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혼합정수계획법을 활용한 전시상황에서의 효율적인 급수분배계획

        신원섭(Wonsub Shin),김준락(Joonrak Kim),정봉주(Bongju Jeong) 한국SCM학회 2020 한국SCM학회지 Vol.20 No.2

        In wartime situations securing water resourc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operational success and the military establishes a plan to supply high-quality drinking water over and above the standard requirement in a wartime distribution system. The distribution of water supply is made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quality regulations for the supplied drinking water and the water quality test is tested periodically to ensure consistency. Nevertheless, the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of drinking water always exists and the drinking water pollution in wartime is a very important issue that has a serious impact on sustaining combat capability. In this study, an integrated optimization model of water purification equipment location and water supply distribution is proposed in order to efficiently supply drinking water to combat units. Through the numerical analysis using examples we show the validity and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odels.

      • KCI등재

        2015 개정 초·중등 교육과정에서 기후변화교육내용 분석

        신원섭(Shin, Wonsub),전예름(Jeon, Yerum),신동훈(Shin, Donghoon)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0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초·중등 교육과정에서 기후변화 교육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기후변화교육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선행연구와 기후변화교육 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해 기후변화교육내용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기후변화교육내용은 2015 개정 초·중등 각 교과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요소’와 ‘교수학습방법’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초·중등 교육과정에서 기후변화교육내용은 지식분야 73건(54.9%), 탐구분야 47건(35.3%), 태도분야 13건(9.8%)의 순이었다. 둘째, 기후변화교육내용은 도덕, 사회, 과학, 실과(기술가정) 교과에서 다루고 있었고, 과학교과는 89건(66.9%), 사회교과는 31건(23.3%), 도덕교과는 9건(6.8%), 실과교과는 4건(3%)의 순이었다. 셋째, 각 교과에 따라 지식, 탐구, 태도 분야에서 기후변화교육내용의 비율은 달랐다. 넷째, 기후변화와 관련한 탐구활동은 주로 조사와 의사소통에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탐구방법으로의 접근이 필요하다. 다섯째, 기후변화교육내용에서 기후변화 원인, 영향, 대응, 감수성과 관련된 내용요소는 유엔 지속가능개발목표와의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um. First,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content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was develop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consultation with experts on climate change education. The content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were analyzed based on the ‘learning factors’ and ‘teacher learning method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um, the content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were in the order of 73 cases (54.9%) in the knowledge field, 47 cases (35.3%) in the field of inquiry, and 13 cases (9.8%) in the attitude field. Second, the content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were dealt with in the subjects of morality, society, science, and practical science (technical family). Science subjects were 89 cases (66.9%), social studies subjects 31 cases (23.3%), moral subjects 9 cases (6.8%), practical subjects 4 cases (3%). Third, the ratio of the content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in the fields of knowledge, inquiry, and attitude was different according to each subject. Fourth, since inquiry activities related to climate change are mainly limited to research and communication, it is necessary to approach various inquiry methods. Fifth, in the content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content factors related to the causes, effects, responses, and sensitivities of climate change were highly related to the goals of the UN SDGs.

      • KCI등재

        통합창원시 출범 이후 경남지역 산업경쟁력 비교분석 - 창원과 창원외 경남지역의 산업구조와 경쟁력 분석을 중심으로-

        신원섭 ( Shin Wonsub ),최경욱 ( Choi Kyongwook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8 지역산업연구 Vol.41 No.2

        본고에서는 사업체의 경영실태에 대한 광범위한 전수조사가 이루어지는 2010년과 2015년 두 시점의 비교 분석을 통해 통합창원시 출범 이후 경남경제의 산업구조와 경쟁력 변화를 창원과 창원외 경남지역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해 보았다. 분석방법으로는 지역경제분석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입지계수와 변이-할당계수를 이용하였으며 경제활동 인구조사와 경제총조사에 기초하여 고용과 매출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남지역은 농림어업과 제조업에 특화되어 있는데 경남지역 내에서 창원은 중화학공업의 특화도가 높은 반면 창원외 경남지역은 농림어업, 제조업과 일부 서비스업에 보다 폭 넓게 특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이-할당 분석 결과를 보면 경남의 종사자수 및 매출액 감소는 주로 경쟁요인에서 발생하였는데 지역 내에서는 창원은 마이너스(-), 창원외 경남지역은 플러스(+)로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창원에 소재해 있는 제조업과 도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등 일부 서비스업종에서의 고용 및 매출이 전국과 창원외 경남지역에 비해 크게 저조하였던 데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창원에 소재한 산업의 고용 흡수력 제고와 매출 증가가 시급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산업구성요인은 창원과 창원외 경남지역이 모두 마이너스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타산업에 비해 고용증가율이 낮은 건설업, 운수업, 금융보험업, 공공행정 및 교육서비스업과 매출 증가세가 상대적으로 약한 제조업 및 금융보험업 등의 비중이 높은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경남의 산업구조를 감안할 때 고용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는 농림어업의 구조조정과 함께 고용 및 매출이 부진한 일부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비중축소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서비스업의 경우 종사자수 기준에 비해 매출액 기준 입지계수가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남의 서비스업 종사자 1인당 매출액이 전국의 70%초반 수준에 머물러 있기 때문인데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한 매출확대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analyzes the economy and industrial structure of Gyeongnam Province in years 2010 and 2015 in order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Changwon, the Province’s capital, and the remaining area. We use location quotient and shift-share analysis methods to analyze these economies in terms of the employment and sales with data from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and the Economic Census. Our results show that Gyeongnam Province overall is specialized in (a)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and (b) manufacturing. Within the province, Changwon is highly specialized in heavy chemical industry, whereas the remaining Gyeongnam area is more broadly specialized in (a)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b) manufacturing and (c) some service industries. In the shift-share analysis, the overall decrease in employment and sales of the province is mainly due to the competitive component; by region, the capital city displays a decrease while the remaining Gyeongnam area displays an increase in employment and sales. We attribute this result to Changwon’s low employment and sales in some manufacturing and service sectors compared to the entire South Korea as well as the remaining Gyeongnam area. The result suggests that it is urgent for the industries in the region to absorb greater employment and increase its sales. Meanwhile, the industrial mix component is negative in both areas. This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e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industry - which has experienced declining employment - and reduce the share of som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whose employment and sales are suffering.

      • KCI등재

        초·중학생의 기후변화 태도, 탐구, 지식에 관한 연구

        신원섭(Shin, Wonsub),신동훈(Shin, Donghoon)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1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중학생들의 기후변화 태도, 탐구, 지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설문 문항은 기후변화 인식과 관련한 선행연구와 2015 개정 초중등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교육내용 분석을 토대로 개발하였다. 설문 문항은 기후변화 태도, 탐구, 지식 분야별 각 15문항으로 기후변화 교육전문가와의 검토과정을 통해 수정·보완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 제주, 부산, 광주, 대구, 대전 지역의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학교급별로 40명 이상, 지역별 80명 이상을 기준으로 총 807명이었다. 설문 조사는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학급에는 연구지원금을 지급하였다. 설문 결과는 학교급 및 지역에 따라 양적 통계분석을 하였고, 지도 교사와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 탐구, 지식에 대한 인식은 거주지와 학년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초·중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 탐구, 지식은 학년군이 높아지거나 거주지에 따라 일정한 경향성을 띠지는 않았다. 셋째, 기후변화 각 분야에 대한 평균 점수는 모든 지역에서 지식 > 태도 > 탐구 순이었다. 넷째, 기후변화의 전반적인 인식은 지역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모든 학생에게 평등한 기후변화의 교육경험을 줄 수 있는 관련 교육법과 교육과정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limate change attitude, inquiry, and knowledg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based on prior research on the recognition of climate change and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primary and secondary curriculum. The survey questions were 15 questions each in the climate change attitude, inquiry, and knowledge, and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a review process with experts in climate change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Gyeonggi, Incheon, Jeju, Busan, Gwangju, Daegu, and Daejeo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based on 40 or more by school level and 80 or more by region, and a total of 807 people.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due to Covid-19. Research funding was provided to the classes that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school level and region and interviewed a guidance tea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s, inquiry, and knowledge of climate change according to their residence and grade group. Secon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s, investigations, and knowledge about climate change did not show a certain trend depending on the grade group or where they lived. Third, the average score for each field of climate change was knowledge > attitude > inquiry in all regions. Fourth,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overall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depending on the region. Finally, it is expected that related education laws and curriculum will be developed as soon as possible to give all Korean students an equal educational experience of climate change.

      • KCI등재

        ‘초등과학교육’ 학술지의 변천 과정에 따른 연구 동향 분석(1983∼2020년)

        신원섭 ( Shin¸ Won-sub ),박형민 ( Park¸ Hyoung-min ),김남일 ( Kim¸ Nam-il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초등과학교육 Vol.4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교육’ 학술지의 변천 과정에 따른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1983년 1권 1호부터 2020년 39권 4호까지 총 1,047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과학교육’ 학술지의 변천 과정은 논문 편수에 급격한 변화가 있는 시점을 기준으로 태동기, 정착기, 발전기, 유지기로 구분하였다. 둘째, ‘초등과학교육’ 학술지에 3인 이상의 연구와 순수·연구비 지원 연구가 감소하고 있었다. 셋째, 연구 대상은 초등학생과 초등교사에 관한 연구 비율이 높았다. 넷째, 연구 방법은 주로 조사연구와 실험연구이었고,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질적 분석과 혼합 분석 연구가 증가하고 있었다. 다섯째, 1 저자의 직업은 교수(45.6%), 교사(39.8%), 대학원생(10.6%), 연구원(1.7%) 순이었다. 여섯째, 교신저자의 지역은 수도권인 서울과 경인에 집중되었다. 마지막으로, ‘초등과학교육’ 학술지가 미래의 초등과학교육을 선도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계속 수행하기 위해서는 학술지 전반에 대한 개선 노력과 국내외 연구자, 학회 임원과 회원, 교육 기관의 지속적인 참여와 협조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by the period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journal. A total of 1047 papers were analyzed from Volume 1 No. 1 in 1983 to Volume 39 No. 4 in 202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iod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journals was divided into infancy, settlement, development, and retainment perio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pers. Second, the ratio of research by more than three scholars, pure or funded research was decreasing. Third, the study subjects had a high rate of research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urth, research methods were mainly research studies and experimental studies, and qualitative analysis and mixed analysis studies were increasing as data analysis methods. Fifth, the occupation of the first author was professor (45.6%), teacher (39.8%), graduate student (10.6%), and researcher (1.7%) in that order. Sixth, the regions of the corresponding author were concentrated in Seoul and Gyeongin, the metropolitan areas. Finally, in order for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journal to continue to play a pivotal role in leading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in the future, efforts to improve the overall journal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rs, academic executives, member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