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노인대상 자원봉사경험 중학생이 지각한 노인지식이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노인이미지의 매개효과-

        심미영 ( Miyoung Sim ),서보준 ( Boojun Seo ),정정숙 ( Jungsuk Ju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대상 노인자원봉사경험 중학생이 지각한 노인지식과 노인부양의식의 관계에 있어서 노인이미지의 매개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부경남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5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 설문조사 하여 노인대상 자원봉사경험 있는 285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20.0) 및 AMOS(20.0) progra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노인지식이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노인지식이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노인이미지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에 대해 함의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mage of the elder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ledge about the elderly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olunteering experience for the elderly and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To achieve this, 285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olunteering experience for the elderly were finally analyzed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West Gyeongnam area from May 1 to May 30, 2018. The analysis was made with SPSS(20.0) and AMOS(20.0) programs and our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appeared that the knowledge about the elderly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olunteering experience for the elderly had an impact on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Second, it appeared that the image of the elderly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the knowledge about the elderly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Based on such result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practical intervention plans for improving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elderl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홈쇼핑 소비자의 상품특성별 구매결정요인 및 소비자만족도 분석 - Cable TV를 중심으로 -

        심미영 ( Mi Young Sim ) 한국소비자학회 2002 소비자학연구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eterminants to purchase decisions and causal effect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by consumers using the home shopping of cable TV. Findings from the study may be reflected in business policies seeking the fulfillment of consumer needs, and be used as a basic inform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consumer policies pursuing increased qualities of consumption life by providing information on goods shown through the of home shopping on cable TV.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In the re-purchase intention of specialty goods, the variables which influence positively are sex, state of marriage, job, purchase frequency per year, contract & payment related risk, quality related risk, the main time of watching cable TV, purchase frequency per year, pleasure of shopping-oriented, quality related risk, risk of price & information restriction, efficiency of shopping, and consumer satisfaction directly and indirectly. In the re-purchase intention of shopping goods, the variables which influence positively are income, job, the main time of watching cable TV, purchase frequency per year, pleasure of shopping-oriented, quality related risk, risk of price & information restriction, efficiency of shopping, and consumer satisfaction directly and indirectly. In the re-purchase intention of convenience goods, the variables which influence are sex, level of education, job, purchase frequency per year, pleasure of shopping-oriented, risk of delivery and returned goods, diversity of goods information, convenience of shopping and consumer satisfaction directly and indirectly.

      • KCI등재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관계

        심미영(Mi Young Sim),이둘녀(Dool Nyeo Lee),김은희(Eun Hee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우울과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매개변인과 준거변인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가외변인을 공변인으로 설정하고 회귀분석과 SPSS Macro 및 부트스트래핑 (bootstrapping)방법을 적용하여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있어 우울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우울, 자기효능감,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분석한 결과 스트레 스는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가 우울과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스마트폰 중독에 간 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과 자기효능감은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매개 및 부분매개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가 우울과 자기효능감을 거쳐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간접경로인 이중매개효과는 유의 하였으며, 높은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효과 또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 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스트레스나 우울이 높은 대학생들은 조기에 선별하고 건전한 활동 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스트레스 및 우울완화 프로그램과 자기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tested the effects of stress on smartphone addiction via depression and self-efficacy among college students,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setting mediator and extra variable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riterion variable as covariates and applying the regression analysis and SPSS Macro as well as bootstrapping metho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elf-efficacy in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direct effects of stress on the depression, self-efficacy, and smartphone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and found that stress had direct effects on their depression and self-efficacy and also indirect effects on their smartphone addiction via depression and self-efficacy. Both depression and self-efficacy had dual an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influences of stress on their smartphone addiction. Stress had significant dual mediating effects on their smartphone addiction via the indirect paths of depression and self-efficacy, and high stress also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their smartphone addiction, thus validating the dual mediation model.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need to develop programs to mitigate the stress and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and enhance their self-efficacy in order to reduce their smartphone addiction.

      • KCI등재

        장애인가족의 스트레스가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심미영(Mi-Young Sim),김재림(Jae-Lim Kim),안성아(Seong-Ah Ahn)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4

        본 연구는 장애인가족을 대상으로 장애인가족이 경험하는 가족스트레스가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가족스트레스와 가족적응의 영향관계에서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장애인가족이 경험하는 가족스트레스는 가족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건강성을 투입한 매개효과의 검증결과, 가족스트레스가 가족건강성을 매개로 가족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완전 매개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를 토대로 가족스트레스 관리 및 가족건강성 증진을 통한 장애인 가족적응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amily stress on family adaptation and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 on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stress and family adaptation of disabled family. As a result, family stress has also been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family str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adaptation through family strength. Family strength is found to have a full mediation effect. In summary, the findings suggest that disabled family with higher levels of family stress are more likely to have lower family strength and lower family strength decreases the probability of conducting family adapt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s suggest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could prevent family stress, family strength and family adaptation.

      • KCI등재후보

        이동보조기 사용에 따른 직업만족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심미영(M. Y. Sim),안성아(S. A. Ahn)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2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6 No.2

        본 연구는 외부신체 장애근로자를 대상으로 이동보조기 사용에 따른 직업만족과 삶의 질의 차이를 장애 유형에 따라 비교분석하고, 이동보조기 사용자의 직업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경증의 경우 일의 내용에서만 이동보조기 사용자의 직업만족이 높은 것과는 달리 중증의 경우 일의 내용, 근로환경, 근로시간, 발전가능성,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에 대한 만족이 높게 나타났으며, 삶의 질에서도 중증의 경우 가족, 거주지, 일에 대한 삶의 질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동보조기 사용자의 직업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결과, 직업만족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의미 있는 영향을 나타내어 직업만족이 높을수록 삶의 질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relation to the use of movement assisters among workers with severe and slight external physical disabilitie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quality of life of disabled persons who use movement assisters. First, severely disabled persons who used movement assisters showed higher degrees of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content, working environments, working hours, possibilities for development, communication, and human relations. On the other hand, slightly disabled persons who used movement assisters showed higher degrees of satisfaction only with their working environments. Second, severely disabled persons who used movement assisters perceived a higher quality of life in the areas of family, residence, and work. Slightly disabled persons who used movement assisters perceived a higher quality of life only in the area of family. Third, workers with external physical disabilities who used movement assisters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quality of life arising from job satisfaction in relation to income, job stability, working environments, working hours, possibilities for job development, communication, and human relations that is, a higher job satisfaction was correlated with a higher perceived quality of life.

      • KCI등재

        다문화가정 아동의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심미영(Sim, Mi-Young),이둘녀(Lee, Dool Nye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3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자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사회적 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가정 아동의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전체효과는 부적영향, 스트레스가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사회적 능력에도 부적영향으로 나타났다. 간접효과를 확인한 결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학교적응에 정적영향을, 사회적 능력도 학교적응에 정적영향으로 확인하였다. 그러나 스트레스는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사회적 능력이 완전매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 및 사회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학교 교육 방향과 다양한 프로그램 개입의 밑바탕이 되어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한 실천적인 함의를 가진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tress coping behavior and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determin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between their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stress had overall negative effect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also on their stress coping behavior and social competence. For the indirect effects, both their stress coping behavior and social competence had positive indirect effects on their school adjustment. Stress did not have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their school adjust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ress coping behavior and social competence have full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ir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directions of school education and various program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stress coping and social adjustment competenc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ffering practical implications to enhance their school adjust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