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DC-NIER 모델을 이용한 영산강 하구 물흐름 특성 분석

        신창민,김다래,송용식 한국물환경학회 2019 한국물환경학회지 Vol.35 No.6

        The flow of the middle and downstream of the Yeongsan River is stagnant by two weirs of Seongchon and Juksan and the estuary dam and maintained in freshwater. In this study, the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EFDC-NIER) model was applied to the Yeongsan River to simulate water flow, temperature, and salinity stratification. The EFDC-NIER model is an improved model which can simulate multi-functional weirs operation, multiple algal species, and the vertical movement mechanism of algal based on the EFDC model. The simulation results for the water level, water temperature, velocity, and salinity reproduced the observed values well. The mean absolute error(MAE) of the model calibration in the annual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was 0.1-0.3 m, water temperature was 0.8-1.7 ℃, velocity was 4.5-7.1 cm/sec, and salinity was 1.5 psu, respectively. In the case of scenario simulation for the full opening of the estuary dam, the water level of the estuary dam was directly impacted by the tide so it was predicted to rise–1.35 m to 0.2 m on average sea level. The velocity was also predicted to increase from 2.7 cm/sec to 50.8 cm/sec, and the flow rate to increase from 53 m3/sec to 5,322 m3/sec.

      • KCI등재

        통일 후 북측 지역 토지정책 및 토지제도

        신창민 법무부 통일법무과 2011 統一과 法律 Vol.- No.5

        이 글은 통일 후 북측지역에서의 토지정책은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겠는가를 제시한다. 아울러 그 연장선상의 장기적인 차원에서 북측의 토지제도를 포함하는 통일한국의 토지제도는 어떠한 구도를 지향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는가를 분석한다. 남북이 통일된 통일한국에서 정치적으로는 자유민주주의 그리고 경제적으로는 시장경제체제가 이루어진다는 대 전제하에, 북측 지역의 토지 등 부동산을 놓고 볼 때, 통일 후 북측지역에서 통일을 마무리 짓는 과정에서 수반될 것으로 예상되는 마찰과 비용을 최소화 시키는 동시에, 그 동안 국토분단으로 말미암아 겪을 수 밖에 없었던 고통과 손실의 역사를 오히려 전화위복의 기회로 반전시키면서, 우리 역사에 전무후무한 경제성장을 이룩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가질 수 있고, 겨레와 국가의 천년 대계 차원에서 그 기초를 탄탄히 다질 수 있게 되는 훌륭한 길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한다. 이러한 흐름에 무리 없이 편승하려면, 우선 첫째로 독일에서와 같이 통일 후 수복지구의 토지 등 부동산을 원 소유주에게 실물로 반환하는 실책을 범해서는 안 되겠다. 다시 말하자면 우리의 경우에는 현금보상이 적합한 바, 1949년에 남한에서 실시된 농지개혁시의 지가 보상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본다. 또한 시야를 넓혀서 토지를 제도적 차원에서 놓고 본다면, 통일의 시점에서 남한 식으로의 모든 제도통일이라는 단순 논리만 가지고 깊은 생각 없이 일단 토지 등 부동산의 사유화를 추진한다고 보면, 결과적으로 돌이킬 수 없는 실책을 범하는 결과가 된다는 것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현행 북측의 국유제도를 그대로 계속 유지하도록 하면서, 이를 토대로 충분한 세월을 두고 남측의 사유 토지제도가 오히려 북측의 국유제도로 수렴되도록 함으로써, 모든 토지의 소유권은 국가에 귀속시키는 것으로 하고, 개인이나 개별기업은 토지사용료를 국가에 지불하고, 토지 사용권과 이용권을 취득하여 활용하도록 하는 형태의 새로운 토지공개념 제도를 확립·시행하도록 해야 할 줄 안다. 이리하여 토지의 특수한 속성에 따르는 불로소득의 발생으로 말미암아, 토지가 시장실패의 고질적인 원인이 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보다 공평하게 경제정의가 이루어지는 사회를 지향함으로써, 시장경제체제를 채택하는 국가들 가운데에서도 가장 모범이 되는 형태를 창출·구현하여, 통일한국의 무궁한 발전을 기약하는 토대를 구축함과 동시에, 자유경제 진영 가운데에서도 통일한국의 두드러진 위상도 함께 과시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을 특히 강조한다. After reunification in Korea, the original land owners of the real property located in the North should not be allowed to take repossession of the actual land. Further, after Korea is reunified, the general economic policy should be based on the free market system. However, the exception to this policy should be the real estate policy which should be based on national ownership of real property. In other words, it would be ideal to allow the Government to have ownership of the real property, but let the individual users have the right to use the real property. Real property that residents of the South and the North had owned in the other side prior to the national division should not be returned to the claimed owners even if they have documentary evidence of ownership. These properties could be compensated by cash through special legislation based on the 1949 land reform law which was enacted in the South right before the Korean War. It was called the Agricultural Land Reform Law which provided for cash compensation as reimbursement for the value of the land. Once we analyze in detail the characteristics of real property in this thesis, we can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roughout the Reunified Korea, it would be best to return title of the real property to the Government, and allow individuals and firms to have right to use the real property. In order to successfully carry out this policy, the legal procedures must be implemented carefully and step by step. The fundamental issues related to real property cannot be resolved through the intermittent type of public ownership of real property concept that appeared from time to time in the South. The author revisits the history of real property in the North and the South respectively in order to present a reasonable basis to establish and carry out such policies and system described above, and in order to confirm if there exists any fatal obstacle in implementing the necessary laws. The author clearly and in detail will analyze why we must choose nationalizing real property despite the fact that we allow privatization of all other assets through the free market system. Especially in a country such as Korea that has limited land, as long as real property functions as a means to accumulate individual assets, a real estate bubble is inevitable. We would not be able to prevent this after the fact, and it will lead us to a kind of market failure. Thereafter, instability of prices and income without labor will follow and cause significant unwanted side effects. In order to block these malfunctions from the beginning, w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re is no other way but to nationalize real property. However, although such policy and system may look similar to the socialist model, the background and the purpos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and they are spelled out in detail in the main text of this paper.

      • KCI등재

        통일세 등 통일비용 조달 및 통일로부터 얻는 이득

        신창민 법무부 통일법무과 2010 統一과 法律 Vol.- No.4

        With the purpose of preparing for a practical measure to deal with the re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RU”), we need to seriously review our plan of action. RU will be a historical turning point for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context, this paper intends (1) to recalculate all costs (“RU Costs”) and funds (“RU Funds”) required for RU using the latest data available; and (2) to review funding sources for RU Costs and RU Funds, including imposition of a reunification tax (“RU Tax”). In general, costs are weighed against benefits in an event. The amount of RU Costs will inevitably vary depending on (1) how RU occurs (“RU Process”) and (2) what processes are used to resolve the social instability resulting from the physical RU (“RU Settlement”). We must have solid strategies in place to deal with the RU Process and RU Settlement, with the goal of reducing RU Costs as much as possible while obtaining gains from RU (“RU Gains”) to the fullest extent. In order to attain this goal, we need to carefully prepare for RU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to adequately legislate in all areas and fields for the unprecedented situation. As a significant note, it is expected to take ten years for the RU Settlement. During the ten‐year period, I propose the following concepts to be made into core policies: 1. Separate management for the North (currently North Korea) economy from that of the South (currently South Korea) in order for the North to experience exceptionally rapid economic growth during the RU Settlement period; 2. Reduction in military expenditures; 3. Buy Korean Products Policy; and 4. Continuous nationalization in all types of real estate and all other natural resources in the North even after RU. On the premise that RU occurs in the next 10 to 25 years, the RU Costs and Funds required to bring the North’s per capita income level to half of the South’s would be about 7% of the then GDP. This 7% can be comprised of: reduction in military expenditures (2%); foreign long‐term, low interest loans (1%), government bonds (3%), and an RU Tax (1%). Further, additional costs arising from emergency situations at the time of reunification, as well as costs arising from the unification of law and policies and all the various systems involved, can be funded without additional taxes or government bonds, as described in detail in this paper. Based on the above, we can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we can handle RU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Second, it is advantageous to have RU sooner if possible rather than later. Third, the South alone will enjoy a record‐breaking 11.5% annual economic growth rate as a result of RU for the period of RU Settlement. To date, we have been focusing on guarding and defending South Korea from the North. Now, we should move away from this policy by focusing on a successful RU which will result in a win‐win situation for us through the fine‐tuning of proper policies to achieve this goal. In this process, we should look at the big picture to avoid costly mistakes. Policies regarding the North should be divided into two tracks: one track focusing on the Kims and their North‐controlling party, and the other focusing on the North’s ordinary citizens. Insightful legislation and policy‐making will bring RU sooner than expected while reducing the RU Costs substantially at the same time. 언제 닥치게 될지 모르는 통일을 실제상황으로 인식하면서, 현실적인 대응책을 마련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처음부터 다시 차분하게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맥락에서 통일이라는 역사적 전환점을 맞아 소요되는 모든 비용과 필요자금의 크기를 최신 자료를 가지고 다시 추산해 보고, 통일세를 포함하는 모든 조달방안을 다시 점검해 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비용이 논의될 때에는 당연히 그로부터 얻게 되는 이득도 함께 놓고 비교를 하게 된다. 통일비용의 크기는 물론 어떠한 방식으로 통일이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그리고 어떠한 방식으로 수습해 나가느냐에 따라 천차만별로 달라질 수밖에 없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통일비용을 가능한 데까지 대폭적으로 줄이는 한편 통일편익은 극대화시키는 데 목표를 두고, 통일을 이루어 가는 과정과 통일 후 통일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주도면밀한 대비책을 세워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위하여 핵심 근간이 될 정책들을 필자는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즉 외형적인 통일을 달성하게 되는 때, 그 후 통일을 내면적으로까지 마무리 짓는 기간을 10년으로 잡도록 하고, 그 기간 동안에는 ①남북 간 경제적 분리 관리, ②군비감축, ③바이코리안 정책(Buy Korean Policy)을 배경으로 하는 획기적인 경제성장, ④북측 토지 등 부동산 국유제 유지 등이 실현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착실한 대내적인 대비작업과 대외적인 정지작업, 그리고 실기 없이 적절한 시기에 때맞추어 필요한 부분을 법제화해 나가는 작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통일이 지금부터 10년 후 내지 25년 후 사이에 이루어질 것이라는 가정 하에, 통일 후 북측의 1인당 소득을 남측의 절반 수준까지 끌어올리는데 소요되는 자금의 크기를 추산해 보면, 각각 당시 GDP의 약 7% 정도가 되는데, 그 가운데 2%는 군비축소로, 1%는 해외장기저리 차관으로 조달하고, 나머지 4% 가운데 3%는 통일국채 발행으로 하고, 그리고 마지막 1%는 통일세로 하여 충당하는 것으로 모든 소요자금을 조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통일시 급변사태에 대처하는 비용과 제반 제도를 단일화 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은 아래의 본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러 부문에서 모아들이도록 하여, 별도의 추가적인 세금이나 국채 발행 없이 해결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비용 추산 결과와 여러가지 조달방안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면, 첫째 경제적인 면에서 우리는 통일을 감당해 낼 수 있고, 둘째 통일은 빠를수록 유리하며, 셋째 통일 후 10년 기간동안 남측경제만을 따로 놓고 본다 하여도, 매년 11.25%의 전무후무한 획기적인 경제성장을 이루 낼 수 있게 된다는 점에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우리가 대북 관계에 있어서 이제까지는 지키는 데만 치중하면서 사실상 분단관리에만 주안점을 두어 왔던 것을, 늦었기는 하지만 이제부터라도 이기는 것을 목표로 하여, 모든 정책을 그 목표달성 자체에 초점을 맞추면서 조율해 나가야 될 때가 되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하여 전체적인 일을 그르치게 되는 우는 범하지 말아야 되겠다. 대북정책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2트랙으로 2원화하여, 북측집권세력 부류와 여타 인민들을 별도로 구분하여 다룬다는 입장에서, 북측 주민들의 민심을 가져 오는데 주력함으로써, 통일을 앞당기도록 하는 동시에 그에 따라 통일비용도 축소시킬 수 있는 현명한 정책노선을 열어갈 것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