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태비평(ecocriticism)의 관점으로 그림책『달 샤베트』읽기

        신세니 ( Se Ni Shin ),조희숙 ( Hea Soog Jo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생태비평의 관점을 바탕으로 하여 그림책『달 샤베트』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교육적 함의를 발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달 샤베트』는 첫째, ‘관계성이 부재한 현대인의 주거 문화’, 둘째, ‘평범한 사람들로부터 시작되는 복원’, 셋째, ‘생명체 간 관계성의 자각: 상생으로 가는 길’이라는 의미를 전달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특정의 비평적 접근은 문학작품을 심도 있게 보게 해 주는 장치가 될 수 있으므로 유아교육현장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문학작품을 비평할 기회가 필요하며, 인간중심적이 아닌 생태중심적인 입장이 더욱 견지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Using an ecocriticism perspective, this study explored the picturebook 『Dal Sherbet』. Findings from this study, 『Dal Sherbet』 reveals ‘the modern residential culture lacking in relationship’, ‘the restoration starting from commonplace people’, and ‘the awaren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sm and organism: the way to live together in harmony.’ Ecocriticism is very imperative tool to view that children`s literature be related to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 interconnection between nature and huma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children`s literature in the classrooms by the various perspectives and by the eco-focused sta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cocriticism that is aimed at the restoration of relations between nature and human, 『Dal Sherbet』 deals with the themes well.

      • KCI등재

        유아와 어머니가 함께하는 책읽기 시간의 책 선택권에 관한 어머니들의 이야기

        신세니 ( Se Ni Shin ),김상희 ( Sang Hee Kim ),조희숙 ( Hea Soog Jo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유아와 어머니가 함께하는 책읽기 시간의 책 선택권에 관한 어머니들의 실제적인 목 소리를 통해 유아의 책 선택권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5~7세 유아기 자녀를 양육중인 어머니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한 결과, 책 선택권에 대한 어머니들의 인식은 첫째, 전적으로 어머니가 주도하는 권리와, 둘째, 유아와 어머니가 동등하게 나눠 갖는 권리라는 두 가지로 대별되어 나타났다. 먼저, 책 선택권을 자신들의 것으로 보는 어머니들은 학습 목적으로 철저한 계획 하에 사용하는 권리, 독서환경을 조성하는 주담당자의 소유권, 도서 선별력이 부족한 유아들을 감독하는 수단, 분주한 육아의 일상에서 자연스레 정착된 자신의 몫으로 인식하였다. 반면, 책 선택권을 유아와 공동의 소유로 보는 어머니들은 신뢰와 존중을 바탕으로 한최소한의 개입, 독자로 성장해가는 유아들의 지원 방안, 유아 독서문화의 발전을 위한 기초적 권리로 인식하고 있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listen to the opinions of mothers in terms of the right of book choice in children-mother picturebook reading time and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mothers regarding this right.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aims, an in-depth interview was given to 10 mothers, raising young children ranging from 5 to 7 years of ag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realization concerning the right of book choice among mothers is divided into two main opinions: mothers ultimately lead the book choice and mothers and children share the book choice. First, mothers who regard the right of book choice as their own right believe it to be a right based on a thorough plan, a person`s single ownership of the reading environment, a means of monitoring young children who lack book selection ability and work naturally established part of a busy daily life raising young children. On the other hand, mothers who consider the right of book choice as joint ownership between young children and mothers appreciated it as a minimal intervention based on belief and respect, and a means of supporting young children who are developing readers and as a basic right for improvement.

      • KCI등재

        유아들의 목소리에 나타난 바깥놀이터의 의미

        신세니(Shin Se-Ni),안지성(Ahn Ji-Sung),이효원(Lee Hyo-Won),조희숙(Jo Hea-Soo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6

        본 연구는 유아 주도적인 언어생활이 비교적 자유로이 실현되는 바깥놀이터에서 유아들의 담론에 귀를 기울임으로써, 유아들의 언어를 통해 발현되는 유아들의 고유한 생활세계를 드러내고 바깥놀이터가 갖는 교육적 의미를 발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 기관의 혼합연령으로 구성된 한 학급의 유아 9명의 바깥놀이를 참여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바깥놀이터에서 유아들은 많은 이야기와 노래를 새로 만들거나 개작하면서 자신들의 목소리를 들려주었고, 둘째, 숨어있던 목소리를 통해 ‘되는 것’과 ‘안 되는 것’의 경계를 허물고 있었으며, 셋째, 바깥놀이터에서 놀이하는 유아들의 목소리에는 TV 속 대중문화가 그대로 재현되어 담겨있었고, 넷째, 어른의 목소리와 만나고 부딪히면서 어른의 목소리를 뛰어넘고자 시도하고 하였다. 이로써 바깥놀이터는 유아들의 언어가 잉태되고 이어지는 생명 공간이자 유아들이 소리와 몸짓언어로 표현하는 문화 공간이며, 유아와 성인의 목소리가 만나고 부딪히는 접점(接點) 공간이라는 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To children the outdoor playground is not merely the site of physical activity, but also a place where unstructured and formless voices are explored.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the children's worlds by understanding how they are revealed and represented through language on the playground environment. Our analysis is based on data collected through direct observation of the outdoor play activities of a mixed-age class at a kindergarten where outdoor play takes place on a daily basis. Such observation reveals that within the playground environment children: first, create a variety of stories and songs; second, dismantle the boundaries between possibility and impossibility; third, reproduce popular culture television shows; and finally, reveal the playground to be an interface between the voices of children and those of ad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outdoor playground can be viewed as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aids young children in representing their daily experiences. Thus the playground becomes a site where representation of everyday life can be freely created and voiced. In conclusion, we argue that outdoor play can be considered an important educational activity, and that such voices should be listened to more attentivel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기관의 보조교사 이미지 연구 -유아 면담을 중심으로-

        신세니 ( Se Ni Shin ),김선희 ( Sun Hee Kim ),조희숙 ( Hea Soog Jo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교사교육연구 Vol.51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직책의 교사들과 만나고 생활하는 유아들이 보조교사들에 대해 어떠한 이미지를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로써 유아교사교육에 대한 함의를 발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연구를 위해, 2009년 6월 3주에서 7월 1주까지 B 어린이집의 만5세반 두 학급을 참여관찰하고 두 학급에 재원중인 41명의 유아들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보조교사를 일반적인 유아교사와 동일하게 보호·양육자, 교수자, 놀이 친구로 인식하는 한편, 보조교사에 대하여 담임교사와는 다른 호칭을 사용하고, 이들이 자주 바뀔 수 있으며, 담임교사가 지시하는 업무를 행하는 이들이자 담임교사보다 너그러운사람이라는 이미지를 갖고 있었다. Young children meet and live with various teachers everyday in kindergarten or childcare cen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images of assistant teache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1 young children who are in ``Dasom class`` and ``Somang class`` in B childcare center. The data was gathered through the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41 young children and through classroom observations for three weeks. The collected data was then analyzed and interpreted using the hermeneutic appro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young children have recognized assistant teachers like the teacher in charge as the fosterer, the instructor, and the playmate. And secondly, young children have used other names to refer to the assistant teacher unlike the teacher in charge, they have considered that assistant teachers are often changed frequently, and they follow the instructions from the teacher in charge, and are more generous to young children.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들의 보육실습 전ㆍ후에 따른 어린이집 기타교직원 이미지 인식 연구: 어린이집 조리사를 중심으로

        신세니(Shin Se-Ni),이소영(Lee So-Yo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들의 보육실습 경험 전ㆍ후에 따른 어린이집 조리사 이미지 인식이 어떠한지 살펴보고, 그 의미를 발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M대학에 재학 중인 24명의 예비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림 그리기, 그림에 대한 설명 및 개별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실습 이전의 예비보육교사들은 어린이집 조리사에 대하여 ‘요리하는 엄마’와 ‘영양 관리 전문가’ 이미지로, 보육실습 이후의 예비보육교사들은 ‘제 3의 보육교사’와 ‘실습생들을 위한 쉼터’ 이미지로 인식하고 있었다. 즉 보육실습 이전의 예비보육교사들은 여러 전공 교과목 수업에서 습득한 보육교직원들 각각의 직무에 대한 기초적 이해에 근거한 조리사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었다면, 보육실습 이후에는 조리사와의 직접적인 경험에 따라 직무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보다 입체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조리사를 중심으로 한 보육실습 전ㆍ후에 따른 기타교직원 이미지 탐색은, 예비보육교사들에게 있어 어린이집 내에서 다양한 직무를 맡은 타 교직원들의 역할에 대한 재개념화가 이루어지도록 돕고, 어린이집 내 조직문화와 인적환경 관련 이해를 심화시키는데 도움을 주리라 본다. 이러한 이해는 예비보육교사들이 향후 전반적인 어린이집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형성하는 데에도 기여할 뿐 아니라, 이들이 어린이집의 일원으로서 자리매김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on the images of childcare center cooks before and after their experience of childcare practicum, and to shed light on the meaning of their awareness. Method: Data were gathered from 24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in a college by asking them to draw pictures and explain their pictures and by having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m,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Results: The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regarded cooking mothers and nutrition management expert as the images of daycare center cooks before they engaged in childcare practicum, and they looked upon third childcare teachers and shelters for student teachers as their images after that. In other words, the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built the images of cooks before experiencing childcare practicum based on the basic understanding of the duties of childcare center staff members that they had in various major classes. After that, they ha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uties of cooks as they had direct experience of contacting cooks, and their images of them became more three- dimensional. Discussion and Conclusion: Exploring the images of other childcare center staff members, especially cooks, before and after childcare practicum is expected to facilitate the reconceptualization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on the roles of other staff members in charge of different duties, and to help enrich their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human environments in daycare centers. This kind of profound understanding will not only make a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overall childcare center image i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but also exert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settlement as members of childcare centers.

      • KCI등재

        유아의 의미구성 과정으로 본 포스트모던 그림책 파라텍스트의 기능 연구

        신세니(Shin, Se-Ni),조희숙(Jo, Hea-Soog)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논총 Vol.30 No.-

        본 연구는 만5세 유아들이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읽으며 나타나는 의미구성 과정에서 파라텍스트가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만5세 유아들 20명과 담임교사이며, 자료수집은 2010년 4월부터 7월까지 D어린이집 다솜반의 참여관찰, 유아면담, 교사면담, 기타 자료수집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파라텍스트는 첫째, 그림책의 유기적 구조에 눈뜨게 하고, 둘째, 그림책 읽기 경험을 다층적으로 이끌어 주며, 셋째, 그림책의 다양한 의미를 발견하도록 돕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포스트모던 그림책 파라텍스트는 그림책의 면면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자가 될 수 있으며, 그림책 읽기에서 또래 간 공동 의미구성 과정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교실 내 문학활동 시 다채로운 교사 역할의 필요성 뿐 아니라, 유아교육 현장에서 이러한 그림책들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functions of the paratext in process of meaning construction during young children"s reading postmodern picturebooks. The research methodology employed 20 young children and a teacher of ‘Dasom Class’ in D child care center were participants. The qualitative data were gathered through the classroom observation,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20 young children and the teacher, field notes, and other materials. The collected data were then analyzed and interpreted using the hermeneutic appro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atexts in postmodern picturebooks led the participants to acquaint the organic structure of picturebooks. Second, the paratexts in postmodern picturebooks enabled the participants to read picturebooks with multidimensional angles. Finally, the paratexts in postmodern picturebooks stimulated the participants to find the various meanings of picturebook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ing discussions can be presented. First, the paratexts in postmodern picturebooks have a important role to read and understand the picturebooks carefully and diversely. Second, the young children have chance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postmodern picturebooks in groups, and that process is one of vital elements for their understanding and enjoyment of the postmodern picturebooks. Third, teachers should play various roles for young children enjoy the paratexts in postmodern picturebooks. Fourth, the aesthetic picturebook reading through the paratext in postmodern picturebooks is evidently possible for young childre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