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학교급식의 식당과 교실 배식의 비교 연구 : 급식장소별 학생만족도 및 환경위생면, 잔반비교 중심으로

        송현정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학교 급식에 있어 양적으로 많은 성장을 거듭해왔으나, 질적인 면에 있어서는 아직도 부족한 부분이 많으며, 특별히 학교급식이 이루어지고 있는 급식환경에 관한 연구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학교급식의 급식장소별 학생 급식만족도와 환경 위생적 특성, 장소별 잔반 측정을 통해 급식장소별 만족도와 학교급식의 보다나은 환경개선점을 모색하여 급식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첫 번째 연구영역으로, 중학생의 급식장소(식당, 교실)에 따른 급식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중학교 1학년 학생 중심으로 급식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는 선행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되었다. 두 번째 연구영역으로, 환경위생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급식장소별 3개 구역(출입구, 배식대, 식사테이블)의 낙하균(일반세균)을 측정하였고, 3M Petriplate Film을 이용하여 해당 구역에 15분간 노출 후 32℃에서 48시간 배양 후 형성된 세균수를 계수하였다. 세 번째 연구영역으로, 급식장소별 잔반 측정에서는 2주간 급식 후 잔반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Even middle school meals have largely enhanced in quantity but nevertheless the quality of them is in fact not enough to reach a satisfactory standard, and especially in the aspect of studies on the environment of school meals, it is true that there seems to have little attention of it. In this study, satisfaction degree that students actually feel of their school lunch and its environmental and sanitary condition in middle schools is researched and through measurement of leftover food in each school, some measures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school feeding and increase satisfaction for it are sought. Firs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degree of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their dining places (school cafeteria, classroom), questionnaire was sent out to most 14-year-old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survey was made with reference to previous researches. Second, for the study on environmental and sanitary condition of school lunch facilities, dropping bacteria (general bacteria) are measured in three parts of dining places(entrance, food-distributing table, table) and 3M Petriplate was exposed to the responsible places for 15 minutes and then cultivated at the temperature of 32℃ for 48 hours before counting the number of bacteria formed. Third, leftover food was measured and compared after a two-week feeding.

      • 조직 내 갈등이 조직 구성원의 과업수행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서조절양식을 중심으로

        송현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nflict on task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focuses on regulation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style. Even though a few researches have already been conducted on the issue of conflict in the past, were rarely executed. Conflict management behavior was remarked frequently as a regulation variable between the relationship of conflic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preceding studies. However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emotional regulation style due to the recent conflict study investigated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emotion and conflict. This study was surveyed from 265 office workers, for about a month. The data was used for empirical to prove the initial hypothesis of this study. As a result, both task conflict and relational conflict not only negatively effected on task performance but also showed identical resul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esides problem-focused regul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conflict and task performance while emotion-focused regul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has significant meaning of sugge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 control factor. In spite of these implications, this study shows several limitations. This study simplifies the relationship among conflict, emo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Therefore, we can’t investigat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nflict on emotional regulation style concretely. To conclude, further studies on this thesis are necessarily required to develop the theory on the co-relationship among conflict, emo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정보 통신기술의 발달과 글로벌 기업들의 출현은 조직의 경쟁 시장을 국내에 국한한 것이 아니라 전 세계로 확장시켰다. 이러한 환경에서 조직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급속한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 해야 한다. 조직은 작은 단위의 수평적 구조로 바뀌고 있고, 이에 조직 구성원들간 교류의 빈도와 강도는 증가하고 있다. 사람들은 직장에서 다른 구성원들과 끊임없이 부딪히면서 생활한다. 이런 과정에서 조직 구성원들간의 갈등을 필연적인 것이다. 최근 갈등과 정서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밝혀지고 있다. 갈등으로 유발된 정서는 조직 유효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조직 유효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부정 정서는 최소화함으로써 조직 구성원들의 정서적 고통은 줄이고, 적응 기능은 극대화 시키기 위한 정서 조절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갈등을 어떻게 관리하는지에 따라 조직 전체의 성과가 좌우된다. 선행 연구에서는 갈등과 수행 및 태도에 대한 조절변인으로 갈등관리 행동이 대부분 제시되었는데, 이는 갈등상황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개인의 인지적, 정서적인 역동에 대한 고찰 없이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 차원에서만 접근했다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갈등 상황에서 발생하는 개인의 정서적인 면을 고려하여, 정서조절 양식이 갈등과 수행 및 태도 간의 관계에 있어 보다 유의미한 조절 변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이것은 갈등에 대한 개인 수준의 정서조절 양식이 효과적인 조절 변인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실증적인 방법으로 최초로 밝히는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연구 결과 조직 내 갈등은 과업수행 및 조직몰입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조직 내 갈등이 과업수행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정서조절 양식이 유의미하게 조절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갈등관리 행동 대신 정서조절 양식을 조절변인으로 최초로 제시했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또한 직장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의 정서조절은 중요한 요인으로 주목 받고 있는 후속 연구에 좋은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갈등으로 유발된 정서의 종류를 고려하여 연구를 하여야 할 것이며, 우리 문화에 맞게 좀 더 구체적으로 정서조절양식을 세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정서가 긴 시간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을 고려하여 시간을 두고 설계한 연구도 필요하다.

      • 상호문화교육콘텐츠 개발방안 연구 : 프랑스 사례를 중시으로

        송현정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랫동안 단일민족 이데올로기에 젖어있던 한국은 국제결혼의 증가와 외국인 노동자 및 유학생의 유입으로 커다란 사회적 변화를 맞이하였다. 1988년 이후 국내 이주자의 규모는 급속도로 증가해 현재 국내에 체류 중인 외국계 주민의 규모는 1백 4십만 명 전체 주민등록인구 2%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가 다민족⦁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변모해가는 과정에 접어든 것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이러한 변화의 구체적인 결과로 학교 현장에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증가했고, 이들을 위한 교육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하지만 일찍이 다문화교육에 대한 사회적, 학문적 관심을 가지고 이를 꾸준히 발전시켜 온 서구 사회에 비해, 비교적 단일한 문화권 내에서 살았던 우리 사회는 비판적인 검토의 기회를 갖지 못한 채 갑작스럽게 다문화교육을 하나의 과제로 떠안게 되었다. 따라서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정책의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우리보다 앞서 다문화 사회를 경험하고, 여러 시행착오를 거친 외국의 사례를 본보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에 분석할 사례 국가로 우리보다 40여년 앞서 다문화교육에 관한 논의를 시작한 프랑스를 선택하였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프랑스는 유럽의 다른 어떤 나라보다도 이민 문제와 종교 및 타문화의 갈등을 가장 먼저 겪은 나라이자, 총 육천만 인구 중 천 사백만이 외국계 이민자이거나 외국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대표적인 다민족 국가이다. 전통적으로 프랑스는 이민자들을 위해 동화주의 교육정책을 고수해 왔으나 이민가정 자녀의 언어적, 문화적 정체성을 존중하는 상호문화교육을 통해 그 한계를 보완해 왔다. 이러한 상호문화교육은 타인의 문화에 접근하기 전에 자기의 문화에 대해 성찰해보고 그 문화와 일정한 거리를 두게 한다는 점에서, 한국처럼 자민족중심주의와 외국인에 대한 편견이 유난히 심한 사회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프랑스 상호문화교육의 분석을 통하여 한국식 다문화교육에 적합한 상호문화교육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본 연구의 기본 개념인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개념을 정리하였고, 이어 배경 및 역사, 그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우리보다 앞서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 진입한 프랑스의 상황과 이로 인하여 대두된 다양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상호문화교육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고, 학교교육과 특수교육시설에서의 상호문화교육을 분석하였다. 이어 기존 연구와 여러 통계 자료를 이용해 한국의 다문화적 현황과 이를 위한 다문화교육정책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후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주자와 내국인 사이의 쌍방향의 적응과 존중이 일어날 때 다문화사회로 순조롭게 진입할 수 있다는 판단 아래, 상호문화적 요소를 강화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시하였다. After an era soaked in single race country ideology, Korea is facing a major socialogical change with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marriage and the incoming of individual foreign workers and students. since 1988, the number of immigrants settling in Korea has elevated rapidly and is now summing over 1.4 million, rating over 2 percent of the whole population. this indicates that Korea is entering a fast changing phase to a multiracial•multicultural society. specifically this change has resulted in the rise of multicultural students in schools, raising the need of "intercultural education" to comprehend the situation.
 While western societies have had socialogic, scholastic interest in intercultural education from much earlier times, Korea's relatively homogenous society didnt have the chance to study and prepare for the change to multicultural society before hand and now it has become an important task to be solved. Therefore, to minimize the confusion of policies we should take the example of countries who are more experienced in comprehending new cultures and have already had trials and errors to learn from. this is a study of France, where the study of intercultural education began 40 years ahead of us, and the selection is based on the following. France faced immigration problems, conflicts of religion and foreign cultures earlier than any country in europe, and is a representative multicultural country with immigrants and foreigners adding up to 14 out of 60 million of the total poputalion. traditionally, France stuck to an assimilationistic education policy towards immigrants, afterwards providing intercultural education with respect to their lingual, cultural heritage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policies. this kind of intercultural education makes a point of stepping back and studying one's own culture before approaching the incoming culture, which could be a challenge to the society of Korea, a race centered society with strong stereotypes regarding foreigner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n inter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development plan that is suitable fo Korea.
for this purpose the basic concept of intercultural education is explained in the beginning to assist understanding, followed by the background, history and contents regarding intercultural education. as France has developed intercultural education to resolve various conflicts arising while changing into a multirace/multiculture society,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progress throughout the development and has analyzed the inter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this is followed by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various statistics,  which serves as an evaluation of Korea's current multicultural status, it's comprehending intercultural education policies and educational curriculums and their limitations. finally an intercultural element enriched program is suggested, assuming that multicultural societies can be built with minimum resistance when immigrants and natives adapt interactively and respect each other.

      • 어머니의 아동기 모-자녀관계 및 성격특성이 현재 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송현정 숙명여자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의 행동문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와의 관계를 연구함에 있어 어머니의 아동기 모-자녀관계와 성격특성이 현재 모-자녀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과거 경험이 현재생활과 대인관계에 어떤 식으로 연결되어 나타나는가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부적응 문제나 행동문제를 가지고 있는 임상 아동군과 비임상 아동군 어머니의 아동기 모-자녀관계, 어머니의 성격특성, 어머니의 현재 양육행동, 아동이 지각한 현재 모-자녀관계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두 집단 각각에 대해 어머니의 아동기 모-자녀관계가 어머니의 성격특성과 어머니의 현재 양육행동, 아동이 지각한 현재 모-자녀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색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임상군과 비임상군 어머니의 아동기 모-자녀관계, 어머니의 성격특성, 어머니의 현재 양육행동이 아동이 지각한 현재 모-자녀관계에 어떤 경로를 통하여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초등학교 3-6학년 사이의 임상군 아동 142명과 그들의 어머니, 그리고 동일한 학년의 비임상군 아동 172명과 그들의 어머니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아동기 모-자녀관계를 측정하는데 허묘연(2000)이 개발한 양육태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성격특성을 측정하는데는 NEO-PI-R(The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Costa & McCrae, 1992)을 안창규와 채준호(1997)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어머니가 지각하는 현재 양육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성연과 이숙(1990)이 개발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척도를 사용하였고, 아동이 지각하는 현재 부모 자녀 관계를 측정하기 위해서 Furman(1985)의 Network of Relationship Inventory(NRI)를 한종혜(1996)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는 t-test,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군과 비임상군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임상군 어머니들은 아동기 때 자신의 어머니와의 관계에 대해서 비임상군 어머니들 보다 부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데 반해 비임상군 어머니들은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특성에서도 임상군 어머니들은 부정적 정서를 많이 경험하는 반면에 비임상군 어머니들은 긍정적 정서를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상군 어머니들은 비임상군 어머니들 보다 자녀에게 부정적인 양육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임상군 아동들이 비임상군 아동들 보다 자기 어머니와의 관계를 부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상군과 비임상군 어머니의 아동기 모-자녀관계가 어머니의 성격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결과, 임상군 어머니들은 아동기 모-자녀관계 중 부정적 경험의 하나인 과잉간섭이 성격특성 중 부정적 정서와 관련된 신경증 요인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비임상군 어머니들은 아동기 모-자녀관계 중 긍정적 경험의 하나인 애정이 긍정적 정서, 온정과 같은 긍정적 성격특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상군과 비임상군 어머니의 아동기 모-자녀관계가 어머니의 현재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결과, 임상군의 경우에는 어머니의 아동기 모-자녀관계 중 합리적 설명만이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인 합리적 지도, 애정, 성취, 적극적인 참여에 영향을 주었다. 비임상군 어머니들은 아동기 모-자녀관계 중 애정과 감독이 합리적 지도와 애정, 적극적인 참여를 늘리고 권위주의적 통제는 감소시키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임상군과 비임상군 어머니의 아동기 모-자녀관계가 아동이 지각하는 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결과, 임상군에서는 어머니의 아동기 모-자녀관계가 아동이 지각하는 현재 모-자녀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에 비해 비임상군에서는 애정과 감독 같은 아동기의 긍정적 모-자녀관계는 현재 자녀를 대하는 태도에 그대로 전해져 아동이 어머니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과잉기대와 학대 같은 부정적 모-자녀관계도 현재 자녀를 대하는 태도에 그대로 전해져 아동이 어머니와의 관계를 부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임상군과 비임상군 아동이 지각하는 현재 모-자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변인들의 경로모형을 살펴본 결과, 두 집단은 서로 다른 경로모형을 나타내고 있으나, 두 집단은 각각 유사한 경로모형을 반복하여 나타내었다. 먼저, 임상군의 경우에는 사회적 지지와 우의에 대한 경로모형에서 아동기 때 어머니로부터 애정적 양육과 과도한 간섭을 받았던 경험과 아동기 때 학대받은 경험이 사회적 영향력과 지배력에 대해 강한 욕구를 형성하였고, 이러한 성격특성은 자녀와의 관계에서 적절한 보살핌과 지지를 제공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상군의 처벌/주도권, 친밀, 대립에 대한 경로분석 결과에서도 동일한 경로모형이 나타났다. 즉, 아동기 때 어머니로부터 애정적 양육을 받지 못하고, 과잉간섭을 많이 받을수록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능력이 부족하고 의존적이며 무기력해지는데, 이러한 성격특성은 자녀와의 관계에서 과보호적 양육행동을 하게한다. 또한 아동기 때 어머니로부터 지나친 기대를 많이 받으며 성장할수록 적대감과 분노가 강해져 일상에서 쉽게 화를 경험하게 되는데, 이러한 성격특성 역시 과보호적 양육행동을 많이 하게한다. 이러한 양육행동은 자녀로 하여금 어머니와의 관계를 처벌적이며 대립적인 관계로 지각하게 할 뿐 아니라 친밀한 것으로 지각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임상군에서는 친밀과 우의, 그리고 처벌/주도권과 대립 변인에서 유사한 경로를 나타내었다. 즉, 아동기 때 어머니로부터 애정적 양육을 받을수록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는 경향성이나 사람들과의 친밀감 강한데, 이러한 어머니의 성격특성은 자녀와의 관계에서 애정적 양육행동이나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양육행동을 증가시키고 강압적인 태도는 감소시켜 자녀가 어머니와의 관계를 친밀하며 처벌적이거나 대립적이지 않은 것으로 지각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임상군 어머니의 아동기 모-자녀관계 중 방치 경험은 처벌/주도권, 친밀, 우의에서 유사한 경로모형을 나타내었다. 아동기 때 방치 경험을 많이 할수록 어머니의 충동성이 높아지고 이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주어 결국 아동도 어머니와의 관계를 부정적으로 지각하였다. 반면에, 아동기의 방치 경험이 충동성을 거치지 않고 바로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그대로 전이되는 경우에는 방치 경험을 많이 할수록 오히려 자녀에게 긍정적 양육행동을 나타내어 아동도 어머니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a purpose to deeply understand how past experiences are connected with current life and personal relationship by examining how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and her personality affects current mother-child relationship in studying the relationship with mother that has an important effect on child's behavior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what differences there are between mother in behavioral problem group and mother in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about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mother's personality, mother's current parenting behavior, current mother-child relationship that child perceives. And this study tries to research what effects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has on mother's personality, mother's current parenting behavior, current mother-child relationship that child perceives for each of two groups. Finally,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rough what route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mother's personality, mother's current parenting behavior both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and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has effects on current mother-child relationship that child perceive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142 children between 3rd grader and 6th grader of elementary school and their mothers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and 172 children between 3rd grader and 6th grader of elementary school and their mothers in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This study uses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that Heo Myo-yeon (2000) developed in measuring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and uses NEO-PI-R(The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Costa & McCrae, 1992) that An Chang-gyu and Chae Jun-ho (1997) adapted. This study uses Korean Maternal Behavior Inventory that Park Seong-yeon and Lee Suk (1990) developed in order to measure current parenting behavior that mother perceives, and uses Furman(1985)의 Network of Relationship Inventory(NRI) that Han Jong-hae (1996) adapted in order to measure current parent-child relationship that child perceives. This study analyses the data through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ath analysis.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behavioral problem groups and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it is shown that while mothers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perceives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mothers during their childhood more negatively than mothers in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mothers in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perceives it positively. Also for personality, it is found that while mothers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experience more negative emotion, mothers in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experience positive emotion more. And it is shown that mothers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do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more to their children than mothers in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and children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perceive more negatively the relationship with their mother than children in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that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both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and in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has on mothers' personality, the intrusiveness of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for mothers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have much effects on the factor of neuroticism of personality features. It is shown that affection of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for mothers in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has effects on positive personality features like positive emotions, warmth.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that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both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and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has on current parenting behaviors, only reasoning of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influences reasoning guidance, affection, achievement, involvement that are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It is shown that affection and monitoring of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in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increases reasoning guidance, affection, involvement and decreases authoritarian control, and namely influences positively.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that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both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and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has on mother-child relationship that child perceives,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does not affect mother-child relationship that child currently perceives. Compared to this result, it is shown that positive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 hood in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like affection and monitoring is conveyed to mother's attitude of treating currently children as it is, and thus child positively perceives the relationship with his or her mother, and negative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like over-expectation and physical abuse is conveyed to mother's attitude of treating currently children and thus child negatively perceived the relationship with his or her mother.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oute models of explanation variables affecting current mother-child relationship that child both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and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perceives, two groups show different route models each other, but two groups shows similar route models repetitively. First of all,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over-expectation of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affects mother's anger/hostility and then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s indirectly, and affection and intrusiveness of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affects mother's vulnerability and then mother's overprotection directly, and thus punishment/initiative power, intimacy, conflict of mother-child relationship that child perceives. In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affection of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mediates mother's personality like warmth or positive emotions or through affection and involvement, authoritarian control of mother's current parenting behaviors, and affects punishment/initiative power, intimacy, conflict, companionship indirectly.

      • 부부관계 및 부모-자녀관계가 장애아 형제관계에 미치는 영향

        송현정 숙명여자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uple relationship, parents-child relationship on the handicapped children's sibling relationship. And this study compared family of the handicapped child with family of the nonhandicapped children for understanding the handicapped children's sibling relationship. The samples selected for this investigation were 93 siblings of the handicappe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special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and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their mothers. And 199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The children were 5th and 6th graders.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Sibl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Furman & Buhrmester, 1985), Parental Rearing Attitude Questionnaire(Oh Sung Sim & Lee Jong Seung, 1982) and Olson et al's Couple Relationship scale. Parents-child relationship and sibling relationship were responsed by children, couple relationship was answered by mothers. The Sibl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 have four main factors, namely Warmth/intimacy, Conflict, Relative status/power and Rivalry. The Parental Rearing Attitude Questionnaire have also four major factors such as Affection, Autonomy, Achievement and Rationality. The Olson et al's Couple Relationship scale are consist of five factors such as affection and conversation with spouse, personality of spouse, life style, leisure activity and sharing of role. The statistical data were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Stepwise) using SAS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difference between handicapped family and nonhandicapped family on couple relationship, parents-child relationship and sibling relationship,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couple relationship. Parents-child relationship of handicapped family appeared more hostile, controlled and irrational than nonhandicapped family i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in even sibling relationship, sibling of handicapped family appeared less warmhearted, intimate and to perceive sibling partiality very much.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couple relationship and parents-child relationship on sibling relationship were as follow : In case of warmth/intimacy of factors of sibling relationship, affection-hostility, accomplishment-nonaccomplishment and life style variable had influenced on the handicapped family. And affection-hostility, autonomy-control, affection and conversation with spouse variables had influenced on the nonhandicapped family. Variables of effect on conflict factor of sibling relationship were rationality-irrationality and personality of spouse in the handicapped family, rationality-irrationality, autonomy-control and leisure activity in the nonhandicapped family. In estimating relative status/power factor of sibling relationship, relationality-irrationality and autonomy-control in the handicapped family, accomplishment-nonaccomplishment in the nonhandicapped family were influential variables. In rivalry factor of sibling relationship, affection-hostility, affection and conversation with spouse variables had influenced on both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family. In addition to, rationality- irrationality had influence on the nonhandicapped family. 최근 대가족이 핵가족화 되고 인구 이동율이 높아지고 맞벌이 부부가 증가함에 따라 아동들이 어른들보다는 비슷한 나이 또래인 형제들과 상호작용 할 기회가 증가되면서 형제관계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되었다. 그리고 장애아 가정의 경우에도 장애아동과 비장애형제의 형제관계의 중요성은 예외일 수 없고, 오히려 장애아동의 특성상 더욱 부각될 필요가 있다. 또한 장애아 가정에서의 형제관계는 장애아와 비장애형제 모두의 발달과 행복을 위해서 중요하다. 최근에는 장애아 가정의 형제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 가족을 서로 긴밀하게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사회체제로 보는 가족체계이론에 근거하여 형제관계를 살펴보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형제관계와 함께 가족을 구성하는 하위체계인 부부관계와 부모-자녀관계를 형제관계에 대한 중요한 변인으로 보고 가족 전체의 맥락 속에서 장애아 가정의 형제관계를 파악하고, 장애아 가정과 일반 가정과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장애아 가정의 형제관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장애아 가정과 일반 가정의 부부관계, 부모-자녀관계, 형제관계에는 차이가 있는가? 2) 장애아 가정과 일반 가정에서의 부부관계 및 부모-자녀관계는 형제관 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일반학교 내의 특수학급 4개 반과 특수학교 4개교에 재학중인 93명의 장애아동 어머니와 그들의 비장애 형제, 그리고 서울시내 3개 일반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199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형제관계를 측정하고자 Furman과 Buhrmester(1985)가 제작한 것을 박영애(1995)가 번안한 형제관계 조사도구(Sibling Relationship Questionaire ; SRQ)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부모-자녀관계를 측정하고자 이종승과 오성심(1982)이 제작한 "부모 양육태도 지각검사"를 사용하였으며, 부부관계 측정도구로는 1982년 David H. Olson, David G. Fournier, Joahn M, Druckman 등이 개발한 ENRICH(Enriching and Nurturing Relationship Issues, Communication and Happiness)를 김윤희(1989)가 요인분석을 통해 8개 하위요인 73개 항목으로 추출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고, 형제관계를 예측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 가정과 일반 가정의 부부관계, 부모-자녀관계, 형제관계에 대한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부관계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모-자녀관계의 경우 장애아 가정의 부모-자녀관계가 일반가정의 부모-자녀관계 보다 적대적이고 통제적이며 비합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형제관계에 있어서도 장애아 가정의 형제들이 덜 온정적이고 덜 친밀하며 형제편애를 많이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아 가정의 비장애형제들은 장애형제를 돌보거나 지배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관계와 부모-자녀관계가 형제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형제관계의 하위요인 중 온정/친밀감 요인에 대해서는, 장애아 가정의 경우 애정-적대와 성취-비성취, 생활태도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가정은 애정-적대와 자율-통제, 애정 및 배우자와의 대화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정/친밀감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장애아 가정과 일반가정 모두 부모-자녀관계 중에 애정-적대 변인이 공통적으로 큰 기여도를 보였으며, 두 집단 모두 부부관계 보다는 부모-자녀관계가 형제의 온정/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형제관계의 갈등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는, 장애아 가정의 경우 합리-비합리와 배우자의 성격이 나타났고, 일반 가정의 경우 합리-비합리와 자율-통제, 여가활동이 나타났다. 갈등 요인의 경우, 합리-비합리 변인이 두 집단 모두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지위와 권력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장애아 가정과 일반가정 모두 부관계의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고, 부모-자녀관계에서 장애아 가정은 합리-비합리와 자율-통제가, 일반가정은 성취-비성취가 영향력을 갖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경쟁의식에서는 장애아 가정과 일반가정 모두 애정-적대 변인과 애정 및 배우자와의 대화 변인이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반 가정의 경우 합리-비합리 변인이 형제간 경쟁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대부모애착, 부모의 부정적 정서와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송현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investigation for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dult attachment towards their parents, parent’s negative emotion,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First, for a structural analysis of variables influencing parent of childhood in Deagu-City and Gyeongbuk province and others in Korea were surveyed questionnaires from May 21th to Oct 8th in 2013. They answered adult attachment towards their parents scale, SCL-90-R, K-CBCL(1.5-5). A total of 616 parent of childhood respons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rough using SPSS 18.0, the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showed normal distribution in all variables, and the estimated coefficient of Cronbach alpha showed that the reliability of all the measures used met the standards. A variance-covariance matrix of this sample was analyzed using AMOS 18.0 with the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via SRMR, RMSEA, with a 90% confidence interval, CFI, TLI.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adult attachment towards their parents, parent’s negative emotion is a significant internal variable directly affecting early childhood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 Adult attachment towards their parents is a significant internal variable indirectly affecting early childhood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 Secondly, adult attachment towards their parents, parent’s negative emotion is a significant internal variable directly affecting early childhood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 Adult attachment towards their parents is a significant internal variable indirectly affecting early childhood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 Thirdly, adult attachment towards their parents directly affects parent’s negative emotion. As a result of the structur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arent’s negative emotion took a role of an intervening variable between adult attachment towards their parents,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Therefore, the parent’s negative emotion reduce was reduced for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The present study results can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plan and the construction of parent’s education and counseling

      • 우리나라 초등학생에 대한 구강보건사업의 우식예방효과 평가에 관한 조사연구

        송현정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저자는 구강보건사업 평가를 목적으로 2003년 전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시 표본으로 추출된 지역 중 학교불소용액양치사업 대상아동,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사업 대상 지역 아동,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사업 대상 아동과 이와 비슷한 지역 아동을 대상으로 사업군 1,792명, 비교군 1,620명 아동의 구강검사기록을 근거로 우식경험 관련 통계치를 비교, 검토 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학교불소용액양치사업 대상아동과 비교군 아동에서 유치와 영구치의 우식예방효과는 차이가 없었으며(p>0.005), 우식경험유치율은 9세 아동에서 사업군이 오히려 비교군보다 높게 나타났고(p<0.05) 우식경험영구치율은 10세와 11세에서, 우식경험영구치지수는 10세 연령층에서 오히려 사업군이 비교군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2.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사업 대상지역 아동 중 우식경험유치율은 6세 아동에서, 우식경험유치면지수는 9세 아동에서 사업군이 오히려 비교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p<0.05), 전반적으로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사업으로 인한 우식예방효과는 대부분 사업군의 실시기간이 4년 미만이므로 큰 우식예방효과는 보이지 않은 것으로 사료되었다(p>0.05). 3. 학교구강보건실운영 대상아동 중 우식경험유치율은 6세와 8세에서 비교군이 사업군보다 높게 나타났고(p<0.05), 영구치우식경험율은 8세, 우식경험영구치율은 8세와 9세,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 우식경험영구치면지수는 8세에서 비교군이 사업군보다 높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학교구강보건실운영 사업으로 인한 우식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4. 우리나라 아동들의 우식예방과 구강건강증진을 위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구강보건사업을 확대하여야 하며, 또한 학교불소용액양치사업은 보건기관의 철저한 지도 감독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되었다. The author has analysed the data of the National Dental Survey in 2003, in order to appraise such public dental health programs for school children as school based fluoride mouthrinsing project, school dental clinic project and community water fluoridation project. 1,792 children's survey charts for experimental groups and 1,620 chart's for control groups were collected and analysed. The obtained data was as followings. 1.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aries prevalances on primary and permainent denti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f the school based on fluoride mouth rinsing project(p>0.05). In spite of reporting to perform the projects for several years, df rate in age 9, DMFT rate in age 10, 11 and DMFT index in age 10 were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in control group(p<0.05). 2. General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ies preven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s lived at the average 4 years water fluoridated areas and the control group residency of children. Otherwise df rate in age 6 and dfts in age 9 were revealed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in control group(p>0.05). 3.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df rate of age 6 and 8, in DMF rate of age 8 and 9 in DMFS of age 8,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o were included in the project for school dental clinic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p<0.05), so it revealed the caries prevention effects through the programs. 4. It needed more active supervisions and reasonable appraisals to develope and to spread the school based dental health programs in all around of Korea, in order to promote the oral health level for Korean children.

      • 現代中國語 「V-到-O」構文 硏究

        송현정 成均館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現代漢語中, '到'在動詞後與賓語一起構成「V-到-O」結構. 雖然對於位於動詞後的'到'的品詞, 不少語法論著的見解各不相同, 但對其語法功能的見解却大同小異. 爲了理解「V-到-O」結構, 我們應了解'到'的作用, 而其作用又取決於對所有動詞和賓語的選擇. 爲此, 本論文是硏究根據動詞和賓語的特徵而劃分的「V-到-O」結構的意義. 「V-到-O」結構的意義可分爲到達某處所、到達某時間、到達某程度、達到了某種目的或結果這四類. 根據不同的意義, 動詞的特徵如下. 當表示到達某出處所時, 動詞本身有[+移動]的語義特點的移動動詞自然地和'到'結合來;幾類非移動動詞在「V-到-O」結構中, 也具有移動性. 表示到達某時間的動詞, 動詞本身由有[+持續]的語義特點的持續動詞必然地和'到'結合;但是非持續動詞中如是表示特定的時間的動詞, 也可以和'到'結合, 表示到達某時間. 在使用持續動詞的句子裏, 一般'到'之後出現的賓語是一個表示時間終點的詞, 而在使用非持續動詞的句子裏, '到'之後出現的賓語是一個表示特定時點的詞語. 表示到達某程度的動詞帶有變化和發展, 使用表達人物心理狀態的心理動詞, 都與'到'結合來表示到達某種程度. 最後, 當表示達到某種目的或實現結果時, 使用的動詞都是帶有直接賓語的及物動詞, 由帶有想實現某種目的或願望的目的指向動詞和表示感覺的感知動詞和'到'結合, 表示各自實現某種目的或達到某種結果. 在「V-到-O」結構中的賓語可以是處所詞、方位詞、時間詞、數量詞、名詞短語和主謂短語, 這時賓語特徵和'到'由實而虛的功能有關. 如果'到'表示方向或終點的比較具休的處所, 其賓語可以使用休詞性成分. 但是'到'用於表示結果的功能時, 卽表示虛化的抽象的意義時, 其賓語可使用謂詞性成分的主謂短語. 考察「V-到-O」結構時, 可以發現蛇的前後常常出現'從'和'來/去'等詞語. 「V-到-O」結構前面的 '從'和名詞短語結合, 可以和'到'一起表示空間或時間的起點和終點的范圍. 這時, 空間上的起點和終點的范圍和動詞的移動性有關, 而時間上的起點和終點的范圍和動詞的持續性有關. 因此, 當'從'出現在句子前時, 必須使用移動動詞和持續動詞. 還有「V-到-O」結構後出現的趨向動詞'來/去'作爲補語使用時, 對聽話人來說, 當要說明的對象的方向是向着說話人的時, 用'來';如是遠離說話人的方向時, 則用'去'. 對於動詞和'來/去'中間的賓語的特徵來說, 由於'來/去'含有目的地的意思, 所以賓語只能是表示處所的詞語. 「V-到-O」結構和「到-O-V」結構都可以有處所賓語和時間賓語, 根據韓語的語序把'到'用於動詞前組成句子. 但實際上「V-到-O」結構中的'到'用於動詞前時, 僅限於有限的幾個動詞, 意思也有變化. '到'用於動詞前的句子中, 幷不是把'到-O'用於動詞前, 而應理解爲特徵完全不同的連動句. 連動句的'到'之後出現的動詞是'到-O'後完成的動作, 所以當其帶有處所賓語時, 必須使用非移動動詞;當帶有時間賓語時, 必須使用帶有'開始'和'結束'的語義的動詞. 這時, 在別的動詞前使用時間副詞'才', '就', '再'等也可以表示'開始'和'結束'的語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