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한국말의 개념 문제

        신운용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1 선도문화 Vol.10 No.-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King Sejong’s cause for the creation of Hunmin jeong eum (Correct sounds for Instructing the People, 訓民正音) and the significance of Korean concepts that can only be conveyed through Korean language. It is its academic originality, the writer argues,that brings progress to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a nation. Then he forecasted a bleak future for Korea, lest it could free itself from the academic subordination to the china. In the book, he acknowledged the fact that Joseon Dynasty had uniqu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that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China. He aimed to restore communication with the commoners whom the King believed that the Sky(God) of Joseon Dynasty were. In his work Yongbi uh cheon ga(Songs of the dragons flying to heaven, 龍飛御天歌), King Sejong confirms the true nature of the Sky Consequently,he proclaimed that serving his people was the core of all politics.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한국말의 개념 문제ㆍ신운용 347King Sejong tried hard to save the people by putting the almost priority on “본 ”(fundamental essence). He was not hesitant to fight the ruling class that was under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ism, which typically was represented by Choi Man-ri(崔萬理), one of its members. Sejong employed a variety of concepts to withstand Chinese influence and they later took root in Korean history. In this context it will ultimately be detrimental to the true meaning of communication and bring about social conflicts which deepen the gap and discrimination between classes whenever we explain some Korean concepts by using western(foreign) concepts. We can simply prove it by using King Sejong’s example. When we use the concept of Korean language correctly we can preserve our tradition and values. In that way we can guarantee our future and develop our culture by means of our own will. 필자는 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하지 않을 수밖에 없는 이유를 규명하면서 한국말의 개념문제의 중요성을 살펴보는 데 본고의 목적을두었다. 학문체계의 독자적 선진성은 현재와 미래를 지배하는 요소이다. 이는 서양학문에 종속되어 있는 한국의 학문이 서양의 학문적종속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 우리의 현재는 한여름에 털옷을 입고있는 형국이고 미래는 꿈꿀 수 없는 대상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서 필자는 서양과 우리 사이에 놓인 개념*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약학부 강사326 仙道文化 제 10 권들의 전쟁을 선언하기 위해서 세종이 중국의 개념과 어떻게 전쟁을벌이었는지를 ‘소통’과 ‘정치’를 화두로 삼아 본고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세종은 정치의 핵심을 ‘소통’으로 보았다. 그리하여 훈민정음을 만들었고 정치 입문서로 용비어천가를 지었다. 세종은 훈민정음에서 중국과 조선은 다른 역사와 문화의 배경을 갖고 있다는 사실에서 출발하여 조선의 ‘하늘’인 백성과의 소통을 되찾으려고 하였던것이다. 그 결과 세종은 용비어천가에서 하늘의 실체가 백성임을 보였고 백성을 섬기는 것을 정치의 핵심개념으로 내세웠다. 한국말의 ‘본’을 되살려 백성을 살리려고 하였던 세종은 중국의 개념에 사로잡혀 있던 성리학을 기반으로 한 최만리로 대표되는 지배계급과 투쟁을 마다하지 않고 여러 가지 개념을 만들어 한국사 속에뿌리를 내렸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말을 서양의 개념으로 설명할 때는 소통의 본질을 훼손하여 사회적 갈등을 낳고 격차와 차별을 심화시킨다는 사실을 세종의 예를 통하여 필자는 밝히려고 한 것이다. 따라서 한국말의개념을 정확하게 살려 쓸 때 우리의 정통을 이어갈 수 있고 민족의미래를 담보할 수 있다는 진리를 이 글에서 다시 확인하게 되었다.

      • KCI등재

        우덕순의 민족운동과 해방공간 활동

        신운용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4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1

        안중근의거는 우덕순의 도움으로 완성되었다. 하지만 그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진척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다. 특히 그의 안중근의거 이후와 해방공간의 활동 연구는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다. 이러한 점에서 이글은 이 부분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루려고 한다. 우덕순은 1879년 평범한 부모 밑에서 『통감』 등 기본적인 한학을 익혔다. 그는 1906년 블라디보스토크에 망명하기 전에 상동청년회에서 활동을 하였다. 이는 그가 민족문제에 눈을 뜬 계기가 되었다. 그의 러시아 망명은 을사늑약에 따른 독립운동에 대한 열망과 경제적인 어려움에서 벗어나기 위한 현실적 이유에서 결정된 것으로 보인다. 우덕순의 인생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인물은 안중근이다. 안중근과 만난 시점은 1908년 봄 무렵으로 이범윤 진영에서 함께 활동하면서 국내진공작전에도 참여하였다. 그는 헤이그 특사파견을 위한 모금에 참여하였고 교육운동에도 진력하였다. 그리고 그는 안중근과 함께 동의회와 블라디보스토크 공립협회에도 참여하였다. 국내진공적전 때 일제에 잡힌 우덕순은 다행히 탈옥에 성공하여 국내에 잠시 머물다가 하바로프스크로 돌아갔다. 이후 그는 대동공보사의 수금원과 한인상업회사의 발기인으로 민족운동을 지속하였다. 1909년 10월 이토 처단 의지를 다지고 있었던 우덕순은 안중근의 이토 제거 제안에 흔쾌히 동의하였다. 물론 이는 안중근과 역사와 민족의식을 공유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안중근의 사람됨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우덕순은 안중근과 같이 재판을 제2의 투쟁으로 여겼다. 하지만 우덕순은 안중근만큼 일제의 침략이론을 적극적이고 논리적으로 반박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1913년에 출옥한 우덕순은 1917년까지 주로 국내에서 정대호・김좌진 등과 교류하면서 민족운동을 모색하였다. 1918년 정대호의 동지로 정보수집에 진력하였다. 뿐만 아니라 1923년 김좌진과는 같은 대종교 신도로서 대종교의 표면단체인 만몽산업회에 동참하였고, 배정자 제거계획에 참여하는 등 민족운동에 집중하였다. 아울러 이토 처단의 결의를 담은 자신의 보구가를 한인시회에 널리 유행시킨 그는 청구신보의 간행에 적극적인 도움을 주었다. 무엇보다 그는 러시아 민족운동가들이 하얼빈에 오면 반드시 만나야 할 인물로 대표적인 한인민족운동가로 활동하였다. 그런데 우덕순이 하얼빈 조선인민회 회장으로 활동하는 동안 하얼빈 일본총영사관으로부터 자금을 받았다는 점에서 친일시비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배일사상이 농후하다”라는 그에 대한 일제의 평가, 그의 민족운동 경력, 동삼성한인협력회와 열사 안중근선생 기념사업협회를 주도한 점, 해방 후 민족운동가들의 지탄을 받지 않았다는 점 등에서 친일로 변절하였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1945년 해방공간에서 그는 안중근 추모사업을 주도하였고 1946년 『부녀신문』을 창간하여 편집 및 발행인을 맡았으며, 같은 해 평화보육원 건립에 참여하였다. 특히 대한민국 수립 이후 그는 정치인으로 변신하여 대한국민당과 민족진영강화위원회의 핵심으로 활동하였다. 대한국민당이 대한민국의 수호와 반공을 강령으로 하였다는 점, 민족진영강화위원회가 좌익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점, 우덕순은 이승만 노선을 지지하였다는 점 등에서 그의 정치적 지향점을 읽을 수 있다. 그는 6ㆍ25 때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e activities of Woo Deok-sun(禹德淳) i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after liberation from Japan in this paper.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Woo Deok-sun was born in 1879, the same year as Ahn Jung-geun, into an average family. He received a basic education in the Chinese classics, including the “Tonggam”(通鑑). In 1906, after being active in the Sangdong Youth Association, he sought political asylum in Vladivostok. This opened his eyes to Korean national problems. It seems that his decision to defect to Russia was both in order to escape from economic difficulties and out of fervor for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fter the signing of the Treaty of Protection in 1905. Ahn Jung-geun had a major impact on the life of Woo Deok-sun. He met Ahn around the spring of 1908, when both were active in Lee Beom-yun’s group. He took part in fundraising activities to support the secret mission to the Hague in 1907, and was very activity in educational activities. Furthermore, Woo and Ahn together participated in the Donguihoi and the Gongnip Hoieui in Vladivostok. Most importantly, they worked together in forward military operations on Korean territory against the Japanese. This can be seen as one reason why Ahn Jung-geun chose Woo Deok-sun as his comrade in arms. During forward operations in Korea, Woo Deok-sun was captured by the Japanese, but was luckily able to escape prison. He stayed for a while in occupied Korea, before returning to Khabarovsk. Afterwards, he continued his work as a fighter for Korean independence, as the founder of the Daedonggongbosa(大東共報社) and Hanin Trading Company(韓人商業會社). In early September 1909, when Ito Hirobumi’s visit to Manchuria was confirmed, Woo Deok-sun became determined to kill Ito. It was at this time that Ahn Jung-geun(安重根) suggested to Woo a great and meritorious deed. Since he shared with Ahn Jung-geun the same historical and nationalist consciousness, Woo naturally agreed wholeheartedly to his proposition. Ahn Jung-geun succeeded in his valorous deed, but it can be seen that Woo Deok-sun’s assistance played a decisive role. Like Ahn Jung-geun, Woo Deok-sun saw his trial in court as a second struggle. But unlike Ahn Jung-geun, He was unable to refute Japan’s policy of imperial expansion logically and convincingly. In 1913 Woo was released from prison, and for 5 years he mainly roamed within Korea, seeking unsuccessfully to involve himself in the nationalist movement. At this time, he worked together with Jeong Dae-ho and Kim Jwa-jin. As a comrade of Jeong Dae-ho, Woo worked hard to gather intelligence. Moreover, Woo was a believer in Daejonggyo (大倧敎), as was Kim Jwa-jin(金佐鎭), and he worked together in the Daejonggyo front group, the Manmong Industrial Association (滿蒙産業會), as well as collaborating in the plans to do away with pro-Japanese Koreans. His song “Boguga(報仇歌)”, that tells of his resolve to kill Ito Hirobumi, became widely known in Korean society, and he actively assisted in the publication of the Cheonggu Sinbo (靑邱新報). The fact that Woo Deok-sun was seen as a person who all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living in Russia had to meet when visiting Harbin shows that Woo was a central figure in the struggle for Korea‘s sovereignty. However, while active as the leader of the Harbin Korean Association (哈爾濱朝鮮人民會), Woo received funds from the Japanese Consulate-General resident in Harbin, and this earned him the label of pro-Japanese collaborator. But taking together the Japanese assessment of him as “rapidly anti-Japanese”, his experience as an independence activist, his leadership activities in the Dongsamseong Korean Association(東三省韓人協力會) and the Memorial Society for Heroic Marty Ahn Jung-geun, and the fact that after Liberation he was not rejected by other independence fighters, it cannot ...

      • KCI등재

        삶과 죽음에 대한 안중근의 종교적 해석과 그 평가

        신운용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0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56

        안중근은 삶의 의미를 “천명이 무엇인가 하는” 종교적 문제에서 찾았다. 그는 한국독립과 동양평화 실현이라는 천명론에 따라 이토를 처단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는 이토 히로부미 처단의 정당성을 ‘동양평화’와 ‘한국독립’ 실현이라는 천명론에서 찾았고 그 구현 방법론으로 동양평화론을 제시하였던 것이다. 안중근은 천명을 실천할 주체를 사람으로 상정하였다. 그는 천명이 저절로 실현되는 것이 아니라 천명을 자각한 의인만이 천명을 실천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그의 면모를 간파한 박은식은 그를 ‘평화의 대표자로 나선 사람’이라고 평가하였던 것이다. 안중근은 천명이란 현세를 한국이 독립되고 동양의 평화가 구현된 ‘도덕세계’를 만들라는 신의 명령으로 이해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그는 천명을 구현하기 위해 죽음을 마다하지 않고 최선을 다했으므로 천당에 갈 수 있다는 확신을 갖고 있었다. 또한 그는 그의 주검을 하얼빈에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김으로써 죽어서도 한국독립과 동양평화 구현의 밑거름이 되고자 하였다. The present work studies how Ahn Jung-geun viewed life and death from the religious perspective and how it is currently appreciated. It seems that Ahn found the answer to the religious questions for his life that one needs to follow what is ordained by God.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at that time, his understanding of God’s order was to devote himself to the peace of East Asia and the independence of Korea. Consequently, Ahn assassinated Ito Hirobumi whom he saw as the evil axis. As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peace of East Asia, he composed ‘The Theory for the Peace of East Asia’ during his confinement in the prison. As a Catholic, he believed that he could go to heaven only when he conducted God’s order. For him, it was to realize the world where the peace pervades and Korea achieves freedom and independence. Therefore he sacrificed his life to manifest God’s order in the world, and he never doubted to be granted with God. Also, he left his will to bury his body in Harbin, China so that he could devote himself to the independence of Korea and the peace of East Asia after his death. His life and death were appreciated by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that they designated Ahn as a martyr. His death was described as ‘the rainbow of white and red silk’ in Gunseiyeoksa, the first biography of Ahn Jung-guen. Kim Ha-goo’s appreciation of his death was that of Jesus Christ. Kye Bong-woo compared Ahn’s life to that of Moses and believed his presence with Jesus Christ. Not only Chinese leaders but even Japanese people praised him for his martyrdom.

      • KCI등재

        안중근 의거에 대한 국내의 인식과 반응

        신운용 한국근현대사학회 2005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33 No.-

        To sum up, domestic viewpoints and responses from the patriotic deed of Ahn Joong-Geun are following : (1) Seo-Buk Hakhoe made an appeal to the international society against the suppression of the Japanese Empire. Moreover it determined to stand against Japanese opinion which insisted that Soonjong emperor had to visit Japan. Daehan Mailsinbo(Deahan dairy newspaper) presented the ideas and activities of Ahn’s through more positive information of Ahn’s claims and situations concerning the trial than any other presses. The interior resistances such as Kim Kyeong-sik were very pleasure with Ahn’s patriotic deed on the on hand and regreted that they themselves had not managed to do that on the other hand. After that, these resistances recognized Vladivostok where Ahn had been in activity as the base of an independence movement. (2) Some Catholics had a preyer meeting for Ahn at 26, March in 1910 when Ahn died at Port Arthur and collected 2 thousand Hwan(a monetary unit at that time) for contributions for Ahn. The students of Ehwa Hak-dang who were Christians attended the memorial ceremony for Ito Hirobumi But nevertheless they paid a tribute to Ahn through rejecting the silent homage for Ito. And Confucians admired Ahn’s behavior, giving statements blaming for Ito to the consulates of every country. (3) As exemples of Hong eun-hee and Sangrokhoei of Chuncheon public middle school, Ahn became a spiritual prop of students. On the contrary, the pro-japanese group praised Ito as a guardian of the Eastern peace and denounced Ahn as a rebel in order to pursuit their own political, social, economical interests. Their unpatriotic conducts are following : (1) The Korean Imperial household and government dispatched an envoy to the funeral of Ito. They didn’t treated the diplomatic problems occurred by Ito’s death, that is, the problems of absorption of Korea into Japan and of personal protection for Prince Imperial with a view to developing Korean history, but intended to solve these problems by sending notables representing all social standing to the funeral for staying in power. On the contrary, Japanese Empire showed a kindness to an envoy and Pince Imperial in order to conceal their scheme for absorption of Korea. Therefore Korean Imperial household and government couldn’t perceive the real intention of japanese kindness. (2) Non governmental pro-japanese prominent figures tried sending, so-called, “national apology group”. Japanese Empire withdrew the offer because they concluded that the pro-japanese group intended to satisfy self-interests and selfish desire through sending apology group and doing so could interfere with the policy of aggression on Korea. (3) Moreover the pro-japanese group performed a memorial ceremony for Ito and promoted to erect a monument. Through the facts such as the pro-japanese bureaucrats and the authorities of Japan forced the students to participate the ceremony, we must pay attention to Japanese Empire’s intention for removal of potential anti-japanese force. The concept about Ahn’s patriotic deed of the pro-japanese group who promoted to erect a monument lay on the same line as that of Japanese residents in Korea. But like the case of pro-japanese group’s sending apology group, Japanese Empire thought critically about their performing a memorial ceremony and promoting to erect a monument. As we saw, the pro-japanese group perceived Ahn’s patriotic deed as the whole challenge against vested interests. Furthermore they abused Ahn’s patriotic deed and mourned for the death of Ito excessively in order to show further their loyalty to Japanese Empire for their own interests. These perception of pro-japanese group about Ahn’s patriotic deed was not built in a day but constructed on the historic orbit. Moreover Ahn’s patriotic deed operated as a barometer implying historical significance just before Korea became Japan’s colony. Shortly, Ahn’s patriotic deed provide...

      • KCI등재

        안중근의 대일인식

        신운용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0

        그동안 안중근의 대일인식에 대한 학계의 논의는 대체로 러일전쟁을 전후하여 긍정에서 부정으로 급변하였다는 주장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안중근은 명성황후시해사건을 이토처단의 첫번째 이유로 내세우고 있다. 명성황후시해사건이 안중근의 대일인식 형성의 근간이 되었다는 사실에 필자는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본격적으로 안중근의 대일인식의 과정을 추적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러일전쟁 이전의 안중근의 대일인식을 이루는 핵심은 명성황후 시해사건이었다. 이 사건은 안중근의 근거지인 청계동에도 큰 파장을 일으켰다. 이는 김구의 『백범일지』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안중근의 대일인식은 대일인식을 위정척사계열의 고능선과 반일의식을 공유한 아버지 안태훈의 그것과 연동되어 있었다. 또한 관례를 어기면서까지 명성황후시해사건을 공론화한 천주교의 대응도 안중근의 대일인식의 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 안중근은 일제의 한국침략을 주시하면서 천주교 전교와 천주교 교인의 억울한 송사를 해결하는데 주력하였다. 대체로 명성황후시해사건을 견문한 막연한 적대의식이 이 시기의 안중근의 대일인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러일 전쟁이 발발하자, 안중근은 천황의 대러시아 선전조칙을 지지하였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러일간의 전쟁에 국한된 것이다. 안중근은 침략을 일삼지 않는 일본을 지지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안중근이 천황의 조칙에 대해 완전히 매몰되어 일제의 침략을 전혀 의식하지 못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는 러일전쟁 이전 일제의 침략성을 인식하면서 러일전쟁의 결과를 비관적으로 보고 있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일제의 본격적인 침략성이 드러나는 황무지개척권 요구에 대해 안중근은 하야시를 제거하는 것으로 대응하였던 것이다. 이는 구국의 방법을 외교적 수단을 강구하다가 적당한 시기에 무력투쟁을 도모하기 위한 해외이주 계획의 추진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외교적 방법론을 통한 무력투쟁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였으므로 교육에 의한 구국의 방책을 시도하였다. 무엇보다 이 시기의 안중근의 대일인식은 이기ㆍ최익현의 그것과 같은 궤도에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안중근의 대일인식이 러일전쟁을 전후하여 크게 변하였다는 주장은 타당성이 없다. 을사늑약 이후 안중근의 대일인식은 고종황제 폐위ㆍ한일신협약ㆍ군대해산으로 이어지는 상황 속에서 경험한 일제의 침략 즉, 국채보상운동 중 일본 순사와 충돌, 일제의 방해로 인한 삼합의 실패 등의 경험을 바탕으로 더욱 발전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안중근의 대일인식은 현 단계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새로운 단계로의 전환을 가져온 추진력이 되었을 것이다. 국외망명 이후 안중근은 전단계의 대일인식의 한계성을 넘어 무력투쟁이라는 구체적인 방법론에 입각하여 일제를 제거해야 할 대상으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실천하였다는 면에서 그의 대일인식은 한차원 높은 발전된 모습을 보였다. 즉, 이 시기 안중근의 대일인식은 간도한인의 상황을 목격하면서 계몽적 운동단계에서 무력투쟁의 단계로 전환한 추진력이 되었다는 면에서 전시기와 확연히 구분된다. 무엇보다도 이 단계의 안중근은 천명이라는 종교적 의미를 바탕으로 천황ㆍ이토를 비롯한 침략세력ㆍ민을 중심으로 한 평화세력으로 일본...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rgue on the time when Ahn Joong-Geun happened the change of his understanding on Japan. Until now, academic circles seems to admit as an established theory that Ahn’s positive understanding on Japan was changed to negative sight around the Russo-Japanese wars. But his sight on Japan did not turn in period of the Russo-Japanese wars but changed profoundly as the extent of Japan’s aggression. Especially I focused that his negative recognition towards Japan was based on the case that Empress Myeongseong was murdered by japanese assassins. Before the Russo-Japanese wars, observing Japan’s invasion, Ahn concentrated his effort on helping falsely accused missionaries and roman catholics. It can be said that his recognition towards Japan in this period was the vague hostility which he felt hearing the news about the Empress Myeongseong. When the Russo-Japanese wars broke out, he supported japanese empire’s royal edict about the declaration of war towards Russia. But it was confined to only the wars. That is, he supported Japan that would not invade Joseon. Therefore it was not true that he wasn’t aware of the Japan’s aggression as he was cheated by japanese empire’s royal edict. On the contrary, recognizing Japan’s aggressive intention before the wars, he thought the result of wars with the negative point of view. So when Japan claimed the right for cultivating wild lands, he expressed his opposition against Japan’s invasion as killing Hayasi. It is followed by the project of emigration for an armed struggle in proper time considering diplomatic means as a method for saving his country. But actually it was impossible to achieve an armed struggle by diplomatic means. So he sought other method by education. After Eulsa treaty, Ahn’s anti-japanese feeling was growing through japanese invasion,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and so on with the series of situations such as the dethronement of Emperor Gojong, Japan-Korea annexation treaty of 1907, dismissal of korean army. This change of his recognition on Japan could make him overcome the limit in that time and would bring him the impulse for turnover towards new direction. After exile, Ahn transcended the limit of former his recognition on Japan. Therefore he ordained japanese imperialism as a target which had to be remove on the basis of concrete methodology of armed struggle and he carried his thought into practice. This fact showed that his recognition on Japan developed to the higher dimension. Thus, his recognition on Japan in this period differed from that in former period because it became a driving force for turning to the new stage from enlightenment movement towards armed struggle, observing the lives of koreans in Jiandao.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take notice that he showed an analytical recognition on Japan which considered japanese including japanese empire and Ito as a invading force and korean people as a peaceful group. This fact is meaningful because he thoroughly thought that japanese was not a fellow who he had to compromise with but a opponent who had to be got rid of and korean people was a partner who had to cooperate with. Ahn sometimes thought that his deed might have been wrong because of japanese kindness. But I thought that the sentence of death by japanese court convinced him what Japan’s true character was. Ahn tried to realize a mandate from Heaven, he believe, the korean independent and preservation of peace in East Asia by resistance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towards Korea. In addition, he wished to finish his work, “On peace in East Asia”, as a last way with which he could have concretely practiced the mandate from Heaven. By doing such work, he emphasized that Japan was to be embraced for peace in Asia, God’s will.

      • KCI등재

        안중근의거 관련 『노국관헌취조번역문』의 내용과 그 의미

        신운용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3

        안중근의거의 목적은 이토 히로부미의 제거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재판투쟁을 통하여 일제의 한국침탈 상황을 국제사회에 알리는데 있었다. 이러한 안중근의 의도를 밝히기 위해는 안중근재판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 여긴 필자는 『노국관헌취조번역문』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위에서 보듯이 그 구성과 내용 그리고 주목되는 대목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여 본고를 맺고자 한다. 『노국관헌취조번역문』은 무엇보다 원사료가 러시아에 남아 있지 않다는 점, 안중근의거의 전체상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 등에서 안중근이 왜 일제의 재판을 받을 수밖에 었었는지, 그리고 하얼빈 한인과 안근의거의 관계, 러시아 한인의 상황 등을 밝히는데 의미 있는 사료이다. 『노국관헌취조번역문』의 구성은 결정서ㆍ조서ㆍ통지문ㆍ보고서ㆍ진술서 등으로 이루어졌다. 결정서는 안중근ㆍ우덕순ㆍ유동하ㆍ조도선ㆍ하얼빈 한인 등에 대한 입감과 구류 결정서ㆍ신문결정서ㆍ신체수색결정서ㆍ가택수사집행결정서 등이 있다. 특히 안중근을 일제에 넘긴 이유를 밝히는데 예심결정서와 결정서는 결정적으로 중요한 사료이다. 조서는 하얼빈 한인, 러시아 대장대신 까깝쵸프 등 러시아 관헌, 김성백집 러시아인 세입자를 신문한 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통지문은 주로 러시아 사법당국의 조치를 일본에 통지한 내용이다. 특히 이를 통해 러시아가 예심문서의 사본도 남기지 않고 모든 관계자료를 일제에 넘겼는데, 예심서류 원본 1책(46쪽)과 증거물건을 넣은 상자 2개를 하얼빈 주재 일본총영사에게 송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보고서는 3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2건은 폰큐 겔겐이 밀레르에 보낸 것이고, 1건은 폰큐 겔겐의 전대동공보사 발행인으로 보이는 미하일로프 신문 보고서이다. 특히 하얼빈 한인회, 김성백 약력 등은 의미 있는 기록이다. 진술서는 의거상황, 하얼빈 한인 조사결과 등에 대한 밀레르의 기록이다. 안중근재판과 관련하여 『노국관헌취조번역문』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점에서 주목된다. 첫째, 이 사료를 통하여 러시아가 의거 12시간 40분만인 오후 10시 10분 안중근을 넘겨주면서 재판 관할권을 포기한 이유에 대해 명확하게 알 수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안중근이 한국인이었기 때문이었다. 그가 만약 러시아 국적자였다면 적어도 사형을 면할 수 있었음을 이 사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대목이다. 둘째, 러시아 사법당국의 안중근의거에 대한 인식이다. 일제는 “안중근의거는 정치적 사건이 아니라 단순한 살인사건”이라는 논리에 기초하여 안중근에게 사형을 선고했다. 그러나 러시아 사법당국은 의거가 조직적으로 이루어진 정치적 의미를 갖는 사건으로 규정하였다. 이러한 면에서도 일제의 안중근재판 논리의 허구성을 발견할 수 있다. 셋째, 러시아 사법당국은 안중근의거와 러시아인의 관련성을 부인하는 방향에서 조사를 진행한 사실도 엿볼 수 있다. 동청철도 철도경찰, 하얼빈시 경찰서, 하얼빈 형사탐정국이 동원되어 안중근의거를 조사한 사실도 이 사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안중근이 러시아 군인에게 체포될 때의 상황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는 것도 이 사료의 특징이다. 이를 통해 안중근이 순순히 체포된 것이 아니라 러시아 군인과의 격투도 마다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So far I have reviewed the compilation and contents of the translated record of the Russian Government officials’ investigation of Mr. Ahn’s Ito assassination. And I closely looked into its most important parts and significance. I’d like to conclude this essay as follows. Why is this material so important and meaningful in terms of historical data? The first reason is that this record is no longer in Russia today. The second is that this can help give the entire picture of Ahn’s patriotic act. The compilation of the record is composed of a written decision, proces-verbal, notice, repots, statement and etc. The written decision contains how influential Ahn Joong Geun, Woo Duck Soon and Cho Do Ha were over the Korean residents in Harbin area. And it also contains the written decisions for detention, interrogation, body-search and house-search. In particular, both the written decision for preliminary examination and the written decision to turn Ahn over to the Japanese judicial authorities are very valuable historical materials. The process-verbal is records of questioning koreans in Harbin, Russian Minister of Finance, Kokovtsoffand, Russian government officials and Russian tenants living in Kim Sung Bak’s. And the notice is about Russian judicial authorities informed Japanese government authorities about Russian’s judicial actions. We have to pay attention to that Russia turned all relevant materials over to Japan without saving even a copy of these materials. Now it is verified that one original text(46pp) and 2 boxes of material evidence and voucher were sent to Japanese Consulate General in Harbin. Especially Korean Association of Harbin and the personal history record of Kim Sung Bak are profound in meaning. The statement is Millere’s report of circumstances of Ahn’s Heroic deed and result of investigation of Koreans in Harbin. So far as we are concerned with the trial of Ahn Joong Geun, there 3 points to attract our attention in the translation of Russian Government Officials’ investigation of Ahn’s Ito assassination:First, this document reveals that it took only 12 hours and 40 minutes for Russia to turn Ahn Joong Geun over to Japanese Authorities. It ended up as giving up its jurisdiction. The reason for renunciation of jurisdiction over this matter was that Ahn Joong Geun’s nationality was Korean. If his nationality were Russian, death-sentence would not have been handed down to him. Second, Russian Judicial authorities’ understanding of Ahn’s patriotic deed. Japanese logic was that “Ahn’s patriotic deed is not a political incident, but merely a murder.” That is Japan’s justification for sentencing Ahn to death. But Russia took issue with Japan on Ito assassination. The Russian Judicial Authorities determined this incident as a politically motivated and organized protest. In this context we come to realize how farfetched Japanese insistence or logic is fabricated. Third, We come to know that Russian Judicial Authorities set their policy positions on this matter in which any Russian was not related to the incident. This material revealed that railroad police of Eastern China Railroad, Harbin police and Chief of Harbin Criminal Division were mobilized for the investigation as well. And this material clearly shows us how Martyr Ahn was arrested by Russian soldiers. At the same time it vividly describes how Martyr Ahn was not hesitant to fight Russian soldiers. He fought them bravely.

      • KCI등재

        김성숙 연구의 성과와 과제

        신운용 대각사상연구원 2011 大覺思想 Vol.16 No.-

        필자는 이글의 목적을 김성숙의 연구성과와 과제를 기술하는데 두었 다. 김성숙에 대한 연구성과는 그 동안 꾸준히 축적되어 왔다. 하지만 여 전히 표피적인 연구에 머물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김성숙연구는 다음과 같이 세시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제1기는 중국관내 민족주의 좌파 연구의 태동에 따른 김성숙연구 기반의 구축기(1980년대)이다. 제2기는 중국관내 민족주의 좌파연구의 활성화로 이루어진 김성숙연구의 진척기 (1990년대)이다 제3기는 김성숙연구의 확대기(2000년대)이다. 김성숙연구 는 제3기에 들어와서 본격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1945년 이전의 김성숙의 활동과 사상형성과정과 그 전개, 김성숙과 불교의 관계, 일제의 패망 이후의 김성숙의 정치노선과 활동 등 앞으로 확대 심화되어야 부분 이 많이 남아 있다. 김성숙연구의 최대 쟁점은 그의 사상과 정치적 지향점이 무엇인가 하 는 문제이다. 그동안 역사학계에서는 공산주의자라는 관점에서 그에 관 한 글이 발표되어 왔다. 특히 한상도는 그의 임정참여를 ‘사고의 대전환’ 이라고 평가하였다. 이는 공산주의자에서 민족주의자로 변화되었다는 의 미일 것이다. 그러나 필자의 주장은 김성숙은 결코 공산주의자일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필자의 결론은 무엇보다 3.1운동 참여도 한용운 등 불교계인사들 과의 교류의 결과였다는 점에서 알 수 있지만 한 사람으로서 정신세계가 형성 될 시기에 강렬한 민족의식을 바탕으로 승려생활을 하였다는 사실 에 따른 것이다. 김성숙이 1923년 북경에 도착하여 불교승려들과 가장 먼저 만든 단체 가 재연경조선불교유학생회였다. 이는 그가 불교를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는 의미이다. 그는 이들 승려와 더불어 학생구락부․반역사․창일당을 주도하였다. 이는 승려들이 1920년대 중반의 북경 한인학생들의 민족운 동을 이끌었다는 반증이라는 데서 불교사뿐만 아니라 한국민족운동사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이처럼 불교는 그에게 가장 영향을 끼친 사상임 이 분명하다. 김성숙사상의 종착역은 공산주의가 아니라 종교의 자유와 사유재산을 인정하는 민족주의였다. 때문에 그는 민족주의 좌파의 합동을 넘어서 일 제에 대항하기 위해 민족주의의 기치 아래로 전민족의 단합을 갈구했다. 그 결과 민족주의 우파 일색의 임시정부를 새롭게 태어나게 하여 민족주 의 좌우파의 대동단결을 이끌어냈던 것이다. 국권회복 후에도 김성숙의 민족주의는 극좌ㆍ극우세력이 민족을 갈라 먹는 상황에 맞서 여운형과 더불어 이른바 중간파를 이끌었던 원동력이 되었다. 하지만 극좌ㆍ극우 세력이 분단과 6.25비극을 초래하였던 것이 다. “6.25는 무가치한 일로 남북한 집권자들은 각각 자기네가 한 행동과 주장이 옳다고 하면서 기념식을 거행하고 있다. 멀리지 않은 장래에 6.25 의 진정한 비판을 내릴 때가 오고야 말 것”이라는 그의 주장은 남북의 화합과 통일을 추진할 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점에 김성숙 사상 과 삶은 역사적 의미가 있는 것이다 This study looked at the achievement and problems of the studies on Kim Seong-Sook(김성숙). Researches on Kim Seong-Sook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and a lot of achievements were made.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most of the studies remained shallow. The major issue in the study on Kim Seong-Sook concerns about Kim Seong-Sook’s political orientation. So far, by historians, researches on Kim Seong-Sook have been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that Kim Seong-Sook would be a communist. However, Han Sang-Do assessed Kim Seong-Sook’s participation in the interim government as the “huge turning point” and this would be the implication that Kim Seong-Sook had turned to a nationalist from a communist. However, the fact is that Kim Seong-Sook could had never been a communist. Such conclusion derives, above all, from the fact that he was a buddhist monk with nationalism on the basis when his ego was being established. His participation in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intercourse with buddhist figures such as Han Yong-Woon(한용운). The first organization he founded with buddhist monks, when he arrived in Bejing in 1923, was the korean buddist student'aasociation. Moreover, along with the monks, he led the student'club, the Revolutionary party and so on. This is the evidence that Korean students in Beijing led nationalistic movement in mid 1920s, which is significant not only to buddhism, but also to the history of Korean nationalistic movement. As shown above, it is certain that buddhism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to Kim Seong-Sook. The ideology Kim Seong-Sook believed in, was ultimately not communism, but nationalism in which freedom of religion and privately-owned property were allowed. He longed for the unity of entire Koreans, beyond that of nationalistic leftists, to confront the ruling Japanese under the flag of nationalism. As a result, he succeeded in rebuilding the interim government under the bilateral cooperation of both rightists and leftists. Even after gaining the independence, nationalism in Korea which was strongly influenced by Kim Seong-Sook, became a driving force that led the moderates such Yo Un-Hyung(여운형) while leftists and rightists caused an internal split among Koreans. Indeed, Korea became divided into two after all, Korean War was triggered by the extreme leftists and rightists If, after August, 1945 (the independence of Korea), such party as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Chungjing where both nationalistic leftists and rightists participated, had seized power and the nation were led by such person as Kim Seong-Sook, the tragedy of Korean War would have been avoided, and Korea would not have walked the historical path of the dictatorship and human right violation. Lastly, to restart in-depth and proper study on Kim Seong-Sook, the material for Kim Seong-Sook should be collected and organized comprehensively as soon as possible.

      • KCI등재

        안중근의 서양 인식

        신운용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9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53

        Before joining the Catholic Church in January 1897, Ahn Jung-geun had a Confucian world view. Since joining the Catholic Church, his outlook on life and world has changed a lot. Although he became a Catholic, he did not necessarily follow Catholicism. He accepted Catholicism Rationally. This is the result of Ahn's self-learning of Catholicism. Ahn's perception of the West was formed through The western Catholic Missionaries such as Gustave-Charles-Marie Mutel, and the media such as Hwangseong Newspaper. The civilization and civil rights consciousness he advocated was formed in the influence of Catholicism and the tide at that time. His national consciousness was acquired through clashes with Western Catholic Missionaries . In particular, he recognized the reality of the world as the 'national world.' As such, Ahn has expanded and developed civil rights and national consciousness, focusing on civil rights and peoples. Ahn's "ethnic world" of the time means that countries around the world compete for the benefit of the homeland. Therefore, Korea should also compete with other countries around the world, putting the interests of the Korean people first. He also called for the unity of Korea, China and Japan on the basis of absolute independence to prevent Western aggression. In this regard, his "Eastern Peace Theory," based on his religious character, is regarded as a concrete measure to ensure Oriental peace, free from Western fallen morally. Ahn's perception of the West is also evaluated in terms of racial perspective. However, it is not conclusive that the Pope recognized the West from a racist point of view, given that he presented the peace conference as a guarantor. Rather, it should be said that they recognized and evaluated the West from the perspective of establishing a "moral world." As such, he clearly grasped the imperial character of the West and suggested a way for the East to go (building a moral world and settling peace). Park Eun-sik's assessment that Ahn Jung-geun has eyes that penetrate the East and the West is largely based on his Western perception. 1897년 1월 천주교에 입교 이전 안중근은 주교 성리학적 세계관을 갖고 있었다. 천주교에 입교한 이후 그의 인생관과 세계관은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는 주체적으로 학습하여 천주교를 수용하였다. 안중근의 서양 인식은 주창한 문명과 민권의식은 천주교의 영향과 『황성신문』 등 당시 조류 속에서 형성되었다. 특히 그는 세계의 현실을 ‘민족 세계’로 인식하였다. 안중근은 세계를 서양과 동양으로 구분하고 서양을 침략세력으로 동양을 평화세력으로 보았다. 이 점에서 종교성을 바탕으로 한 그의 「동양평화론」은 도덕적으로 몰락한 서양의 침략에서 벗어나 동양평화를 담보할 구체적인 방안이라고 평가된다. 안중근의 서양 인식은 인종론에 따른 시각에서 평가받기도 한다. 하지만 그는 평화회의를 담보할 주체로 로마 교황을 제시하였다. 이 점에서 그가 인종론적 시각에서 서양을 인식하였다고는 단정할 수는 없다. 오히려 그는 ‘도덕 세계’ 구축이라는 철학에서 서양을 인식하고 평가하였다고 해야 할 것이다.

      • 「대한독립선언서」의 발표시기와 서명자에 대한 분석

        신운용 국학연구소 2018 국학연구 Vol.22 No.-

        「대한독립선언서」의 배경, 그 발표시기와 의미, 그리고 참여자 분석 을 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대한독립선언서」를 이끈 세력은 대종교인들이었다. 나철이 중심이 된 대종교는 본질적으로 조선이 망한 이유를 사대주의에서 찾았다. 나철 이 백두산의 단군교 교단의 뜻을 이어서 대종교를 중광하자 민족 주체성 을 자각한 많은 인사들이 대종교에 귀의하였다. 이들은 한국근대사의 중 심이 되었다. 일제는 민족의 주체성을 핵심 사상으로 하는 대종교를 가 장‘위험한’존재로 단정하고 어느 집단보다 탄압을 심하게 하였다. 이에 대종교는 그 중심을 간도로 옮겨 대종교 포교와 항일 거점을 만들었 다. 무엇보다 대종교 세력은 사대주의와 성리학적 군주 중심의 세계관을 청산하고 민족중심의 세계관을 제시하여 민족자주와‘주권재민(主權在 民)을 선포하였다. 이는 「대한독립선언서」에 그대로 이어져, 3.1혁명의 사상적 배경이 되었던 것이다. 그 동안 학계에서는 「대한독립선언서」 발표 시기가 핵심 논쟁점이었 다. 최근에는 「대한독립선언서」의 발표 시기를 대체로 3.1혁명선언 이 후로 보고 있다. 이러한 주장이 사실이라면 「대한독립선언서」의 의미 가 반감된다. 하지만 정원택의 『지산외유일지』 이외에 거의 모든 사료 에는 「대한독립선언서」의 발표 시기를 3.1혁명 이전으로 기술되어 있 다. 특히 「대동단결의 선언」과 「대한독립선언서」의 핵심인 신규식이 주도하여 간행된 『진단주보』에 그 발표 시기가 2.8독립선언과 3.1독립 선언 사이라고 분명히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그 발표 시기를 3.1혁명 이후이라고 주장되고 있는 연구결과는 수정되어야 마땅하다. 아울러 「대한독립선언서」의 참여자를 분석한 결과, 대종교 세력으로 도교사 김교헌을 비롯하여 동일도본사 12명(김규식(노은)·김좌진·김 동삼·박찬익·손일민·여준·조소앙·조성환·한흥·황상규·박성태), 동이도본사 4명(신채호·이범윤·김학만·문창범), 서일도본사 11명(윤 세복·이광·이시영·이탁·허혁·유동열·이상룡·이세영·임방·이종 탁·최병학), 서이도본사 3명(박은식·이동녕·신규식)으로 30명으로 추정된다. 대종교 또는 친대종교 세력이 전체의 3/4 이상을 찾지 하고 있다. 이는 「대한독립선어서」가 대종교 인사들이 주도하였다는 의미이 다. 그 이외 기독교·천주교(간도·미주) 세력으로는 김약연·이대위· 이봉우·박용만·안정근·안창호·이승만·정재관을 들 수 있다. 사회주 의 세력으로는 이동휘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대체로 단군에 대한 흠모와 존경심을 갖고 있던 단군민족주의자들이었다. 이처럼 대한독립선언에 참 여한 인물들은 대종교 네트워크를 통하여 「대한독립선언서」에 서명하였던 것이 이 글로 증명되었다. It i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to analyze the background and timing, meaning, and participants of the 「The Decl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of Korea」. The forces that led to the 「The Decl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of Korea」 were great religions. The Dae Ryonggyo, led by Na hcheon(나철), essentially found the reason why Joseon(조선) was ruined in the ‘sadaejuuiza(사대주의자 /pro-chinese group). When Nahcheon followed the Dahngunggyo (단군교) sect in Mt. Paektu san(백두산) and succeeded in rebuilding the Daedonggyo. many people who became aware of the national identity. They became the center of Korean modern history. The Japanese imperialism regarded the religion as the most dangerous beings with their national identity as the core ideology, and took actions against it more than any other group. The Daejongyo moved its center to the Gando and made Daejonggyo Bridge and an anti-Japanese base. Above all, the Daejonggyo power has cleared the world view of the monarchy and proposes the minzok(민족)-centered world view and proclaimed the national independence and the sovereignty. This Declaration became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3.1 Revolution. In the meantime, the issue of The Declaration was a key issue in academic circles. Recently, the timing of The Declaration has been generally seen since the declaration of the 3.1 Revolution. If these claims are true, the meaning of the Declaration is halved. However, in addition to the almost all the papers describe the date of the declaration of The Declaration before the 3.1 Revolution. Especially, it is clearly stated that the announcement period is between the 2.8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the Declaration of the 3.1 Revolution, which is written in the bulletin(JindanJubo/진단주보). In this respect, the research results that are claimed to be published after the 3.1 Revolution should be revi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