmatism and market-driven effectivity day by day. So, the critical function of civil society which must examine and check state and market, has weakened. Thus, educated/civilized citizens who should be the subject of civil society fell into petit-citizen. If we prevent from this, we must encourage critical capacities of citizen applying to new democratic civil society. Civility capacities of citizens depend on latent capacities of participatory democratic citizen. A proper role as impartial spectator on state and market will require educated/civilized citizen with autonomous, critical capacities without a rein of power. Cultivation of critical Bildung/culture of citizen requires critical liberal education, which is core of civil society. It must acquire the critical meaning of ``civil``. Therefore, critical liberal education is necessary for being spreaded well beyond ``civicness/civility``, being enlarged into ``citizenship``. And we must require the political meaning of ``liberal`` of liberal education which corresponds it. Thus, it will be possible to reconstruct democratic civil society. Therefore, both democratic civil society and critical liberal education will fit well. If both don`t work, the consolidation of democratic civil society will be more dangerous.

      • KCI등재

        시민교육에 대한 시민적 공화주의 입장과 대안적 학교 모델의 모색

        심성보 ( Seong Bo Sim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5 교육철학연구 Vol.37 No.1

        ‘시민적 교양’의 정치적 의미가 약화되고 개인 차원의 예의/예절로 한정되는 의미 축소를 보이고 있는 것에 대해 오늘날 그것의 정치적 의미를 복원하고자 하는 시도가 일고 있다. 그런데 공화주의자들 사이에는 시민성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다. 고전적/내재적 공화주의자들은 아이들의 덕성과 성향의 발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고전적 공화주의자들은 아이들에게 좋은 인간적 자질로서 ‘공민적 미덕’을 중시하고 있다. 이와 반대로 비-내재적 형태에 초점을 두는 시민적 공화주의 입장은 공민적 미덕보다는 시민적 교양과 결합된 민주적 시민성의 원칙을 중시하는 ‘합리적 개입’의 발달을 더 중시하고 있다. 시민적 공화주의적 시민교육의 관점은 자유주의자들의 절차적 공화국 이념을 넘어서기 위해 등장하였지만, 서로 공유가 가능한 측면도 있다. 시민적 공화주의자들이 중시하는 시민교육의 유형은 고전적 공화주의자들처럼 전통에 깊게 뿌리내린 인격의 미덕이라기보다는 민주적 자질과 결합된 시민적 교양의 함양을 필요로 한다. 시민적 공화주의의 관점에서 본 시민교육은 학교의 자치와 수업의 숙고적 담론 과정을 통해 시민적 교양을 함양하고자 한다. 그런 마음의 습관을 학교의 민주적 분위기 속에서 기르고자 하는 시민공화주의적 시민교육의 대안적 접근이 닐의 ‘자치학교’와 콜버그의 ‘정의로운 공동체 학교’라고 할 수 있다. In order to strengthen community, the public sector, democracy, weakened by the expansion of the passive freedom, we should find an alternative for active participation in civic republicanism that emphasize civility based on autonomy and non-domination freedom. The similarity between intrinsic republicans and character educators res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rtues and the individuals. Both character educators and intrinsic republicans have appealed to the idea that virtues should be internalized and that the educational process is an important mechanism for this.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instrumental republicans are not silent on the potential of a nation’s schooling for supporting the development that the moral capacities required by citizens. the sort of moral development that instrumental republicans have in mind is, largely cognitive and based on the development of a rational commitment to adhere to civic principles associated with civility. The internalization instrumental republicans have in mind should be considered as aimed to produce in pupils attitude more akin to democratic disposition, rather than ‘deep-rooted character virtues’- objectively good human qualities, Civic deliberation and practice extend from the classroom throughout the school. Procedural/instrumental republican models of citizenship remind civic educators need to be fostered in pupils in order to inform their discursive practice and cultivate civility. In order to achieve them, we need to build ‘self-government school’ and ``just community school`` models, advocated by Neill and Kohlber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