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억의 영토화

        신혜란(Shin Hae Ra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6 공간과 사회 Vol.26 No.3

        이 연구는 ‘기억의 영토화(the territorialization of memory)’ 개념을 분석틀로 삼아 세월호 기억공간 세 곳(안산 단원고 기억교실, 서울 광화문광장, 제주 기억공간)의 형성과정을 분석한다. 문헌자료 분석, 심층 면담, 현장 방문을 통해 세기억공간의 기억의 영토화 과정, 즉 1) 물질적 변환을 통한 점유, 2) 기억 영토화 주체들의 점유와 갈등, 3) 슬픔관광을 통한 영토 확장의 과정을 본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원고 기억교실은 희생자들이 사용하던 교실에 생전에 쓰던 물품으로 점유하고 적극적인 슬픔관광을 통해 확대 실천을 벌였다. 세월호 기억화 주체인 기록활동가와 유가족은 학습권 담론을 주장하는 학교운영위원회와 영토싸움의 갈등을 겪고 탈영토화(de-territorialization of memory)된다. 둘째, 공공공간인 서울 광화문광장의 경우, 유가족과 시민들이 직접 존재/활동하는 일시적 점유 방식으로 정치적 영토화가 일어났다. 공공공간의 점유를 비판하는 보수단체, 이 공간을 관리하면서 영토화를 간접 지원했던 서울시 정부, 집단행동에 무력으로 대응을 한 중앙정부도 서서히 주체로 나타났다. 셋째, 제주도 기억공간은 세월호 기억이 대안적 영토로 옮겨 영토화하는 재영토화(re-territorialization of memory)의 사례다. 세월호의 목적지이면서 대안적 삶을 상징하는 제주에서 제주문화이주자 네트워크, 희생자 네트워크, 관광객에 의지한 느슨한 네트워크형 영토화다. 이 논문은 기억의 공간정치에 관한 학술논의에 기여하고 초기 단계에 있는 세월호 기억공간에 관한 사회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할 것이다. This study looks at the process of place-of-memory making regarding the Sewol Ferry disaster through the concept of ‘the territorialization of memory.’ Based on archival analyses, in-depth interviews, and site visits,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formation process of memory classes in Danwon High School, Gwanghwamun Plaza, and a place of memory in Jeju. It focuses on the three aspects of the territorialization of memory, including occupancy of materialized conversion of memory, actors’ occupancy and conflicts, and the expansion of territory through dark tour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mory became territorialized through the materials victim students used in their daily lives. Main actors such as recording activists and victims’ parents engaged in a discourse competition with other parents on the right to study. As a result of the conflict, the memory became de-territorialized. Second, the Gwanghwamun Plaza represents a case of political territorialization of memory through actors’ physical occupancy. Victims’ parents and supportive citizens territorialized the memory by occupying the public space. Conservative organization members and the police sent by the national government attempted to dissolve the occupancy, and the Seoul government supported the occupancy by permitting the victims’ parents and citizens to do it. Third, the memory became re-territorialized by leaving the Korean peninsula for an alternative place, Jeju. The re-territorialization of memory was dependent on a network of cultural migrants, victims of national disasters, and tourist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spatial politics of memory and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on memory places associated with the Sewol Ferry accident.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영국의 탄소규제와 환경정책

        최병두(Byung Doo Choi),신혜란(Hae Ran Shi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9 No.2

        영국은 1990년대, 특히 신노동당 정부 이후 지속가능발전 또는 탄소규제를 국가 발전의 핵심 전략으로 추진해왔다. ‘정부를 녹색화’하고자 하는 이러한 영국 환경정책과 더불어 실제 에너지환경지표의 가시적 성과는 ‘저탄소 녹 색성장’을 추구하고자 하는 우리나라의 정책 입안가 및 연구자들의 주목을 끌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영국의 탄소규제 전략과 환경정책의 특성을 단순히 정책적 통합화 또는 주류화를 넘어서 새로운 국가발전 전략, 즉 ‘생태적으로 근대화 된’ 국가, ‘생태국가’ 또는 ‘녹색국가’ 전략으로 규정하고자 한다. 즉 최근 영국은 탄소규제를 국가 정책의 통합적 원칙으로 설정하는 한편 주로 시장-의존적 신자유주의에 바탕을 두고 국가 전체를 동원하는 녹색국가 전략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점에서 이 논문은 영국의 탄소규제 관련 환경정책의 전개과정을 서술한 후, 탄소규제를 녹색국가 발전을 위한 새로운 원칙이며, 실제 중앙정부 부처들과 지자체들을 통합하기 위한 거버넌스 구축의 바탕이 지만, 신자유주의에 포섭된 것으로 재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이 논문은 영국의 이러한 녹색국가 전략의 직·간접적 성과라고 할 수 있는 최근 에너지.환경지표의 동향을 분석하고, 경험적 재평가로서 영국의 에너지 수입의존도 증대, 에너지 혼합에서 석탄 비중의 증가, 전력 생산의 민영화, 재생가능에너지 생산의 한계, 그리고 에너지 이용 및 온실가스 배출의 공간적 불평등 등을 지적하고자 한다. The government of the UK since the 1990, especially under the new Labour Party, has pursued sustainable development or carbon control as a core strategy for its national development. The seemingly prominent environmental policy for ‘greening the government`` of the UK as well as considerable achievements in energy and environment indice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s of policy makers and researchers for the ``low carbon green growth`` in Korea. This paper tries to see the character of carbon control and environmental policy in the UK not merely as the integrating or mainstreaming policy but a new strategy for national development, that is, for the ``ecologically modernized`` state, eco-state, or green state. It defines the environmental policy for carbon control in the UK as the strategy for the green state which has provided it as a principal guide for integrating national policies as a whole, and which has pursued it through market-dependent neoliberal measure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introduc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carbon control and environmental policy mainly under the new Labour Party government in the UK, and gives a reappraisal of both its policy and of energy-environment ind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