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백석 시의 공간의식 연구

        신혜원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백석 시의 고향의식은 시작품 전체를 지배하는 흐름으로 고향에 대한 회상이 공간의식으로 나타난다. 인간은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장소를 원하며 거주 공간인 고향은 이러한 염원의 중심에 있다. 백석의 고향에 대한 애착은 궁핍한 현실, 시대적 격변 속에서 자아를 찾고자 하는 욕구와 세계에 대한 총체적 인식을 회복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한다. 본 논문은 백석 시의 의미를 보다 다각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그의 시를 공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제목에 공간성을 지니는 작품들을 분류하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백석 시의 공간을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첫째, 원초적 공간은 자연 친화적 합일의 공간과 유년의 설화적 공간으로 분류된다. 이 공간은 화자의 삶의 과정에서 내부나 외부로부터 아무런 상처를 받지 않았던 평화로운 공간이다. 자연과 인간, 사물과 인간이 아무런 갈등없이 조화를 이룬다. 또한 유년시절에 보고 듣고 체험했던 옛이야기와 설화, 무속이 민족의 정신적 바탕이 되어 공동체를 결집시킨다. 이 공간은 전설이 살아있는 공간이자 우리 민족의 삶의 뿌리를 이루는 설화적 공간이며, 무속적 공간이기도 하다. 둘째, 토속적 공간은 전통 제례의식과 유년의 미각을 통해 형상화된다. 제사와 절기, 명절과 같은 낡고 오래된 전통은 점차 사라져 간다. 그러나 백석은 이러한 과거의 제례의식을 되살려 그 안에서 전통의 풍속이나 보존할 가치가 있는 미덕을 확인시킨다. 그리고 그 제례의식 속에서 유년의 음식들을 찾아 나열한다. 토속적 공간을 재현하는 회귀적 매체로 미각을 활용한다. 미각을 통해 잃어버린 유년의 풍요로운 공간으로의 복귀를 꿈꾼다. 셋째, 유랑의 공간은 타관에서의 상실감과 유랑으로 인한 현실의 비애를 담고 있다. 유년의 고향이 풍족한 공간이었다면 타향은 외롭고 가난하고 황폐한 공간이다. 유랑은 삶을 균열시켜 백석을 단절된 공간에 가두고 자기 성찰의 과제를 제시하기도 한다. 고향상실은 민중들을 떠도는 이방인으로 만들어 그들의 삶을 고단하게 한다. 유랑의 현실공간은 가족, 아이, 여성과 같이 최소한의 보호를 필요로 하는 대상들까지 밖으로 내몰았다. 이렇게 백석 시에 드러난 내적 공간은 체험이 형상화된 공간이다. 당시는 모더니즘과 카프가 주류였음에도 불구하고 백석은 외래적인 것에 대한 반작용으로 우리의 삶의 모습과 고향을 토속적 언어로 형상화한다. 그의 문학 세계는 당대로서는 보기 드물게 문학이 시인의 삶에 합일되는 시인이다. 백석의 시에는 일제강점기 현실과 맞서는 치열한 대결이나 미래지향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근대로의 전환기에서 외래지향적인 태도를 버리고 민족의 원형성을 탐구하고 민중적인 삶에 애착을 보인다. 인간적인 삶이 철저하게 억압되었던 일제하의 암흑기 속에서 민족적 삶의 근원적인 아름다움과 존재의 가치를 각인시켰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되어야 한다.

      • 레티놀이 모공각화증에 미치는 영향

        신혜원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모공각화증은 한선 입구에서 과각질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전적 질환으로 피부 표면에 소결절이 다량 보이는 만성질환의 하나이다. 정확한 원인이 불분명한 상태로 여러 가지 학설이 보고되고 있다. 레티놀은 각화주기를 정상화하고, 피부가 거칠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 만 아니라 미세순환을 촉진시켜 새로운 콜라겐을 합성을 유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드름 치료제로 사용하는 레티놀을 적용하여 효과를 관찰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모공각화증이 있는 20-30대 남녀 16명으로 평균연령은 26세로 실험은 4주간 실시되었다. 레티놀군과 보습제군은 글리콜산을 이용하여 주 1회 각질관리를 하고 레티놀과 보습제 적용 후 1시간 후에 비침습적기기를 이용하여 매주 측정하여 피부의 유분양, 수분양, pH, 각질두께를 측정하여 레티놀의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실험 처치 외 에도 매일 레티놀군은 레티놀만을 바르게 하였고, 보습제군도 보습제 만을 바르도록 하였다. 결과적으로 수분양, 유분양은 실험전보다 많은 수치의 증가를 보였고, 각질두께와 pH의 수치는 감소하여 실험의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보습제군에서는 변화량이 실험전과 비교해 미비하여 실험의 효과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레티놀 군은 모공각화증 완화에 필요한 유·수분 균형 회복에 효과가 있었다. 레티놀을 함유한 화장품은 모공각화증 피부 관리에도 사용할 수 있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ratosis pilaris is a genetic disease caused by hyperkeratinization in the entrance of sweat gland. It is a chronic disease which is found small noddle in the surface of skin. There are many reports about keratosis pilaris without a state of evident cause. It was observed that the effect of sebum, moisture, pH, keratin of skin to reduce applied retinol as acne treatment. Retinol normalize keratinization prevents from the roughness of skin and induces generation of collagen by stimulating microcirculation. This study observed the effect of retinol by applying to keratosis pilaris used as acne treatment. The study subject was 16 about with age of 20's and 30's. They were treated before the experiment Week 1, Week 2, Week 3, Week 4. Retinol group and moisturizer group was treated by glycolic acid sebum secretion, moisture content, pH, keratin thickness were measured. Retinol group applied retinol and moisture group applied moisturizer everyday. After removing a keratin using glycolic acid, then applied to two groups. Retinol group and moisturizer group were treated by glycolic acid sebum secretion, moisture content, pH, keratin thickness were measured. Retinol group applied retinol and moisturizer group applied moisture everday. The moisture content and the sebum secre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thickness of keratin and pH decreased. As for moisture group there was effective to balancing moisture and sebum by relieving keratosis pilaris. In conclusion, cosmetic contained retinol can be used in the skin care.

      • 암환아와 어머니의 회복력에 관한 연구

        신혜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암으로 진단 받는 아동은 해마다 증가 추세에 있고, 이는 아동의 생애 전반에 걸쳐 위협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관리를 해야 하는 만성 질환적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암환아는 정상적인 성장발달에 문제를 가져올 수 있고, 그의 가족 또한 신체적, 경제적, 심리적인 부담감을 경험하게 되며 가족 구성원은 가족 기능의 새로운 역할에 적응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아와 어머니의 회복력을 측정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회복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나아가 회복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05년 4월 20일부터 5월 30일까지 서울 A 종합 병원의 소아암 병동에 입원하거나 외래로 치료 중인 11세-18세의 암환아와 그들의 어머니 각 각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김동희(2002)의 만성질환아 회복력 측정도구, 채명옥(2005)이 수정 · 보완한 가족 기능 회복력 도구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Version 12.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표준편차, Chronbach's alpha 계수 및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암환아의 회복력은 평균 98.32점(평균평점 3.090± .30)로 개인내적 특성은 (3.208± .38), 대인관계 특성(3.171± .37), 대처양상 특성(2.878± .39)였다. 어머니의 회복력은 평균 64.95(평균평점 3.08± .25)로 정서적 지지체계가 (3.300± .47), 가족 성숙(3.288± .39), 가족의 힘(3.128± .38), 재정적 추진력(3.067± .56), 외부자원 활용 능력(2.658± .56)였다. 2. 암환아와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력은 환아가 종교가 있을 때 (t=7.095, p=.010), 어머니가 취업상태(t=4.986, p=.032)일 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환아의 회복력과 어머니의 회복력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58, p=.000). 회복력의 세부영역별 관계는 암환아의 대처양상 특성과 개인내적 특성은 가족의 외부자원 활용능력(r=.786, p=.002), (r=.287, p=.026) 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암환아의 대인관계 특성과 개인내적 특성은 가족의 재정적 추진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608, p=.000), (r=.357, p=.005). 이상에서와 같이 암환아의 대처양상과 어머니의 외부자원 활용능력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암환아의 일반적 특성 중 종교가 있을 때, 어머니의 경우 취업 여부에 따라 회복력이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암환아의 회복력과 어머니의 회복력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암환아의 대처양상을 증진시키고 암환아 어머니의 외부자원 활용능력을 증진시키는 간호 중재로 회복력을 높여서 만성적인 질병과정 중에 있는 암환아와 가족이 힘든 과정을 잘 이겨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임상에서 암환아를 간호하는데 있어 환아 뿐만 아니라 어머니, 가족을 포함한 간호를 통해 이들의 회복력을 함께 증진시켜야 한다. 또한 암환아가 종교 등의 신념체계를 통해 어려운 과정을 이겨낼 수 있도록 돕고, 가족이 외부자원 활용능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암환아의 진단, 치료, 간호과정과 관련하여 눈높이에 맞는 적절한 정보와 설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에는 환아의 어머니 뿐만 아니라 아버지를 포함하여 전 가족을 대상으로 한 회복력 측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암환아와 가족의 회복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resilience of children with cancer and their mother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ain factors behind the resilience of these patients and their mothers. To measure the resilience of cancer patients, Kim's(2002) resilience scale for chronic illness was utilized. The Korean Family Functioning Scale by Lee et al in 2002 and revised by Chae in 2005 was used to calculate the resilience of mothers. Respondents for this study consist of 60 pediatric cancer patients and their mothers.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20th, 2005 through May 30th, 2005 at A Medical Center in Seoul, Korea.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win 12.0 version)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Chronbach's alpha coefficients, the t-test, ANOVA, and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majors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resilience mean of pediatric cancer patients is 98.32(3.09±.03) and of mothers is 64.95(3.08±.25). 2. There appears to be a high resilience in pediatric cancer patients who hold religious beliefs(t=7.905, p=.010). Similarly, there is a high resilience for mothers who are employed(t=4.986, p=.032). 3.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esilience of cancer patients and their mothers (r=.508, p=.000). As the study indicates that there is a definit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lience of pediatric cancer patients and their mothers, it is vital to improve the condition of both the patient and his mother to augment the healing process.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support the beliefs and religious activities of children and to ensure that mothers find effective ways in dealing with str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oject, a few changes are recommended for future studies. The follow-up studies of not only fathers but also the entire family members also be needed and a focus on characterizing the effective modes of nursing intervention.

      • '한 학기 한 권 읽기' 지도 실태와 개선 방안

        신혜원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Reading a book a semester’ is the focus of the 2015 revised Korean curriculum, the fact that reading education is provided within the Korean course, the emphasis on reading complete books rather than fragments,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of book reading education in a curriculum document. It is distinct from reading education, which is similar to ‘Reading a book a semester’, which has been practiced by individual teachers. It is important to look at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re performing ‘Reading a book a semester’ and the situation of the classes and provide improvements in the policy that ‘Reading a book a semester’ should be consistently implemented through the school curriculum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To achieve this goal,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t. First, What is teachers’ perception of ‘Reading a Book a Semester’? Second, How about when teachers run ‘Reading a Book a Semester’? Third, What are the difficulties and solutions that teachers face in ‘Reading a Book a Semester’ class? To this end, a survey of elementary teachers with real teaching experience ‘Reading a book a Semester’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wangju and Jeollanam-do, and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Reading a book a semeter’ class experience at least a semester in the last year, wer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to determine the overall tendency of the study subjects and t-verification and one way Anova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addition, the in-depth interview data was analyzed through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after recording and transcription. The results such a research method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Reading a Book a Semester’ as trial of educational policy to provide students with a full reading experience. In addi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hat students’ reading education required ‘Reading a book a semester’, but the degree of guidance and education planning did not fall short.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ing books on a teacher-led, using Korean class, out of class time, and a variety of times without specially specified methods to encourage students to read. Considering that the opportunity for students to choose the good book for themselve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ir reading motivation, it is important to expand the students’ autonomy in the book selection process through a series of courses that teach and apply book selection methods or strateg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through integration with Korean subject or with other subject, to secure the number of the courses, and to establish a systematic curriculum pla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timing and method of the lesson, so that the reading of books can be made in the class. Thi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truggling with lack of the number of the courses and book selection. Improvements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include reorganizing the curriculum for securing courses and operating on-call classes, developing conditions for expanding recommended differentials, improving interest in children’s literature through participation in research meetings, improving expertise in book selection, and discussing and resonating with school members about ‘Reading a book a semester’. Following this study, a list of recommended books by grade is discovered and a case study on how to teach reading ‘Reading a book a semester’ and how to support it is suggested.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e study that proposed specific support methods by expanding the research subject to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한 학기 한 권 읽기’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중점사항으로, 국어과 수업 내에서 독서교육이 이루어진다는 점, 조각글이 아닌 온전한 책 읽기를 강조한 점, 그리고 교수·학습 방법론으로 책 읽기 교육을 교육과정 문서에 명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개별 교사에 의해 실행되어온 ‘한 학기 한 권 읽기’와 유사한 독서 교육과는 구별된다. ‘한 학기 한 권 읽기’가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모든 교사가 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독서 교육을 일관되게 실행하여야 한다는 정책적 의미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실행하고 있는 초등교사의 인식과 수업 운영 실태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개선 사항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한 학기 한 권 읽기’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한 학기 한 권 읽기’ 수업의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한 학기 한 권 읽기’ 수업에서 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재직하고 있는 초등교사 중 ‘한 학기 한 권 읽기’ 실제 지도 경험이 있는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와 최근 1년 내 8차시 이상 ‘한 학기 한 권 읽기’ 수업 경험이 있는 네 명의 초등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연구 대상자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한 빈도분석과 집단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심층 면담 자료는 녹음 및 전사한 후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을 활용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는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학생에게 온전한 독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교육 정책의 실현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초등교사는 학생의 독서교육에 ‘한 학기 한 권 읽기’가 필요하지만, 지도 정도와 교육계획 수립은 그에 미치지 못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초등교사는 교사 주도로 책을 선정하며 국어 시간, 수업 외 시간, 특별히 정해진 방식 없이 다양한 시간을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책을 읽도록 하고 있다. 학생 스스로 자신에게 맞는 책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독서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학생에게 책 선택 방법이나 전략을 가르쳐 주고 적용해 보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도서 선정 과정에서 학생의 자율성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수업 시간에 책 읽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중심으로 국어교과 내 통합이나 타 교과와의 통합을 통해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시수를 확보하고, 수업 시기와 방법을 고려한 체계적인 교육과정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셋째, 초등교사는 수업 시수 부족과 책 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개선 요건으로 수업 시수 확보 및 내실있는 수업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 권장 차시 확대를 위한 여건 마련, 연구 모임 참여를 통한 어린이 문학에 대한 관심과 책 선정에 대한 전문성 향상, ‘한 학기 한 권 읽기’에 대한 학교 구성원 간의 논의와 공감대 형성을 위한 다양한 소통의 기회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 이어 학년별 추천 도서 목록을 발굴하고, 선정된 책과 관련된 수업 운영 방법을 안내하는 학년별 ‘한 학기 한 권 읽기’ 지도 방안과 운영 지원 방법에 대한 연구를 제안한다. 또한 연구 대상을 중·고등학교 교사까지 확대하여 ‘한 학기 한 권 읽기’ 수업 실행 양상에 따른 구체적인 지원 방법을 제안한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 여성적 글쓰기의 가능성 - 「햄릿」(Hamlet)의 오필리아(Ophelia)와 거트루드(Gertrude)를 중심으로

        신혜원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A recent french feminist Helene Cixous refuses the existing linguistic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male centered language since the beginning of human society, and proposes 'écriture féminine' as a new style of feminine writing. Thus, women can achieve the their right and power only when they deny the pariarchal linguistic system and create their own languag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how the 'écriture féminine' is manifested and materialized in two female characters of Willian Shakespeare's Hamlet, Ophelia and Gertrude. The time when Shakespeare played an active part in English Literature was when Queen Elizabeth ruled England where the patriarchy was the controlling ideology of family, society, and the nation. The fact that 'the female ruler' was in the center of patriarchal society deserves some particular attention. In this unique social atmosphere, Shakespeare created some remarkable female characters who cope with the power of male centered society with all thir forces. While his most controversial play Hamlet deals primarioly with the male protagonist who struggles with the world of reality, is is also significant that the play reveals the two female characters' struggle against the patriarchal insititutional force. My focus, therefore, lies on both Ophelia and Gertrude within the backgroung of the social and idalohical context in England. Before her appearance in act Ⅳ scence v, Ophelia is portrayed as an obedient daughter an helpless lover. She never speaks about herself adn constantly edures the pain and distress given to her by given to Ophelia's speech in act Ⅳ scene v, when she revolts against the male power with her insane and subversive language. The significance of her speech becomes more important when we consider that in Renaissanc England women were expected to stay silent and thir speech by making her mad. However, her mad voice uncovers the incompetence of patriarchy and exposes the author's awareness of women's situation in the male dominant society. Ophelia's speech contains a femining voice, "écriture féeminines," which has the power to overtury the patriarchal structure. Gertrude is often viewed as a negative character due to her 'uncontrolled sexuality,' T. S. Eliot considers her insufficient as a character to provide the 'objective correlative' for Hamlet's powerful emotions. Despite her negative and minor presence in the masculing world, however, Gertrude achieves her realistic, political ambition, using her sexuality which the male protagonist thikns shameful and perilous. She seems to realize that a conspicupus resistance against the patriarchal society, using language or physical force, would not improve her situation. She is using what s uniquely her own, her sexuality, instead to obtain her place as a queen and loveng wife. In this regards, Gertrude's sexuality becomes for her a wa to deal with the male dominant society. Thus, Ophelia and Gertrude, who has often been considered as the two insingnificant female characters in Hamlet, must be regarded as important characters who can yield yet another depth in the meanings of this famous play.

      • 질적 연구에서의 윤리적 문제 : 질적 연구자 경험 사례를 중심으로

        신혜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e whole process of qualitative research, researchers face ethical problems. Nonetheless, discussion of ethical issues in qualitative research is overlooked while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qualitative research is emphas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thical issues and their causes in the qualitative research process and thus promoting the discussion on research ethics in qualitative research.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ethical issues that arise in the qualitative research process? Second, what are the causes of ethical problem that arises from the qualitative research process? For this study, four participants who did qualitative research as a doctoral dissertation and experienced conflict in the research process were selected. Qualitative case research was conducted for methodology in this study. Face-to-face interview was the main method of data collection and additional data was collected by phone and e-mail interviews. In addition, the consent forms, questionnaires, and theses from the four participants’ research process were utilized as research data in this study. The study results on the ethical issues and causes in the qualitative research are as follows. Ethical issues arising from the qualitative research process are distinguished into topic selection, recruitment of research participants, obtaining consent,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and writing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cess. First, in selecting a topic and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earchers selected the areas of interest in their major fields or occupations as research subjects and tried to find the answers to the areas that they have contemplated upon through the research. The researchers in this study mostly recruited research participants from their acquaintance or by snowballing, this was due to cultural, tempo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addition, recruiting their acquaintance as research participants led to various conflicts during the research. Second, in obtaining consent, the researchers prepared the consent with reference to dissertations, advice from their seniors, and theories, and explained th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withdrawal rights, recording, and anonymity in the process of obtaining consent. In the process of obtaining cons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had a limitation in fully understanding the research even if the research was sufficiently explained. This study also found that it is important to continuously share research progress with institutional personnel even after obtaining consent when the research is conducted through the institution. Third, in the data collection process, the research participants resolved the anger through the interviews and were healed, however some worried that the interview would be delivered to another person and affect their reputation. In addition, the researchers who recruited their acquaintances as research participants had difficulties in exploring depth topics and also found that their relationship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became awkward after interviewing personal experiences. During the interview process, the research participants suffered from talking about empathy, failures, relationships, spiritual experiences, and coercion. In addition, in the interview process, there were cases in which emotional pain was caused by only a specific word rather than a story, thus, it is important for the researchers to not only sensitively approach all subjects but also to think and understand from the viewpoint of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data, limitations of anonymity were revealed. Despite the fact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identities were not disclosed, individual’s research participation was revealed among the research participants, which could lead to invasion of privacy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researchers' competencies and attitudes during the data collection process were confirmed to be important factors dictat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quality of research. Fourth, the limitation of anonymity was also foun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data,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identities can be revealed through the use of pseudonyms. In the data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act of distorting the inten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may cause them disturbance or suffering. Among the stories collected during the interviews, there were academic and socially valuable stories, but at times this had a risk of exposing the participants to danger. As a result, researchers experienced conflicts between public interest and protec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in data analysis and writing processes. This study analyzes the causes of ethical issues in three ways. First, researchers experienced confusion in the field due to guidelines and regulations that did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research. In addition, due to the lack of discussions about limitations of existing guidelines and norms, researchers inevitably experienced various conflicts. The second cause was related to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anonymity was not guaranteed du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thus, there was a risk of invasion of privacy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research was able to influence not only the research participants but also their surroundings, because the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various kinds of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On the contrary, the social relations of research participants also influenced research. The third cause is related to the researcher and can be summarized as the researcher's subjective and one-sided attitude that does not take the viewpoint of research participants into consideration. The researchers' narrow view and one-sided attitude put research participants at risks, turn them into research objects, and isolate them from the research. Some suggestions drew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actical research ethics guidelines that qualitative researchers can refer to in the research process should be established. To this end, various problems and cases arising from qualitative research should be accumulated. Based on this, guidelines for research ethics in qualitative research should be prepared to provide guidelines or check lists that researchers can utilize. Second,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research ethics among the future researchers by more specifically mentioning the researchers' efforts to protect research participants in theses and academic papers. Third, lecture related to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hould include not only methodology but also research ethics and protec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ethics education should be treated in a broad sense. Fourth, more fundamental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to enable research ethics to be established in qualitative researcher's internal virtues. 질적 연구의 전 과정에서 연구자는 윤리적인 문제에 맞닥뜨리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질적 연구에서 윤리적인 문제에 대한 논의는 간과되고 있으며 질적 연구의 양적인 팽창에만 몰두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질적 연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윤리적인 문제와 원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질적 연구에서의 연구윤리에 대한 논의를 확대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질적 연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윤리적인 문제는 무엇인가? 둘째, 질적 연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윤리적인 문제는 무엇으로부터 기인하는가? 본 연구를 위해 박사학위논문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고 연구 과정에서 갈등을 경험한 4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그들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Qualitative case research)를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전화와 메일을 통해 추가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그들이 연구 과정에서 사용했던 동의서와 면담 설문지, 학위논문이 연구 자료로 활용되었다. 질적 연구에서 발생하는 윤리적인 문제와 원인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질적 연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윤리적인 문제는 연구 과정에 따라 주제 선정 및 연구참여자 섭외, 동의 획득, 자료 수집, 자료 분석 및 글쓰기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주제 선정 및 연구참여자 섭외에서 연구자들은 자신의 전공 분야 혹은 직업에 종사하면서 관심 가졌던 부분들을 연구 주제로 선정하였으며 평소 궁금해 하거나 고민했던 부분을 연구 주제로 선택함으로써 연구를 통해 해답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 섭외에서는 주로 지인이 연구참여자로 섭외되거나 스노우볼링을 통해 연구참여자가 모집되었으며 이는 문화적, 시간적, 환경적인 영향으로 인한 것이었다. 아울러 지인 혹은 주변 사람을 연구참여자로 섭외하는 것은 향후 연구 수행에 다양한 갈등을 유발하였다. 둘째, 동의 획득에서 연구자들은 학위논문과 선배들의 조언, 이론서를 참고하여 동의서를 제작하였으며 동의 획득 과정에서 자발적인 참여와 철회의 권리, 녹음과 익명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동의 획득 과정에서는 연구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더라도 연구참여자가 완벽하게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관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는 경우 동의를 획득한 이후에도 기관담당자와 연구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공유하는 것이 중요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자료 수집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은 면담을 통해 분노를 해소하고 치유받기도 하였으나 면담 내용이 또 다른 지인에게 전달될 것을 염려하고 자신의 이미지에 영향을 줄 것을 걱정하기도 하였다. 또한 지인을 연구참여자로 섭외했던 연구자는 깊이 있는 주제 탐색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사적인 경험에 대해 면담한 후에는 연구참여자와의 관계가 어색해지는 경험을 하기도 하였다. 면담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은 공감 받았던 일, 실패 경험, 인간관계, 영적인 경험, 강압 받았던 일에 대해 이야기 하면서 고통스러워했다. 또한 면담 과정에서는 이야기가 아닌 특정 단어만으로도 감정적인 고통을 야기하는 경우가 있어 모든 주제에 민감하게 접근하는 것뿐만 아니라 연구참여자의 관점에서 생각하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는 익명성이 가진 한계가 드러났는데 연구대상자를 공개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연구대상자들 간에 연구 참여 사실이 공개되었고 이는 향후 사생활 공개로 이어질 위험을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자료 수집 과정에서 연구자의 역량과 태도는 연구참여자와의 관계와 연구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도 익명성의 한계가 발견되었으며 가명을 사용하여도 글을 통해 연구참여자가 공개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자료 분석에서는 연구참여자의 의도를 왜곡하는 행위가 그들에게 불편함 혹은 고통을 야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면담 과정에서 수집된 이야기 중에는 학문적,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이야기도 있었지만 때로는 이것이 오히려 연구참여자를 위험에 노출시키는 결과를 야기하기도 하였다. 이로 인해 연구자는 자료 분석과 글쓰기 과정에서 공공의 이익과 연구참여자 보호 사이에서 갈등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에서 윤리적인 문제의 원인은 세 가지로 분석되었다. 첫째, 질적 연구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지침과 규정으로 인해 연구자들은 현장에서 혼란을 경험하였다. 또한 기존의 지침과 규범이 가진 한계에 대한 논의 부재로 인해 연구자들은 다양한 갈등을 경험할 수밖에 없었다. 두 번째 원인은 연구참여자와 관련 있었다. 연구참여자들 간의 관계로 인해 익명성이 보장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이는 향후 사생활 노출로 이어질 위험이 있었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은 다양한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 존재이기 때문에 연구 결과가 연구참여자뿐만 아니라 그들의 주변인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었으며 반대로 연구참여자의 사회적 관계가 연구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세 번째 원인은 연구자와 관련되며 연구자의 주관적인 관점과 연구참여자를 고려하지 않는 일방적인 태도로 요약할 수 있었다. 연구자의 편협한 관점과 일방적인 태도는 연구참여자를 위험에 놓이게 하고 그들을 연구의 객체로 전락시키며 연구로부터 소외시키는 결과를 야기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몇 가지 제안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질적 연구자들이 연구 과정에 참고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연구윤리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와 사례들이 축적되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질적 연구에서의 연구윤리 지침이 마련되고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 수행을 점검해볼 수 있는 가이드라인 혹은 체크리스트가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학위논문과 학술논문 등에 연구참여자 보호를 위한 연구자의 노력을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함으로써 후속 연구자들에게 연구윤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일 필요가 있다. 셋째, 질적 연구방법론 수업에는 방법론뿐만 아니라 연구윤리와 연구참여자 보호에 대한 내용을 포함해야 하며 연구윤리 교육은 광의의 의미에서 다뤄져야 한다. 넷째, 질적 연구자의 내면의 덕목으로 연구윤리 의식이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보다 근본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해야 한다.

      • 한국 사회상의 시각화를 통한 비판적 인식의 표현 연구

        신혜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searcher’s work view and to provide a foothold for future work by analyzing researcher’s works on Korean society with critical point of view. To define the perspectives of researcher’s works, the works were classified by each material and the meanings were interpreted. Similarly, the works were examined whether the expression methods were appropriate by describing the expression styles and formal characteristics chosen for revealing researcher’s viewpoint. The artist, as a member of society, speaks about customs and politics using a form of language, ‘Using the art as form of language’, and provides a discussion point to the audience. A work of art become a communication medium between the artist who presents the meaning and the audience who accepts it.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an art has a role and meaning when it opens the possibility of reconsidering reality to the audience through telling the reality perceived by the artist within the work of art. In addition, criticizing the present society and the current situation by work of art gives the researcher a sense of political efficacy. The researcher responded to the repetitive patterns often seen in Korean society triggered by researcher’s personal experience and brought them as the subject of her work. In this study, work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each material and the meanings of each work were described. The subject matter was taken around from the researcher and extended to politics, society in general, and the public, and the critical point of view toward the outside results in the researcher's own reflection.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subject matter into three themes: 'customary thinking and acceptance', 'conventional political behavior', and 'stylized public participation in politics'. First, the paper discussed customs and values in the society that have been mindlessly accepted through ‘'customary thinking and acceptance'. This was developed into doubts about the group and power that make value judgments. Next, in 'Conventional Political Behavior', the researcher focused on behaviors repeatedly revealed in the political situation in Korea, and pointed out the behavior of conventional politicians and the faction logic that is repeatedly practiced to maintain power. Furthermore, the appearance of the public responding to this political milieu was explained through ‘stylized public participation in politics’. The work expressed the skepticism towards to the public’s uncritical behavior in the stylized participation, and revealed the public's inertial participation in history and politics. For the expression of those themes, the researcher first collected various images and edited them. The edited images form a meaning through parallelly presenting with other images or texts or overlapping with each other. This reconstructed meaning provides to introduction to further work, and ‘juxtaposing’ and ‘overlapping’ methods were applied to build the meaning. The juxtaposition method brings re-contextualization of content by apposing images with other images and images and texts, which leads to comparative evaluation. The overlapping method creates partially blotting out image which emphasizes the content through the contrast between the deleted image and its traces. Lastly, the researcher examined the formal characteristics in researcher’s works. The researcher explained suitability of applying printing and silkscreen techniques for researcher’s work, and reviewed the influence of formal characteristics on the selection of the plate material. 이 논문은 연구자가 관찰한 한국 사회상을 소재로 하여 연구자의 비판적인 관점을 드러내는 작품들을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작업관을 돌아보고 향후 작업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의 작업의 관점을 정리하고자 각각의 소재로 작품을 분류하고 개별 작품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관점을 드러내기 위해 선택한 표현의 방법과 형식적 특징을 서술하는 것으로 작품의 표현 방식이 적절하였는지를 점검하였다. 예술가는 사회의 일원으로 예술이라는 언어로 관습과 정치에 대해 발언하고 관객에게 논의거리를 제공한다. 이때 예술작품은 의미를 제시하는 작가와 수용하는 관객 사이의 소통 매체가 된다. 연구자는 예술작품 내에 본인이 인식한 현실에 대해 논하고 이를 통해 관객에게 현실 재고의 가능성을 열 수 있다면 미술의 역할과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현실 비판적 작업을 통해 현 사회와 세태에 대해 논하는 것은 연구자 본인에게 정치적 효능감을 준다. 연구자는 본인이 겪은 특정 경험을 계기로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는 반복적 양상에 반응하고 이를 작업의 소재로 가져온다. 본 연구에서는 각 소재에 따라 작품을 분류하고 개별 작품의 의미를 서술하였다. 해당 소재는 연구자의 주변에서 시작하여 정치와 사회 전반, 대중으로 확대되며, 외부를 향한 비판적 관점은 결과적으로 연구자 본인의 반성으로 귀결된다. 연구자는 소재를 ‘관습적 사고와 수용’, ‘관행적 정치행태’, ‘양식화된 대중의 정치참여’라는 세 가지의 범주로 분류한다. 첫째로 ‘관습적 사고와 수용’을 통해 무의식적으로 수용해온 사회 내 관습과 가치에 대해 논한다. 그리고 이는 가치판단을 내리는 집단과 권력에 대한 의구심으로 발전된다. 다음으로 ‘관행적 정치행태’에서는 한국의 정치 상황에서 반복적으로 드러나는 행태에 주목하여 관행적인 정치인의 행태와 권력 유지를 위해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진영논리에 대해 꼬집는다. 그리고 이러한 정치 환경에 대응하는 대중의 모습을 ‘양식화된 대중의 정치참여’를 통해 설명한다. 양식화된 방식에 무비판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바라보는 연구자의 회의감을 표현하며 역사와 정치에 관성적으로 참여하는 대중의 모습을 드러낸다. 위의 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연구자는 먼저 여러 이미지를 수집하고, 편집하였다. 편집된 이미지는 이미지와 텍스트들을 나열하거나 겹쳐 놓는 것을 통해 맥락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렇게 재생산된 의미는 각 작업 내에서 생각할 거리를 제공하며, 이를 위해 주로 ‘병치’와 ‘중첩’을 사용하였다. ‘병치’는 이미지와 이미지, 이미지와 텍스트의 병치를 통해 내용의 재맥락화를 일으키며, 결과적으로 비교평가를 유도한다. ‘중첩’을 통해 이미지를 부분적으로 삭제하는 방법은 역으로 삭제되고 남은 이미지와 그 흔적의 대비를 통해 내용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앞의 표현방식의 특징을 사용하는 동시에 형식의 활용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자 본인의 작업 성향에 알맞은 기법으로 인쇄 및 실크스크린 기법을 설명하고, 개별 작업에서 차용된 형식들이 판재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보았다.

      • 대학생의 전자책 구독 서비스 이용 실태 및 사용성 평가

        신혜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구독경제의 활성화로 인해 전자책 구독 서비스가 대중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와 사용성 평가를 병행한 혼합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전자기기 및 전자책 이용률이 높은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자책 구독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국내 대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전자책 이용자와 비이용자의 응답을 구분하여 수집 및 분석하였다. 설문 결과, 이용자와 비이용자 사이 전자책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편의성과 휴대성은 이용자와 비이용자가 공통적으로 생각하는 전자책의 장점으로 조사되었다. 사용성 평가는 가장 대중적인 전자책 플랫폼으로 조사된 '밀리의 서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전자책을 이용해본 경험이 없는 20대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 참가자들은 전자책의 다양한 부가 기능, 편의성, 디자인, 가성비 등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터치 오류 및 오작동, 기능 실용성, 흥미 부족, 시스템 문제, 장서 부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냈다. There is subscribing service of e-books become popular, because of subscribing economy is activated recentl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mixed methodolgy usability testing what is included survey and usabiltiy testing, and survey awareness of e-book subscription service for 20s university students who has high ratio of using for electronic devices and e-book. The survey was carried out for 202 university students, and the answers were sorted and analyzed by user and non-user. As the result of survey, I found there is different awareness of e-book between user and non-user, on the other hands the convenience and portability is the strong point of e-book for user and non-user commonly also. Usability testing was conducted for 10 university students of 20s who have no experience to use the e-book with ‘Millies Library’ application what is known as the most popular e-book platform. A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participents have positive responding for various optional functions, convenience, design and cost-effectiveness, but there are negative responding for touching error, malfunction, practicality of function, lack of intereting, system problem, and lack of library als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