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자인의 사회적 참여를 제고하기 위한 굿 디자인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신익수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mainstream of the times is an important element in design. Along with the passage and change of the times, design paradigms change thus, it is necessary for elements with which good design is assessed to evolve together as objective and accurate assessment indicators. Consumer characteristics along with the consumption environment also keep changing. Consumers have been able to participate in social issues in various ways and to express personal intentions freely without being restricted by place through enhancing social connectivity with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In order to complement the assessment of good design, which has lacked objectivity and transparency as it has been dependent only on professionals or special institutions, this study aims to conduct research and compare various cases of the assessment of good design at home and abroad and to create detailed indicators that assess designs more objectively and reasonably for determining good designs through design professionals, corporations, and consumers. For this study, first, a review was undertaken to find how design has affected the assessment indicators of good design through looking at the environmental changes from the 1800s, when design was first begun, to the present by reviewing in accordance with chronology and by researching any change of the consumption environment. Second, through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design, a review was undertaken of the correct definition of good design and the importance of design and awards at home and abroad from innovative design cases were introduced. Third, research was carried out into the assessment elements and assessment types of good design awards at home and abroad and a table was prepared to compare these elements thereby, the level of importance and any difference in assessment elements of each country was identified. Fourth, good prize-winning designs which were selected at two good design awards in Korea (Pin Up Design Awards, Product with Good Design) and three good design awards in foreign countries (IF, Reddot, and IDEA) were analyzed to discover their types, CMF, and design characteristics. Then, the latest design trend of home appliances that have received good design awards was investigated to be utilized for researching the assessment elements of good design. Fifth, primary and secondary surveys were carried out aimed at design professionals, corporations, and consumers for determining the assessment elements of good design. The primary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FGI, 1:1 in-depth interview, and phone interview. Meanwhile, in the secondary survey, the contents were analyzed through an on-line survey based on assessment elements determined from the primary survey, and proposals made based on the result. The contents researched in the paper as above were reviewed and the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definition and assessment elements of good design were confirmed to change constantly in accordance with the environment and the issues and design paradigm of the times. Although design has been defined by several persons, in considering the key contents, the definition of design may be summarized from five viewpoints including human, science (technology), business, art, and sensibility. Also, the change of design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 was begun from the 1,800s and has lasted to date. The study classified this period into seven periods of technical design, functional design, commercial design, the golden era of design, core of companies, main agents of innovation, and consumer-oriented design. Then, the study discussed the issues that the design field has had during these periods and how design has evolved with which changes. Second, the definition of good design may be summarized in six items involving human, environment, society, business, technology, and beauty thus, a more concrete description is provided. Regarding the conditions of good design, the IDSA announced four contents including functional, aesthetic, symbolic, and organizational competence adequacies. Also, the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classified the definition into the four elements of originality, satisfaction of six senses, user friendliness, and identity. Also, the importance of good design was discussed through diverse cases. In detail, the importance of good design was emphasized by intensive research into the cases of Sony’s Walkman, Apple’s IPod, and LG Electronics’ docking cassette. In an analysis of current good design, the study introduced three representative awards in Korea and 12 awards in foreign countries. Third, the assessment factors for good design awards at home and abroad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ssessment elements of two awards in Korea and 12 awards in foreign countries, the study could extract 30 assessment elements. From preparing and comparing these elements in a table, the level of importance and any difference regarding assessment elements of each country was determined. Next, for research into the assessment of good design awards, three awards in Korea and three awards in foreign countries were selected and considered to determine which assessment standard and which assessment methods they had used and this provided a tool for assessment indicators. Fourth, the study analyzed prize-winning designs during the latest three years of 2010 to 2012 from good design awards of two awards in Korea (Pin Up Design Awards, Product with Good Design) and three foreign design awards (IF, Reddot, and IDEA) and discovered their types, CMF, and design characteristics. Then, the latest design trend of home appliances of good design awards was investigated and utilized for researching the assessment elements of good design. Fifth, four uppermost assessment elements (human, technology, business, and social responsibility) and 16 assessment elements (functionality, durability, popularity, morality, originality, guarantee, usability, productivity, profitability, trend of the times, aesthetics, safety, satisfaction of desire, sustainability, progressivity, and rationality) from the research results were determined to be assessment indicators determining good design. Accordingly, provided that they may be utilized as influential assessment standards on good design at good design awards and corporations, they may be assessment indicators with which objective good design may be selected through a fair and balanced judgment. Among the uppermost assessment elements of this study, social responsibility was positioned as an important element along with human, technology, and business. As a result, social responsibility, which has been regarded as relatively unimportant,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in the assessment element of good design. As research for proposing the assessment indicators of good design in order to enhance consumers’ participation, this paper proposed assessment elements that may can be applied to the assessment of good design. The meaning of this paper may be found in proposing detailed and objective assessment indicators by attracting the participation of stakeholders, namely consumers, corporations, and professionals. 디자인에서 시대적 흐름은 중요한 요소이다. 시대에 흐름과 변화와 함께 디자인 패러다임이 변화하기 때문에 굿 디자인을 평가하는 요소도 시대의 흐름에 맞는 객관적이고 정확한 평가지표로 함께 진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소비환경에 따른 소비자 특성 또한 계속 변화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회적 이슈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고,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를 통하여 사회적 연결성을 높임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개인의 의사표현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는 굿 디자인의 평가에서 전문가나 전문기관에만 의지하여 객관성과 투명성이 결여된 평가를 보완하고자 국내·외 굿 디자인의 평가의 다양한 사례를 조사, 비교하고 디자인 전문가와 기업 그리고 소비자들을 통하여 굿 디자인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디자인을 평가하는 구체적인 지표를 만드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첫째, 디자인이 시작된 1800년대부터 현재까지 오면서 어떠한 환경변화를 통하여 시대의 흐름을 따라 진화됐는지에 대하여 연대별로 살펴보고 소비환경의 변화도 함께 연구함으로써 굿 디자인 평가지표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둘째, 디자인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굿 디자인의 올바른 정의에 대해 살펴보고 혁신디자인 사례를 통하여 디자인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국내·외의 시상제를 소개하였다. 셋째, 국내·외 굿 디자인 시상제의 평가요소와 평가방식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러한 요소들을 표로 작성하고 비교하여 각 국가의 평가요소들에 대한 중요도와 차이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넷째, 국내 2개(핀업디자인어워드, 우수디자인상품선정), 국외 3개(IF, Reddot, IDEA)의 굿 디자인 시상제에서 선정된 우수 수상 작품들을 분석하여 형태, CMF, 디자인 특징을 알아봄으로써 굿 디자인 시상제의 최근 가전제품 디자인 트렌드를 조사하여 굿 디자인 평가요소 연구를 위해 활용하였다. 다섯째, 굿 디자인 평가요소 도출을 위하여 디자인 전문가, 기업, 소비자를 대상으로 1, 2차 설문을 진행하였다. 1차는 FGI, 1:1 심층인터뷰, 전화인터뷰를 통하여 진행됐으며, 2차에는 1차에서 도출된 평가요소를 바탕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하여 내용을 분석하고 결과를 토대로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본 논문의 연구한 내용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굿 디자인의 정의 및 평가요소는 시대적인 환경과 이슈 그리고 디자인의 패러다임에 따라서 항상 변화되는 것을 본 논문의 연구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디자인에 관해서는 여러 사람이 정의를 내리고 있지만, 핵심내용을 살펴보면 인간, 과학(기술), 비즈니스, 예술, 감성이라는 다섯 가지 관점에서 디자인의 정의를 요약할 수 있다. 또한, 환경변화에 따른 디자인의 변천은 1800년대에 시작하여 현재까지 7시기인 공예적 디자인, 기능적 디자인, 상업적 디자인, 디자인의 황금시대, 기업의 핵심, 혁신의 주체, 소비자 중심 디자인으로 나누어 이 시기에 디자인 분야가 어떠한 이슈에 따라 변화하고 진화에 왔는지를 논의하였다. 둘째, 굿 디자인에 대한 정의를 요약해보면 인간, 환경, 사회, 비즈니스, 기술, 아름다움 등 6가지 정도로 더욱더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굿 디자인의 조건에 대하여 미국 산업디자이너협회는 기능적, 심미적, 상징적, 조직역량 적합의 4가지 내용을 발표하였고, 삼성경제연구소에서도 독창성, 육감 만족, 사용 편의성, 정체성 4가지 요소로 나누었다. 그리고 굿 디자인의 중요성에 대해 다양한 사례들을 통하여 논의했으며, 구체적으로 소니의 워크맨과 애플의 아이팟 그리고 LG전자의 도킹 오디오를 사례로 연구해봄으로써 굿 디자인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굿 디자인 현황분석에서는 국내 대표적인 3개의 시상제와 국외 12개의 시상제를 소개하였다. 셋째, 국내·외 굿 디자인 시상제에서 어떠한 평가요소를 가졌는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국내 2개, 국외 12개 시상제의 평가요소를 분석한 결과 30개의 평가요소를 추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요소들을 표로 작성하고 비교하여 각 국가의 평가요소들에 대한 중요도와 차이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조사된 굿 디자인 시상제 평가에서는 대표적인 시상제 국내 3개, 국외 3개를 선별하여 어떠한 평가기준과 평가방식을 가지고 이루어지는지 고찰하여 평가지표를 위한 도구를 제공하였다. 넷째, 2010∼2012년 최근 3년 동안의 국내 2개(핀업디자인어워드, 우수디자인상품선정), 국외 3개(IF, Reddot, IDEA)의 굿 디자인 시상제에서 수상한 작품들을 분석하여 형태, CMF, 디자인 특징을 알아봄으로써 굿 디자인 시상제의 최근 가전제품 디자인 트렌드를 조사하여 굿 디자인 평가요소 연구를 위해 활용하였다. 다섯째, 본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4개의 최상위 평가요소(인간, 기술, 비즈니스, 사회적 책임)와 16개의 평가요소(기능성, 내구성, 대중성, 도덕성, 독창성, 보증성, 사용성, 생산성, 수익성, 시대성, 심미성, 안전성, 욕구충족, 지속성, 진보성, 합리성)는 굿 디자인을 결정할 수 있는 평가지표로서, 굿 디자인 시상제와 기업에서의 굿 디자인의 영향력 있는 평가기준으로 활용한다면 공정하고 균형 잡힌 심사를 통해 객관적인 굿 디자인을 선별할 수 있는 평가지표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의 최상위 평가요소 중 사회적 책임은 인간, 기술, 비즈니스와 함께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동안 비교적 비중이 작았던 사회적 책임이 굿 디자인 평가요소에 중요하게 반영되어야 한다는 결과를 연구에서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소비자 참여를 제고하기 위한 굿 디자인 평가지표를 제시하기 위한 연구로써 굿 디자인의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평가요소를 제안하였다. 소비자, 기업, 전문가로 구성되는 Stakeholders(이해관계자)의 참여를 유도하여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평가지표를 제안한 것에 본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대중음악이 제작되어 유통되기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연구조사 : 미디 작/편곡에서 유통까지

        신익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멀티미디어 시대의 도래와 함께 폭발적으로 성장한 음악 시장은 그 수요는 물론 다양한 컨텐츠들로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수준 향상은 물론 미디장비의 발전과 보급화에 따라 다양하고 폭넓은 시장이 구축된 것이다. 이에 우리는 음악이라는 매체와 그것을 찾는 사람들의 급격한 변화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음악을 제작하는 전반적인 업무를 파악하고 꾸준한 자기 개발을 거듭해야 할 것이다. 대부분의 음악인들이 본인의 업무 이전, 또는 이후의 업무에 대해 모르고 있으며, 그로 인한 시행착오로 시간과 비용을 허비하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프로젝트 음반에 대한 기획 단계부터 컴퓨터를 통한 미디 작/ 편곡과 녹음, 믹싱, 마스터링, CD제조 및 유통, 홍보에 이르기까지의 전반적인 이해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하나의 음반이 만들어 지기까지 목적이나 컨셉에 따라 기획 단계를 거치게 되지만 실전의 작업은 작곡가로부터 시작된다. 창의력이 있는 사람이라면 다른 사람보다 앞서 무언가 창작해 내야하고 전반의 흐름과 정보를 파악하여 음악산업의 발전과 함께 성장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한 곡의 음원, 또는 하나의 음반이 발매되기까지의 전 과정을 다루어 음반의 종류에 따른 예산 책정 사례부터 기본적인 미디의 개념과 실전 작업에 많이 쓰이는 장비들의 소개, 작/ 편곡 이 후의 녹음 및 믹싱을 거쳐 마스터링에 이르는 과정의 흐름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실제로 많이 사용되는 예시를 통해 접근할 것이며, 현재 대한민국의 음반 유통현황과 다양한 홍보 방법들을 순차적으로 담아 본인이 담당하는 파트의 순서와 역할의 개념을 소개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실제로 발매된 음반의 제작 과정소개를 통해 보다 실용적인 내용들로 이해를 도울 것이다. 그로 인해 본인의 업무는 물론 전/ 후반의 흐름까지 고려한 효율적인 업무 진행을 돕고자 한다. Music market which grew explosively with the advent of the multimedia age has been developing thanks to the increasing demand and the various contents. The development and the spread of MIDI electronics as well as the improved customer standard have brought about various and wide market place. Therefore, we have to not only understand the swift change of the music and the people who look for it, but also develop ourselves and know the overall music producing work. Most of the musicians don't know the before and after work, so they waste money and time because of trial and error. Theref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is needed from the stage of planning a project album to the composition/arrangement, recording/mixing/mastering with computer, CD production/distribution, and PR stage. Planning stage is need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concept to complete one album, but real work is began from a composer. Creative person should create something new before other people do and grow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usic industry catching the whole flow and information. This study is dealing with a whole process of making one voice source or one album, giving budgeting examples according to the sort of an alum, introducing the basic concept of MIDI and the instruments which are actually used in real work, and giving actually using example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recording and mixing stage after nd the process of recording stage to mastering stage at a single glance. This study aims at introducing the order of the part which one person is taking part icess othe concept of a role, consecutively including the music mixing stagee puation of Southf orea and the various PR methods. Also it will help your understanding with the practical information through introducing an actually released alum making process. So it would help one's work and the progress of the effective work considering the before and after flow.

      • CrMn계 austenitic STS의 역변태 열처리에 의한 세립화 거동 연구

        신익수 한밭大學校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Fe-14Cr-10Mn-2Si-0.15N-xC (x = 0.018, 0.022, 0.081, 0.20, 0.31 (이하, wt%))를 기본합금성분계로 이루어진 CrMn계 austenitic stainless steel의 열연재와 냉연재 역변태에 따른 미세조직, 상온인장, TRIP에 의한 가공강화 거동에 대해 조사하였다. 열연재의 경우 동일 역변태 소둔조건에서 C 함량에 따라 모두 다른 austenite 분율과 martensite 분율을 나타내었다. 이는 초기 austenite의 안정성이 모두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0.02C 강의 경우 부분 역변태로 인하여 결정립 크기가 매우 미세했다. 0.2C-0.2N강과 0.08C강은 서로 유사한 초기 austenite 안정성을 나타내며 조대 austenite와 역변태 후 급냉에 의한 martensite의 이상조직을 나타내었다. 0.2C, 0.3C 강은 austenite 안정성이 가장 높아 대부분의 조직이 조대한 austenite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역변태에 의한 결정립 미세화가 일어나는 메커니즘은 준안정 austenite를 갖는 열연 판재를 냉간 압연하여 완전한 martensite(SIM)로 변태 시킨 후 이 martensite 조직을 다시 어닐링 처리하여 역변태 시키는 것으로 매우 미세한 austenite로 변태하는 메커니즘이다. 역변태 기구는 각각 shear reversion과 diffusional reversion으로 나뉘게 되는데 shear reversion의 경우 가공 흔적들이 그대로 남아있으며 회복, 재결정과정을 통한 연속재결정에 의해 변태가 일어난다. 반면에 diffusional reversion의 경우는 핵생성-성장을 통한 불연속 재결정에 의해 비교적 등축의 결정립 분포를 나타낸다. 5개 강종 중 Fe-14Cr-10Mn-2Si-0.15N-0.081C강에 대해 60% 냉간 압연을 실시한 후 역변태 거동을 조사하였다. 700-800℃ 에서는 부분적 역변태가 일어나 미변태 martensite와 초미세 austenite가 혼합되어 있었으며, 800 - 900℃의 경우 대부분의 martensite가 변태하여 초미세 austenite 미세조직을 나타내었다. 반면 900℃ 이상의 온도에서는 역변태 austenite 결정립 성장에 의해 조대립이 형성되었다. Martensite 유무에 관계없이 초미세립재의 경우에는 변형 초기에 약 10% 전후의 유사 완전소성, 즉 항복점 연신이 일어난 후 변태유기소성에 의해 가공강화가 일어났다. 반면 조대립재의 경우 변형 초기부터 변태유기소성이 일어났다. 초미세립재의 경우 항복강도 700MPa, 인장강도 1300MPa 그리고 35% 이상의 연신율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역변태 Cr-Mn계 STS의 강화 거동을 역변태에 따른 미세조직 변화와 연관 지어 분석하였다.

      • 유리온실내 잉여태양에너지 분석

        신익수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analyzed surplus solar energy in Venlo and Wide-span type greenhouse using acquired typical meteorological year(TMY) data for designing a heat storage system for the surplus solar energy generated in the greenhouse during the day. In the case of Venlo type(paprika), the region-dependent heating loads for Jeju, Jinju, and Daegwanryong area were approximately 1,107.8 GJ, 1,010.0 GJ, and 3,118.5 GJ, respectively. The surplus solar energy measured in Jeju area was 1,845.4 GJ, Jinju area 1,881.8GJ, and Daegwanryong area 2,061.8 GJ, with the Daegwanryong area showing 11.7% and 9.6% higher than the Jeju region and Jinju region respectively. In the case of Wide-span(paprika), installation of a rock bed could save the heating energy about 17.9% and surplus solar energy decreased about 90.6% in greenhouse. In the case of Venlo type(chrysanthemums), regional heating loads were determined as 1,202.5 GJ for the Jeju region, 1,042.0 GJ for the Jinju region, and 3,288.6 GJ for the Daegwanryong region; the regional differences were similar to those for paprika. The recorded surplus solar energy was 1,435.2 GJ, 1,536.2 GJ, and 1,734.6 GJ for Jeju, Jinju, and Daegwanryong region, respectively. The Daegwanryong region recorded heating loads 20.9% and 12.9% higher than in the Jeju and Jinju region, respectively. In the case of Wide-span(chrysanthemums), installation of a rock bed could save the heating energy about 16.0% and surplus solar energy decreased about 104.5% in greenhouse. Besides heating energy and surplus solar energy, the energy used for the photosynthesis of crops, lost on radiation or convection currents of greenhouse cover showed difference when the rock bed was installed or not. From the above, it can be said that cultivating paprika, compared to cultivating chrysanthemums, requires less heating energy regardless of the region and tends to yield more surplus solar energy. Moreover, if the Daekwan Pass region is excluded, the surplus solar energy exceeds the energy required for heating. Although the required heating energy differs according to regions and crops, cucumbers were found to require the highest amount, followed by chrysanthemum and paprika. The amount of surplus solar energy was the highest in the case of paprika, followed by cucumber and chrysanthemum. Furthermore, the heating energy per unit in the covered area in a venlo type greenhouse was 3.9~12.0% lower regardless of greenhouse type and crops, while the surplus solar energy in a venlo type greenhouse was 12.0~64.1% higher than a wide span type greenhouse.

      •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 개선 방안 연구 : 현대사 쟁점 비교분석을 통하여

        신익수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curriculum and frame of reference」of the Korean modern·contemporary history textbook and observe difference and problem of The curriculum and frame of reference. what is more, this study is to make a comparative study how they are reflected and in the official approval textbook. To attempt this analysis above is to recognize the problems of the issues suggested and to make the plan for writing better textbook.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historical education really depends on the will of writing history textbook very well. In this case, this means that history textbooks are a matter of life and death and that writers must try their level best to write good textbooks. Thus the ultimate point of this study is one of the efforts to write history textbook very well. We should also recognize the difference which we may think naturally under The 「the Official Approval System」. And I think it is very important that we shall get the consensus through the academical discussion for revealing and narrowing the difference. In conclusion, the academical discussion which relates with the Korean modern·contemporary history textbooks must be on the basis of teaching materials that cultivate the historical thinking of Korean students.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appropriate condition that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students, the suitable composition of history textbooks, and historical facts are included in history textbooks, stopping the argument for the political ideology about history textbooks. This discussion should be thought to be one of the efforts which narrow the gap of ideologically reciprocal thoughts and make even more developmental·alternative history textbooks. This effort shall be the purpose of removing the consumable argument relating with this korean modern·contemporary history textbooks and the short cut for quality of korean history textbooks.

      • 요한공동체의 회당축출에 대한 연구 : 기독론 갈등을 중심으로

        신익수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마태복음과 요한복음에서만 요한공동체의 회당 축출을 다루고 있다. 두 복음서의 출교가 다른 사건임을 전제하였을 때 우리는 요한복음에서 나타나는 유대교 회당 축출의 문제를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이것에 대하여 1970년대 이후 요한복음 연구에 방향을 제시한 마틴은 “두 차원의 드라마(tow-level drama)”라고 한다. 그는 요한복음에서 나타나는 두드러진 내용이 유대교와 회당의 갈등에 있다고 말하고 있다. 김동수저 [요한복음 연구 방법론 : 요한복음 원 독자는 누구인가?] (신약논단 11권 제2호 2004여름) 308-312 때문에 마틴의 의견을 받아들여서 요한복음의 출교(유대교 회당 축출)사건이 요한 공동체의 고기독론의 성장과 연관이 있다고 본다. 이는 요한복음 본문의 진행을 보았을 때 더욱 명확해진다. 요한복음의 기자는 9장 22절에 그 사건을 이렇게 전하고 있다. “그 부모가 이렇게 말한 것은 이미 유대인들이 누구든지 예수를 그리스도로 시인하는 자는 출교하기로 결의하였으므로 그들을 무서워 함이러라.” 만약 유대회당에서 요한공동체를 추방하기로 마음을 먹었다고 증언을 하고 있다면, 요한복음의 기자는 그전에 그 이유를 독자에게 전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9장 22절 이전의 내용에서 그 원인을 찾아야 할 것이다. 물론 이것을 시간 순으로 배치하는 것은 요한복음이 후대에 추가 편집 재구성 되었다는 렝브런트너(Wolfgang Langbrandtner)나 켈페퍼(Alan Culpeper) 등의 의견에서 보면 모순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요한복음이 후에 재편집 된 작품이더라도 출교사건을 설명하기 위해서 요한복음의 기자는 9장 22절 이전에 먼저 설명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이것은 시간적 배열이 될 수 는 없지만 그럼에도 공동체 상황에 대한 설명을 되어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9장22절 이전에서 보여지는 요한공동체의 모든 논쟁의 갈등(요3:25-36, 5:10-40, 8:1-18)의 중심이 무엇인가? 를 우리는 확인 해 보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세례 요한은 제자들의 세례에 대한 질문에 대해 요3:35에 이렇게 말하고 있다. “아버지께서 아들을 사랑하사 만물을 다 그의 손에 주셨으니” 요한은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이며 만물의 주권이 그에게 있음을 전하는 것이라고 할 수가 있다. 3:27-34는 그에 대한 찬미와 찬양이며, 그의 존재에 대한 설명으로 본다면 35절은 그가 바로 ‘하나님의 아들이다’ 라는 확증인 것이다. 5:10-40의 전체적 내용을 볼 경우 우리는 두 단락으로 나눌 수가 있다. 그것은 10-18절에 나오는 안식일에 병을 고친 일로 인하여 벌어지는 유대인들의 논쟁에 대하여 적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15-18절의 내용을 통하여 예수 자신에 의한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증언과 그로 인한 유대인들의 박해라는 반응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이어지는 19-40절의 예수의 독백은 자신이 하나님의 아들이란 것을 증언 하고 있다. 8:1-18의 내용 또한 둘로 나눌 수 있다. 1-11의 음행한 여자를 이용한 바리새인들의 시험과 12-18절까지 이어지는 예수 자신에 대한 증언과 그에 대한 바리새인들의 반박의 내용이 들어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위의 진행을 통해서 요한의 사건 전개방식은 3단계로 구분 지을 수 있다. 1단계:예수의 행동 2단계 : 유대인, 바리새인들의 박해 및 공격 3단계 : 예수가 누구인가에 대한 증언 이런 전개를 보아서 요한은 9장 22절 이전의 내용 중 상당 부분을 예수가 누구인가?에 대한 설명과 답변으로 이어가는 것을 볼 수 있다. 만약 이것이 요한공동체의 회당 출교 사건이 벌어지기 전까지의 내용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우리는 그 이유가 ‘예수가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있을 것이고 이는 기독론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점으로 보아 요한공동체의 출교 사건의 배경에는 기독론의 갈등이 유대교와 요한공동체 사이에서 벌어지고 있었으며, 이런 문제는 결과적으로 요한공동체의 유대교 출교와 관련되었다고 생각한다. 그런 이유에서 요한공동체의 회당 축출 이유를 기독론의 갈등에 그 초점을 두고 밝히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